KR100605382B1 -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 - Google Patents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382B1
KR100605382B1 KR1020040030880A KR20040030880A KR100605382B1 KR 100605382 B1 KR100605382 B1 KR 100605382B1 KR 1020040030880 A KR1020040030880 A KR 1020040030880A KR 20040030880 A KR20040030880 A KR 20040030880A KR 100605382 B1 KR100605382 B1 KR 10060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membrane
skin
cellulose
membrane
bone 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660A (ko
Inventor
이석근
김성민
강흔수
신동명
Original Assignee
이석근
메타볼랩(주)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근, 메타볼랩(주), 김성민 filed Critical 이석근
Priority to KR102004003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38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유래된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을 위한 피부 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은 상처 치료 및 골형성을 촉진하는 데 매우 유효할 뿐만 아니라, 생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에 폐기물로 처리되었던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각질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 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천연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기여할 수 있다.
멍게, 우렁쉥이, 미더덕, 셀룰로오스, 상처, 골형성, 피복재, 막

Description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Films for Protecting Skin Scar and Inducing Osteogenesis Comprising Sea Squirt or Styela clava-derived Cellulose Film}
도 1은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의 구조적 특징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a-도 2b는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의 생체내 활성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c는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대조군에 대한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이 생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 비장 사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이 생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 IgG 농도 분석 결과이다.
도 4a-4b는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5a-5c는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의 원소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발생한 상처를 도포하는 피복재는 환부를 보호하고 피부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의료용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창상 또는 화상 피복재로서 공지된 것은, 젤라틴 (대한민국 특허공고공보 제 90-6982 호 및 제 91-2791), 키틴계 섬유 및 필름 (대한민국 특허공고공보 제 96-1219 호, 제 97-5310 호 및 제 97-64625 호), 키토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01-163 호, 미국 특허 제 3,632,754 호, 제 4,651,725 호 및 제 5,420,197 호) 및 우레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26417 호) 등이 있다. 한편, 알긴산염을 이용한 창상피복재는 미국 특허 제 5,836,970 호, 제 4,948,575 호 및 제 5,470,576 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기술로서 공지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2-7000687 호는 L-카르노신 아연염 또는 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형성 촉진제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89-7002279 호는 골형성 활성이 있는 특정 서열의 폴리펩타이드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3-43331 호는 유산글리콜산중합체 및 아텔로콜라겐으로 이루어진 골아세포의 부착을 촉진하는 인공골 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상처의 치유 및 골형성을 촉진할 수 있으면서도, 생체 (조직) 적합성이 우수한 천연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 막이 상기한 활성 및 장정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상처 치유 촉진을 위한 피부 상처 보호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형성 촉진을 위한 골형성 유도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유래된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을 위한 피부 상처 보호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유래된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을 위한 골형성 유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상처의 치유 및 골형성을 촉진할 수 있으면서도, 생체 (조직) 적합성이 우수한 천연 (natural-occurring) 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하였고, 결국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 막이 상기한 활성 및 장정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은 멍게 (즉, 우렁쉥이) 또는 미더덕의 표피 또는 껍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은 종래에는 폐기물로 취급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 그 의학적 용도가 신규하게 발견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상처"는 피부에 발생한 어떠한 상처 (scar)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으며, 예컨대, 창상 (wound) 및 화상 (burn 또는 scald)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은 유효성분으로서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데, 상기 셀룰로오스 막은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셀룰로오스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강산 또는 강염기를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에 처리하여 수득한다. 사용 가능한 강산 또는 강염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무기/유기 강산 또는 무기/유기 강염기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무기 강산 또는 무기 강염기이다. 무기강산의 예는, 염산, 차염소산 및 질산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산을 이용한다. 무기강산의 예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다. 상술한 강산 또는 강염기 처리에 의해,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셀룰로오스 성분 이외의 다른 유기성분 (예, 단백질)이 제거되어 셀룰로오스 막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셀룰로오스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실시된다: (a) 피부 각질에 강산 또는 강알칼리를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막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 막에 산을 처리하여 음이온을 제거하는 단계; (c) 산-처리된 셀룰로오스 막에 알칼리를 처리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중화된 셀룰로오스 막을 건조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의 제조 과정에서 단계 (a)는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셀룰로오스 성분 이외의 다른 유기성분 (예, 단백질)을 제거하여 일차적으로 셀룰로오스 막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단계 (a)에서 이용 가능한 강산은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무기강산 및 유기강산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무기강산이다. 무기강산의 예는, 염산, 차염소산, 및 질산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산을 이용한다. 한편, 단계 (a)에서 이용 가능한 강염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무기강염기 및 유기강염기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무기강염기이다. 무기강산의 예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1차 셀룰로오스 막은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 구 조에 따라 외면 및 내면으로 구분된다. 상기 단계 (b)를 실시하기 전에, 조직 적합성을 보다 개선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외면을 연마하여 0.6-0.1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mm 이내 두께의 셀룰로오스 막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셀룰로오스 막에 산을 처리하여 음이온을 제거한다. 이 때 이용되는 산으로서, 염산 및 차염소산 및 질산 같은 무기강산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산을 이용한다. 본 과정을 통해 음이온을 제거하는 이유는 유기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나서, 셀룰로오스 막에 알칼리를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막을 중화시킨다. 한편, 상기 단계 (b)와 (c) 사이에 증류수로 세척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화 단계에서 이용되는 염기로는 무기강염기가 바람직하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이 보다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슘을 이용하는 것이다. 수산화칼슘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 막에 Ca2+이 부착된다. 칼슘 이온이 셀룰로오스 막에 부착되면 생체 내에서 생활성 작용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최종적으로, 셀룰로오스 막을 건조시켜 보관한다. 건조 후, 셀룰로오스 막을 멸균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EO (ethylene oxide) 기체를 이용하여 멸균할 수 있다. 멸균 소독된 셀룰로오스 막은 보관을 위해 진공 밀폐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셀룰로오스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실시된다: (a)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에 강산 또는 강염기를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막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 막에 산 또는 염기를 처리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c) 상기 중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막을 유기용매에서 세척하여 잔존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셀룰로오스 막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변형 제조예에서, 강산 또는 강염기는 상술한 내용과 같다. 단계 (c)에서 이용되는 유기용매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유기용매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이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막 (film)의 제형으로 적용되지만, 분말, 파이버 또는 젤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막으로 표시되지만, 셀룰로오스 분말, 셀룰로오스 파이버 및 셀룰로오스 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막은 외면과 내면으로 구분되는 데, 외면은 비교적 거칠고 활택이 없으며 생체 조직 내에서 점차적으로 서서히 흡수된다. 반면, 셀룰로오스 막의 내면은 미세한 섬유성 구조를 나타내고, 결체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갖으며, 세포들이 쉽게 융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내 면은 매우 질기고 활택이 있으며 조직 내에서 쉽게 흡수되지 않고 혈관의 신생이나 골조직 형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은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제조된 셀룰로오스 막 중 내면으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스 막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을 생체 내에 이식하는 경우, 섬유아세포 등의 중배엽성 세포들이 집중되어 증식하면서 셀룰로오스 내면에 부착되며, 특히 주위 조직에 신생 혈관을 증식시키며 결체조직을 성숙시키면서 화골세포를 만들어 인접하는 골 조직에 뼈돌기 (osteophyte)를 형성시키거나 셀룰로오스 막 주변에 부착되어 신생골 형성을 유발한다. 즉,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은 골절이나 골성형 부위의 골막조직을 활성화시켜서 골형성이 저조한 부위의 골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은 피부 하방의 결체조직 성숙을 유도하여 손상된 피부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어, 피부 상처 보호용 막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은 생체 내에서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은 그 자체로서 적용 부위에 직접 적용 (application)될 수 있지만, 다른 첨가제, 예컨대, 가소제 또는 유연제 (예: 글리세롤, 젤라틴,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마크로골류 등), 항생제, 항균제, 세포 (예: 연골 세포, 섬유아세포, 간엽세포, 대식 세포 등), 효소, 안료 등의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 상태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막은 그 자체로서 피부 상처에 직접 적용되거나, 또는 골형성 촉진을 요구하는 부위에 이식시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피부 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은 상처 치료 및 골형성을 촉진하는 데 매우 유효할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에 폐기물로 처리되었던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각질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 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천연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멍게 또는 미더덕으로부터 셀룰로오스 피부각질의 순수 분리 및 셀룰로오스 막의 제조
멍게 또는 미더덕으로부터 셀룰로오스 피부각질을 깨끗하게 수세한 후에 50℃로 가열한 10% 염산 용액에서 24시간 처리한 후에 10% NaOH 용액에서 12일간 세척하였으며 초산으로 중화시켰다. 얻어진 순백색의 셀룰로즈 피막에서 잔존되어 있는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코올,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에서 24시간 세척한 후에 동결 건조법에 의하여 압착 고정시켰다.
실시예 2: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피부각질의 특징 관찰
멍게와 미더덕의 피부각질에서 얻은 셀룰로오스 막은 외면과 내면으로 구분되는데, 셀룰로오스 막의 외면은 비교적 거칠고 활택이 없으며 조직 내에서 점차적으로 서서히 흡수되어지는데 반하여, 셀룰로오스의 내면은 매우 질기고 활택이 있으며 조직 내에서 쉽게 흡수되지 않고 혈관의 신생이나 골조직 형성을 일으키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순수 분리된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피부를 외면과 내면으로 구분하여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Japan)으로 관찰하였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외면은 거칠고 단단하게 뭉쳐진 셀룰로오스가 돌출과 골 구조를 이루고 있었으며, 내면은 미세한 섬유성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내면은 외면에 비하여 결체조직과 유사하며 세포들이 쉽게 융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피부각질의 조직반응
순수 분리된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피부각질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 막을 동물 생체 내에 이식한 후에 조직세포들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백서의 두피 하방에 존재하는 두개골을 3 x 4 mm 정도 제거하고 그 위의 골막 부위에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막을 도포한 후 6주일 후에 나타나는 현상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셀룰로오스 외면에서는 활발하게 이물질 거대세포 (foreign body giant cell)를 형성하면서 셀룰로오스 기질이 점차로 흡수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는 데, 세포 괴사 현상이나 세포괴사에 따르는 염증세포의 침윤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셀룰로오스 내면에서는 셀룰로오스 막 주변으로 섬유아세포 등의 중배엽성 세포들이 집중되어 증식하면서 셀룰로오스 내면에 부착되었는 데, 특히 주위 조직에 신생 혈관을 증식시키며 결체조직을 성숙시키면서 화골세포를 만들어 인접하는 골 조직에 뼈돌기 (osteophyte)를 형성시키거나 셀룰로오스 막 주변에 부착되어 신생골 형성을 일으켰다 (참조: 도 2a).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막을 생체 내에 이식시킨 후에 6주경에 제거하여 제작한 조직표본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일차 항체와 스트렙토아비딘과 바이오틴 복합체에 퍼옥시다아제가 부착된 이차 항체 (DAKO, Co., Denmark)를 이용하였고, 발색은 디아미노벤지딘을 시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셀룰로오스 내면에서 안지오제닌 및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등의 항체에 대하여 미약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으나, 인접하는 중배엽성 세포들에서 강한 안지오제닌 및 VEGF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참조: 도 2b).
한편, 실험군과 마찬가지로 백서의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한 후에 셀룰로오스를 삽입하지 않고 봉합하여 6주일 후에 관찰한 대조군에서는 6주일이 지나도록 골절단부위에 골재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섬유질로 채워져 있었으며, 인접의 골단부위 에서도 실험군에 비하여 미약한 골형성이 관찰되었다 (참조: 도 2c).
실시예 4: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피부소재의 면역반응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막을 백서 두피부위에 상기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으로 이식하였다. 이식 후, 8주가 경과되어도, 인접조직에서 염증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참조: 도 2a-2b).
한편, 셀룰로오스 분말 (직경 100 ㎛ 이하)을 생쥐의 복부 장간막 부위 (peritoneal space)에 직접 주사 방법으로 이식하였다. 이식 후, 3일, 1주일, 2주일 및 3주일 후에 각각 비장을 제거하여 비장의 증식을 대조군의 비장과 비교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3주 동안 백서 비장의 비대는 관찰되지 않았다 (참조: 도 3a).
반면, 프로이드 야쥬번트 (Freund's adjuvant, Gibco BRL, NY, USA)를 동일한 부위 (복부 장간막 부위)에 주사한 경우, 1주일 이내에 생쥐의 비장이 매우 심하게 비대되었다.
한편, 상기 실험군의 생쥐의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생쥐의 혈청 내에 IgG의 농도 변화를 마우스 IgG 검출 ELISA 키트 (Santa Cruz Co. USA)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프로이드 야쥬번트를 투여한 경우에는 생쥐의 혈청 내에 IgG의 농도가 신속하게 증가되어서 1 주일 이내에 최대 농도를 보였으나, 셀룰로오스분말을 투여한 경우에는 생쥐의 혈청 내의 IgG의 농도가 3주일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멍게 또는 미더덕의 셀룰로오스는 피부에 대한 면역반응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5: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피부의 성분 검사
실시예 5-1: 아미노산 분석
순수 분리된 멍게와 미더덕 셀룰로오스의 순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분말 각각 1 g씩을 20 ㎖의 물에 첨가하고, 대조군은 50℃에서 30분간 방치하고, 실험군은 10 기압, 1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얻은 각각의 수용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얻었다. 상기 상청액을 사용하여 아미노산 분석 (High speed amino acid analyzer, L-8800, Hitachi, Japan)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서는 아미노산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참조: 도 4a), 실험군에서는 카르노신 (carnosine), 히드록시라이신 (hydroxylysine), 시스타티오닌 (cystathionine), 포스포세린 (phosphoserine) 등의 아미노산 성분이 소량 검출되었다 (참조: 도 4b).
따라서 멍게와 미더덕의 피부각질 셀룰로오스에 강산 또는 강염기을 장기간 처리한 후에도 소량의 아미노산이 셀룰로오스에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2: 원소 분석
멍게와 미더덕의 피부각질 셀룰로오스의 순도와 중금속 오염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4200, Hitachi, Japan)로 검사한 결과 도 5a-5b와 같이 멍게와 미더덕의 셀룰로오스 피부의 내면과 외면에서 모두 유사하게 중금속 성분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거의 100% 당류 (β-cellulose)로 이루어진 물질임을 확인하였고 아미노산을 이루는 원소인 N 및 S 등의 원소도 측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멍게와 미더덕의 피부각질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의 함유율이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측정가능 범위를 벗어난 무게비율로 0.01% 이하일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도 5c).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상처 치유 촉진을 위한 피부 상처 보호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형성 촉진을 위한 골형성 유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은 상처 치료 및 골형성을 촉진하는 데 매우 유효할 뿐만 아니라, 생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에 폐기물로 처리되었던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각질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 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천연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유래되고, 다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셀룰로오스 막의 내면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 치유 촉진을 위한 피부 상처 보호막:
    (a)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에 강산 또는 강염기를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막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 막에 산 또는 염기를 처리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c) 상기 중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막을 유기용매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잔존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셀룰로오스 막의 외면을 연마하고 신장시킨 후 건조하여 얇은 셀룰로오스 막을 제조하는 단계.
  2.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로부터 유래되고, 다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셀룰로오스 막의 내면을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을 위한 골형성 유도막:
    (a) 멍게 또는 미더덕의 피부 각질에 강산 또는 강염기를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막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 막에 산 또는 염기를 처리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c) 상기 중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막을 유기용매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잔존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셀룰로오스 막의 외면을 연마하고 신장시킨 후 건조하여 얇은 셀룰로오스 막을 제조하는 단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처 보호막은 상처가 발생한 부위에 직접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보호막.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형성 유도막은 골형성 촉진이 필요한 부위에 이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성 유도막.
  5. 삭제
  6. 삭제
KR1020040030880A 2004-05-03 2004-05-03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 KR10060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880A KR100605382B1 (ko) 2004-05-03 2004-05-03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880A KR100605382B1 (ko) 2004-05-03 2004-05-03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660A KR20050105660A (ko) 2005-11-08
KR100605382B1 true KR100605382B1 (ko) 2006-07-31

Family

ID=3728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880A KR100605382B1 (ko) 2004-05-03 2004-05-03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14A (ko) * 2014-12-26 2016-07-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더덕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69B1 (ko) * 2006-08-25 2008-06-1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및 식품 첨가제
KR101519654B1 (ko) * 2008-10-02 2015-05-18 (주)아모레퍼시픽 슬리밍용 조성물
KR101133644B1 (ko) * 2009-07-06 2012-04-1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 멍게류 피부 각질로부터의 생활성 셀룰로오스 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지는 생활성 셀룰로오스 막
KR101637018B1 (ko) 2014-04-10 2016-07-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상치료용 미더덕껍질 유래 셀룰로오스 필름의 제조방법
KR101877703B1 (ko) * 2018-01-24 2018-07-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멍게 껍질 단백질 및 폴리락트산이 적층된 친환경 식품 포장재 제조 방법
CN116036362B (zh) * 2023-02-23 2024-05-24 山东大学 海鞘纳米纤维素/硫酸钙骨支撑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03A (ko) * 1999-10-12 2000-01-15 김한도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셀룰로오스의 제조방법
KR100332354B1 (ko) 1999-10-08 2002-04-12 장인순 해산물 껍질로부터 분리정제한 식이섬유와 분리정제방법 및 이를 첨가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
KR20020062301A (ko) * 1999-11-09 2002-07-25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난용성화된 가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용도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354B1 (ko) 1999-10-08 2002-04-12 장인순 해산물 껍질로부터 분리정제한 식이섬유와 분리정제방법 및 이를 첨가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
KR20000000303A (ko) * 1999-10-12 2000-01-15 김한도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셀룰로오스의 제조방법
KR20020062301A (ko) * 1999-11-09 2002-07-25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난용성화된 가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용도 및 그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00303 *
102002006230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14A (ko) * 2014-12-26 2016-07-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더덕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4504B1 (ko) * 2014-12-26 2017-02-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더덕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660A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1946A1 (en) High molecular weight silk fibroin and uses thereof
KR101668043B1 (ko) 비등방성 임플란트 및 그의 제조 방법
EP3185888B1 (en) Extracellular matrix compositions
JPH0824710B2 (ja) 移植用骨コラーゲンマトリックス
EP2700655B1 (en) Surface-active collagen membrane by peptide
ES2676545T3 (es) Método para producir una membrana de colágeno y usos de la misma
US11596718B2 (en) Layer by layer coated mesh for local release of bio-active proteins
US20210213070A1 (en) Placental Tissue Compositions
CN106367460A (zh) 一种酸性条件下胶原蛋白海绵的制备方法
KR100605382B1 (ko) 멍게 또는 미더덕-유래 셀룰로오스 막을 포함하는 피부상처 보호막 및 골형성 유도막
CN111084900A (zh) 一种脱细胞鱼皮基质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60123901A (ko) 생체적합성 각막 생성방법 및 생체적합성 조직 탈세포 처리 조성물
CA1333050C (en) Biologic absorbable implant material for filling and closing soft-tissue cavities and method of its preparation
CN107198794B (zh) 具有活性离子释放功能的天然高分子生物活性创伤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438782A (zh) 一种快速抗菌/抗氧化活性的聚乳酸/单宁酸/铁/半胱氨酸骨诱导复合纤维膜的制备方法
WO2019228676A1 (en) Methods of production of fibrous fibrinogen scaffolds and products thereof
KR102182882B1 (ko) 돼지 진피-유래 치과용 차폐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717202A (zh) 一种金属@茶多酚纳米颗粒自组装生物组织及其制备方法
WO2012149366A1 (en) Plasma activation of biological materials for surface modification
CN111359020B (zh) 软组织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432967B2 (ja) 溶解性コラーゲン線維多孔体
CN117561073A (zh) 新型生物活性肽组合和其用途
KR102182883B1 (ko) 콜라겐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90117840A1 (en) Tissue scaffolds
US20230158212A1 (en) Composite scaffol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