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599B1 -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조립블록 - Google Patents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조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599B1
KR100604599B1 KR1020040065194A KR20040065194A KR100604599B1 KR 100604599 B1 KR100604599 B1 KR 100604599B1 KR 1020040065194 A KR1020040065194 A KR 1020040065194A KR 20040065194 A KR20040065194 A KR 20040065194A KR 100604599 B1 KR100604599 B1 KR 10060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assembly block
concrete assembly
lower mold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673A (ko
Inventor
나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성기업
Priority to KR102004006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5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8Reinforced units with steel frames
    • E01C5/10Prestressed reinforced units ; Prestressed coverings from reinforced or non-reinforc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 또는 차도등에 사용되는 포장용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상부 표면에 아름다움을 연출하기 위해 천연의 판석 문양을 요철로 형성하고, 상기 요철의 요부와 철부의 색상을 상이하게 하여 시각적효과를 뛰어나게 할 수 있는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조립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하부몰드에 제1공급통을 이용하여 적정량의 1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표면을 형성하는 2차 콘크리트를 제2공급통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몰드에 적정량을 투입한 후 일정한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상부몰드를 상기 하부몰드에 맞물려 압착 성형하여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통이 상기 하부몰드에 2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하부몰드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공급통의 일측에 장착된 도포부재로 상기 상부몰드에 형성된 요철의 철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철부 세척 후에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몰드의 요철의 철부에 상기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착색제를 도포하는 착색제 도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조립블록, 연마, 요철(凹凸), 블록성형기

Description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조립블록{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CONCRETE ASSEMBLY BLOCK HAVING THE DIFFER COLOR IRREGULARITY AND CONCRETE ASSEMBLY BLOCK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의 상부몰드의 저면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의 제2공급통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사용상태도,
도6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조하는 블록성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7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조하는 블록성형기의 주요부 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상부몰드 110: 철(凸)부
130: 해칭면(hatching face) 200: 하부몰드
210: 요(凹)부 220: 표면
300: 파레트 400: 제1공급통
410: 콘크리트 450: 유색 콘크리트
500: 제2공급통 510: 브러쉬부
520: 미세 콘크리트 530: 원석
540: 착색제공급호스
본 발명은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조립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 또는 차도등에 사용되는 포장용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상부 표면에 아름다움을 연출하기 위해 천연의 판석 문양을 요철로 형성하고, 상기 요철의 요부와 철부의 색상을 상이하게 하여 시각적효과를 뛰어나게 할 수 있는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조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 또는 차도등의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조립블록은 단순히 지면을 포장하는 기능 외에도, 시공 후 외부로 표출되는 경관의 아름다움을 요구받게 된다. 이러한 미적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블록의 상부면에 기하학적인 문양을 단순히 압인하는 방법과 블록의 성형과정에서 착색제를 투입하여 여러 가지 색상의 블록을 제작하고, 다양한 무늬나 문양을 디자인하여 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경관을 연출하기 위한 기술이 있다.
도6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조하는 블록성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7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조하는 블록성형기의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6은 블록성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써, 일측에 블록의 기초가 되는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제1공급통(400)과, 타측에 블록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고운 입자만으로 구성된 골재를 공급하는 제2공급통(500)과, 상기 제1공급통(400)과 제2공급통(500)에 의해 공급된 콘크리트를 이동 가능한 파레트(300)의 상부에서 하부몰드(200)와 상부몰드(100)를 사용하여 압착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2공급통(500)을 통해 공급되는 골재에는 최종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블록의 상부 표면이 더욱 미려하도록 색상이 함유된 유색 콘크리트(450)를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색상은 단위 블록으로는 단일색이 될 수 밖에 없고, 표면이 고운 입자의 골재만으로 구성되어 골재와 골재의 결합력이 떨어짐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며, 보행자나 주행차량의 마찰에 의해 골재 알갱이가 쉽게 박리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고운 입자만으로 구성된 골재 대신에 입자가 상대적으로 굵으면서 하얀 색깔을 띄는 백반석과, 검은 색깔을 띄는 흑반석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착색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블록을 성형한 후, 연마용 숫돌을 이용하여 상부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화강석에 가까운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블록에 비하여 표면은 더욱 미려하면서도 내구성의 향상과 박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작된 블록의 상부 표면을 연마하는 경우에 미적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문양을 표출시키지만 연마된 상부 표면이 매우 미끄럽게 되고, 투입된 원석의 판석의 색상이외는 단색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우천시나 결빙 시 보행자의 원활하고 안전한 보행을 위해 일정 깊이의 요홈을 반드시 구성해야 되며 상기 요홈은 간격은 짧고 길이는 길어야 되기 때문에 블록의 상부 표면은 연마되지만, 요홈은 연마되지 않는 상태로 남게 되어 시공 후 외적 미관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투입된 원석의 판석의 색상이외에는 표출시킬 수 없는 색상의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미관을 더욱 화려하게 하기 위해 상부 표면과 요(凹)부의 색상을 상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하부몰드에 제1공급통을 이용하여 적정량의 1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표면을 형성하는 2차 콘크리트를 제2공급통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몰드에 적정량을 투입한 후 일정한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상부몰드를 상기 하부몰드에 맞물려 압착 성형하여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통이 상기 하부몰드에 2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하부몰드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공급통의 일측에 장착된 도포부재로 상기 상부몰드에 형성된 요철의 철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철부 세척 후에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몰드의 요철의 철부에 상기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착색제를 도포하는 착색제 도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도포부재로 세척과 동시에 상기 요철의 철부에 착색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하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에 1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위한 제1공급통과, 상기 하부몰드에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표면을 형성하는 2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위한 제2공급통과, 상기 하부몰드와 맞물리고 일정한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상부몰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립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통의 상측면 일측에 상기 상부몰드에 형성된 요철의 철부에 착색제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재와, 상기 도포부재에 외부의 착색제를 공급하는 착색제공급호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도포부재는 복수개의 브러쉬나 스폰지로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재가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에 인접된 쪽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몰드 요철의 철부 표면은 일정 간격으로 해칭(Hatching)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 주요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의 상부몰드의 저면부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의 제2공급통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은 상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상부 표면(220)에는 다양한 원석의 판석문양(230)과, 요홈(15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판석문양 (230) 이외의 표면(220)과 상기 요홈(150)의 색상은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조립블럭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성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블록성형기의 상세한 구성설명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주요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블록성형기는 종래와 동일하게 일측에 블록의 기초가 되는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제1공급통(400)과, 타측에 블록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를 공급하는 제2공급통(500)과, 상기 제1공급통(400)과 제2공급통(500)에 의해 공급된 콘크리트를 이동 가능한 파레트(300)의 상부에서 하부몰드(200)와 상부몰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상부몰드(100)는 저면에 조립블록의 표면(220)에 요홈(150)을 음각하기 위한 철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부(110)의 표면은 착색제가 더욱 잘 부착되도록 해칭(Hatching)되어 있는 해칭면(130)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공급통(500)은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으로 상기 상부몰드(100) 및 하부몰드(200)에 인접되는 면상에 일정 넓이로 도포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상부몰드(100)의 철부(110)에 착색제를 도포하며, 외부의 착색제가 공급되도록 착색제공급호스(540)가 상기 도포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공급통(500)의 측면에 삽입되거나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도포부재는 브러쉬 또는 스폰지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브러쉬로 형성된 브러쉬부(510)가 장착된 것을 실시예로써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록성형기로 본 발명에 의한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을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블록성형기의 각부는 적절한 성능이 발휘되도록 조작된다.
그 후 상기 블록성형기의 일측에는 콘크리트 조립블럭을 이동하고 양생하기 위한 파레트(300)가 일측에 탑재되고, 상기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기초가 되는 콘크리트(410)를 상기 제1공급통(400)에 공급하고, 상기 제2공급통(500)에는 백반석 또는 흑반석등의 자연골재인 원석(530)과 미세 콘크리트(520)가 공급된다(S10). 이 때 상기 제2공급통(500)에는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파레트(300)를 하부몰드(200)의 저면에 밀착되게 이동시키고(S20), 상기 제1공급통(400)을 상기 하부몰드(200)로 전진시켜 적당량의 콘크리트(410)가 상기 하부몰드(200)에 투입되도록 하고 원위치로 리턴시키게 된다(S30).
상기 제1공급통(400)이 원위치로 리턴되게 되면, 상기 제2공급통(500)이 하부몰드(200)의 상부면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공급통(500)의 상부면에 설치된 브러쉬부(510)가 상부몰드(100)의 철부(110)에 충분히 접촉되도록 상기 상부몰드(100)가 도면부호 120 상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급통(500)이 상부몰드(100)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철부(110)를 세척하게 되며, 이 때 세척동 작은 상기 철부(110)가 해칭면(130)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2공급통(500)이 상기와 같이 상부몰드(100) 쪽으로 이동되면서 적정량의 미세 콘크리트(520)와 원석(530)을 하부몰드(200)의 내측에 투입하게 된다(S40).
투입 후 원위치로 제2공급통(500)이 리턴되면서 상기 착색제공급호스(540)와 연결된 브러쉬부(510)를 통해 상기 철부(110)에 착색제를 도포한다(S50).
그 후 철부(110)에 착색제가 도포된 상부몰드(100)는 하강되면서 하부몰드(200)에 맞물려 요부(210)를 착색함과 동시에 압착되어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성형하게 된다(S60). 이 때 압착 성형 과정에서 하부몰드(200) 및 상부몰드(1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진동된다.
상기 콘크리트 조립블록이 압착 성형되면, 파레트(300)가 이동되어 상기 착색제 및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적당한 조건에서 양생하여(S70), 상기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완성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표면(220)을 연마하여 원석(530)의 판석문양(230)이 표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계 S40에서 철부(110)를 세척함과 동시에 착색제를 철부(110)에 1차적으로 도포하고, 리턴하면서 2차적으로 도포하여 더욱 선명하게 요부(210)가 착색되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상부 표면과 요(凹)부의 색상을 상이하게 제조하여 미관을 더욱 화려하게 할 수 있고, 천연의 판석 문양을 더욱 선명하게 형성하여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하부몰드에 제1공급통을 이용하여 적정량의 1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표면을 형성하는 2차 콘크리트를 제2공급통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몰드에 적정량을 투입한 후 일정한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상부몰드를 상기 하부몰드에 맞물려 압착 성형하여 콘크리트 조립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통이 상기 하부몰드에 2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하부몰드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공급통의 일측에 장착된 도포부재로 상기 상부몰드에 형성된 요철의 철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철부 세척 후에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몰드의 요철의 철부에 상기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착색제를 도포하는 착색제 도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도포부재로 세척과 동시에 상기 요철의 철부에 착색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조립블록.
  4.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하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에 1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위한 제1공급통과, 상기 하부몰드에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표면을 형성하는 2차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위한 제2공급통과, 상기 하부몰드와 맞물리고 일정한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상부몰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립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통의 상측면 일측에 상기 상부몰드에 형성된 요철의 철부에 착색제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재와, 상기 도포부재에 외부의 착색제를 공급하는 착색제공급호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는 복수개의 브러쉬나 스폰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는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에 인접된 쪽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몰드 요철의 철부 표면은 일정 간격으로 해칭(Hatching)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 제조장치.
KR1020040065194A 2004-08-18 2004-08-18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조립블록 KR10060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194A KR100604599B1 (ko) 2004-08-18 2004-08-18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조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194A KR100604599B1 (ko) 2004-08-18 2004-08-18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조립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673A KR20060016673A (ko) 2006-02-22
KR100604599B1 true KR100604599B1 (ko) 2006-07-25

Family

ID=3712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194A KR100604599B1 (ko) 2004-08-18 2004-08-18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조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29B1 (ko) 2008-12-30 2012-06-08 주식회사 해성기업 발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29B1 (ko) 2008-12-30 2012-06-08 주식회사 해성기업 발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673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160B1 (ko) 다컬러 무늬 블록 제조 방법
KR100716565B1 (ko) 보차도 경계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04599B1 (ko) 요부와 철부의 색상이 상이한 콘크리트 조립블록의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조립블록
KR100950058B1 (ko) 인조화강석 표면층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13162B1 (ko)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CN202866214U (zh) 马赛克瓷砖及其制作模具
KR100639794B1 (ko) 상감기법을 사용한 무늬를 갖는 보도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1166B1 (ko) 인조석재 제조 방법
KR200316294Y1 (ko) 인조석
KR200424950Y1 (ko) 가로수 보호블록
US8920067B2 (en) Concrete decorative inlay process
KR20120135841A (ko)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콘크리트 블록
KR100976416B1 (ko) 자연석의 이미지를 갖는 블럭의 제조 방법
KR100756297B1 (ko) 패턴이 형성된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19918A (ja) 表面が汚れ難く、美観耐久性の高い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US20050136148A1 (en) Concrete block configur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201924888A (zh) 多彩水泥磚及其製造方法
CN203475269U (zh) 一种压花地坪
CN108560352A (zh) 一种石材装饰路面及其制作方法
KR100828377B1 (ko) 채색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채색콘크리트 블록
CN215790587U (zh) 一种仿石砖和制砖模具
JP6712761B1 (ja) 模様路面又は模様床面を敷設する敷設方法
JP2805677B2 (ja) 象眼成形品による基盤装飾工法及び該工法によって得られるデザインパネル
JPH07118051A (ja) 擬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101648A (ko) 표면에 무늬를 갖는 인조석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