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839B1 -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839B1
KR100602839B1 KR1020040072008A KR20040072008A KR100602839B1 KR 100602839 B1 KR100602839 B1 KR 100602839B1 KR 1020040072008 A KR1020040072008 A KR 1020040072008A KR 20040072008 A KR20040072008 A KR 20040072008A KR 100602839 B1 KR100602839 B1 KR 10060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able resin
ground
construction
wall
foundation p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245A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주)나인아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주)나인아키텍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102004007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8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압 등 외력을 지탱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흙막이벽을 시공하기 위한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은 터파기 지반과 인접 지반 사이에서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되는 다수개의 기초 파일을 설치하고, 이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토사를 제거하고 팽창성 수지를 충진하여 양측의 기초 파일 사이를 팽창성 수지의 충진으로 형성되는 팽창성 수지 블록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팽창성 수지 블록이 팽창 및 경화된 후 터파기 지반을 굴착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BASEMENT LAND-SIDE PROTECTION WALL IN CIVIL ENGINEER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된 흙막이벽 및 이 흙막이벽을 시공한 후 터파기된 상태를 위한 도면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된 팽창성 수지 블록의 시간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토사를 치환하면서 팽창성 수지를 채워 넣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지중 토사중에 팽창성 수지를 채워 넣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a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분사로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에이치 빔 20 : 팽창성 수지 블록
40 : 로드 삽입홀 50 : 분사로드
52 : 주입관 54 : 분사관
56 : 분사구
본 발명은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터파기를 실시하기 전에 토압 등 외력을 지탱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흙막이벽을 시공하기 위한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토, 절토, 굴착 등을 실시하게 되면 통상 비탈면을 두어 지반의 안정을 유지시켜 주고 있지만, 토지의 이용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확보하거나 도시내의 구조물의 기초 및 건물의 지하실을 시공하기 위한 굴착시에는 비탈면을 두지 못하고 통상 연직굴착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연직굴착으로 인한 인접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연직면 주변에 흙막이벽을 반드시 설치하게 되는데, 이 흙막이벽을 설치하기 위한 흙막이 공법은 토질조건, 대지조건, 대지주변에 미치는 영향, 공사비, 공기 및 시공성 등이 고려되어야 하고 각 공법의 특성을 충분히 분별하여 선정되어야 한다.
현재 흙막이벽을 시공하기 위해 다양한 흙막이 공법들이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들 흙막이 공법들은 그 분류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흙막이 공법에는 에이치 파일(H-pile) 및 토류판 공법, 씨아이피 월(CIP wall) 공법 및 지하 연속벽(slurry wall) 공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에이치 파일 및 토류판 공법은 에이치 파일을 일정간격으로 박고 굴착과 동시에 토류판을 사이에 끼워 흙막이벽을 설치하는 공법으로 시공이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공기도 짧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씨아이피 월 공법은 직경 400mm 내외의 자립 말뚝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흙막이벽으로 이용하는 공법으로 에이치 파일 및 토류판 공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접 지반의 변위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지하 연속벽 공법은 지반굴착시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굴착하여 그 속에 철근망을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속으로 콘크리트 흙막이벽을 설치해가는 공법으로 진동 및 소음이 적고, 인접 지반에 대한 영향이 적어 인접 건물에 근접한 시공이 가능하며, 벽체의 강성이 높아 영구 벽체로도 사용가능하고, 차수성이 높으며, 지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흙막이 공법들은 장점과 함께 각각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H파일 및 토류판 공법은 굴착 후 뒤채움을 하기 전 공법상 짧은 시간적 공백이 존재하여 토류판 뒤채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그 시간적 공백으로 인해 인접지반의 토사가 굴착부 쪽으로 밀려와서 결과적으로 인접지반이 침하하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씨아이피 월 공법은 수직굴착방식으로 구근과 구근 사이의 틈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차수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지그재그로 연이어 구근을 시공하므로 공사비가 과다하게 낭비되고, 대형 장비가 투입되며, 공사현장의 지반이 약한 경우 장비의 진입이 곤란하여 공사 현장의 규모 및 현장 토질의 상태에 제약을 받아 대형 공사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연속벽은 전석층에서는 시공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고, 부재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흙막이 공법들 중 에이치파일(H-pile) 및 토류판 공법은 특히 흙막이 벽을 시공하는 시간적 차이(토류판 공법의 경우 지반을 즉시 지지하는 구조없이 1~2일정도가 경과하게 된다)에 따라 가시설을 설치하는 중에 토사가 이동되어 지반 침하현상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공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최근 흙막이 공법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 위해 지반 침하의 원인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 만 아니라 오히려 인접지반을 압밀 강화시키므로서 기존 흙막이 공법들의 주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토압 등 외력을 지탱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흙막이벽을 시공하기 위한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은 터파기 지반과 인접 지반 사이에서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되는 다수개의 기초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토사를 제거하고 팽창성 수지를 충진하여 양측의 기초 파일 사이를 상기 팽창성 수지의 충진으로 형성되는 팽창성 수지 블록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이 팽창 및 경화된 후 상기 터파기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토사를 치환하면서 상기 팽창성 수지를 채워넣어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지중 토사중에 상기 팽창성 수지를 채워 넣어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천공하여 로드 삽입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팽창성 수지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비의 분사로드를 상기 로드 삽입홀의 저부까지 넣어 상기 팽창성 수지를 양측의 기초 파일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사로드를 단계적으로 지면까지 상승시키면서 팽창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팽창성 수지가 양측의 기초 파일 사이를 연결하도록 충진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상기 로드 삽입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드 삽입홀의 깊이가 양측의 기초 파일의 타입 깊이와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상기 팽창성 수지를 충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팽창성 수지가 분사되는 분사구를 상기 팽창성 수지의 분사방향에 대해 직각되는 방향으로 각운동시켜서 상기 양측의 기초 파일 사이를 연결되도록 충진되는 상기 팽창성 수지의 폭을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팽창성 수지를 기초 파일 사이에 충진시키는 방법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 파일(10) 사이의 지반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절삭/절단하여 팽창성 수지를 충진하거나, 기계적인 절삭/절단과 동시에 치환하면서 팽창성 수지를 충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의 시공방법은 지하에 팽창성 수지를 에이치 빔 등의 기초 파일 사이의 지중토사에 팽창성 수지 블록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의 시공방법은 터파기 지반과 인접 지반 사이에서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되는 다수개의 기초 파일을 설치하고,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토사를 제거하고 팽창성 수지를 충진하여 양측의 기초 파일 사이를 팽창성 수지의 충진으로 형성되는 팽창성 수지 블록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팽창성 수지 블록이 팽창 및 경화된 후 터파기 지반을 굴착하므로써 흙막이벽을 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팽창성 수지 블록의 형성은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지면을 깎아내면서 팽창성 수지를 채워넣어 팽창성 수지 블록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과,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지중 토사중에 팽창성 수지를 토사와 치환하면서 공급하여 팽창성 수지 블록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즉 팽창성 수지를 기초 파일 사이에 충진시키는 방법은 기초 파일 사 이의 지반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절삭/절단하여 팽창성 수지를 충진하거나, 기계적인 절삭/절단과 동시에 치환하면서 팽창성 수지를 충진하거나, 사각 제트 공법(SQJ; SQuare Jet) 등에 적용되는 분사장비 등으로 고압 분사하여 지반중에 팽창성 수지를 충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초 파일 사이의 지반을 제거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굴착기외에 다양한 기계적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고, 분사장비와 같이 지반중에 팽창성 수지를 충진시킬 수 있는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팽창성 수지를 충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도 기초 파일 사이의 지반을 제거한 후 제거되는 부분에 팽창성 수지를 충진시키는 방법이 있고, 기초 파일 사의 지반과 팽창성 수지를 교반하면서 팽창성 수지를 충진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분사장비 등으로 지반중에서 지반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팽창성 수지를 충진시키는 방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은,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착하는 곳에 인접된 지반의 토사이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이에 더하여 수지의 팽창압으로 인한 지반 압밀효과로 인하여 기존상태보다 인접지반을 더 강화시키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시공 장비가 소형, 경량이고, 정지되지 않은 부지나 연약 지반에서의 시공이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도심지의 장애물이 있는 곳이나 구조물의 하부, 타 건물과 근접된 곳에 있어서도 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공 형상과 크기를 자유 자재로 조절할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전체적인 토목 및 건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하 굴착 및 지수 성능이 탁월하므로 최근 도심지 및 해양 매 립지에서의 LNG 저장소, 지하 저장시설, 도심지의 대규모 재개발 등과 같은 깊은 심도의 지하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지반의 굴삭, 절삭, 절단 및 분사장비와 팽창성 수지를 적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흙막이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76951 " 지반개량 조성방법 및 지반개량 조성장치" 등에서는 대상지반에 주입관을 삽입하고 경화재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지반에 경화재를 혼입하므로써 지중 조성체를 조성하는 지반개량 조성방법 및 조성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히 여기서 제안되고 있는 조성장치(본 발명에서는 분사장비로 지칭한다)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다소 개선이 필요하지만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57359호 " 건물용 기초 토양의 지지력 증대 방법" 등에서는 지지력을 증가시키시 위해 기초 토양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제한하고 있다. 특히 여기서 제안되고 있는 방법은 토양내에 형성된 구멍들에 주입용 튜브를 삽입시켜서 팽창성 수지를 주입하여 토양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팽창성 수지는 본 발명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팽창성 수지는 위 공개특허 특2000-0057359에서 제안된 바와 같은 팽창성 폴리우레탄폼의 혼합물에 의해 구성되는 독립 기포 폴리우레탄폼등을 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필요한 성분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팽창율과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지반의 굴착을 위한 기계 적 굴착장비 및 분사장비와 팽창성 수지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들을 단순히 지반의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목적으로 적용되는 반면, 본 발명은 건축물의 토목공사시 흙막이벽을 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성 수지를 경계지면에 타입되는 기초 파일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 종래 흙막이벽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팽창성 수지 블록의 흙막이벽을 형성하도록 하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흙막이 공법 및 본 발명에 응용되는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된 흙막이벽 및 이 흙막이벽을 시공한 후 터파기된 상태를 위한 도면들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된 팽창성 수지 블록의 시간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토사를 치환하면서 팽창성 수지를 채워 넣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 지중 토사중에 팽창성 수지를 채워 넣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6a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분사로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토압 등 외력을 지탱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흙막이벽을 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은 먼저 설계에 따라 지정된 건축 지반(터파기 지반)과 인접 지반의 경계면상에 토목설계에 의한 다수개의 기초 파일을 타입하게 된다(S500).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 파일로 에이치 빔(10)을 적용한다. 에이치 빔(10)은 건축 지반, 인접 지반, 지형물 등에 따라 그 개수와 간격이 설정되는데, 일반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타입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건축 경계면 상에 기초 파일인 에이치 빔(10)의 타입이 완료된 후,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이치 빔(10) 사이를 연결하는 팽창 수지 블록(20)을 에이치 빔(10) 사이의 토사중에 형성시키기 위한 일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먼저 팽창 수지를 충진시키는 분사장치의 분사로드(50)를 삽입하기 위한 로드 삽입홀(40)을 천공하게 된다(S510). 이 로드 삽입홀(40)은 분사로드(5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깊이가 양측의 에이치 빔(10)의 타입 깊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깊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에이치 빔(10) 사이를 전체적으로 연결하는 팽창 수지 블록(20)이 자체적으로 휨강성이 있으므로 철근보강이 필요없으며 또한 지수벽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지하수의 유출 차단기능을 갖는다. 물론 지반의 종류에 따라 로드 삽입홀(40)의 깊이는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창성 수지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비의 분사로드(50)를 로드 삽입홀(40)의 저부까지 넣어 팽창성 수지를 양측의 에이치 빔(10) 방향으로 분사시키므로써(S520) 수평으로 분사하여 판상형의 벽체를 지중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로드(50)를 단계적으로 지면까지 상승시키면서 팽창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분사하여 양측의 에이치 빔(10)에 연결되어 충진되므로써,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은, 팽창성 수지 블록(20)을 형성하도록 한다(S530). 각 그림의 오른쪽은 측면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사장비의 분사로드(50)는,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관(52) 및 분사구(56)가 형성된 분사관(54)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으로 고압분사장비를 수평으로 분사하도록 분출방향만 90도 꺾으면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시공방법은 타입된 에이치 빔(10) 사이를 연결하는 팽창성 수지 블록(20)의 흙막이벽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양 에이치 빔(10) 방향으로 분사구(56)를 위치시켜서 팽창성 수지가 안정적으로 분사되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충진된 팽창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는 팽창성 수지 블록(20)은 그 성분에 따라 경화시간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분에서 수시간정도면 경화되게 되므로, 도 5e와 같은 상태로 짧은 시간에 터파기 지반의 굴착공정을 진행하게 된다(S540). 이때 도 3a와 같이 초기에 양 에이치 빔(10) 사이의 토사에 채워진 팽 창성 수지 블록(20)은 도 3b 및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팽창하여 주위 지반 방향으로 압축력을 작용하여 약 1m에 이르는 압밀구간을 형성하게 되어 팽창력에 의한 지반 압밀효과로 인하여 인접지반을 오히려 더 강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종래 가시설 흙막이 공법과 가장 차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인접지반이 침하하거나 융기되어 발생되는 피해없이 흙막이 벽이 직접적으로 인접지반을 압밀하여 인접지반을 오히려 강화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은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에이칭 빔(10) 사이의 지반중에서 분사장치의 분사력에 의해 토사가 제거되면서 동시에 팽창성 수지를 충진시키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반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제거(절토)하면서 팽창성 수지를 유입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톱날형태로 구성되는 절토장치를 사용하여 양 에이치 빔(10) 사이의 토사를 절토하면서 절토장치에 의해서 절토된 부분에 팽창성 수지를 토출하여 팽창성 수지 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의하면, 건축 및 토목 분야에 적용되는 지반의 제거장치 또는 분사장비와 팽창성 수지를 적용하여 흙막이벽을 시공하므로 인접지반이 오히려 강화되어 종래 공사장 인접건물의 균열 등의 원인이 되었던 가시설 공사로 인한 인접지반 토사의 이동에 의한 지반 약화의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흙막이벽은 팽창성 수지의 충진이 바로 이루어지고, 팽창성 수지의 팽창압으로 인하여 인접지반을 오히려 강화시키며, 팽창성 수지 블록으로 형성되는 흙막이벽에 의해 인접지반의 지지와 방수가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토목공사의 시공 속도가 빠를 뿐만아니라 시공시 소음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흙막이벽의 시공방법에 비해 시공 장비가 소형, 경량화되고, 정지되지 않은 부지나 연약 지반에서의 시공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리고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시키면서 지수성능이 우수하고, 짧은 공기에도 비교적 간단하게 흙막이벽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토압 등 외력을 지탱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흙막이벽을 시공하기 위한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터파기 지반과 인접 지반 사이에서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되는 다수개의 기초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토사를 제거하고 팽창성 수지를 충진하여 양측의 기초 파일 사이를 상기 팽창성 수지의 충진으로 형성되는 팽창성 수지 블록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이 팽창 및 경화된 후 상기 터파기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토사를 치환하면서 상기 팽창성 수지를 채워넣어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지중 토사중에 상기 팽창성 수지를 채워 넣어 상기 팽창성 수지 블 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수지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되고 연이어 타입된 기초 파일 사이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천공하여 로드 삽입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팽창성 수지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비의 분사로드를 상기 로드 삽입홀의 저부까지 넣어 상기 팽창성 수지를 양측의 기초 파일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사로드를 단계적으로 지면까지 상승시키면서 팽창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팽창성 수지가 양측의 기초 파일 사이를 연결하도록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20040072008A 2004-09-09 2004-09-09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060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008A KR100602839B1 (ko) 2004-09-09 2004-09-09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008A KR100602839B1 (ko) 2004-09-09 2004-09-09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245A KR20060023245A (ko) 2006-03-14
KR100602839B1 true KR100602839B1 (ko) 2006-07-19

Family

ID=3712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008A KR100602839B1 (ko) 2004-09-09 2004-09-09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0509A (zh) * 2013-07-02 2014-01-15 镇江市城乡建设基础工程有限公司 钻孔灌注桩在风化岩层成孔的泥浆护壁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7420B (zh) * 2012-02-13 2014-03-26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以钻孔灌注桩作分隔围护的分期施工地下室换撑方法
CN102979102B (zh) * 2012-12-11 2015-04-22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软土地区深大圆形基坑明挖顺作控制变形的设计方法
CN103243721B (zh) * 2013-05-22 2016-02-1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软弱地质条件下高层建筑筏板基础及核心筒开挖施工方法
CN106968264A (zh) * 2017-04-25 2017-07-21 王继忠 一种深基础封水体系的施工方法
CN111608188B (zh) * 2020-05-25 2021-09-21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802B2 (ko) * 1974-08-19 1982-03-12
KR20000057359A (ko) * 1996-12-02 2000-09-15 퓨어 라이프 파운데이션 건물용 기초 토양의 지지력 증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802B2 (ko) * 1974-08-19 1982-03-12
KR20000057359A (ko) * 1996-12-02 2000-09-15 퓨어 라이프 파운데이션 건물용 기초 토양의 지지력 증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0509A (zh) * 2013-07-02 2014-01-15 镇江市城乡建设基础工程有限公司 钻孔灌注桩在风化岩层成孔的泥浆护壁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245A (ko)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162B1 (ko)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CN103958780B (zh) 形成胶结挡土墙的方法
KR100957599B1 (ko) 가설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US7413385B2 (en) Foam pile system
KR20110043017A (ko)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과 그라우팅 기둥을 이용한 주열식 토류벽 차수 시공방법
CN102660955A (zh) 一种基坑边坡支护的快速施工方法
KR100832490B1 (ko) 오버랩원통관과 충진용호스를 이용한 주열식차수벽의 설치공법
US1066968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well point in granular soils under groundwater level
KR101021915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0602839B1 (ko)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1095393B1 (ko) 시멘트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 개량 강화 공법
KR100719875B1 (ko) 고압분사 그라우팅에 의한 차수벽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KR100476839B1 (ko)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477357B1 (ko) 차수벽 흙막이 공법
KR101021913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1052363B1 (ko) 심층굴착용 자립식 흙막이공법
KR20080048107A (ko) 발파 및 그라우팅에 의한 공동 충전공법
KR20220003846A (ko) 에어패커를 이용한 변위 제어 굴착 방법
WO2009139510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ut-off wall using overlap casing
KR100327547B1 (ko)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JP3728659B2 (ja) 地下階増築方法
KR102103831B1 (ko) 가이드비트가 구비된 오거장치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610909B1 (ko) 침하방지를 위해 강관내부 앵커설치를 이용한 강관추진 공법 및 그 구조물
KR100515971B1 (ko) 버팀보 수직간격을 증대시키는 대단면 엄지말뚝을 이용한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