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603B1 - 양변기 - Google Patents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603B1
KR100602603B1 KR1020040046581A KR20040046581A KR100602603B1 KR 100602603 B1 KR100602603 B1 KR 100602603B1 KR 1020040046581 A KR1020040046581 A KR 1020040046581A KR 20040046581 A KR20040046581 A KR 20040046581A KR 100602603 B1 KR100602603 B1 KR 10060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dor
collection chamber
water supply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448A (ko
Inventor
심재호
Original Assignee
심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호 filed Critical 심재호
Priority to KR1020040046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603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인분이 집수실에 모여지는 동안 악취를 배출되도록 한 양변기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11)의 물을 집수실(12)로 이송하는 주,부급수통로(13,14)가 형성되고, 집수실(12)로부터 집수조로 보내는 배출구(18)가 포함된 본체(10)와; 상기 물탱크(11)에는 주급수통로(13)에 연결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후레쉬밸브(20)와; 물탱크(11)내의 수위를 조절함과 동시에 집수실(12)로 물을 공급하는 휠밸브(30)와; 상기 휠밸브(30)와 부급수통로(14) 사이에 설치되어 집수실(12)에 물공급을 유도함과 아울러 집수실(12)의 악취를 이송가능하도록 한 수공분로기(40)와; 상기 수공분로기(40)에 연결되어 집수실(12)의 악취를 강제로 흡입,배출시키는 악취배출기(50)로 구성된다.
양변기,물탱크,집수실,악취,급수통로,수공분로기

Description

양변기{water clos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3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수공분로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휠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물탱크 12: 집수실
13: 주급수통로 14: 부급수통로 16: 감지센서
17: 공기배출통로 18: 배출구 20: 후레쉬밸브
30: 휠밸브 31: 공급관 32: 부구
33: 상향물공급부 34: 하향물공급부 40: 수공분로기
41: 몸체 42: 제1연통부 44: 제2연통부
45: 기밀부재 46: 제3연결부 50: 악취배출기
51: 공기흡입관 52: 송풍팬 53: 콘트롤러
54: 공기배출관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양변기 사용시에 집수실의 상,하로 동시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이펀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집수실의 악취를 배출시키기 위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수세식 양변기는 'Low tank system' 에 절수형 'siphon'식으로 그 종류는 'one piece type'과 two piece type'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가 개발되었는데, 'two piece type'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로서, 본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311829호에 대하여 간락히 설명하면, 양변기의 전방에 집수실과 후방에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본체에는 본체 상부후방에 구별되게 고정설치된 물탱크로 형성되어 물탱크로부터 집수실로 후레쉬밸브 1개소에 의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양변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집수실과 물탱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집수실의 물 공급받는 방식을 후레쉬밸브와 휠밸브 즉 2개소에서 물을 공급받는 'one piece type' 의 양변기 악취배출장치는 아직 미개발된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one piece type' 양변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악취와 습한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양변기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탱크의 물을 집수실로 이송하는 주,부급수통로가 형성되고, 집수실로부터 이송된 악취를 배출구로 보내는 공기배출통로가 포함된 본체와; 상기 물탱크에는 주급수통로에 연결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후레쉬밸브와(flush valve); 물탱크내의 수위를 조절함과 동시에 집수실로 물을 공급하는 휠밸브(fill valve)와; 상기 휠밸브와 부급수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집수실에 물공급을 유도함과 아울러 집수실의 악취를 이송가능하도록 한 수공분로기와; 일측은 수공분로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공기배출통로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실의 악취를 강제로 흡입,배출시키는 악취배출기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3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수공분로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휠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물탱크(11)와 집수실(12)이 연통되며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와, 물탱크(11)내에 설치되어 집수실(12)로 물을 공급되도록 하는 후레쉬밸브(20)와, 물탱크(11)내의 수위조절함과 동시에 집수실(12)로 물을 공급하는 휠밸브(30)와, 상기 휠밸브(30)에서 공급되는 물과 집수실(12)의 악취를 각각 동작되도록 하는 수공분로기(40)와, 상기 수공분로기(40)를 따라 흡입된 악취를 집수조에 연결된 배출구(18)로 배출하는 악취배출기(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물탱크(11)와 집수실(12)이 서로 구획되게 일체로 형성되 며, 상기 물탱크(11)에서 집수실(12)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하측에 주,부급수통로(13,14)가 형성된다.
상기 집수실(12)의 하측으로부터 연통되는 상향통로(19a)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통로(19a)의 상측에서 절곡된 하향통로(19b)가 형성되고 이 하향통로(19b)에 연장되는 배출구(18)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주급수통로(13)는 물탱크(11)에서 집수실(12)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자 형태로 인분이 모여지는 집수실(12) 중앙하면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부급수통로(14)는 집수실의 상측 테두리에 양측으로 분리되며, 이 하부에 복수의 배출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양변기에 안착여부을 확인하여 그 신호를 콘트롤러(53)에 전달하는 감지센서(16)가 설치된다.
상기 후레쉬밸브(20)는 물탱크(11)내에 연통되는 주급수통로(13)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오버플러워관(21)이 연결된다.
상기 오버플러워관(21)은 주급수통로(13)와 연통되며 상기 휠밸브(30)의 고장에 의해 물탱크(11)내의 수위가 상승될 경우, 물이 흘러들어가 물탱크(11)내의 안전수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된 핸들(22)의 동작에 의해 핸들레버(24)가 회동되면서 연결된 후레쉬밸브(20)가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 휠밸브(30)는 통상적인 장치로서, 급수공급관(31), 부구(32)와, 이 부 구(32)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11)의 물은 하향물공급부(34)에서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수공분로기(40)와 부급수통로(14)는 상향물공급부(33)에 의하여 물이 공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수공분로기(40)는 몸체(41)와, 이 몸체(41)의 좌우,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제1,2,3연통부(42,44,46)가 형성되고, 내부에 회동가능한 수공분로판(47)이 설치된다.
상기 제1연통부(42)와 휠밸브(30)의 상향물공급부(33)는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고무호스(43)에 의해 연결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2연통부(44)는 내부 입구측에 기밀부재(45)가 고정되고, 돌출된 단부에 공기흡입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3연통부(46)에는 부급수통로(14)에 수밀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공분로판(47)은 제1,2연통부(42,44) 사이에 힌지(48)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48)를 중심으로 일단은 소정길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수공분로판(47)은 평상시 자중에 의해 내려가 있는 상태가 되어 제2,3연통부(44,46)는 항시 연통된 상태이다.
상기 악취배출기(50)는 공기흡입관(51)의 타측에 연결되는 송풍팬(52)이 장착되고, 이 송풍팬(52)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53)가 설치되며, 상기 콘트롤러의 동작에 의해 개폐되는 공기밸브부(55)가 구비되고, 이 공기밸브부(55)의 하부에 공기배출관(54)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악취배출기(50)는 집수실(12)의 악취를 부급수통로(14) 및 수공분로기(40)와 공기흡입관(51)을 따라 강제로 흡입하여 공기배출관(54)에 연결되는 공기배출통로(17)를 통해 하향통로(19b)를 거쳐 배출구(18)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양변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양변기에 사용자가 앉으면 상기 감지센서(16)가 감지하여 신호를 콘트롤러(53)에 전달하여 악취배출기(50)가 작동되는데, 이때 상기 송풍팬(52)는 가동되고 공기밸브부(550가 오픈(open)되고, 상기 수공분로기(40)의 수공분로판(47)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져 상기 제2연통부(44)와 제3연통부(46)가 연통되고, 상기 집수실(12)의 악취는 먼저, 부급수통로(14)와 수공분로기(40)를 통과하여 공기흡입관(51)을 따라 강제로 흡입되어 공기배출관(54)과 공기배출통로(17)를 거쳐 배출구(18)로 배출된다.
이어 사용자의 용변이 끝나면 사용자는 일어나서 핸들(22)을 눌러 물을 내리게 되는데, 이때 감지센서(16)는 감지거리 초과로 오프(off)되므로 인해 악취배출기(50)는 자동정지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22)을 누르면 상기 악취배출기(50)는 정지되고, 핸들(22)에 연결된 후레쉬밸브(20)가 열려져 물탱크(11)내의 물이 주급수통로(13)를 따라 집수실(12)에 공급된다. 이때 악취배출기(50)의 송풍팬(52)은 정지되고 공기밸브부(55)는 닫혀져 사이펀(siphon)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휠밸브(30)의 상향물공급부(33)에서 공급된 물은 수공분로기(40)의 제1연통부(42)로 물이 공급되는데, 이때 상향공급부(33)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과 유속에 의해 수공분로판(47)이 회동되어 상기 제2연통부(44)의 기밀부재(45)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연통부가 'CLOSE' 된다. 이로인해 상기 제1,3연통부(42,46)가 연통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수공분로기(40)를 통해 이동된 제1연통부의 물은 부급수통로(14)를 통하여 배출공(15)으로 유출되어 집수실(12)에 공급되어진다.
이와같이 물탱크(11)내의 후레쉬밸브(20)와 휠밸브(30)에 의해 물이 집수실(12)로 동시에 공급되어져 집수실(12)에 모여진 인분이나 소변이 사이편작용에 의해 상,하향통로(19a,19b)를 경유하여 배출구(18)로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레쉬밸브(20)는 7∼10초 후에 자동으로 닫혀지며 상기 휠밸브(30)의 하향물공급부(3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물탱크(11)내의 소모된 일정량의 물을 채우는데, 상기 휠밸브(30)의 부구(32)에 의하여 상향물공급부(33)가 먼저정지되고, 이때 상기 수공분로기(40)의 수공분로판(47)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진다. 그리고 물탱크(11) 물이 적정수위가 되면 상기 휠밸브(30)의 하향물공급부(34)는 물공급을 완전정지하고 초기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one piece type' 양변기에 공기배출관을 형성되게 하고 수공분로기를 신설하여 기 개발된 악취배출기를 사용하므로서, 집수실에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실의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물탱크(11)의 물을 집수실(12)로 이송하는 주,부급수통로(13,14)가 형성되고, 집수실(12)로부터 이송된 악취를 배출구(18)로 보내는 공기배출통로(17)가 포함된 본체(10)와;
    상기 물탱크(11)에는 주급수통로(13)에 연결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후레쉬밸브(20)와;
    물탱크(11)내의 수위를 조절함과 동시에 집수실(12)로 물을 공급하는 휠밸브(30)와;
    상기 휠밸브(30)와 부급수통로(14) 사이에 설치되어 집수실(12)에 물공급을 유도함과 아울러 집수실(12)의 악취를 이송가능하도록 한 수공분로기(40)와;
    일단은 수공분로기(4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배출통로(17)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실(12)의 악취를 강제로 흡입,배출시키는 악취배출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공분로기(40)는 몸체(41)와, 이 몸체(41)의 좌우,상향으로 제1,2,3연통부(42,44,46)가 형성되고, 내부에 힌지(48)결합되어 물과 악취가 배출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수공분로판(4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KR1020040046581A 2004-06-22 2004-06-22 양변기 KR10060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581A KR100602603B1 (ko) 2004-06-22 2004-06-22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581A KR100602603B1 (ko) 2004-06-22 2004-06-22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48A KR20050121448A (ko) 2005-12-27
KR100602603B1 true KR100602603B1 (ko) 2006-07-20

Family

ID=3729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581A KR100602603B1 (ko) 2004-06-22 2004-06-22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32B1 (ko) 2007-02-10 2007-08-29 유광태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WO2009057943A2 (en) * 2007-11-01 2009-05-07 Kwang Tae Yoo A toilet stool for odor removal which applies the reserving energy as power sour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32B1 (ko) 2007-02-10 2007-08-29 유광태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WO2009057943A2 (en) * 2007-11-01 2009-05-07 Kwang Tae Yoo A toilet stool for odor removal which applies the reserving energy as power source
WO2009057943A3 (en) * 2007-11-01 2009-07-30 Kwang Tae Yoo A toilet stool for odor removal which applies the reserving energy as power source
US8112822B2 (en) 2007-11-01 2012-02-14 Kwang Tae Yoo Toilet stool for odor removal which applies the reserving energy as power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48A (ko)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47447A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00064623A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06068006A1 (ja) 洋風便器設備
KR100602603B1 (ko) 양변기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0690335B1 (ko) 자동식 절수 양변기
JP4925889B2 (ja) 洋風水洗式便器
AU2003276436B2 (en) A toilet system
KR200451021Y1 (ko)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101327834B1 (ko) 자동 양변기
CN211006914U (zh) 无水箱智慧型全自动冲水马桶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1478111B1 (ko) 전자식 양변기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WO2007072779A1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JP4650777B2 (ja) 水洗便器
CN109577437A (zh) 一种多用途如厕系统
JP3709763B2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CN201180301Y (zh) 一种座便器自动排水、除臭装置
CN219931157U (zh) 坐便器
CN215475117U (zh) 一种低噪声集便系统
CN112196038B (zh) 无水箱智慧型全自动冲水马桶
CN215053606U (zh) 一种用于坐便器的智能排臭装置
KR200423515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TWI683945B (zh) 具有除臭效果的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