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192B1 -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192B1
KR100600192B1 KR1020040106634A KR20040106634A KR100600192B1 KR 100600192 B1 KR100600192 B1 KR 100600192B1 KR 1020040106634 A KR1020040106634 A KR 1020040106634A KR 20040106634 A KR20040106634 A KR 20040106634A KR 100600192 B1 KR100600192 B1 KR 10060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witch
cam
vehic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737A (ko
Inventor
장한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1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스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납땜조립되는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를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사출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로킹(locking) 장치없이 삽입되는 캠을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위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스위치 온/오프(ON/OFF) 조작감을 개선한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동버튼과, 스위치 내부품을 보호하는 바디와, 하단에 로킹핀이 형성된 아우터 플레이트와, 중앙에 캠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킹핀이 캠부와 잠금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조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된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를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사출하고, 상기 캠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를 제공한다.
스위치, 버튼, 아우터 플레이트, 로킹핀, 베이스 플레이트, 캠부

Description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Structure of switch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조립도.
도 3은 도 2의 부품분해도.
도 4는 도 3의 아우터 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품분해도.
도 6은 도 5의 캠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종래의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조립도.
도 8은 도 7의 부품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버튼 12 : 바디
12a : 로킹부 12b : 몸체부
12c : 연장부 14 : 아우터 플레이트
16 : 로킹핀 16a : 절곡부
16b : 수직부 20 : 베이스 플레이트
22 : 제1커넥터 단자 22a : 제1전면부
22b : 제1후면부 23 : 제2커넥터 단자
23a : 제2전면부 23b : 제2후면부
24a : 전원연결단자 24b : 스위치 작동연결단자
26a : 제1단자 26b : 제2단자
26c : 제3단자 26d : 제4단자
30 : 캠부 30a : 가이드홈
30b : 돌출부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스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납땜조립되는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를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사출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로킹(locking) 장치없이 삽입되는 캠을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위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스위치 온/오프(ON/OFF) 조작감을 개선한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는 탑승자가 차량의 주요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거나 보낸 신호에 타이머 역할을 하여 무리한 조작으로 부터 탑승자 및 차량의 안전을 보호하는 주요기능 부품으로 그 사용 범위는 비상등 스위치, 리어 열선 스위치, 헤드 램프 레벨링 스위치 등 많은 기능품에 온/오프 (ON/OFF) 조작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도 7 내지 8은 종래의 스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버튼(10)과, 스위치(50)의 내부품을 보호하는 바디(12)와, 내부에 베이스 플레이트(20)가 조립되며 이 베이스 플레이트(20)에서 스위치(100)의 온/오프 상태를 조작하는 아우터 플레이트(14)와, 스위치(100)의 신호 단자로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14)가 온 위치로 이동시 작동 신호를 관련 부품으로 보내는 베이스 플레이트(20)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112,114)가 배치되고, 그 하단에는 제1 내지 4단자(26a,26b,26c,26d)가 배치되며, 상기 제1커넥터 단자(112)와 하단에 배치된 제1단자(26a)를 연결하는 전원연결단자(24a)와, 제2커넥터 단자(114)와 하단에 배치된 제4단자(26d)를 연결하는 스위치 작동연결단자(24b)가 평행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14)의 하부에는 로킹핀(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연결단자(24a)와 스위치 작동연결단자(24b) 사이에 별개의 부품으로 캠(110)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캠(110)은 스위치(100)의 온/오프시 아우터 플레이트(14)의 로킹핀(16)의 로킹 및 해제 상태를 유지하여 단자부가 전류와 접점할 수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상면부에 별도의 로킹 구조 없이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112,114)를 조립시킨 후 끝단부를 납땜 용접하여, 이 베이스 플레이 트(20)의 하단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단자(26a,26b,26c,26d)에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가 납땜에 의해 고정되므로, 차량의 엔진룸 및 도로 주행시 진동에 의한 납땜부 파손 및 납땜 불량으로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캠이 로킹 구조 없이 베이스 플레이트 홈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로킹핀 조작시 캠의 유동으로 스위치 조작감이 떨어지며, 캠이 홈부 이탈시 스위치 온/오프 조작 불량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와 캠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사출하는 구조로 변경하여 조립강성을 증대시켜 스위치 작동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버튼과, 스위치 내부품을 보호하는 바디와, 하단에 로킹핀이 형성된 아우터 플레이트와, 중앙에 캠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킹핀이 캠부와 잠금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조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된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를 베이스 플 레이트와 일체로 사출하고, 상기 캠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커넥터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ㄱ"자형의 제1전면부와, 이 제1전면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성된 제1후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후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2커넥터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ㄱ"자형의 제2전면부와, 이 제2전면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우측면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성된 제2후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후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과, 이 가이드홈의 중앙에 돌출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품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50)의 내부에 조립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22,23)와, 캠부(30)를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위치(50) 내부품의 조립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차량용 스위치(50)는 작동버튼(10)과, 내부품을 보호하는 바디(12)와, 이 바디(12)의 내부에 장착된 아우터 플레이트(14)와, 이 아우터 플레이트(14)의 내부에 삽입하여 스위치(50)의 온/오프 상태를 조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작동버튼(10)은 아우터 플레이트(14)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12)는 함체형상으로 몸체부(12b)와, 이 몸체부(12b)의 하단에서 직하방으로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연장부(1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2b)는 상방향으로 개구되며, 이 몸체부(12b)의 상단 양측에는 바디(12)가 차체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로킹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14)는 함체형상으로, 그 하단에는 로킹핀(16)이 장착되고, 상기 로킹핀(16)은 수직부(16b)와, 이 수직부(16b)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부(16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는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22,23)와, 그 하단에 형성된 제1 내지 4단자(26a,26b,26c,26d)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 단자(2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면에 형성된 "ㄱ"자형의 제1전면부(22a)와, 이 제1전면부(22a)의 하단에서 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후면에 형성된 제2후면부(2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후면부(23b)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단자(26a,26b)와 연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 단자(2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면에 형성된 "ㄱ"자형의 제2전면부(23a)와, 이 제2전면부(23a)의 하단에서 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우측면을 통해 후면에 형성된 제2후면부(2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후면부(23b)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단에 형성된 제3 및 제4단자(26c,26d)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 단자(2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단자(26a,26b)에 연결되고, 상기 제2커넥터 단자(2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우측면으로 밀착하여 형성된 후, 제2후면부(23b)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후면에서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제3 및 제4단자(26c,26d)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 단자(22)와 제1 및 제2단자(26a,26b) 그리고, 제2커넥터 단자(23)와 제3 및 제4단자(26c,26d)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중앙에 캠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캠부(30)는 가이드홈(30a)과, 이 가이드홈(30a)의 가운데에 "∧"모양의 돌출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14)의 내부에 베이스 플레이트(20)를 조립했을 때, 상기 로킹핀(16)의 절곡부(16a)가 가이드홈(30a)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6a)가 상방향으로 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50)의 온/오프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의 캠부의 작동상태도이다.
스위치(50)를 온 상태로 하기 위해 작동버튼(10)을 가압하면, 이 가압력에 의해 아우터 플레이트(14)가 하강하게 되고, 이 아우터 플레이트(14)의 하단에 형성된 로킹핀(16)의 절곡부(16a)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홈(30a)의 상단에서 이 가이드홈(30a)을 따라 왼쪽에 오른쪽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버튼(10)에서 손을 떼면, 상기 절곡부(16a)가 돌출부(30b) 홈에 걸려 스위치(50)의 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스위치(50)를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 작동버튼(10)을 다시 가압하면, 이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절곡부(16a)가 돌출부(30b) 홈에서 이탈하여 가이드홈(30a)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스위치(50)의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에 의하면, 종래의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 후 납땜 용접함으로 조립 강성이 약해 내구성이 취약한 구조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 사출하는 구조 변경을 통해 작동 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캠은 스위치 버튼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캠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로킹장치 없이 삽입함으로 캠이 사용중 쉽게 유동하는 구조로서 원할한 스위치 조작이 어렵고, 내구성이 떨어져 발생되는 작동 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의 캠 유동에 의한 스위치 조작의 어려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작동버튼과, 스위치 내부품을 보호하는 바디와, 하단에 로킹핀이 형성된 아우터 플레이트와, 중앙에 캠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킹핀이 캠부와 잠금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조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된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커넥터 단자를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사출하고, 상기 캠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ㄱ"자형의 제1전면부와, 이 제1전면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성된 제1후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후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ㄱ"자형의 제2전면부와, 이 제2전면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우측면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성된 제2후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후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과, 이 가이드홈의 중앙에 돌출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KR1020040106634A 2004-12-15 2004-12-15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KR10060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34A KR100600192B1 (ko) 2004-12-15 2004-12-15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34A KR100600192B1 (ko) 2004-12-15 2004-12-15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37A KR20060067737A (ko) 2006-06-20
KR100600192B1 true KR100600192B1 (ko) 2006-07-12

Family

ID=3716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634A KR100600192B1 (ko) 2004-12-15 2004-12-15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1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631A (ko) * 2001-09-26 200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631A (ko) * 2001-09-26 200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37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0593B2 (ja) 自動車用信号灯
JP2004267744A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US20060261588A1 (en)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JP5187903B2 (ja) スイッチ装置
ES2198534T3 (es) Dispositivo de montaje de un interruptor.
KR100600192B1 (ko) 차량용 스위치의 구조
JP5467880B2 (ja) スイッチ一体型ledランプ装置
JP6063648B2 (ja) 電装品取付構造
KR100562776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TW200820294A (en) Input device
JP4138524B2 (ja) センサ装置
JP4537963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
JP4282357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JP4274825B2 (ja) サイドウインカー付きのドアミラー
JP4215541B2 (ja) サイドウインカー付きのドアミラー
JP350663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3022731A (ja) ハンドルスイッチ
JP5046848B2 (ja) 車両用ランプ
JP2013192344A (ja) 自動車用室内照明灯のハウジングとその電線ホルダ
JP2004104947A (ja) クロックスプリングの取付け構造
JP4229737B2 (ja) サイドウインカー付きのドアミラー
JPH11135177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JP3868750B2 (ja) コネクタのレバー保護構造
JP3575218B2 (ja) リヤフィニッシャー取付用ハウジング
JP4178062B2 (ja) サイドウインカー付きのドア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