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089B1 -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 Google Patents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089B1
KR100600089B1 KR1020030068030A KR20030068030A KR100600089B1 KR 100600089 B1 KR100600089 B1 KR 100600089B1 KR 1020030068030 A KR1020030068030 A KR 1020030068030A KR 20030068030 A KR20030068030 A KR 20030068030A KR 100600089 B1 KR100600089 B1 KR 10060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and
free device
mobile 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771A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0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모스트 링 상의 어디에서든지 핸드프리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는, 휴대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와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입출력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휴대폰의 이어폰 출력을 모스트 링으로 인가하고, 상기 모스트 링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휴대폰의 마이크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프리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모스트 링 어느 위치에서든지 핸드프리장치를 이용하여 핸드폰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모스트링, 핸드프리장치,

Description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Handsfree apparatus for M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의 전체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의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폰 110 : 마이크단자
120 : 이어폰단자 200 :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201 : 신호출력단자 203 : 마이컴
206 : 복스회로
본 발명은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스트 링 상의 어디에서든지 핸드프리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프리장치는, 차량 내 특정 위치에 장착되어서 사용되기 때문에 핸드프리장치가 장착되고 있는 근처에 위치한 사람만이 상기 핸드프리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핸드프리장치는,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어지며, 따라서 운전자만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핸드프리장치는, 설치된 위치에서만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핸드프리의 사용범위가 설치위치에 의해서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프리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스트 링 상에서 핸드프리장치를 제어하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는, 휴대폰의 이어폰단자에서부터 차량용 네트워크장치의 신호입력단까지 연결하는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입력단자와; 휴대폰의 마이크단자에서부터 차량용 네트워크장치의 신호출력단까지 연결하는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출력단자와; 상기 휴대폰의 이어폰 출력신호를 상기 차량용 네트워크장치의 신호입력단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용 네트워크장치의 신호출력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휴대폰의 마이크 단자 측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입력단자에 연결되어, 휴대폰 전화벨을 감지하는 복스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스회로의 전화벨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휴대폰을 수신상태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폰에 전송하여 자동 착신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스회로의 전화벨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차량용 네트워크 상의 다른 오디오기기의 출력을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출력단자에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는, 차량용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로부터 착신 전환신호 및 재발신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고 상기 착신 전환신호 및 재발신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입력단자와 신호출력단자에 DC 차단용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최근 링(RING) 형태로 구성되는 차량용 네트워크 장치인 모스트(MOST)장치가 개발되고 있고, 상기 모스트장치에 여러가지 차량용 전자기기들을 접목시키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도 상기 모스트 링에 핸드프리장치를 구현시켜서, 차량 내 어디에서든지 핸드프리장치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의 전체적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핸드폰(100)의 신호입출력단자인 이어폰/마이크 단자에 핸드프리 장치(200)의 입출력단자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핸드프리장치(200)는, 모스트 링(300) 상에서 구현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핸드프리장치(200)는, 핸드폰(100)의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모스트 링(300) 상으로 전송하고, 모스트 링(300)으로부터 인가되어지는 오디오신호를 핸드폰(100)의 마이크 단자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모스트 링(300) 상에는 마이크와 같이 오디오신호의 입력을 할 수 있고, 스피커와 같이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할 수 있는 오디오 입출력장치(240)가 구현되어진다. 또한, 상기 모스트 링(300) 상에는 차량 내 설치되어지는 각종 전자기구인 오디오재생장치(230), 텔레비젼(220), 차량항법시스템(210) 등이 구현되어질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입출력장치(240), 오디오재생장치(230), 텔레비젼(220), 차량항법시스템(210) 등, 모스트 링(300) 상에서 구현되고 있는 각종 장치들은, 자신들의 출력신호를 모스트 링(300) 상으로 전달하거나, 모스트 링(3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자신의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진다. 즉, 차량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모스트 링(300)은, 상기 핸드프리장치(200)로부터 입력되어진 오디오신호를 모스트 링(300) 상에 구현되어진 다른 오디오입출력장치(240)를 통해서 수신하거나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모스트 링(300)은, 각종 장치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전달받아서 다른 장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차량용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결되어진 본 발명의 핸드프리장치(200)는, 핸드폰(100)의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출력되는 핸드폰신호를 오디오신호 입력단자를 통해서 입력하고, 모스트 링(300) 상으로 전송한다. 상기 모스트 링(300) 상으로 전달된 핸드폰신호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상기 핸드폰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는 장치 즉, 오디오 입출력장치(240)를 통해서 출력되어져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진다.
그리고 오디오 입출력장치(240)의 오디오입력장치(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는, 모스트 링(300)으로 전송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스트 링(300)을 통해서 핸드프리장치(200)의 오디오신호 출력단자에 전달되어진다. 상기 핸드프리장치(200)는, 오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상기 핸드폰(100)의 마이크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스트 링(300)으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는 핸드폰(100)의 마이크 입력단자로 입력되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은 모스트 링(300)이 구현되고 있는 차량 내에서, 어느 위치에서든지 모스트 링(300) 상의 다른 오디오 입출력장치(240)를 이용해서 핸드프리장치(200)를 통한 핸드폰(100)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 링(300) 상에 구현되고 있는 핸드프리장치(2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핸드프리장치(200)는, 핸드폰(100)의 이어폰 단자(120)에 핸드프리장치(200)의 신호입력단자(209)를 연결한다. 상기 신호입력단자(209)는, 핸드폰(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신호가 핸드프리장치(200) 자체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고,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를 상기 마이컴(203)를 통해 모스트 링(30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모스트 링(300)에 연결되어진다. 이때, 핸드프리장치(200) 자체의 오디오신호 출력은 사용자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단자(120)의 출력단과 상기 핸드프리장치(200)의 오디오신호 입력부분 사이에는, 전위차에 의한 손상 방지를 위하여 DC 차단용 캐패시터(C2)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단자(120)의 출력단과 상기 핸드프리장치(200)의 오디오신호 입력부분 사이에는, 복스회로(VOX 회로)(206)를 연결한다. 상기 복스회로(206)는, 이어폰단자(120)를 통해서 핸드폰(100)에서 발생된 전화벨신호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핸드프리장치(200) 내부의 모스트용 마이컴(203)에 제공한다. 다시말해 상기 복스회로(206)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이어폰단자(120)를 통해 인가되는 전화벨신호를 감지하는 회로 등을 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드프리장치(200)는, 핸드폰(100)의 마이크 단자(110)에 핸드프리장치(200)의 신호출력단자(201)를 연결한다. 상기 신호출력단자(201)는, 핸드프리장치(200) 자체에서 제공되는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마이크단자(110)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고, 또한 모스트 링(300)으로부터 제공되어지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단자(110)로 출력할 수 있도록 모스트 링(300)에 연결되어진다. 즉, 상기 핸드프리장치(200) 자체에서 또는 모스트 링(300)으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신호출력단자(201)에 제공된 오디오신호는 핸드폰(100)의 마이크단자(110)로 전달되어진다. 이때, 핸드프리장치(200) 자체의 오디오신호 입력은 사용자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핸드프리장치(200)의 오디오 출력단과 휴대폰(100)의 마이크 입력단자(110) 사이에는 전위차에 의한 손상 방지를 위한 DC 차단용 캐패시터(C1)를 연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핸드프리장치(200)는, 모스트 링(300)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단자(201)를 통해서 휴대폰(100)의 마이크입력단자(110)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출력단자(201)와 그라운드 사이에 스위치(SW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SW1)는, 모스트 링 상의 다른 기기로부터 출력되어진 착신 전환/재발신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마이컴(203)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어진다. 즉, 상기 모스트링(300)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온/오프 요청에 따라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스위치(SW1)는, 휴대폰(100)의 이어폰단자(120) 출력단과 핸드프리장치의 오디오 입력단 사이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부호 130은, 핸드폰(100)에 이어폰단자(120), 마이크단자(110)와 함께 구비되어진 그라운드 단자이다.
한편, 본 발명의 마이컴(203)은 상기 복스회로(206)의 전화벨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출력신호를 조절하는 제어신호와, 자동착신 제어신호, 그리고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착신전환/재발신제어신호를 출력/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휴대폰(100)의 이어폰단자(120), 마이크단자(110)가 핸드프리장치(200)의 신호입력단자(209)와 신호출력단자(201)에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고 있지만, 상기 신호입력단자(209)와 신호출력단자(201)는, 모스트 링(300)에 연결되어져서 모스트 링(300)으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모스트 링(300)으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휴대폰(100)의 이어폰단자(120)에 연결되고 있는 복스회로(206)는, 이어폰의 출력을 통해서 전화벨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한 전화벨신호는 모스트용 마이컴(203)으로 전달되고, 상기 마이컴(203)은, 기설정된 값에 따라서 핸드프리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화벨 감지횟수 또는 감지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감지횟수 또는 감지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착신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동 착신은 상기 마이컴(203)이 착신 전환신호를 휴대폰(100)에 전송하면, 상기 휴대폰(100)은 일반적으로 착신기능을 제공하는 착신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상기 복스회로(206)를 통해서 전화벨 감지시에, 모스트 링(300)를 제어하는 마이컴(203)은 상기 전화벨 감지신호를 복스회로(206)로부터 인가받고, 현재 출력상태에 있는 오디오기기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오디오기기는 도시되지 않는 중앙처리유닛에 의해 출력볼륨을 낮게 조절하거나 묵음화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악을 듣는 중에, 휴대폰이 울리면 별도의 제어없이도 음악레벨에 방해받지 않고, 휴대폰(100)이 수신상태로 전환되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로 전화벨 신호가 감지되어 상기 마이컴(203)에 의해 상기 핸드프리장치(200)가 착신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휴대폰(100)의 이어폰단자(120) 출력신호는 핸드프리장치(200)의 신호입력단자(209)를 통해서 모스트 링(300)으로 입력되어진다. 이때, 이어폰단자(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캐패시터(C2)를 통과하면서 DC 신호가 차단되어져서 순수 오디오신호만이 모스트 링(300)으로 전달되어진다. 따라서 상대측 핸드폰(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한 오디오신호는, 핸드폰(100)의 이어폰단자(120), 그리고 핸드프리장치(200)의 신호입력단자(209)를 통해서 모스트 링(300) 상에 연결되어진 다른 오디오출력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진다.
또한, 모스트 링(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핸드프리장치(200)의 신호출력단자(201)를 통해서 핸드폰(100)의 마이크단자(110)로 입력되어진다. 이때, 신호출력단자(2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캐패시터(C1)를 통과하면서 DC 신호가 차단되어져서 순수 오디오신호만이 핸드폰(100)으로 전달되어진다. 따라서 모스트 링(300) 상에 연결되어진 오디오입력장치에서 발생한 사용자 오디오신호는, 모스트 링(300), 핸드프리장치(200)의 신호출력단자(201), 핸드폰(100)의 마이크단자(110)를 통해서 핸드폰(100)으로 입력되고, 신호전송경로를 통해서 상대측의 핸드폰으로 전달되어진다.
한편, 상기 마이컴(203)는 상기 모스트 링(300)에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착신 전환 및 재발신 제어신호를 제어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화벨을 감지하고 휴대폰(100)을 수신상태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오디오 재생장치(230)에 구비된 착신 전환기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소정 키를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키 조작에 따라 발생된 착신 전환신호는 모스트 링(300)를 통해 상기 마이컴(203)에게로 전달되고, 상기 마이컴(203)은 스위치(SW1)을 온시킨다. 이에 상기 스위치(SW1)를 통해 상기 휴대폰(100)과 형성된 경로를 통해 상기 착신 전환신호는 상기 휴대폰(100)으로 전달되고, 상기 휴대폰(100)은 상기 착신 전환신호에 대응하여 착신 버튼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00)은 대기상태에서 착신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재발신을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이는 상기 마이컴(203)를 통해 상기 휴대폰(100)에 전달되고, 그러면 상기 휴대폰(100)은 상기 재발신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마지막으로 발신하였던 최종 발신번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스트 링(300)에 접속된 다른 기기를 통해서도 휴대폰(100)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핸드프리 장치(200)의 부근에 위치하지 않아도 핸드프리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는, 휴대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와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입출력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휴대폰의 이어폰 출력을 모스트 링으로 인가하고, 상기 모스트 링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휴대폰의 마이크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는, 전화벨 감지를 위한 복스회로를 구비하고, 자동 착신 기능 및 기타 동작 중인 오디오장치의 볼륨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는, 모스트 링에 접속되는 다른 기기에서 발생되는 착신 및 재발신을 위한 제어신호로 핸드프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기능을 구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프리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모스트 링 어느 위치에서든지 핸드프리장치를 이용하여 핸드폰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는, 모스트 링에 핸드프리장치를 연결하고, 다른 오디오 입력/출력장치를 통해서 모스트 상의 어디에서든지 핸드프리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핸드프리장치의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는, 자동착신 및 전화벨 감지 동작에 의해서 핸드폰의 전화벨이 울릴 때, 모스트 링 상의 다른 오디오기기의 출력을 자동조절하도록 제어하므로서, 음악을 듣는 중에 다른 조작없이 전화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안전운행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의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는, 착신 및 재발신을 위한 제어스위치를 통해서 핸드프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Claims (5)

  1. 휴대폰의 이어폰단자에서부터 차량용 네트워크장치의 신호입력단까지 연결하는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입력단자와;
    휴대폰의 마이크단자에서부터 차량용 네트워크장치의 신호출력단까지 연결하는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출력단자와;
    상기 휴대폰의 이어폰 출력신호를 상기 차량용 네트워크장치의 신호입력단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용 네트워크장치의 신호출력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휴대폰의 마이크 단자 측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입력단자에 연결되어, 휴대폰 전화벨을 감지하는 복스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스회로의 전화벨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휴대폰을 수신상태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폰에 전송하여 자동 착신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스회로의 전화벨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차량용 네트워크 상의 다른 오디오기기의 출력을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출력단자에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는, 차량용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로부터 착신 전환신호 및 재발신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고 상기 착신 전환신호 및 재발신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프리장치의 신호입력단자와 신호출력단자에 DC 차단용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KR1020030068030A 2003-09-30 2003-09-30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KR10060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030A KR100600089B1 (ko) 2003-09-30 2003-09-30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030A KR100600089B1 (ko) 2003-09-30 2003-09-30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771A KR20050031771A (ko) 2005-04-06
KR100600089B1 true KR100600089B1 (ko) 2006-07-13

Family

ID=3723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030A KR100600089B1 (ko) 2003-09-30 2003-09-30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0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771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37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US606143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a handset with non-telephone functionality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KR100600089B1 (ko) 모스트용 핸드프리장치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100306487B1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258287Y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189884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카오디오 장치
JP2622867B2 (ja) 自動車電話装置
JPH05175769A (ja) 電子機器
KR100242410B1 (ko) 전화단말기에서통화시볼륨제어장치및방법
KR100640443B1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송/수신 음성신호의 스위칭 제어방법
JPH04342347A (ja) 電話機
KR20020095622A (ko)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1127875A (ja) 電話装置
KR0173074B1 (ko) 구내전화 사용시 시외통화 방지장치
JPH084667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037086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JP3704456B2 (ja) 電話機
KR200276557Y1 (ko) 외부 소음 감지에 따른 전자 음향기기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KR100413537B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JPH07101896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子機
JPH06177946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