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012B1 -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012B1
KR100600012B1 KR1019990068508A KR19990068508A KR100600012B1 KR 100600012 B1 KR100600012 B1 KR 100600012B1 KR 1019990068508 A KR1019990068508 A KR 1019990068508A KR 19990068508 A KR19990068508 A KR 19990068508A KR 100600012 B1 KR100600012 B1 KR 100600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gantry loader
chuck
stopping
sen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630A (ko
Inventor
홍성달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01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5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i.e. part programme or machine function execution, e.g. selection of a program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6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work or tool in its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articulated gripp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data handling or data format, e.g. reading, buffering or conversion of data
    • G05B19/4083Adapting programm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겐츄리 로더의 소재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겐츄리 로더 운용자가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동작을 정지시켜야 할 경우, 기계척에 소재가 있는지의 여부를 소재 유무 감지 스위치로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겐츄리 로더의 유동을 제어토록 하여, 기계에는 새로운 소재를 로딩하지 않고 기계내에 있는 소재는 기계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츄리 로더의 소재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겐츄리 로터, 척, 수치제어장치

Description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A Material Clearing Unit of Gentry Loader and Mothod}
도 1은 일반적인 겐츄리 로더 및 기계부 동작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겐츄리 로더 및 기계부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스토커 20: 가공소재
30: 척 40: 최종 작업 스위치
50: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60: 소재감지수단 이송장치
70: 모터 드라이브 80: 수치제어장치
본 발명은 겐츄리 로더의 소재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겐츄리 로더 운용자가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동작을 정지시켜야 할 경우, 기계척에 소재가 있는지의 여부를 소재 유무 감지 스위치로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겐츄리 로더의 유동을 제어토록 하여, 기계에는 새로운 소재를 로딩하지 않고 기계내에 있는 소재는 기계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츄리 로더의 소재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겐츄리 로더는 3차원으로 유동되는 장비로써, 선반에 응용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이동경로를 통해 스토커(10)로부터 가공소재(20)를 이송한후 상기 가공소재(20)를 척(30)에 맞물리고, 이어 상기 척(30)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공 작업도구로써 가공소재(20)를 가공하는 작업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가공작업이 완료되면 척(30)으로 부터 다시 스토커(10)에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즉, 겐츄리 로더는 선반 작업 공간에서 가공소재(20)가 척(30)에 맞물릴 수 있도록 스토커(10)에 위치되는 가공소재(20)를 척(30)까지 운반하고, 가공이 끝난 가공물을 다시 스토커(10)에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겐츄리 로더를 이용하여 기계척에 가공할 소재 (20)를 로딩 언로딩 하여 가공을 진행하다가 겐츄리 로더의 동작 및 기계의 가공을 중지해야 할 경우, 겐츄리 로더를 정지시키고, 가공된 소재를 운용자가 직접 기계로부터 소재를 집어 내야만 하는바, 이때 겐츄리 로더만 정지된 상태에서 기계의 가공프로그램이 진행중일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운용자가 겐츄리 로더의 동작 및 기계의 동작을 각각 완전히 정지 시킨 상태에서 기계의 동작 상태와 겐츄리 로더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며, 겐츄리 로더 정지 스위치 및 기계 정지 스위치를 눌러서 겐츄리 로더를 정지시킨후 기계로부터 소재를 직접 집어 꺼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겐츄리 로더의 정지만를 제어하게 되면 기계의 동작은 별도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겐츄리 로더만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척에 위치한 가공물를 수거시 기계의 동작이 진행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이 대단히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운용자가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동작을 정지시키고자 최종 작업 스위치를 누르면, 소재 유무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기계내에 위치하고 있는 소재를 스토커로 이송토록 하고, 소재를 척에 이송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중단하며, 동시에 소재를 가공하는 기계의 동작을 자동으로 중단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가공 동작을 현 시점에서 멈추도록 하는 최종 작업 스위치와;
상기 최종 작업 스위치로 부터 입력을 받아서 DC모터 드라이브로 모터 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DC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시 기계척으로 이동하는 소재감지 수단으로부터 기계척에 소재가 있는지의 유무를 입력받아서 수치 제어장치로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로 부터 동작신호를 받으면 소재감지수단을 기계척 부근으로 이동시키고, 소재감지가 끝나면 종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DC모터 드라이브와;
상기 소재감지수단으로 부터 기계척에 소재가 있는지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재가 없을 경우 스토커 위에서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치 제어장치로 구성함이 특징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기술구성은 동일한 번호로써 표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가공 동작을 현 시점에서 멈추도록 하는 최종 작업 스위치(40)와;
상기 최종 작업 스위치(40)로 부터 신호입력을 받아서 모터 드라이브를 통해 소재감지수단을 기계척의 근접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소재감지 수단으로부터 기계척에 소재가 있는지의 유무를 입력받아서 수치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로 부터 동작신호를 받으면 소재감지수단(62)을 기계척(30) 부근으로 이동시키고, 소재감지가 끝나면 종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소재감지수단 이송장치(60)와;
상기 소재감지수단 이송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브(70)와;
상기 소재 감지수단(62)으로 부터 기계척(30)에 소재(20)가 있는지의 여부를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로부터 입력받아, 소재가 없을 경우 스토커(10) 위에서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치 제어장치(80) 로 구성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4는 소재유무 감지수단이 재자리로 돌아왔는가를 센싱하는 근접센서로써, 제자리로 돌아올때까지 소재감지수단 이송부가 동작되도록 센싱자료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은 이동경로를 통해 스토커로부터 가공소재(20)를 이송한후 상기 가공소재를 척(30)에 맞물리고, 이어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상기에서 가공작업이 완료되면 가공소재(20)를 척(30)으로 부터 다시 스토커(10)에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겐츄리 로더를 이용하여 기계척(30)에 소재(20)를 로딩 언로딩 하여 가공을 진행하다가 겐츄리 로더의 동작 및 기계의 가공을 중지해야 할 경우, 작업자는 최종 작업 스위치(40)를 누르면 된다.
그러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는 상기 최종 작업 스위치(40)로 부터 신호입력을 받아서 모터 드라이브(70)로 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터 드라이버(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재감지수단 이송장치(60)에 연결된 소재감지 수단(62)을 회전시켜 기계척(30)의 근접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소재 감지 수단(62)은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며, 기계척(30)의 근접지점에 이르게 되면 기계척(30)에 소재(20)가 위치하고 있는가를 센싱한다.
그리고, 센싱한 결과를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는 다시 수치 제어장치(80)에 데이터를 전달 한다.
상기에서 소재감지 수단(62)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소재가 있을 경우는 겐츄리 로더를 이용하여 소재(20)를 스토커(10)에 위치시키며, 정지 동작 시점부터 소재(20)가 기계척(30)에 위치하지 없거나 상기 동작에 의하여 소재(20)가 기계척(30)에 없을 경우 스토커 위에서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킨다.
즉, 본 발명은 기계척 부위에 소재유무 감지를 위한 근접센서가 위치하도록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최종 작업 스위치(40)를 누르게 되면 근접센서(62)를 기계척(30) 부위에 접근시켜 현재 기계척(30)에 소재(20)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기계척(30)에 소재(20)가 있을 경우에는 겐츄리 로더를 작동시켜 스토커(10)에 소재(20)를 이송하고, 기계척(30)에 소재(20)가 없을 경우에는 스토커(10) 위에서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키도록 하고, 근접센서(62)는 원래의 자리로 되돌려 놓는다.
이는 종래에는 작업자가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동작을 중지할 경우 겐츄리 로더만을 정지시키고 기계척 으로부터 직접 소재를 분리해 내야 하고 이때 기계의 가공 프로그램이 계속 진행중일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과 대비된다고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로써,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동작시키는 제 1 단계(S1)와;
상기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최종 작업 스위치를 입력하는 제 2 단계(S2)와;
상기 최종 작업 스위치 입력이 감지되면 DC모터를 이용하여 소재 감지수단을 기계척 근접부위로 이동시키는 제 3 단계(S3)와;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소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재의 기계로의 이동을 중단시키고,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키는 제 4 단계(S4)와;
상기 제 4 단계(S4)에서 소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재를 스토커 위로 위치시키고, 소재의 기계로의 재이동을 중단시키고,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키는 제 5 단계(S5)와;
상기 제 5 단계(S5)가 완료되면 DC모터를 회전시켜 소재 감지수단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 후 DC모터를 정지시키는 제 6 단계(S6)로 이루어져 순차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겐츄리 로더의 동작을 중단시키면서 동시에 소재를 원래 자리로 되돌려 놓고 기계의 작동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가공 동작을 현 시점에서 멈추도록 하는 최종 작업 스위치(40)와;
    상기 최종 작업 스위치(40)로 부터 신호입력을 받아서 모터 드라이브를 통해 소재감지수단을 기계척의 근접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소재감지 수단(62)으로부터 기계척에 소재가 있는지의 유무를 입력받아서 수치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로 부터 동작신호를 받으면 소재감지수단(62)을 기계척(30) 부근으로 이동시키고, 소재감지가 끝나면 종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소재감지수단 이송장치(60)와;
    상기 소재감지수단 이송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브(70)와;
    상기 소재 감지수단(62)으로 부터 기계척(30)에 소재(20)가 있는지의 여부를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부(50)로부터 입력받아, 소재가 없을 경우 스토커(10) 위에서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치 제어장치(8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감지수단 이송장치(60)는 DC모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4.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동작시키는 제 1 단계(S1)와;
    상기 겐츄리 로더 및 기계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최종 작업 스위치를 입력하는 제 2 단계(S2)와;
    상기 최종 작업 스위치 입력이 감지되면 DC모터를 이용하여 소재 감지수단을 기계척 근접부위로 이동시키는 제 3 단계(S3)와;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소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재의 기계로의 이동을 중단시키고,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키는 제 4 단계(S4)와;
    상기 제 4 단계(S4)에서 소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재를 스토커 위로 위치시키고, 소재의 기계로의 재이동을 중단시키고, 겐츄리 로더 및 기계를 정지시키는 제 5 단계(S5)와;
    상기 제 5 단계(S5)가 완료되면 DC모터를 회전시켜 소재 감지수단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 후 DC모터를 정지시키는 제 6 단계(S6)로 이루어져 순차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방법.
KR1019990068508A 1999-12-31 1999-12-31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 KR100600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508A KR100600012B1 (ko) 1999-12-31 1999-12-31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508A KR100600012B1 (ko) 1999-12-31 1999-12-31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630A KR20010066630A (ko) 2001-07-11
KR100600012B1 true KR100600012B1 (ko) 2006-07-13

Family

ID=1963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508A KR100600012B1 (ko) 1999-12-31 1999-12-31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0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630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839B1 (ko) 이상정지기능을 구비한 수치 제어공작기계
KR20040060741A (ko) 공작기계의 공구 이상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TWM544383U (zh) 卡盤的開閉控制裝置
KR100600012B1 (ko)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
JP3703174B2 (ja) 棒材供給装置及び棒材加工装置
EP1560091A2 (en) Detecting breakages in machine tools and the like
KR20200119170A (ko)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
KR100246305B1 (ko) 머시닝 센터의 테이블 회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4442B1 (ko) 기어 판별장치
JP3037862B2 (ja) 加工ラインの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JPH0283144A (ja) プログラマブルテールストックによるワーク座標位置監視方法
KR100440154B1 (ko) 공작기계의 이송축 오버트래블 제어방법
JPS5918184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異常時の工具退避・復帰装置
KR100600018B1 (ko) 공작기계의 테일스톡 안전장치
JP6960659B2 (ja) 工作機械のローディングシステム
JP2575897B2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の制御方法
JPH0288101A (ja) 対向型2軸スピンドル旋盤のワーク授受確認方法とその制御装置
KR100203802B1 (ko) 자동화시스템의미스채킹 감지장치및방법
KR100403139B1 (ko) 자동 팔레트 교환기의 팔레트 충돌방지 장치
KR20060075909A (ko) 보조 수치 제어장치를 이용한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감지장치 및 방법
KR820001952B1 (ko) 산업용 로보트의 제어시스템
KR200266792Y1 (ko) 머시닝센터의 팔레트 위치 자동 판별 교환장치
KR100246307B1 (ko) 머시닝센터의 축이송 일시 정지 제어방법
JPH02262945A (ja) 工作機械のインタロック制御装置
SU1199590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лини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