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802B1 - 자동화시스템의미스채킹 감지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시스템의미스채킹 감지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802B1
KR100203802B1 KR1019960058920A KR19960058920A KR100203802B1 KR 100203802 B1 KR100203802 B1 KR 100203802B1 KR 1019960058920 A KR1019960058920 A KR 1019960058920A KR 19960058920 A KR19960058920 A KR 19960058920A KR 100203802 B1 KR100203802 B1 KR 10020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chuck
miss
chucking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804A (ko
Inventor
허진강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6005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8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6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work or tool in its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p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작기계를 이용한 자동 로더(Auto Loader) 시스템에서 척에 공작물을 장착할때 공작물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도록 한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작물을 장착하는 척(Chuck)(1)과, 상기 척(Chuck)(1)에 의해 고정되어 가공되는 공작물(2)과, 상기 공작물(2)을 삽입하는 푸셔(Pusher)(3)와, 상기 푸셔(3)가 전진시 전진 여부를 체크하는 전진체크 스위치(4)와, 상기 푸셔(3)가 후진시 후진 여부를 체크하는 후진체크 스위치(5)와, 공작물이 없을때 상기 푸셔(3)가 전진시 Miss Chucking 여부를 체크하는 Miss Chucking 스위치(6)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공작기계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에서 고속으로 이동하여 척(Chuck)에 공작물을 장착할때 공작물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Miss Chucking이 발생되면 가공을 하지 않으므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공작물이 없는 상태에서 가공함으로써 발생되는 가공손실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공작기계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에서 척(Chuck)에 공작물을 장착할때 공작물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Miss Chucking이 발생되면 가공이 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작기계를 이용한 자동 로더(Auto Loader) 시스템에서 척에 공작물을 장착할때 공작물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도록 한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화 시스템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을 장착하는 척(Chuck)(1)과, 상기 척(Chuck)(1)에 의해 고정되어 가공되는 공작물(2)과, 상기 공작물(2)을 삽입하는 푸셔(Pusher)(3)와, 상기 푸셔(3)가 전진시 전진 여부를 체크하는 전진체크 스위치(4)와, 상기 푸셔(3)가 후진시 후진 여부를 체크하는 후진체크 스위치(5)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적일때 공작물을 장착하는 경우 푸셔(3)가 전진시 전진체크 스위치(4)가 전진체크 센서의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푸셔(3)가 후진시 후진체크 스위치(5)가 후진체크 센서의 동작을 확인한후 다음동작으로 넘어간다.
한편, 정상적이 아닐때 공작물을 장착하는 경우 Miss Chucking이 발생한 상태에서의 공작물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시스템이 없어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위험할뿐 아니라 공작물이 없는 상태에서 가공하는 손실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척에 공작물이 장착될때 공작물의 Miss Chucking이 발생된 상태에서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에 위험을 가져오고, 공작물이 없는 상태에서 가공하므로 가공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자동화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장치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대한 신호흐름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장치 시스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척(Chuck) 2 : 공작물
3 : 푸셔(Pusher) 4 : 전진체크 스위치
5 : 후진체크 스위치 6 : Miss Chucking 스위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척(Chuck)에 공작물을 장착할때 공작물의 장착 여부를 센서가 감지하여 Miss Chucking이 발생되면 가공이 되지 않으므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장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을 장착하는 척(Chuck)(1)과, 상기 척(Chuck)(1)에 의해 고정되어 가공되는 공작물(2)과, 상기 공작물(2)을 삽입하는 푸셔(Pusher)(3)와, 상기 푸셔(3)가 전진시 전진 여부를 체크하는 전진체크 스위치(4)와, 상기 푸셔(3)가 후진시 후진 여부를 체크하는 후진체크 스위치(5)와, 공작물이 없을때 상기 푸셔(3)가 전진시 Miss Chucking 여부를 체크하는 Miss Chucking 스위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작기계를 이용한 로더 시스템(Loader System)에서 푸셔(3)가 전진시 전진체크 스위치(4)를 이용하여 전진체크 여부를 체크하고, 후진시 후진체크 스위치(5)를 이용하여 후진 여부를 체크하는데, 정상적일때 공작물을 장착하는 경우 푸셔(3)가 전진시 전진체크 스위치(4)가 전진체크 센서의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푸셔(3)가 후진시 후진체크 스위치(5)가 후진체크 센서의 동작을 확인한후 다음동작으로 넘어간다.
한편, 소재가 없을때 푸셔(3)가 전진시 Miss Chucking 스위치(6)가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로더(Loader)를 정지한후 체크한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신호흐름도로서, 척(Chuck)(1)과 푸셔(Pusher)(3)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푸셔(3)가 전진시 전진스위치가 온(On)일때 전진 여부를 체크하고 오프(Off)일때 경보(알람)가 발생되는 단계와(S1-S4), 이후 소재가 없을때 푸셔(3)가 전진시 Miss Chucking 스위치가 온(On)이면 경보(알람)가 발생되고 오프(Off)이면 척(Chuck)이 클램프(Clamp)된 단계(S5)(S6)와, 이후 푸셔(3)를 후진시켜 후진체크 스위치(5)가 온(On)일때 처음단계로 복귀하고 오프(Off)일때 경보(알람)가 발생되는 단계(S7)(S8)(S4)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장치 시스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재를 공급하는 로딩부(Loading)(10)와, 상기 소재를 배출하는 언로딩부(Unloading)(20)와, 상기 소재를 홀딩(holding)하고 있는 ARM(30)과, 상기 소재를 삽입하는 푸셔(Pusher)(40)와, 척(Chuck) 언클램프(Unclamp)시 척(Chuck)의 스프링에 의해 배출되는 소재를 받는 백켓(Backet)(5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딩부(Loading)(10)에서 소재를 공급하면 푸셔(Pusher)(40)에 의해 소재가 척(Chuck) 내에 삽입되면 ARM(30)이 소재를 홀딩(holding)하고, 언로딩부(Unloading)(20)를 통해 소재가 배출되는데, 이때 백켓(Backet)은 언클램프(Unclamp)시 척(Chuck)의 스프링에 의해 배출되는 소재를 받게된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 신호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더(Loader)의 원위치에서 소재를 로딩(Loading)시키고 M/C 척(Chuck)이 클램프(Clamp)일때 소재를 백켓(Backet)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두게 되는 단계와(S1-S4), 상기 M/C 척(Chuck)이 언클램프(Unclamp)일때 척(Chuck)과 푸셔(Pusher)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푸셔(Pusher)가 전진시 소재를 척(Chuck) 내에 공급할때 Miss Chucking 스위치가 온(On)이면 경보(알람)가 발생되는 단계와(S5-S8), 이후 푸셔(Pusher)가 후진시 로더의 원위치에서 백켓(Backet)이 전/후진 되어 처음단계로 복귀하는 단계(S9-S1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작기계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에서 고속으로 이동하여 척(Chuck)에 공작물을 장착할때 공작물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Miss Chucking이 발생되면 가공을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작기계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에서 고속으로 이동하여 척(Chuck)에 공작물을 장착할때 공작물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Miss Chucking이 발생되면 가공을 하지 않으므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공작물이 없는 상태에서 가공함으로써 발생되는 가공손실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공작물을 장착하는 척(Chuck)(1)과, 상기 척(Chuck)(1)에 의해 고정되어 가공되는 공작물(2)과, 상기 공작물(2)을 삽입하는 푸셔(Pusher)(3)와, 상기 푸셔(3)가 전진시 전진 여부를 체크하는 전진체크 스위치(4)와, 상기 푸셔(3)가 후진시 후진 여부를 체크하는 후진체크 스위치(5)와, 공작물이 없을때 상기 푸셔(3)가 전진시 Miss Chucking 여부를 체크하는 Miss Chucking 스위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장치.
  2. 척(Chuck)(1)과 푸셔(Pusher)(3)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푸셔(3)가 전진시 전진스위치가 온(On)일때 전진 여부를 체크하고 오프(Off)일때 경보(알람)가 발생되는 단계와(S1-S4), 이후 소재가 없을때 푸셔(3)가 전진시 Miss Chucking 스위치가 온(On)이면 경보(알람)가 발생되고 오프(Off)이면 척(Chuck)이 클램프(Clamp)된 단계(S5)(S6)와, 이후 푸셔(3)를 후진시켜 후진체크 스위치(5)가 온(On)일때 처음단계로 복귀하고 오프(Off)일때 경보(알람)가 발생되는 단계(S7)(S8)(S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방법.
  3. 로더(Loader)의 원위치에서 소재를 로딩(Loading)시키고 M/C 척(Chuck)이 클램프(Clamp)일때 소재를 백켓(Backet)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두게 되는 단계와(S1-S4), 상기 M/C 척(Chuck)이 언클램프(Unclamp)일때 척(Chuck)과 푸셔(Pusher)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푸셔(Pusher)가 전진시 소재를 척(Chuck) 내에 공급할때 Miss Chucking 스위치가 온(On)이면 경보(알람)가 발생되는 단계와(S5-S8), 이후 푸셔(Pusher)가 후진시 로더의 원위치에서 백켓(Backet)이 전/후진 되어 처음단계로 복귀하는 단계(S9-S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Miss Chucking 감지방법.
KR1019960058920A 1996-11-28 1996-11-28 자동화시스템의미스채킹 감지장치및방법 KR100203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20A KR100203802B1 (ko) 1996-11-28 1996-11-28 자동화시스템의미스채킹 감지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20A KR100203802B1 (ko) 1996-11-28 1996-11-28 자동화시스템의미스채킹 감지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04A KR19980039804A (ko) 1998-08-17
KR100203802B1 true KR100203802B1 (ko) 1999-06-15

Family

ID=1948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920A KR100203802B1 (ko) 1996-11-28 1996-11-28 자동화시스템의미스채킹 감지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8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04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3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tool abnormality in a machine tool
EP1243992A2 (en) Tool presetter and tool offset amount calculation method
ES8203034A1 (es) Perfeccionamientos en maquinas herramientas con una funcion de cambio automatico de herramientas
JP4049911B2 (ja) 工作機械の心押台の監視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0203802B1 (ko) 자동화시스템의미스채킹 감지장치및방법
GB1363503A (en) Machining installation
JP3331224B2 (ja) 旋盤のワーク確認方法及び把持方法
JPS61214947A (ja)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nc制御装置
KR101747087B1 (ko) Cnc공작기계용 가공물 자동공급장치
JP3834997B2 (ja) 工作機械
KR0184442B1 (ko) 기어 판별장치
US5975746A (en) Process for monitoring bar cutoff on automatic bar lathes
KR102296579B1 (ko) 유압척 교체형 머시닝센터 시스템
JPH0479781B2 (ko)
KR101418595B1 (ko)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JPH0283144A (ja) プログラマブルテールストックによるワーク座標位置監視方法
KR100600012B1 (ko) 겐츄리 로더의 소재제거장치 및 방법
JP4242229B2 (ja) 工作機械の熱変位補正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7079Y2 (ja) 工作機械の安全装置
KR100203801B1 (ko) 테이블언클램프시절삭이송방지제어장치및방법
KR19990011495U (ko) 자동 선반의 소재 불량 감지 장치
KR101741986B1 (ko) Cnc공작기계용 가공물 자동공급장치
JP3211345B2 (ja) 加工面位置検出装置を備えた加工装置
JP2802869B2 (ja) 安全に接触検知可能な工作機械
KR100263488B1 (ko) 머시닝센터의팰릿교환장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