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977B1 -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977B1
KR100599977B1 KR1020040040007A KR20040040007A KR100599977B1 KR 100599977 B1 KR100599977 B1 KR 100599977B1 KR 1020040040007 A KR1020040040007 A KR 1020040040007A KR 20040040007 A KR20040040007 A KR 20040040007A KR 100599977 B1 KR100599977 B1 KR 10059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crew shaft
discharge
predetermined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904A (ko
Inventor
김재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4004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97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1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weight of a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leve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자동차 내, 외판이 접합되는 소정 위치에 접착제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원격에 위치한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 접착제 공급장치의 공급관에 인렛부가 연결되어 접착제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접착제를 임시 수용토록 소정크기의 챔버가 내측에 형성되고, 토출장치의 공급관과 연결되어 수용된 접착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부가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의 챔버에 내삽되어 인렛부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피스톤이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이 피스톤 일측면에 소정 길이의 로드관이 형성되어 가이드공 일측으로 관통되는 가압부와, 상기 수용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패널의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정, 역회전하도록 된 구동모터와, 수용본체의 일측 소정영역과 개방부에 외감되며, 개방부에 가이드공이 배치되는 마감캡과, 수용본체의 일측 소정위치에 외감되는 제1브라켓과, 구동모터의 외경면 소정영역에 외감되는 제2브라켓과, 구동모터 일측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소정 길이의 스크류 축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스크류 축의 일단이 로드관에 일부 삽입되며, 이 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좌, 우 이송되도록 스크류 축에 이송체가 결합되는 볼 스크류 잭과, 스크류 축은 타측으로 배치되게 볼 스크류 잭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과, 제1, 제2, 제3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에 일직선으로 관통결합되어 구동모터, 스크류 잭 및 스크류 축, 수용본체 및 로드관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게 하며, 이송체의 양측 안내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을 구비하여 접착제 공급장치로부터 접착제를 소정량 공급받아서 균일한 양의 접착제가 토출장치의 토출구에서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정량공급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용본체의 인렛부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하는 가압부의 위치를 소정위치에서 감지하여 수용본체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리미트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자동차 내, 외판에 토출장치의 토출구에서 정량의 접착제가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토출량의 가감에 따른 콘트롤러의 제어에 대한 응답속도가 빨라져 토출량의 제어가 편리하짐은 물론 정확한 양을 토출함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이 저하되며 완제품은 과토출에 따른 오염이 해소되어 더욱 더 깔끔한 제품을 완성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자동차, 접착제, 정유량, 공급장치

Description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fixed quantity supply apparatus for joining adhesives inner and outer iron plate of car}
도 1은 종래 정유량 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면.
도 2는 접착제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정유량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4a, 도 4b, 도 4c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정유량공급장치가 토출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정유량공급장치 102 : 토출장치
103 : 인렛부 104 : 아웃렛부
105 : 수용본체 106 : 마감캡
107 : 가압부 108 : 제1브라켓
109 : 구동모터 110 : 제2브라켓
111 : 스크류 축 112 : 볼 스크류 잭
113 : 제3브라켓 114 : 결합공
115 : 가이드봉 116 : 가이드봉
본 발명은 자동차 내, 외판이 접합되는 소정 위치에 접착제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원격에 위치한 접착제 공급장치로부터 접착제를 소정량 공급받아서 균일한 양의 접착제가 토출장치의 토출구에서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정량공급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내, 외판에 토출장치의 토출구에서 정량의 접착제가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토출량의 가감에 따른 콘트롤러의 제어에 대한 응답속도가 빨라져 토출량의 제어가 편리하짐은 물론 정확한 양을 토출함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이 저하되며 완제품은 과토출에 따른 오염이 해소되어 더욱 더 깔끔한 제품을 완성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에 위치한 접착제 공급장치(1)에 호스 또는 공급관에 의하여 정유량공급장치(2)가 연결되고, 이 정유량공급장치(2)는 로보트 암(3)(arm)에 결합된 토출장치(4)에 호스(7) 또는 공급관(7)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접착제 공급장치(1)의 공급관이 도 1의 정유량공급장치(2)의 인렛부(5)에 연결된 상태에서 접착제가 공급되거나 정유량공급장치(2)의 아웃렛부(6)를 통하여 접착제가 토출장치(4)로 공급될 때에는 인렛부(5)측에 결합된 제1밸브(8)와 아웃렛부(6)측에 결합된 제2밸브(9)가 상호반대하게 되는 바, 정유량공급장치(2)의 수용본체(10) 내측으로 접착제가 공급될 때에는 아웃렛부(6)측의 제2밸브(9)는 폐쇄되고, 인렛부(5)측의 제1밸브(8)는 개방되어 수용본체(10)내의 챔버(도시하지 않음)로 접착제가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본체(10)의 챔버에는 내경면과 밀착되며 챔버로 유입되는 접착제의 공급압 및 공급량의 증가에 따라 승강하도록 된 가압부(11)의 하부가 일부 내삽되며, 이 가압부(11)의 상부에는 리드스크류(12)가 수직으로 배치되며, 이 리드스크류(12)의 상부에는 스크류 잭(13)이 설치되는 바, 이 스크류 잭(13)에는 웜휠(도시하지 않음)이 축설되고, 웜휠에 치합되는 웜기어(도시하지 않음)는 리드스크류(12)에 수직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웜기어는 구동모터(14)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어(15)의 최종 출력측과 연결되어 소정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4)는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정, 역회전 가능하여 리드스크류(12)가 정, 역회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크류(12)에는 승강체(16)가 체결되어 리드스크류(1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본체(10)의 챔버내로 접착제가 공급되면 이 접착제는 제2밸브(9)로 배출되지 못함으로써 가압부(11)를 상부로 밀어내어 가압부(11)가 승강하게 한다.
여기서, 리드스크류(12)에 체결된 승강체(16)는 챔버내로 접착제가 공급되기 전에 소정 높이로 승강한 후 멈춤유지상태를 가짐으로써 가압부(11)가 승강하더라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챔버내의 접착제가 소정량 공급되면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제1밸브(8)는 폐쇄되며 구동모터(14)가 회전함에 따라 웜기어, 웜휠이 회전하여 리드스크류(12)의 승강체(16)가 하강함과 더불어 제2밸브(9)가 개방된다.
따라서, 승강체(16)가 가압부(11)를 가압하강시킴으로써, 챔버내부에 수용되는 접착제는 아웃렛부(6)를 통하여 토출장치(4)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정유량공급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장치(4)와 정유량공급장치(2)간의 거리가 멀고, 이에 따라 호스 및 공급관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토출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제어와 동시에 접착제의 양이 조절되지 않고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부터 접착제의 양이 변동되므로 작업부품 및 공정의 변경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늦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히, 자동차 내, 외판끼리를 절곡하여 그 절곡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방수는 물론 접합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정에서는 그 접착제의 양이 많이 토출될 경우 접착제가 절곡부위 외부로 표출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지 못하게 하며, 충분하지 않게 토출될 경우에는 접합 및 방수, 방음의 기능이 원활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토출장치로 토출되는 접착제의 양이 항상 균일하고도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여 토출장치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신속한 대응력을 갖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자동차 내, 외판이 접합되는 소정 위치에 접착제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장치(102)의 상부에 결합되어 원격에 위치한 접착제 공급장치(1)와, 이 접착제 공급장치(1)의 공급관(1a)에 인렛부(103)가 연결되어 접착제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접착제를 임시 수용토록 소정크기의 챔버(105a)가 내측에 형성되고, 토출장치(102)의 공급관(102a)과 연결되어 수용된 접착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부(104)가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05b)를 갖는 원통형상의 수용본체(105)와, 상기 수용본체(105)의 챔버(105a)에 내삽되어 인렛부(103)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피스톤(107a)이 챔버(105a)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이 피스톤(107a) 일측면에 소정 길이의 로드관(107b)이 형성되어 가이드공(106a) 일측으로 관통되는 가압부(107)와, 상기 수용본체(105)의 일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패널(도시하지 않음)의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정, 역회전하도록 된 구동모터(109)와, 수용본체(105)의 일측 소정영역과 개방부(105b)에 외감되며, 개방부(105b)에 가이드공(106a)이 배치되는 마감캡(106)과, 수용본체(105)의 일측 소정위치에 외감되는 제1브라켓(108)과, 구동모터(109)의 외경면 소정영역에 외감되는 제2브라켓(110)과, 구동모터(109) 일측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소정 길이의 스크류 축(111)이 구동모터(109)에 의해 회전되며, 스크류 축(111)의 일단이 로드관(107b)에 일부 삽입되며, 이 스크류 축(111)의 회전에 따라 좌, 우 이송되도록 스크류 축(111)에 이송체(116)가 결합되는 볼 스크류 잭(112)과, 이 스크류 축(111)은 타측으로 배치되게 볼 스크류 잭(112)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113), 상기 제1, 제2, 제3브라켓(108)(110)(11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114)에 일직선으로 관통결합되어 구동모터(109), 볼 스크류 잭(112) 및 스크류 축(111), 수용본체(105) 및 로드관(107b)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도록 하며, 이송체(116)의 양측 안내공(116a)에 삽입되는 가이드봉(115)을 구비하여 접착제 공급장치(1)로부터 접착제를 소정량 공급받아서 균일한 양의 접착제가 토출장치(102)의 토출구에서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정량공급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본체(105)의 인렛부(103)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하는 가압부(107)의 위치를 소정위치에서 감지하여 수용본체(105)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리미트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달성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한 목적은, 자동차 내, 외판이 접합되는 소정 위치에 접착제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장치(102)의 상부에 결합되어 원격에 위치한 접착제 공급장치(1)와, 이 접착제 공급장치(1)의 공급관(1a)에 인렛부(103)가 연결되어 접착제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접착제를 임시 수용토록 소정크기의 챔버(105a)가 내측에 형성되고, 토출장치(102)의 공급관(102a)과 연결되어 수용된 접착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부(104)가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05b)를 갖는 원통형상의 수용본체(105)와, 상기 수용본체(105)의 챔버(105a)에 내삽되어 인렛부(103)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피스톤(107a)이 챔버(105a)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이 피스톤(107a) 일측면에 소정 길이의 로드관(107b)이 형성되어 가이드공(106a) 일측으로 관통되는 가압부(107)와, 상기 수용본체(105)의 일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패널(도시하지 않음)의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정, 역회전하도록 된 구동모터(109)와, 수용본체(105)의 일측 소정영역과 개방부(105b)에 외감되며, 개방부(105b)에 가이드공(106a)이 배치되는 마감캡(106)과, 수용본체(105)의 일측 소정위치에 외감되는 제1브라켓(108)과, 구동모터(109)의 외경면 소정영역에 외감되는 제2브라켓(110)과, 구동모터(109) 일측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소정 길이의 스크류 축(111)이 구동모터(109)에 의해 회전되며, 스크류 축(111)의 일단이 로드관(107b)에 일부 삽입되며, 이 스크류 축(111)의 회전에 따라 좌, 우 이송되도록 스크류 축(111)에 이송체(116)가 결합되는 볼 스크류 잭(112)과, 이 스크류 축(111)은 타측으로 배치되게 볼 스크류 잭(112)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113), 상기 제1, 제2, 제3브라켓(108)(110)(11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114)에 일직선으로 관통결합되어 구동모터(109), 볼 스크류 잭(112) 및 스크류 축(111), 수용본체(105) 및 로드관(107b)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도록 하며, 이송체(116)의 양측 안내공(116a)에 삽입되는 가이드봉(115)을 구비하여 접착제 공급장치(1)로부터 접착제를 소정량 공급받아서 균일한 양의 접착제가 토출장치(102)의 토출구에서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정량공급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측으로 이송되는 이송체(116)의 타측 정지위치와 일측으로 복귀될 때 정지되는 일측 정지위치를 감지하도록 일측과 타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리미트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109)와 접착제를 수용하는 수용본체(105)는 양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구동모터(109)의 구동축에 축설되는 볼 스크류 잭(112)의 스크류 축(111)은 수용본체(105) 일단의 개방부(105b) 내측으로 일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축(111)에는 이송체(116)가 체결되어 스크류 축(111)의 회전에 따라 좌, 우로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수용본체(105)는 제1브라켓(108)에 의하여 외감되며 구동모터(109)는 제2브라켓(110)에 의하여 외감되고, 볼 스크류 잭(112)의 타단에는 스크류 축(111)이 관통되도록 제3브라켓(113)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제3브라켓(108)(110)(113)의 양측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결합공(114)에 가이드봉(115)이 삽입되어 제1, 제2, 제3브라켓(108)(110)(113)이 고정된 상태를 갖도록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고정된 위치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체(116)의 양단에도 안내공(116a)이 형성되어 가이드봉(1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 이송체(116)는 가이드봉(115)을 따라 직선으로 좌,우 이송되어야 하므로 결합수단에 의한 고정은 필요치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본체(105)의 챔버(105a)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07a)이 챔버(105a) 내경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삽되며, 이 피스톤(107a)의 일측단에는 로드관(107b)이 일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105) 일단에 형성된 개방부(105b)에는 마감캡(106)이 외감되며, 이 마감캡(106)은 수용본체(105)와 같이 제1브라켓(108)에 결합고정되며, 마감캡(106)의 일단에는 가이드공(106a)이 형성되는 바, 이 가이드공(106a)으로 로드관(107b)이 관통될 수 있게 하고, 로드관(107b) 일단에는 선택적으로 소정폭의 플랜지(107c)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수용본체(105)로 일부 삽입되는 스크류 축(111)은 상기 로드관(107b)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수용본체(105)의 타단부에는 인렛부(103)와 아웃렛부(104)가 각각 형성되어 인렛부(103)에는 접착제 공급장치(1)의 호스 또는 공급관 및 제1밸브가 결합되며, 아웃렛부(104)에는 토출장치(102)로 향하는 호스 또는 공급관 및 제2밸브가 결합된다.
물론, 본 발명 정유량공급장치(101) 및 접착제 공급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패널은 원격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며, 제어패널의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접착제가 공급됨과 동시에 제1, 제2밸브의 개폐상태가 제어되며, 구동모터(109)의 정, 역회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최초로 상기 수용본체(105)로 접착제를 공급할 때에는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109)를 역회전시켜 볼 스크류 잭(112)의 스크류 축(111)이 역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체(116)가 일단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가압부(107)의 피스톤(107a)은 도 4a와 같이 챔버(105a)의 타 단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밸브는 개방하고 접착제 공급장치(1)로부터 접착제가 인렛부(103)로 공급되도록 하면 인렛부(103)를 통하여 접착제가 챔버(105a)로 유입되면서 그 양이 점차 증가하게 되면 제2밸브가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접착제는 피스톤(107a)을 일측으로 가압하면서 챔버(105a)내부에 충진된다.
따라서. 가압부(107)의 피스톤(107a)이 일측으로 밀리면서 로드관(107b)도 일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07)가 일측으로 이송하는 거리에 따라 챔버(105a)에 충진되는 접착제의 양을 가늠할 수 있는 것으로 제1리미트센서를 도 4에 도시된 B의 위치에 설치하고 제1리미트센서가 로드관(107b)을 감지(예를 들면, 플랜지)하여 콘트롤러로 그 신호를 전달하면 챔버(105a)내부에 접착제가 완전히 충진된 것이므로 콘트롤러는 접착제 공급장치(1)의 접착제 공급을 중단하고, 제1밸브를 폐쇄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리미트센서는 토출장치(102)의 소정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제3브라켓(113)의 소정위치에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결합하여 제1리미트센서의 위치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제2밸브가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 접착제가 챔버(105a)내부에 충진되면,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09)가 정회전하여 볼 스크류 잭(112) 및 스크류 축(111)이 정회전 하는 바, 여기서, 상기 로드관(107b)이 일측으로 완전이송된 상태에서는 로드관(107b)의 일단과 이송체(116)의 타단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모터(109)가 최초 정회전할 때에는 이 이격거리 만큼 회전하여 이송체(116)와 로드관(107b)이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구동모터(109)가 정회전하게 되면 이송체(116)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으로 이송되면서 로드관(107b)을 가압하여 챔버(105a)내부의 피스톤(107a)이 충진된 접착제를 가압하도록 하는 바, 이때, 제2밸브를 개방하여 피스톤(107a)에 의하여 가압되는 접착제가 아웃렛부(104)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아웃렛부(104)로 배출되는 접착제는 토출장치(102)로 공급되어 토출구로 접착제가 토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체(116)가 타측으로 이송될 때에는 타측으로의 최대이송지점을 한정하여 수용본체(105) 및 로드관(107b)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송체(116)의 타측 최대이송지점에 제2리미트센서를 설치하여 이송체(116)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측으로 이송될 때에도 이송체(116)의 최대이송지점을 지정하여 이 위치에 제2리미트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이송체(116)가 좌,우로 이송하면서 볼 스크류 잭(112)과 로드관(107b) 및 수용본체(105)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공급장치는 구동모터 및 수용본체가 일직선상에 배열결합되고 이송체도 일직선상에서 좌우 왕복동하게 됨으로써 이률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로보트 아암의 상부 및 토출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아웃렛부와 토출구의 거리가 종래 수 미터(M)에서 1M 이내로 감소함에 따라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른 응답속도가 빨라져 작업환경의 변경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량률이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종래 정유량공급장치 보다 그 부품수가 크게 감소되어 제조원가 및 제조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 및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삭제
  2. 자동차 내, 외판이 접합되는 소정 위치에 접착제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원격에 위치한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 접착제 공급장치의 공급관에 인렛부가 연결되어 접착제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접착제를 임시 수용토록 소정크기의 챔버가 내측에 형성되고, 토출장치의 공급관과 연결되어 수용된 접착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부가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의 챔버에 내삽되어 인렛부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피스톤이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이 피스톤 일측면에 소정 길이의 로드관이 형성되어 가이드공 일측으로 관통되는 가압부와, 상기 수용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패널의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정, 역회전하도록 된 구동모터와, 수용본체의 일측 소정영역과 개방부에 외감되며, 개방부에 가이드공이 배치되는 마감캡과, 수용본체의 일측 소정위치에 외감되는 제1브라켓과, 구동모터의 외경면 소정영역에 외감되는 제2브라켓과, 구동모터 일측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소정 길이의 스크류 축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스크류 축의 일단이 로드관에 일부 삽입되며, 이 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좌, 우 이송되도록 스크류 축에 이송체가 결합되는 볼 스크류 잭과, 스크류 축은 타측으로 배치되게 볼 스크류 잭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과, 제1, 제2, 제3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에 일직선으로 관통결합되어 구동모터, 스크류 잭 및 스크류 축, 수용본체 및 로드관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게 하며, 이송체의 양측 안내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을 구비하여 접착제 공급장치로부터 접착제를 소정량 공급받아서 균일한 양의 접착제가 토출장치의 토출구에서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정량공급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본체의 인렛부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하는 가압부의 위치를 소정위치에서 감지하여 수용본체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리미트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3. 자동차 내, 외판이 접합되는 소정 위치에 접착제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원격에 위치한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 접착제 공급장치의 공급관에 인렛부가 연결되어 접착제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접착제를 임시 수용토록 소정크기의 챔버가 내측에 형성되고, 토출장치의 공급관과 연결되어 수용된 접착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부가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의 챔버에 내삽되어 인렛부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피스톤이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이 피스톤 일측면에 소정 길이의 로드관이 형성되어 가이드공 일측으로 관통되는 가압부와, 상기 수용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패널의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정, 역회전하도록 된 구동모터와, 수용본체의 일측 소정영역과 개방부에 외감되며, 개방부에 가이드공이 배치되는 마감캡과, 수용본체의 일측 소정위치에 외감되는 제1브라켓과, 구동모터의 외경면 소정영역에 외감되는 제2브라켓과, 구동모터 일측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소정 길이의 스크류 축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스크류 축의 일단이 로드관에 일부 삽입되며, 이 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좌, 우 이송되도록 스크류 축에 이송체가 결합되는 볼 스크류 잭과, 스크류 축은 타측으로 배치되게 볼 스크류 잭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과, 제1, 제2, 제3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에 일직선으로 관통결합되어 구동모터, 스크류 잭 및 스크류 축, 수용본체 및 로드관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게 하며, 이송체의 양측 안내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을 구비하여 접착제 공급장치로부터 접착제를 소정량 공급받아서 균일한 양의 접착제가 토출장치의 토출구에서 정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정량공급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측으로 이송되는 이송체의 타측 정지위치와 일측으로 복귀될 때 정지되는 일측 정지위치를 감지하도록 일측과 타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리미트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KR1020040040007A 2004-06-02 2004-06-02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KR10059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007A KR100599977B1 (ko) 2004-06-02 2004-06-02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007A KR100599977B1 (ko) 2004-06-02 2004-06-02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904A KR20050114904A (ko) 2005-12-07
KR100599977B1 true KR100599977B1 (ko) 2006-07-13

Family

ID=3728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007A KR100599977B1 (ko) 2004-06-02 2004-06-02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48B1 (ko) * 2007-01-25 2009-12-03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700B1 (ko) * 2013-04-22 2014-03-26 류인철 선택적으로 분사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분사로봇용 분사장치 및 그 분사장치가 구성된 자동분사로봇
JP7193739B2 (ja) * 2018-02-02 2022-12-21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吐出装置、および給液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556A (en) 1989-10-25 1991-06-11 Raytheon Company Programmable volume dispensing apparatus
JPH0494759A (ja) * 1990-08-10 1992-03-26 Nissan Motor Co Ltd 塗布材料吐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556A (en) 1989-10-25 1991-06-11 Raytheon Company Programmable volume dispensing apparatus
JPH0494759A (ja) * 1990-08-10 1992-03-26 Nissan Motor Co Ltd 塗布材料吐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48B1 (ko) * 2007-01-25 2009-12-03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904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7340B2 (en) Fluid pressure-feed device
CN111570149B (zh) 一种环保三通管加工装置
KR100599977B1 (ko) 자동차 내, 외판 접합용 접착제 정유량공급장치
CN109174867A (zh) 一种建筑用水泥桶快速清理装置
KR101231002B1 (ko) 실러 공급 장치
US20230235583A1 (en) Mortar applicator and mortar application system having same
CN211996248U (zh) 乳膏填充封尾机
KR20200023063A (ko) 도킹 장치, 실러 도포 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러 도포 시스템
CN211917198U (zh) 脱模剂喷涂机
CN116122876B (zh) 一种隧道内壁锚杆注浆设备
CN117030159A (zh) 一种阀门密封检测装置及使用方法
CN210195980U (zh) 一种可远程控制的隔膜泵
CN206244372U (zh) 一种非接触式热灌装机
JP2000126665A (ja) 接着剤自動塗布装置及び接着剤自動塗布方法
CN112742996A (zh) 一种智能钢筋弯曲设备
JP4563575B2 (ja) パイプ用曲げ加工装置
CN217775192U (zh) 一种液控式棒材夹送装置
CN206050830U (zh) 一种柔性石材生产线传输网带爪轮纠偏装置
CN220182770U (zh) 具有油气回收功能的自动对位鹤管
CN218818264U (zh) 一种电动加湿阀门装置
CN211538416U (zh) 一种机器人定量涂胶装置
CN220048760U (zh) 一种点胶机构
KR200456779Y1 (ko) 접착성물질 정량도포장치의 정량미터유닛
CN112850631B (zh) 用于灌装机械的流量控制装置
JP4554812B2 (ja) 排気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