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857B1 -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857B1
KR100598857B1 KR1020050032563A KR20050032563A KR100598857B1 KR 100598857 B1 KR100598857 B1 KR 100598857B1 KR 1020050032563 A KR1020050032563 A KR 1020050032563A KR 20050032563 A KR20050032563 A KR 20050032563A KR 100598857 B1 KR100598857 B1 KR 10059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jig
door hinge
vehicle
moun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Abstract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차량의 도어힌지를 규제하고, 상기 차량의 바디에 도어힌지를 장착한 후 탈거시키는 도어힌지 규제장치와, 상기 도어힌지 규제장치의 일측으로 상기 브라켓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기준 홀에 삽입된 후 도어힌지 장착지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준 핀장치와, 상기 기준 핀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L'면을 규제하고, 상기 바디의 사이드 인너 패널의 외부를 클램핑하여 상기 장착지그를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바디고정 클램프장치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에어 압에 의해 일정 길이 플로팅을 수행하는 상하방향 플로팅장치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지그를 바디에 고정시키고, 작업 완료 후 상기 바디 전진시 상기 바디와 상기 장착지그의 간섭을 피하게 하는 전후방향 플로팅장치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산포를 흡수하고, 상기 장착지그를 상기 바디 기준으로 세팅하기 위해 일정 길이 플로팅 기능을 수행하는 좌우방향 플로팅장치를 구비하여 된 장착지그와; 상기 장착지그를 제어하며, 차종의 정보를 전송하는 피엘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장착지그는 다차종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장착지그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힌지 장착지그를 개별 분리하여 설치하여 차종별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차종 대응이 가능하여 차종에 추가에 따른 투자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도어힌지를 장착지그에 의존하여 바디 기준으로 장착하므로 품질확보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장착품질 향상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어힌지, 바디, 서보모터, 엘엠 가이드

Description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SYSTEM FOR INSTALLING DOOR HINGE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도어힌지 규제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의 기준 핀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의 바디고정 클램프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의 상하방향 플로팅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디
11. 베이스
12. 브라켓부재
20. 도어힌지 규제장치
30. 기준 핀장치
40. 바디고정 클램프장치
51. 상하방향 플로팅장치
52. 전후방향 플로팅장치
53. 좌우방향 플로팅장치
61. 제1로킹장치
62. 제2로킹장치
70. 푸싱장치
80. 차종별 위치 규제장치
91. 볼 스크루
92. 서보모터
100. 도어힌지 장착지그
110. 피엘시(PLC)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적으로 장착이 가능하게 하고, 다차종 대응이 가능하게 개선된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공정원이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지그에 수동으로 도어힌지를 로딩(loading)한 후에 공정원이 푸시버튼(push button)을 누르면 힌 지 클램프가 작동되어 도어힌지를 고정시켰다.
그리고 상기한 공정원이 장착지그를 수동으로 핸들링(handling)하여 차체 즉, 바디(body)로 로딩 및 세팅(setting)한 후에 도어힌지를 바디에 장착하였다.
또한 상기 도어힌지를 바디에 체결한 후, 작업완료 푸시버튼을 누른 후에 다시 작업자가 장착지그를 핸들링하여 원위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2차종 대응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론트부와 리어부 도어힌지 장착지그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차종 적용이 불가하고, 이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장비가 복잡하였다. 그리고 수동으로 도어힌지 장착지그를 핸들링하여 바디에 장착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 전체적인 작업이 수동으로 대응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은 상기 장착지그 중량이 약 70㎏이상이 되어 작업자가 장착지그를 로딩 및 핸들링시 중량 과다로 인하여 작업이 어렵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어 결국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바디에 장착지그 세팅시 작업자의 작업성 차이로 인한 품질산포가 발생되는 원인을 제공하고, 한 공정에서 2종 차종 이상 흡수가 불가하므로 다차종 생산방식에는 적용이 어렵다.
즉, 종래의 기술은 다차종 생산방식에 부적합하고, 수동 장착지그의 중량 과다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고, 작업자 핸들링시 작업이 어렵다. 그리고 수동 장착지그를 사용하므로 작업 인원이 많이 투입되고, 장착지그의 유동으로 인한 품질산포가 발생되어 결국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다차종에 대응하지 못하므로 차 종 추가에 따른 투자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차종 대응이 가능하고, 공정이 분리되어 장비의 구조가 간단하고 품질확보가 용이하며,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자동으로 차종 변환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차종 변경에 따른 투자비가 절감되도록 한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차량의 도어힌지를 규제하고, 상기 차량의 바디에 도어힌지를 장착한 후 탈거시키는 도어힌지 규제장치와, 상기 도어힌지 규제장치의 일측으로 상기 브라켓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기준 홀에 삽입된 후 도어힌지 장착지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준 핀장치와, 상기 기준 핀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L'면을 규제하고, 상기 바디의 사이드 인너 패널의 외부를 클램핑하여 상기 장착지그를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바디고정 클램프장치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에어 압에 의해 일정 길이 플로팅을 수행하는 상하방향 플로팅장치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지그를 바디에 고정시키고, 작업 완료 후 상기 바디 전진시 상기 바디와 상기 장착지그의 간섭을 피하게 하는 전후방향 플로팅장치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일측에 설치되 어 상기 바디의 산포를 흡수하고, 상기 장착지그를 상기 바디 기준으로 세팅하기 위해 일정 길이 플로팅 기능을 수행하는 좌우방향 플로팅장치를 구비하여 된 장착지그와; 상기 장착지그를 제어하며, 차종의 정보를 전송하는 피엘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장착지그는 다차종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장착지그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은, 다수의 도어힌지 장착지그(이하, 장착지그)(100)와, 피엘시(PLC)(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3은 차량의 도어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상부 도어힌지이고, 4는 도어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하부 도어힌지를 각각 나타내 보인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장착지그는, 베이스(11)와, 이 베이스(11)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부재(12)와, 상기 브라켓부재(12)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차량의 도어힌지(3,4)를 규제하고, 상기 차량의 바디(1)에 도어힌지(3,4)를 장착한 후 탈거시키는 도어힌지 규제장치(20)와, 이 도어힌지 규제장치(20)의 일측으로 브라켓부재(12)에 설치되어 바디(1)의 기준 홀에 삽입된 후 도 어힌지 장착지그(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준 핀장치(30)와, 이 기준 핀장치(3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디(1)의 'L'면을 규제하고, 상기 바디(1)의 사이드 인너 패널의 외부를 클램핑(clamping)하여 장착지그(100)를 상기 바디(1)에 고정시키는 바디고정 클램프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에 채용된 장착지그에는, 상기 브라켓부재(1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에어압(air pressure)에 의해 일정 길이 플로팅(floating)을 수행하는 상하방향 플로팅장치(51)와, 상기 베이스(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지그(100)를 바디(1)에 고정시키고, 작업 완료 후 상기 바디(1) 전진시 이 바디(1)와 장착지그(100)의 간섭을 피하게 하는 전후방향 플로팅장치(52)와, 상기 베이스(11)와 상기 브라켓부재(12)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디(1)의 산포를 흡수하고, 장착지그(100)를 바디(1) 기준으로 세팅(setting)하기 위해 일정 길이 플로팅 기능을 수행하는 좌우방향 플로팅장치(5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피엘시(11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착지그(100)를 제어하며, 차종의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장착지그(100)는 다차종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장착지그(10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11)의 일측에 이동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에는, 상기 장착지그(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장착지그(100)가 차종별 위치에 설정이 된 후 고정시키기 위한 제1로킹장치(61)와, 상기 베이스(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장착지그(100)가 일정 위 치에 오면 고정시키는 제2로킹장치(62)와, 상기 장착지그(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바디(1)에 세팅된 장착지그(100)를 원위치되도록 하는 푸싱(pushing)장치(70)와, 상기한 이동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종별로 장착지그(100)가 소정 위치에 세팅이 되면 세팅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종별 위치 규제장치(80)가 구비된다.
한편,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2는 사이드 아웃터 기준으로 장착지그(100)가 세팅이 되도록 기준을 설정하도록 하는 장착지그(100)의 바디(1) 기준 홀(hole)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참조부호 200,300,400은 각각 장착지그로 차종별로, 즉 4개의 차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착지그가 4조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 이동수단은 도면에는 전부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지의 기술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장착지그의 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착지그(100)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루(ball screw)(91)와, 이 볼 스크루(91)를 작동시키는 서보모터(92)와, 상기 볼 스크루(91)의 작동과 더불어 정밀 이송이 가능하도록 이의 일측에 설치된 엘엠 가이드(LM guid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힌지 규제장치(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후방으로 도어힌지(3,4)를 규제하고, 장착지그(100)가 전진 또는 후진시 도어힌지(3,4)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자석부재와, 상기 도어힌지(3,4)가 바디(1)에 장착이 완료되면 장착지그(100)가 후진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제1실린더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23은 도어힌지(3,4) 규제용 핀 (pin)을 나타내 보인 것이고, 참조부호 24는 도어힌지(3,4) 규제용 클램프(clamp)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핀장치(30)는, 약 ±3mm 이내의 오차는 전방에 설치된 기준핀(31)이 바디(1)의 사이드 아웃터의 기준홀(32)에 삽입된 후 제2실린더(33)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준핀(31)이 팽창하여 최종적으로 바디(1) 기준으로 세팅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34는 에어 배관을 나타내 보인 것이고, 참조부호 A 및 B는 기준핀(31)의 팽창 전후의 사이즈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고정 클램프장치(40)는, 장착지그(100)를 바디(1)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며, 장착지그(100)가 바디(1) 기준으로 핀이 삽입된 후에 L규제 유니트(41)가 사이드 아웃터(1a) 면에 접촉이 된 후 실린더(42)가 작동하여 사이드 인너(1b) 면을 클램핑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방향 플로팅장치(51)는, 가이드 실린더(51a)를 사용하여 상하방향을 에어 레귤레이터(51b)의 제어되는 에어(air)의 힘으로 작동되고, 플로팅량은 약 50mm이다. 또한 도 5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51c는 실린더 로더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은, 다차종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4차종 대응 방식으로, 차종별 대응은 서보 모터(92)로 작동되는 볼스크루(91)를 이용하여 위치를 변환하는 방식으로, 수동으로 장착지그(100)를 바디(1)에 세팅한 후에 도어힌지(3,4)를 장착한 후 자동으로 후진 및 차종을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즉, 공정원이 장착지그(100)를 바디(1)에 세팅하고, 기타 작업은 자동으로 움직이는 구조로 장비의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용이하며, 공정도 축소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디(1)와 도어 조립체의 부품간의 장착 품질은 바디(1)의 산포에 따라 도어 조립체의 부품이 세팅되면 최상의 장착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한 공장에서 다차종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다 보니 도어장착지그를 사용함으로써 다차종 생산에 한계에 부딪히고 있었다.
한 공정에서 도어힌지를 장착을 실행했을 경우 장비의 복잡성과, 차종 대응성, 공간면적 활용도 등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었다. 차종별로 두개의 포스트 타입(post type)으로 차종 대응을 하다보니 4차종 이상에는 대응이 어려워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우선, 상기 피엘시(110)에서 차종별 전송을 받아 볼스크루(91)를 작동시키는 서보모터(92)가 차종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면 장착지그(100)는 볼스크루(91)를 통해 위치이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차종별로 장착지그(100)가 일정 위치에 오면 차종별 위치 및 이탈방지용 장치인 차종별 위치 규제장치(80)가 작동하여 장착지그(100)를 고정시킨다.
또한 프런트 도어힌지의 상부 및 하부 도어힌지(3,4)를 도어힌지 규제장치 (20)에 로딩되면 바디고정 클램프장치(40)가 작동하여 도어힌지(3,4)를 클램핑한다.
이어서, 상기 장착지그(100)가 바디(1)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이 되면, 프런트 도어 바디 기준홀인 장착지그의 바디 기준홀(2)을 통해 장착지그 기준핀(31)이 삽입된다. 이때, 상하방향 플로팅장치(51)의 가이드 실린더(51a)가 작동하여 상하 방향의 위치를 세팅하며, 좌우방향 플로팅장치(53)의 엘엠 가이드를 'T'방향의 위치를 세팅시킨다.
그리고 바디(1) 기준과 장착지그(100)의 위치가 세팅되면 장착지그(100)와 바디(1)를 고정시키는 바디고정 클램프장치(40)가 작동하여 장착지그(100)를 바디(1)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작업자는 바디(1)에 도어힌지(3,4)를 체결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푸싱장치(70)가 작동되어 장착지그(100)는 엘엠 가이드를 통해 후진한다. 그리고 후진된 상태에서 제2로킹장치(62)를 작동시켜 장착지그를 고정시킨다.
그런 후, 다시 피엘시(110)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아 서보모터(92)는 다음 차종으로 장착지그(100)를 이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은, 바디(1)의 프런트 도어힌지부와 리어 도어힌지부를 개별로 분리한 것으로, 차종에 대한 변화는 피엘시(110)의 프로그램을 전송 받아 좌측 및 우측에서 서보모터(92)를 사용하여 차종에 대한 위치값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은, 일정한 위치 및 오 차값을 줄이기 위해 차종별 블록 하부에 로킹(locking)방식을 적용했으며, 전체 움직임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전체 도어힌지 장착지그(100,200,300,400)를 로킹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장착지그(100,200,300,400)는 바디(1) 기준이므로 상하 방향의 움직이는 값은 밸런스 실린더를 사용하여 약 100mm유동량을 부여하였으며, 좌우방향은 엘엠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여 약 50mm 정도를 움직이는 플로팅 량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전후 방향은 바디(1)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약 250mm의 전후진 엘엠 가이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장착지그(100)를 바디(1)에 세팅하기 위해서는 T, L, H 좌표상으로 플로팅을 완료한 후 바디(1)의 홀 기준으로 위치를 설정한 후에 장착지그(100)와 바디(1)간 고정을 위해 중앙부에 바디고정 클램프장치(40)를 추가하여 고정시키면 도어힌지(3,4)는 도어 장착 상태가 T면이 축 정렬이므로 도어힌지(3,4)의 T면이 장착시 유동이 없게 하였다.
그리고 도어힌지(3,4)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장착지그(100)와 도어힌지(3,4)간에 장착지그(100)가 윈 위치 상태가 되어야 하므로 전후 시프트(shift)장치인 가이드 실린더(51a)를 채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도어힌지 장착지그를 개별 분리하여 설치하여 차종별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 여 다차종 대응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종에 추가에 따른 투자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어힌지를 장착지그에 의존하여 바디 기준으로 장착하므로 품질확보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장착품질 향상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장착지그의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의 작업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차량의 도어힌지를 규제하고, 상기 차량의 바디에 도어힌지를 장착한 후 탈거시키는 도어힌지 규제장치와,
    상기 도어힌지 규제장치의 일측으로 상기 브라켓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기준 홀에 삽입된 후 도어힌지 장착지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준 핀장치와,
    상기 기준 핀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L'면을 규제하고, 상기 바디의 사이드 인너 패널의 외부를 클램핑하여 상기 장착지그를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바디고정 클램프장치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에어압에 의해 일정 길이 플로팅을 수행하는 상하방향 플로팅장치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지그를 바디에 고정시키고, 작업 완료 후 상기 바디 전진시 상기 바디와 상기 장착지그의 간섭을 피하게 하는 전후방향 플로팅장치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산포를 흡수하고, 상기 장착지그를 상기 바디 기준으로 세팅하기 위해 일정 길이 플로팅 기능을 수행하는 좌우방향 플로팅장치를 구비하여 된 장착지그와;
    상기 장착지그를 제어하며, 차종의 정보를 전송하는 피엘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장착지그는 다차종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장착지그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지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지그가 차종별 위치에 설정이 된 후 고정시키기 위한 제1로킹장치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지그가 일정 위치에 오면 고정시키는 제2로킹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지그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바디에 세팅된 상시 장착지그를 원위치되도록 하는 푸싱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종별로 상기 장착지그가 소정 위치에 세팅이 되면 세팅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종별 위치 규제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장착지그의 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착지그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루와, 상기 볼스크루를 작동시키는 서보모터 및 엘엠 가이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힌지 규제장치에는, 이의 후방으로 상기 도어힌지를 규제하고, 상기 장착지그가 전진 또는 후진시 상기 도어힌지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자석부재와, 상기 도어힌지가 상기 바디에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장착지그가 후진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제1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KR1020050032563A 2005-04-20 2005-04-20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KR100598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563A KR100598857B1 (ko) 2005-04-20 2005-04-20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563A KR100598857B1 (ko) 2005-04-20 2005-04-20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857B1 true KR100598857B1 (ko) 2006-07-11

Family

ID=3718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563A KR100598857B1 (ko) 2005-04-20 2005-04-20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8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957A (ko) * 2011-10-13 2013-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KR101371489B1 (ko) 2012-12-17 201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의 자동 장착 시스템
KR101416418B1 (ko) * 2013-06-14 2014-07-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축선 조정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US9305417B2 (en) 2014-01-02 2016-04-05 Kia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supplying device of door hing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957A (ko) * 2011-10-13 2013-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KR101703572B1 (ko) 2011-10-13 2017-0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KR101371489B1 (ko) 2012-12-17 201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의 자동 장착 시스템
KR101416418B1 (ko) * 2013-06-14 2014-07-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축선 조정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US9305417B2 (en) 2014-01-02 2016-04-05 Kia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supplying device of door hin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857B1 (ko) 차량의 도어힌지 장착 시스템
CN107804389B (zh) 一种汽车前端模块总成自动居中的装配工装及方法
KR101294073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US20120125974A1 (en) Complete floor welding system for various vehicle models
KR20120059702A (ko) 다차종 공용 펜더 장착 지그 장치
CN103252738B (zh) 一种汽车后背门装配定位工装
KR20130039957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CA244766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body panel to an automotive vehicle frame
DE102014209245A1 (de) Türscharnier-lad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EP3950440A1 (en) Mounting platform, battery replac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58389B1 (ko) 차량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N107486856B (zh) 一种汽车前端模块装配机械手及汽车前端模块装配方法
US5796615A (en) Correcting method of automobile&#39;s door frame and means thereof
JP2002068037A (ja) 自動車ボディへのドアヒンジ組み付け治具
KR100588575B1 (ko) 도어 힌지 장착 시스템
KR100460907B1 (ko) 용접용 로봇의 로봇 행거
KR20090114031A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후드 장착유닛 및 그 제어방법
KR100460862B1 (ko) 차량의 도어 힌지 세팅 시스템
CN203361789U (zh) 一种车门锁扣安装调整装置
KR102181386B1 (ko) 다차종 도어 힌지 조립 장치
KR102060767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파이프의 회전방지 조립 지그
CN209035813U (zh) 一种引擎盖定位装置
KR102253695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CN219788845U (zh) 一种埋板安装打孔定位辅助工具
KR101331630B1 (ko)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