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291B1 -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291B1
KR100598291B1 KR1020000033985A KR20000033985A KR100598291B1 KR 100598291 B1 KR100598291 B1 KR 100598291B1 KR 1020000033985 A KR1020000033985 A KR 1020000033985A KR 20000033985 A KR20000033985 A KR 20000033985A KR 100598291 B1 KR100598291 B1 KR 10059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ilm
forming
copper wiring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050A (ko
Inventor
박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3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2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83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liquid, e.g. electrolytic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세 구리 입자가 함유된 용액을 스핀 도포하여 얇은 구리막을 형성하고 스핀 도포 장치에서 전자기파 조사 및 열처리 등의 후처리를 실시하여 도포된 구리막 내부의 구리 입자 주변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확산 방지막과의 접착성을 개선시켜 좁은 비아홀 및 트렌치를 공공없이 매립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이 제시된다.
구리 배선, 스핀 도포, 전자기파 조사, 열처리, 들뜸 방지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a copper wiring in a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및 21 : 반도체 기판 12 및 22 : 층간 절연막
13 및 23 : 연마 정지막 14 및 24 : 확산 방지막
15 : 구리막 16 : 잔류물
25 : 제 1 구리막 26 : 제 2 구리막
27 : 제 3 구리막 28 : 구리 배선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세 구리 입자가 함유된 용액을 스핀 도포하여 얇은 구리막을 형성하고 스핀 도포 장치에서 전자기파 조사 열처리 등의 후처리를 실시하여 도포된 구리막 내부의 구리 입자 주변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확산 방지막과의 접착성을 개선시켜 좁은 비아홀 및 트렌치를 공공없이 매립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급격한 고성능화 추세로 인하여 소자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마신 패턴상에 확산 방지막과 구리 시드층을 증착하고 그 상부에 전기도금법을 이용한 구리 배선 형성 공정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0.15㎛ 이하의 디자인 룰을 갖는 소자의 금속 배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전기도금법은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층덮힘성이 우수하고, 매립 특성이 뛰어난 CVD 방법이나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에서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에 의한 구리 배선 형성 방법은 미세 패턴의 매립 특성이 우수하고, 기존의 층간 절연막 형성 장비인 SOG 장비와 공정이 매우 유사하게 진행되므로 추가적인 설비 투자가 거의 필요없어 매우 유망한 공정이다.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은 구리 용액을 일정한 두께로 스핀 도포하고, 열처리 공정을 수회 반복하여 원하는 두께의 구리막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은 초미세 구리 입자를 용액에 안정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초미세 구리 입자를 계면 활성제 등의 보호막으로 피복하여 용액속에 분산시킨다. 이러한 피복제나 용액내의 용매 또는 첨가제는 도포 후 열처리 과정에서 구리 입자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구리막과 확산 방지막과의 접착 특성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 이 때문에 후속 CMP 공정시 구리막과 확산 방지막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고, 주변 소자 및 장비를 오염시키며, 구리중의 불순물의 함량이 증가되어 후속 열처리 공정중의 가스 발생에 의한 배선의 단락 또는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 등의 소자 신뢰성에 상당한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을 이용한 구리 배선 형성 공정을 도 1(a) 및 도 1(b)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를 참조하면,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1) 상부에 층간 절연막(12)이 형성되고, 층간 절연막(12)의 소정 영역이 다마신 공정으로 식각되어 반도체 기판(11)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이 형성된다. 콘택홀이 형성된 층간 절연막(12) 상부에 연마 정지막(13)이 형성된다. 전체 구조 상부에 확산 방지막(14)이 형성된다.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두께로 용액 상태의 구리막이 형성되고, 베이킹 공정이 2∼3회 반복된 후 결정화 및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구리막(15)이 형성된다. 그런데, 구리막(15) 내부의 구리 입자 주변에 계면 활성제등의 불순물(16)이 잔류하게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CMP 공정에 의해 구리막(15)이 연마되어 평탄화되므로 구리 배선이 형성된다. 그런데, 구리막(15)의 구리 입자 주변에 존재하는 계면 활성제등의 불순물(16)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CMP 공정도중 확산 방지막(14)과 구리막(15)의 계면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을 이용한 구리 배선 형성 공정에서 구리막의 구리 입자 주변에 존재하는 계면 활성제등의 불순물에 의한 들뜸 현상등을 방지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의 소정 영역이 식각되어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이 형성된 층간 절연막 상부에 연마 정지막이 형성되고, 전체 구조 상부에 확산 방지막이 형성되는 단계와,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을 이용하여 용액 상태의 구리막을 형성시킨 후 전자기파 조사 및 열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단계와, 상기 용액 상태의 구리막 형성, 전자기파 조사 및 열처리 공정이 구리막이 소정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되는 단계와, 결정화 및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이 실시된 후 CMP 공정이 실시되어 구리 배선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21) 상부에 저유전율의 층간 절연막(22)이 형성되고, 층간 절연막(22)의 소정 영역이 싱글 또는 듀얼 다마신 공정으로 식각되어 반도체 기판(21)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22)은 폴리머 계열의 유기막 또는 무기물 계열의 저밀도막이 스핀 온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메칠 또는 에칠을 함유한 반응 소오스를 이용하여 CVD 방법으로 형성된 탄소가 함유된 막 또는 저밀도 산화막으로 형성되며, 그 두께는 3000∼20000Å으로 형성된다. 콘택홀이 형성된 층간 절연막(22) 상부에 연마 정지막(23)이 형성된다. 연마 정지막(23)은 구리의 확산 방지 특성을 가지도록 질소가 함유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질화산화막 또는 탄화 실리콘막이 CVD 방법으로 형성된다. 전체 구조 상부에 TiNx, Ti, Ta, TaNx, TaCx, WxN, TiSiNx, TaSiNx, WSiNx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확산 방지막(24)이 형성된다. 확산 방지막(24)은 CVD 방법 또는 PVD 방법으로 100Å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어 콘택홀의 측벽에서 10Å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한다.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을 이용하여 10∼2000Å의 두께로 용액 상태의 제 1 구리막(25)이 형성된다. 용액 상태의 제 1 구리막(25)이 형성된 웨이퍼를 같은 도포 장비에서 기판이 놓인 스테이션을 이동시키거나 같은 장비내에서 다른 챔버를 이용하여 자외선, 적외선, X-선, 감마선 등의 전자기파를 조사한다. 그리고, 100∼400℃의 온도와 0.001mTorr∼760Torr의 압력을 유지하는 H2, NH3, 불활성 가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분위기에서 10초 내지 10분정도 열처리한다. 또한, 열처리는 100∼250℃에서 1차로 실시한 후 200∼400℃로 상승시켜 2차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액 상태의 제 1 구리막(25) 내부의 구리 입자 주변에 피복된 계면 활성제 등의 피복막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구리막(25)이 형성된 상태에서 동일 도포 장비를 이용하여 원하는 두께로 구리막이 형성될 때까지 구리 용액의 도포, 전자기파 조사 및 열처리가 실시되어 제 2 및 제 3 구리막(26 및 27)이 형성된다. 예를들어 1000∼5000Å 두께의 구리 용액의 스핀 도포와 전자기파 조사 및 열처리를 1회 내지 3회 반복하여 5000Å 이상의 구리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결정화 및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를 실시하고 CMP 공정을 실시하여 구리막(27, 26 및 25) 및 확산 방지막(24)을 연마하여 다마신 패턴 내부에만 안정한 구리 배선(28)을 형성시킨다. 결정화 및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은 200∼500℃의 온도와 0.001mTorr∼760Torr의 압력을 유지하는 H2, NH3,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분위기에서 5분 내지 30분동안 실시하거나 동일 조건에서 30초 내지 5분 동안 급속 열처리한다. 또한, 구리 배선(28)을 형성하기 위한 CMP 공정은 Al2O3가 함유된 슬러리를 이용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핀 도포에 의해 구리막을 형성하였지만 Cu 이외에 Au, Ag, Al, Pt, Co, Mn, Ni, Cr, Ti, V, Fe, Zn, W, Ir, Zr, Ru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가능한 금속 배선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낮은 콘택 저항을 확보할 수 있고 좁은 콘택홀을 용이하게 매립할 수 있으며, 확산 방지막과 구리 배선과의 접착 특성을 개선시켜 CMP 공정 도중 이들 계면에서의 들뜸 현상 없이 양호한 구리 배선을 형성할 수 있어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고, 상기 층간 절연막의 소정 영역이 식각되어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이 형성된 층간 절연막 상부에 연마 정지막이 형성되고, 전체 구조 상부에 확산 방지막이 형성되는 단계와,
    구리 용액 스핀 도포법을 이용하여 용액 상태의 구리막을 형성시킨 후 전자기파 조사 및 열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단계와,
    상기 용액 상태의 구리막 형성, 전자기파 조사 및 열처리 공정이 구리막이 소정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되는 단계와,
    결정화 및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이 실시된 후 CMP 공정이 실시되어 구리 배선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폴리머 계열의 유기막 또는 무기물 계열의 저밀도막이 스핀 온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메칠 또는 에칠을 함유한 반응 소오스를 이용하여 CVD 방법으로 형성된 탄소가 함유된 막 또는 저밀도 산화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은 3000 내지 2000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정지막은 CVD 방법으로 형성된 질소가 함유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질화산화막 또는 탄화 실리콘막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지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방지막은 TiNx, Ti, Ta, TaNx, TaCx, WxN, TiSiNx, TaSiNx, WSiNx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로 형성되는 구리막은 10 내지 200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조사는 상기 구리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같은 도포 장비에서 기판이 놓인 스테이션을 이동시키거나 같은 장비내에서 다른 챔버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조사는 자외선, 적외선, X-선 및 감마선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100 내지 400℃의 온도와 0.001mTorr 내지 760Torr의 압력을 유지하는 H2, NH3, 불활성 가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분위기에서 10초 내지 10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100∼250℃에서 1차로 실시한 후 200 내지 400℃로 상승시켜 2차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구리막의 두께가 5000Å 이상이 되도록 용액 상태의 구리막이 1000 내지 5000Å의 두께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및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은 200 내지 500℃의 온도와 0.001mTorr 내지 760Torr의 압력을 유지하는 H2, NH3,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분위기에서 5분 내지 30분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및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은 200 내지 500℃의 온도와 0.001mTorr 내지 760Torr의 압력을 유지하는 H2, NH3,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분위기에서 30초 내지 5분 동안 실시되 는 급속 열처리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대신에 Au, Ag, Al, Pt, Co, Mn, Ni, Cr, Ti, V, Fe, Zn, W, Ir, Zr, Ru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KR1020000033985A 2000-06-20 2000-06-20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KR10059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985A KR100598291B1 (ko) 2000-06-20 2000-06-20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985A KR100598291B1 (ko) 2000-06-20 2000-06-20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50A KR20020000050A (ko) 2002-01-04
KR100598291B1 true KR100598291B1 (ko) 2006-07-07

Family

ID=1967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985A KR100598291B1 (ko) 2000-06-20 2000-06-20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789A (ko) * 2002-07-25 2004-01-31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9205B1 (ko) * 2005-12-27 2007-08-1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휴대용 디지털 기기
KR20090061723A (ko) 2007-12-12 2009-06-17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의 패드 오픈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2035A (ja) * 1989-10-18 1991-06-05 Toshiba Corp 薄膜形成方法
JPH065605A (ja) * 1992-06-16 1994-01-14 Seiko Epson Corp 電極配線法
KR0144643B1 (ko) * 1994-12-28 1998-08-17 심상철 금속흡착법에 의한 다결정 규소박막의 제조방법
KR19980057123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환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2035A (ja) * 1989-10-18 1991-06-05 Toshiba Corp 薄膜形成方法
JPH065605A (ja) * 1992-06-16 1994-01-14 Seiko Epson Corp 電極配線法
KR0144643B1 (ko) * 1994-12-28 1998-08-17 심상철 금속흡착법에 의한 다결정 규소박막의 제조방법
KR19980057123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환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50A (ko) 200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432B1 (en) H2-or H2/N2-plasma treatment to prevent organic ILD degradation
US7253105B2 (en) Reliable BEOL integration process with direct CMP of porous SiCOH dielectric
KR100516337B1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0550304B1 (ko) 하이드로겐-실세스퀴옥산(hsq)으로 갭이 채워진 패터닝된 금속층들을 갖는 경계없는 비아들
US6436808B1 (en) NH3/N2-plasma treatment to prevent organic ILD degradation
CN100365796C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US7416985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multilayer interconnection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6333248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827820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64701A1 (en) Formation of low resistance via contacts in interconnect structures
US7202160B2 (en) Method of forming an insulating structure having an insulating interlayer and a capping layer and method of forming a metal wiring structure using the same
US6417098B1 (en) Enhanced surface modification of low K carbon-doped oxide
US6093635A (en) High integrity borderless vias with HSQ gap filled patterned conductive layers
KR100598291B1 (ko)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US7541296B2 (en) Method for forming insulating film,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20010018273A1 (en) Method of fabricating copper interconnecting line
KR100387256B1 (ko)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형성 방법
JP520043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340460A (ja) 半導体装置の形成方法
JP200025235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1967522B2 (en) Amorphous layers for reducing copper diffusion and method forming same
JP200312431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US6358841B1 (en) Method of copper CMP on low dielectric constant HSQ material
JP2005064521A (ja) 集積回路の銅配線用拡散バリア
KR100648565B1 (ko) 다층 배선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