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287B1 -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 Google Patents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287B1
KR100596287B1 KR1020047010870A KR20047010870A KR100596287B1 KR 100596287 B1 KR100596287 B1 KR 100596287B1 KR 1020047010870 A KR1020047010870 A KR 1020047010870A KR 20047010870 A KR20047010870 A KR 20047010870A KR 100596287 B1 KR100596287 B1 KR 100596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resistance
magnesium alloy
room temperature
allo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314A (ko
Inventor
후쿠즈미다쓰오
스에무네가즈나리
다카하시스스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g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Cooker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실온성형이 가능하고 내식성에 뛰어난 마그네슘합금을 제공한다. 즉, 질량%로 Li:8.0∼11.0%, Zn:0.1∼4.0%, Ba:0.1∼4.5%를 함유하고, 잔부는 Mg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합금, 또한, Al: 0.1∼0.5%를 함유하는 것, 또한, Ln(란타노이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총량): 0.1∼2.5%, Ca: 0.1∼1.2%를 함유하는 마그네슘합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ROOM-TEMPERATURE- FORMABLE MAGNESIUM ALLOY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 각종 가전제품 및 각종 OA 기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높은 비강도(比强度)를 가진 마그네슘합금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식성에 뛰어나며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합금은 경량으로 전자파 차단성이나 절삭성, 리사이클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실용적인 합금으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실온에서의 소성가공이 곤란한 점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프레스성형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마그네슘합금은, 온도(150∼350℃)사이에서의 성형이 필요하며, 작업성, 안전성, 비용면에서도 실온성형성을 가진 재료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Mg는 결정구조가 육방정(h.c.p.)으로 소성변형시 미끄럼면(slip plane)이 적기 때문에, 성형성이 나쁘다고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Mg에의 각종 원소의 첨가에 의한 결정구조의 변화(미끄럼면의 증가)에 의한 성형성의 향상에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Mg-Li 공정합금(共晶合金)은, 6% 이상의 Li의 첨가에 의해 Mg에 Li를 고용한 체심입방정(b.c.c.)인 β상을 정출시켜, 성형성을 향상시킨 합금 이다. 이 Mg-Li 공정합금은, 실온에서의 성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특징을 살림으로써 새로운 가공방법의 가능성이 크게 넓어진다.
그러나, 이 Mg-Li 공정합금은 실온성형성에 뛰어나지만, 성형성의 향상에 따른 인장강도의 저하 및 Li와 같은 활성원소의 첨가에 의한 내식성의 저하와 같은 결점이 있다. 인장강도 및 내식성의 향상을 위해 Al, Zn 등을 다량으로 첨가한 경우에는, 이 합금의 특징인 실온성형성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큰 마이너스효과가 나타난다.
인장강도에 관해서는, Mg-Li 합금에 Y를 첨가함으로써 강도향상과 강도안정성의 향상에 대한 제안(일본 특허공보 평8-23057호 공보 참조)이 있지만, Li와 같이 활성원소인 Y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식성에 관한 과제는 여전히 남은 상태이다.
또한, Mg-Li 공정합금에 Ag를 첨가한 합금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향상한다고 하는 보고도 있지만, Ag와 같은 고가의 재료의 사용은 합금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므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실온성형이 가능하면서 더욱이 내식성에 뛰어난 마그네슘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1)∼(3)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질량%로, Li: 8.0∼11.0%, Zn: 0.1∼4.0%, Ba: 0.1∼4.5%를 함유하며, 잔부는 Mg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2) 상기 (1)에 질량%로, Al: 0.1∼0.5%를 더욱 함유하는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3) 상기 (1) 또는 (2)에 질량%로, Ln(란타노이드(lanthanoids)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총량): 0.1∼2.5%, Ca: 0.1∼1.2%를 더욱 함유하는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의 한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하, %는 질량%이다.
Li:Mg의 결정구조(h.c.p.)를 개선하여, 성형성을 갖기 위해서는 8.0% 이상의 Li가 필요하다. 한편, 11.0%을 넘는 첨가는 조직이 b.c.c.단상(單相)이 되어, 실온성형성이 향상하지만, 내식성이 저하한다. 따라서, 인장강도 및 내식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Li의 범위는 8.0∼11.0%로 한다.
Zn:Zn은 내식성, 강도를 개선하는 원소이지만, 성형성 저하의 악영향도 동시에 미치기 때문에, 실온성형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량으로 첨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마이크로조직 관찰의 결과로서는, Mg-Li 공정합금에 대하여, 2% Zn을 첨가한 합금에 있어서 성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α상(h.c.p.의 Mg상)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압연시험, 인장시험 및 내식시험의 결과를 기초로, Zn의 범위는 0.1∼4.0%로 한다.
Ba:Ba는 b.c.c.이지만 Mg에의 고용한도는 작고, Mg와의 금속간 화합물 (Mg17Ba2)이 형성된다. Mg17Ba2는, Mg-Li의 공정반응온도인 588℃에 가깝고, 그보다도 높은 온도인 634℃에서 석출하기 때문에 α및 β상의 정출시에 그 핵으로서 작용하여, α및 β상의 미세화, 분산균일화를 달성한다. 단, Mg17Ba2는 h.c.p.이기 때문에, 존재량이 증가하면 성형성 저하의 악영향이 우려된다. 따라서, 인장강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Ba의 범위는 0.1∼4.5%로 한다.
상기 (2)에 있어서의 Al의 첨가이유는 아래와 같다.
Al:Al는 내식성, 강도를 크게 개선하는 원소이지만, 강도상승에 동반하여 성형성 저하의 악영향도 크기 때문에, 실온성형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량으로 첨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내식성 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식성 개선효과로부터 하한을 O.1%로 하고, 인장시험(신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온성형성을 가진 범위인 0.5%를 상한으로 한다.
상기 (3)에 있어서의 Ln, Ca의 조성한정이유는 아래와 같다.
Ln:Ln(La, Ce, 미시메탈(misch metal) 등)은 내식성, 내열성을 개선하는 원소이지만, 인장강도 저하의 악영향도 동시에 미치게 한다. 또, 고가의 재료이기 때문에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합금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므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인장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Ln의 범위는 0.1∼2.5%로 한다.
Ca:Ca는 인장강도를 개선하는 원소이지만, 내식성 저하의 악영향도 동시에 미치게 하기 때문에, 다량으로 첨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인장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강도개선 효과로부터 하한을 O.1%로 하고, 내식성 시험의 결과를 기초로 상한을 1.2%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원소의 성분범위를 취하는 것에 의해, 실온성형이 가능하고 내식성에 뛰어난 마그네슘합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02∼103kPa로 조정한 아르곤 분위기의 고주파 유도 용해로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합금을 용제(溶製)하였다. 용해는 스텐레스 도가니를 사용하며, 플럭스 등은 사용하지 않았다. 용탕은 250mm ×300mm ×30 mmt의 금형에 주입하는 것으로, 시험용 잉곳(ingot)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잉곳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여, 마이크로조직 관찰을 실시하였다.
시험편 10 mm ×10mm ×5mmt (주조방향의 단면을 경면(鏡面)연마)
열처리 없음 (As Cast)
에칭조건 나이탈 용액으로 10초간 부식하고, 세정 후 건조
그 후, 0.6mmt까지 압연하여, (1) 인장시험, (2) 내식시험을 실시하였다.
(1) 인장시험 조건
장치 시마즈 오토그래프(AJ-100kNB)
시험편 두께 0.6mmt, 표점간 폭 5mm, 표점간 길이 40mm
[JIS(일본공업규격)Z2201에 규정된 시험편 13B호의 8/12.5배
사이즈의 시험편, 압연방향에서 채취]
열처리조건 없음(As Roll)
분위기 실온, 대기중
인장속도 2mm/min (초기 잡아당김 속도 8.3 ×10-4s-1 )
평가 인장강도, 신장
(2) 내식시험 조건
장치 바닷물 분무시험기 스가시험기
시험편 60mm ×120mm ×0.6mmt
열처리조건 없음(As Roll)
분무용액 35℃, 5% NaCl수용액
분무압 1kgf/cm2
평가 부식손상부(부식반응부)를 제거하여, 손상부 면적율을 측정
인장시험 및 내식시험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표 1의 'Ln'은, Ce, La를 합계 95% 이상 포함하고, 잔여물이 다른 란타노이드 계열의 원소로 이루어진다.
표 1
Figure 112004030874943-pct00001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마그네슘합금은, 실온성형이 가능하고 내식성에 뛰어난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용 부품, 각종 가전제품 및 각종 OA 기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높은 비강도(比强度)를 가진 마그네슘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질량%로, Li: 8.0∼11.0%, Zn: 0.1∼4.0%, Ba: 0.1∼4.5%를 함유하고, 잔부는 Mg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2. 제 1 항에 있어서, 질량%로, Al: 0.1∼0.5%를 더욱 함유하는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질량%로, Ln(란타노이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총량): 0.1∼2.5%, Ca: 0.1∼1.2%를 더욱 함유하는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KR1020047010870A 2002-11-06 2003-10-30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KR100596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22180 2002-11-06
JP2002322180A JP3852769B2 (ja) 2002-11-06 2002-11-06 耐食性に優れた室温成形可能なマグネシウム合金
PCT/JP2003/013948 WO2004042099A1 (ja) 2002-11-06 2003-10-30 耐食性に優れた室温成形可能なマグネシウム合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314A KR20040071314A (ko) 2004-08-11
KR100596287B1 true KR100596287B1 (ko) 2006-06-30

Family

ID=3231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870A KR100596287B1 (ko) 2002-11-06 2003-10-30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38049B2 (ko)
EP (1) EP1559803B1 (ko)
JP (1) JP3852769B2 (ko)
KR (1) KR100596287B1 (ko)
AU (1) AU2003280650A1 (ko)
CA (1) CA2470969C (ko)
TW (1) TWI235182B (ko)
WO (1) WO2004042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5042A1 (en) 2006-03-18 2007-09-19 Acrostak Corp. Magnesium-based alloy with improved combination of mechanical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EP2000551B1 (en) 2007-05-28 2010-09-22 Acrostak Corp. BVI Magnesium-based alloys
WO2009053969A2 (en) * 2007-10-22 2009-04-30 Advanced Getter Innovations Ltd. Safe gas sorbents with high sorption capacity on the basis of lithium alloys
DE102008039683B4 (de) * 2008-08-26 2010-11-04 Gkss-Forschungszentrum Geesthacht Gmbh Kriechbeständige Magnesiumlegierung
GB0817893D0 (en) * 2008-09-30 2008-11-05 Magnesium Elektron Ltd Magnesium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TWI545202B (zh) 2016-01-07 2016-08-11 安立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輕質鎂合金及其製造方法
WO2018021361A1 (ja) * 2016-07-26 2018-02-01 株式会社三徳 マグネシウム-リチウム合金及びマグネシウム空気電池
JP6940759B2 (ja) * 2017-07-31 2021-09-29 富士通株式会社 マグネシウム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CN108546861B (zh) * 2018-04-18 2020-07-14 长沙新材料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超轻镁合金带材的制备方法
CN114807703A (zh) * 2022-03-25 2022-07-2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高固溶含量的高强高塑镁锂合金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4918A (en) * 1945-03-22 1949-03-22 Magnesium Elektron Ltd Magnesium base alloys
GB613167A (en) * 1945-09-14 1948-11-23 Mathieson Alkali Work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gnesium-base alloys
US3119684A (en) * 1961-11-27 1964-01-28 Dow Chemical Co Article of magnesium-base alloy and method of making
JPS52119409A (en) * 1976-03-31 1977-10-06 Osaka Daigakuchiyou Method of producing of high strength magnesium hypooeutectic high damping capacity alloy
JPH0823057B2 (ja) 1992-03-25 1996-03-0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超塑性マグネシウム合金
JPH07122111B2 (ja) * 1993-03-26 1995-12-2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超塑性マグネシウム合金
JPH0941066A (ja) * 1995-08-01 1997-02-1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冷間プレス加工可能なマグネシウム合金
JP3611759B2 (ja) * 1999-10-04 2005-01-19 株式会社日本製鋼所 耐熱性と鋳造性に優れたマグネシウム合金およびマグネシウム合金耐熱部材
JP2001247925A (ja) * 2000-03-03 2001-09-14 Japan Steel Works Ltd:The 流動性に優れた高延性マグネシウム合金およびマグネシウム合金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0650A1 (en) 2004-06-07
CA2470969A1 (en) 2004-05-21
WO2004042099A1 (ja) 2004-05-21
JP2004156089A (ja) 2004-06-03
US6838049B2 (en) 2005-01-04
EP1559803A1 (en) 2005-08-03
KR20040071314A (ko) 2004-08-11
JP3852769B2 (ja) 2006-12-06
EP1559803B1 (en) 2013-11-27
EP1559803A4 (en) 2006-04-26
US20040247480A1 (en) 2004-12-09
TW200413545A (en) 2004-08-01
CA2470969C (en) 2008-01-15
TWI235182B (en)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22112A1 (ja) 純銅板
US6896750B2 (en) Tantalum modified amorphous alloy
JP2008024964A (ja) 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06926B (zh) 镁锂合金、由镁锂合金构成的轧制材料及含有镁锂合金作为原材料的被加工品
JPWO2005056859A1 (ja) ベークハード性およびヘム加工性に優れたAl−Mg−Si合金板の製造方法
KR100596287B1 (ko) 내식성에 뛰어난 실온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합금
JP2009520109A (ja) 改善された高温特性を有するドープされたイリジウム
JP6176393B2 (ja) 曲げ加工性と形状凍結性に優れた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2004160543A (ja) 加工性に優れた含Ti銅合金板または条製造用鋳塊の製造方法
JP3590685B2 (ja) 自動車外板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CN100482834C (zh) 易加工性镁合金及其制造方法
JP4325126B2 (ja) 温間成形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法
EP2692883B1 (en) Mg-al-ca-based master alloy for mg alloy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S581046A (ja) 電解コンデンサ用アルミニウム合金箔およびその製造法
JP6719219B2 (ja) 成形性に優れる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589443B2 (ja) Al−Si−Mg系アルミニウム合金板、該合金板の製造方法及び合金板を用いた自動車用部品
JP6857535B2 (ja) 成形性、曲げ加工性および耐デント性に優れた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387548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物の製造方法
KR101170453B1 (ko) 쌍롤주조법을 이용한 마그네슘-알루미늄-망간 합금 주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마그네슘-알루미늄-망간 합금 주편
JP2010285671A (ja)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とその製造方法
JPS6365402B2 (ko)
JP3763234B2 (ja) 高強度高導電率高耐熱性銅基合金の製造方法
JP3498943B2 (ja) 表面性状に優れる成形加工用Al−Mg−Si系アルミニウム合金板
KR0154401B1 (ko) 고연성 알루미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H0823058B2 (ja) 超塑性マグネシウム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