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015B1 -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015B1
KR100596015B1 KR1020040085243A KR20040085243A KR100596015B1 KR 100596015 B1 KR100596015 B1 KR 100596015B1 KR 1020040085243 A KR1020040085243 A KR 1020040085243A KR 20040085243 A KR20040085243 A KR 20040085243A KR 100596015 B1 KR100596015 B1 KR 10059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cutting blade
blade
chamber
une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508A (ko
Inventor
코바야시시게오
쿠기미야케이
나카이쇼지
미야모토아키후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탈곡물의 절단처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탈곡몸통의 탈곡치와 절단칼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탈곡실(1) 내에 탈곡몸통(3)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扱口, 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을 절단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곡장치, 탈고실, 탈곡치(齒), 처리실, 절단칼날

Description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Threshing Machine of Harvester}
도 1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2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3은 탈곡실의 확대 정면도.
도 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5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우측면도.
도 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좌측면도.
도 7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도 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배면도.
도 9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도 1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저면도.
도 11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12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13은 탈곡실의 확대 정면도.
도 1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15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우측면도.
도 1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좌측면도.
도 17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도 1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배면도.
도 19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도 2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저면도.
도 21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22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23은 탈곡실의 확대 정면도.
도 2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25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우측면도.
도 2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좌측면도.
도 27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도 2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배면도.
도 29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도 3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저면도.
도 31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32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33 탈곡실의 확대 정면도.
도 3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35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우측면도.
도 3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좌측면도.
도 37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도 3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배면도.
도 39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도 4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저면도.
도 41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42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43은 탈곡실의 확대 정면도.
도 4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45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우측면도.
도 4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좌측면도.
도 47은 절단칼날의 정면도.
도 4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배면도.
도 49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도 5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저면도.
도 51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52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53은 탈곡실의 확대 정면도.
도 5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55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우측면도.
도 5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좌측면도.
도 57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도 5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배면도.
도 59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도 6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저면도.
도 61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62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63은 처리실의 확대 정면도.
도 64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65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66은 처리실의 확대 정면도.
도 67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68은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69 처리실의 확대 정면도.
도 70은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71은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72는 처리실의 확대 정면도.
도 73은 탈곡장치의 절단 측면도.
도 74는 탈곡장치 앞측의 처리 몸통부분에 있어서의 절단 정면도.
[부호의 설명]
B ... 나사부재 F ... 배출 쓰레기팬
K ... 격자상(格子狀) 부재 S ... 처리망
1 ... 탈곡실 2 ... 탈곡치(齒)
3 ... 탈곡몸통(扱胴) 4 ... 받침망
6 ... 처리실 7 ... 처리치(齒)
8 ... 처리몸통 9 ... 이송체인
10 ... 탈곡구(扱口) 11 ... 배출 지푸라기 체인
12 ... 절단칼날 13 ... 설치부
14 ... 요철 칼날테두리 15 ... 요동 선별선반
15a ... 이송선반 15b ... 곡식단
15c ... 볏짚단 15d ... 스트로랙
16 ... 처리몸통축 17 ... 풍구
18 ... 풍로(風路) 19 ... 풍로
20 ... 1번 나선 21 ... 2번 나선
21a ... 2번 선반끝 22 ... 2번 곡식올림통
24 ... 선별실 25 ... 처리치
26 ... 날개 27 ... 처리치
28 ... 날개 29 ... 처리치
본 발명은, 콤바인이나 하비스터 등에 탑재하는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탈곡장치에 있어서, 탈곡몸통의 탈곡치의 회전궤적에 따른 탈곡실 내벽의 일부에, 탈곡몸통의 회전축심에 따라서 복수의 오목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이 복수의 오목부에 절단칼날 설치용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칼날판 대(台)에 다수의 절단칼날을 설치하여 두고, 다수의 절단칼날을 개구부로부터 탈곡실 내에 돌출상태로 배치하여 칼날판 대를 탈곡케이스에 설치하는 것은 공지(公知)이다 (일본 특개2003-274741호 공보, 3페이지, 도 5 참조).
종래의 탈곡장치의 절단칼날은, 절단칼날의 외측면 끝단에는 안쪽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연삭면에 따라 요철상의 칼날테두리가 형성되는 구성이며, 탈곡치와 절단칼날에 의한 지푸라기 부스러기류의 절단성능이 좋지 않다고 하는 불량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불량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탈곡실(1) 내에 탈곡몸통(3)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 하고, 상기 탈곡실(1)내에 있어서의 탈곡구(扱口, 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에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의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 에서 탈곡물이 절단처리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탈곡실(1) 내에 탈곡몸통(3)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상기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서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 궤적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의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 칼날(12)의 상기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으로 탈곡물이 절단처리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탈곡실(1) 내에 탈곡몸통(3)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 하고, 상기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으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으로 탈곡물이 절단처리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처리실(6) 내에 처리몸통(8)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 하고, 상기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칼날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처리몸통(8)의 축심방향에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처리몸통(8) 처리치(7)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처리치(7)가 통과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와 상기 절단칼날(12)의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탈곡물을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절단처리하도록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하는 처리몸통(8)의 처리치(7)가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가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와 처리치(7) 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이 절단처리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처리실(6) 내에 처리몸통(8)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이 되도록 칼날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처리몸통(8)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처리몸통(8)의 처리치(7)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의 사이를 처리치(7)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와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요철 칼날테두리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하는 처리몸통(8)의 처리치(7)가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 와 처리치(7)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이 절단처리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처리실(6)내에 처리몸통(8)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 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이 되도록 칼날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처리몸통(8)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처리몸통(8)의 처리치(7)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처리치(7)가 통과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와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하는 처리몸통(8)의 처리치(7)가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 와 처리치(7)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이 절단처리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2는 절단 정면도, 도 3은 요부(要部)의 정면도, 도 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 좌우의 측면도, 도 7과 도 8은 탈곡기용 절단칼날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9와 도 1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본 탈곡장치는, 탈곡실(1) 내에 축 지지하고 있는 탈곡치(2)구비의 탈곡몸통(3)의 하부외주를 덮도록 설치하고 있는 받침망(4), 탈곡실(1)의 옆쪽에 설치되어져 있는 2번 환원물 처리용 앞쪽 처리실(6), 상기 앞쪽의 처리실(6) 내에 축 지지하고 있는 처리치(7) 구비의 처리몸통(8), 상기 처리몸통(8)의 아래쪽 외주를 덮는 처리망(S), 상기 앞쪽의 처리실(6)의 뒤쪽에 설치되어지는 탈곡실 쓰레기 배출물처리용의 뒤쪽의 처리실(6), 상기 뒤쪽의 처리실(6) 내에 축 지지하고 있는 나선 처리치(7a) 구비의 처리몸통(8), 이송체인(9), 지푸라기 배출체인(11), 쓰레기 배출팬(F)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탈곡실(1)의 탈곡구(10)측의 이송체인(9)의 윗쪽부위, 및, 탈곡실(1)의 반 탈곡구(10)측의 받침망(4)의 윗쪽부위에는,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을 배치하고 있다. 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탈곡치(2)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테두리부에는, 베이스부에서 끝단부에 걸쳐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절단칼날(12)의 판체의 측면에 따르는 정면에서 보아, 절단칼날(12)의 외측면에 따라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의 다수의 볼록부(14a)의 가장 높은 부분과 오목부(14b)의 가장 낮은 부분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절단칼날(12)의 판체에 직교하는 측면에서 보아,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안쪽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구성하고 있다. 절단칼날(12) 베이스부의 설치부(13)에는, 설치용의 나사부재(B)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에서 보아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탈곡구(10)측 상부 및 반 탈곡구(10)측 상부의 절단칼날(12)을 평면에서 보아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에 갈짓자 걸음형상으로 배치하고, 탈곡몸통(3)의 탈곡치(2)는 어느 한 방향의 절단칼날(12)의 요철 칼날테두리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지푸라기 부스러기류의 절단성능의 향상 및 마력손실의 감소를 도모하고 있다.
또, 탈곡구(10)측 상부 및 반 탈곡구(10)측 상부의 절단칼날(12)을 평면에서 보아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에 동일 위상으로 배치하고, 동일한 탈곡치(2)가 탈곡구(10)측 상부 및 반 탈곡구(10)측 상부의 절단칼날(12)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지푸라기 부스러기류의 절단 성능의 향상 및 마력손실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 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서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된다. 또한, 요철 칼날테두리(14)의 절단 작용부를 짧게 하였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안쪽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했으므로, 탈곡치(2)를 좌우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끼면서 지푸라기 부스러기류를 절단하므로, 절단성능이 향상한다.
이렇게하여 탈곡된 탈곡물은, 탈곡실(1) 아래쪽의 요동 선별선반에서 선별되어, 정립(精粒)은 1번나선(도시생략)에 의해 회수되어서 곡식탱크 또는 호퍼(도시생략)에 투입된다. 또한, 1번나선의 뒤쪽에 배치되는 2번나선(도시생략)에 따라 회수된 2번물(物)은, 2번 곡식올림통(도시생략)에 의하여 상기 앞쪽의 처리실(6)의 후부에 투입되고, 처리몸통(8)의 회전에 의하여 전방으로 보내지면서 처리되어, 처리망(S)으로부터 아래로 새지않는 처리물은, 처리실(6) 앞부분의 개구부로부터 아래쪽의 요동 선반위에 낙하한다. 또한, 탈곡실(1)에서 발생한 배출쓰레기물은, 상기 탈곡실(1)의 후부의 연통구로부터 상기 뒤쪽의 처리실(6)에 인계되고, 처리몸통(8)의 회전에 의하여 후방으로 보내지면서 처리된다.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11 ∼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상기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12는 절단 정면도, 도 13은 요부의 정면도, 도 1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15와 도 1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 좌우의 측면도, 도 17과 도 1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19과 도 2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또한, 절단칼 날(12)의 구성이 상위하고,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절단칼날(12)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 탈곡치(2)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테두리부에는, 베이스부로부터 끝단부에 걸쳐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절단칼날(12)의 판체의 안쪽면에 따르는 정면에서 보아, 절단칼날(12)의 양쪽 안쪽면에 따라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다수의 볼록부(14a)의 가장 높은 부분과 오목부(14b)의 가장 낮은 부분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절단칼날(12)의 판체에 직교하는 측면에서 보아,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외측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 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서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된다. 또한, 요철 칼날테두리(14)의 절단 작용부를 짧게 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외측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였으므로, 절단칼날(12)의 평면인 안쪽면이 탈곡치(2)에 대향하여 지푸라기 부스러기류의 빠짐이 좋아진다.
다음에, 실시예 3에 대하여 도 21 ∼ 도 3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22는 절단 정면도, 도 23은 오목부의 정면도, 도 2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25와 도 2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 좌우의 측면도, 도 27과 도 2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29와 도 3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또한, 절단칼날(12)의 구성이 상위하고,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절단칼날(12)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탈곡치(2)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테두리부에는, 베이스부로부터 끝단부에 걸쳐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절단칼날(12) 판체의 외측면을 따르는 정면으로 보아, 절단칼날(12)의 양쪽 외측면에 따라 요철 칼날테두리(14)의 다수 볼록부(14a)의 가장 높은 부분과 오목부(14b)의 가장 낮은 부분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절단칼날(12)의 판체에 직교하는 측면으로 보아,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 이는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양쪽 안쪽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을 절단처리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해,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된다. 또한, 절단시에 절단칼날(12)과 탈곡치(2)의 오버랩이 진행하여도 탈곡치(2)와 요철 칼날테두리(14)의 각도변화가 적고 안정된 절단작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안쪽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였으므로, 탈곡치(2)를 좌우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끼면서 지푸라기 부스러기류를 절단하여 절단성능이 향상한다.
다음에, 실시예 4에 대하여 도 31 ∼ 도 4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32는 절단 정면도, 도 33은 요부의 정면도, 도 3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35와 도 3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좌우 측면도, 도 37과 도 3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39와 도 4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또한, 절단칼날(12)의 구성이 상위하고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절단칼날(12)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탈곡치(2)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테두리부에는, 베이스부에서 끝단부에 걸쳐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절단칼날(12) 판체의 안쪽면에 따르는 정면으로 보아, 절단칼날(12)의 양쪽 안쪽면에 따라 요철 칼날테두리(14)의 다수 볼록부(14a)의 가장 높은 부분과 오목부(14b)의 가장 낮은 부분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절단칼날(12)의 판체에 직교하는 측면으로 보아,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양쪽 외측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 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 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된다. 또한, 절단시에 절단칼날(12)과 탈곡치(2)의 오버랩이 진행하여도 탈곡치(2)와 요철 칼날테두리(14)의 각도변화가 적고 안정된 절단작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외측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였으므로, 절단칼날(12)의 평면인 안쪽면이 탈곡치(2)에 대향하여 지푸라기 부스러기류의 빠짐이 좋아진다.
다음에, 실시예 5에 대하여 도 41 ∼ 도 5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본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42는 절단 정면도, 도 43은 요부의 정면도, 도 4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45와 도 4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 좌우의 측면도, 도 47과 도 4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 정면도 및 배면도, 도 49와 도 50은 탈곡기용 절단칼날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또한, 절단칼날(12)의 구성이 상위하고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절단칼날(12)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 탈곡치(2)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테두리부에는, 베이스부로부터 끝단부에 걸쳐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있 다. 그리고, 절단칼날(12) 판체의 외측면에 따르는 정면에서 보아, 절단칼날(12)의 양쪽 외측면에 따라 요철 칼날테두리(14) 다수의 볼록부(14a)의 가장 높은 부분과 오목부(14b)의 가장 낮은 부분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절단칼날(12)의 판체에 직교하는 측면에서 보아,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コ자형상 절단칼날(12)의 양쪽 안쪽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된다. 또한, 탈곡치(2)와 함께 회전운동 하는 지푸라기 부스러기류가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 하여 탈곡치(2)의 베이스부측으로 안내되면서 절단되어 절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 안쪽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였으므로, 탈곡치(2)를 좌우의 요철 칼날테두리(14)로 끼우면서 지푸라기 부스러기류를 절단하여 절단성능이 향상한다.
다음에, 실시예 6에 대하여 도 51 ∼ 도 6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본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52는 절단 정면도, 도 53은 요부의 정면도, 도 54는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사시도, 도 55와 도 56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 좌우의 측면도, 도 57과 도 58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9와 도 60은 탈곡기용의 절단칼날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또, 절단칼날(12)의 구성이 상위하고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절단칼날(12)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탈곡치(2)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테두리부에는, 베이스부에서 끝단부에 걸쳐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절단칼날(12) 판체의 안쪽면에 따른 정면으로 보아, 절단칼날(12)의 양쪽 안쪽면에 따라 요철 칼날테두리(14)의 다수 볼록부(14a)의 가장 높은 부분과 오목부(14b)의 가장 낮은 부분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절단칼날(12)의 판체에 직교하는 측면으로 보아,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양쪽 외측면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하고,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을 절단 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탈곡몸통(3)의 탈곡치(2)가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서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된다. 또한, 탈곡치(2)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지푸라기 부스러기류가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치(2)의 베이스부측에 안내되면서 절단되어 절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의 외측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였으므로, 절단칼날(12)의 편평한 안쪽면이 탈곡치(2)에 대향하여 지푸라기 부스러기류의 빠짐이 좋아진다.
다음에, 실시예 7에 대해서 도 61 ∼ 도 6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는 처리실(6)에 절단칼날(12)을 설치한 구성에서, 도 61은 상기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62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63은 처리실(6)의 정면도이다.
탈곡실(1)의 후부(後部)로부터 지푸라기 부스러기류가 보내지는 배출쓰레기 처리용의 처리실(6)내에 처리몸통(8)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처리실(6) 내의 위쪽에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을 배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은 도 4 ∼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처리몸통(8)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처리몸통(8)의 처리치(7)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처리치(7)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과 절단칼날(12)의 상기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K는 배진구를 형성하는 격자상 부재이다.
그리고, 회전하는 처리몸통(8)의 처리치(7)가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가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와 처리치(7)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된다. 또한, 절단 작용부를 짧게 하였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8은 도 64 ∼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도 64는 상기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65는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66은 처리실(6)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7의 절단칼날(12)에 대신하여서 도 14 ∼ 도20에 나타내는 절단칼날(12)을 채용하고 있어,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7의 절단칼날(12)에 대신하여, 상기 도 24 ∼ 도30에 나타내는 절단칼날, 도 34 ∼ 도 40에 나타내는 절단칼날, 도 44 ∼ 도 50에 나타내는 절단칼날, 도 54 ∼ 도 60에 도시하는 절단칼날을 선택하여도 좋다.
다음에, 실시예 9에 대하여 도 67 ∼ 도 6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는 처리실(6)에 절단칼날(12)을 설치한 구성에서, 도 67은 상기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68은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 69는 처리실(6)의 정면도이다.
탈곡실(1)의 옆쪽에 2번처리용의 처리실(6)을 설치하고, 상기 2번처리용의 처리실(6)에 2번처리용의 처리몸통(8)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요동 선별 선반(16)에서 선별된 2번물을 2번 곡물올림기(도시생략)를 개재하여 처리실(6)의 후부에 환원하여 처리몸통(8)의 회전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면서 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처리실(6) 내의 위쪽에는 평면으로 보아 탈곡실(1)측과 탈곡실(1) 반대측에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을 배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은 도 4 ∼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있어서 탈곡실(1)측 혹은 탈곡실(1) 반대측의 어느 한쪽에만 절단칼날(12)을 배치하여도 좋다.
처리몸통(8)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처리몸통(8)의 처리치(7)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처리치(7)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처리몸통(8)의 처리치(7)가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칼날(12)에 있어서의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가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와 처리치(7)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된다. 또한, 절단작용부를 짧게 하였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0은 도 70 ∼ 도72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도 70은 상기 발명을 구비하는 탈곡장치의 절단 평면도, 도 71은 탈곡장치의 절단 정면도, 도72는 처리실(6)의 정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9의 절단칼날(12)에 대신하여 도 14 ∼ 도 20에 나타내는 양쪽 외측에 요철 칼날테두리(14)를 설치한 절단칼날(12)을 채용하는 것으로,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9의 절단칼날(12)에 대신하여, 상기 도 24 ∼ 도 30에 나타내는 절단칼날, 도 34 ∼ 도 40에 나타내는 절단칼날, 도 44 ∼ 도 50에 나타내는 절단칼날, 도 54 ∼ 도 60에 나타내는 절단칼날을 선택하여도 좋다.
상기 탈곡장치의 실시예 11에 대하여, 도 73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1의 탈곡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의 탈곡장치에 탑재하고 있는 절단칼날(12)의 구성을 탑재하고 있으나, 전술한 실시예 2로부터 실시예 10의 탈곡장치에 탑재하고 있는 절단칼날(12)의 구성을 실시예 11의 탈곡장치에 탑재하여도 좋다. 또한, 도 73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11의 탈곡장치 내의 탈곡물의 흐 름과, 전술한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10의 탈곡장치 내의 탈곡물의 흐름은 기본적으로 같다.
도 73은 탈곡장치의 측단면도이다.
탈곡장치 내에는, 받침망(4)을 가지는 탈곡몸통(3)을 탈곡몸통축으로 축 지지한 탈곡실(1)과, 상기 탈곡실(1)의 한쪽에는, 탈곡실(1)의 후부로부터의 처리물을 받아 넣어서 처리하는 처리망(S, 망이나 격자상의 것이라도 좋다)을 가지는 뒤쪽의 처리몸통(8)을 처리몸통축으로 축 지지한 뒤쪽의 처리실(6)이 설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탈곡실(1)과 뒤쪽의 처리실(6)의 아래쪽으로는 요동 선별선반(15)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뒤쪽의 처리몸통(8)의 전방에는, 2번환원물 처리용 앞쪽의 처리몸통(8)과 상기 앞쪽의 처리몸통(8)의 하부 외주를 덮는 처리망 (S, 망이나 격자상의 것이라도 좋다)로 이루어지는 앞쪽의 처리실(6)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앞쪽의 처리몸통(8)은, 본 실시예에서는 탈곡몸통(3)의 한쪽이고, 뒤쪽의 처리몸통(8)의 전방에 뒤쪽의 처리몸통(8)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쪽의 처리몸통(8)은 기본적으로는 2번물을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앞쪽의 처리몸통(8)과 뒤쪽의 처리몸통(8)과는 처리몸통축(16)으로 지지되어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뒤쪽의 처리몸통(8)과 앞쪽의 처리몸통(8)과는 일체적으로 처리몸통축(16)으로 지지되어 있는 구성이다.
또한, 도 74의 탈곡장치 앞쪽의 처리 몸통부분에 있어서 절단 정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망(4)으로부터 새어나온 탈곡물은 앞쪽의 처리실(6) 내에 받 아들이는 구성이므로, 상기 앞쪽의 처리몸통(8)은 2번물의 이외에, 탈곡실(1) 내로부터 들어간 탈곡물도 함께 처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탈곡실(1)과 앞쪽의 처리실(6)과 뒤쪽의 처리실(6)의 아래쪽으로는, 낙하해오는 탈곡물을 받아서 선별하는 요동 선별선반(15)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요동 선별선반(15)의 아래쪽으로는, 선별풍 이송방향 시작단측에 풍구(17)를 설치하고, 상기 풍구(17)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의 이송방향 아래쪽에는 풍로 18과 풍로 19가 설치되어져 있고, 이 풍로 18과 풍로 19의 아래쪽에 1번나선(20)을 설치하고, 상기 1번나선(20)의 선별풍 이송방향 아래쪽에는 2번나선(21)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2번 나선(21)에서 수집된 2번물을 상기 앞쪽의 처리실(6)로 곡식을 올리기 위한 2번 곡식올림통(22)이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요동 선별선반(1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요동 선별선반(15)은, 선별 이송방향의 시작단으로부터 차례로, 낙하한 탈곡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선반(15a), 탈곡물을 선별하는 곡식단(15b), 2번물을 선별하는 볏짚단(15c), 배출쓰레기물을 풀어서 박힌 곡식알을 회수하는 동시에 배출쓰레기물을 장치바깥으로 이송하여 방출하는 스트로랙(15d)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랙(15d)의 아래쪽은, 2번물을 2번나선(21) 내로 안내하는 2번 선반끝(21a)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2번 선반끝(21a)의 종단부 근방까지 상기 뒤쪽의 처리몸통(8)이 연장되어어 나오고 있는 구성이다. 배출쓰레기 팬(F, 횡단류 팬)은, 선별실(24)내의 가벼운 먼지를 장치외에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뒤쪽의 처리몸통(8)의 왼쪽이며 스트로랙(15d)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곡식단(15b)은, 기본적으로는 1번나 선(20)의 윗쪽에 위치하는 것이며, 볏짚단(15c)은, 기본적으로는 2번나선(21)의 윗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탈곡장치에 투입된 곡식줄기는, 이송체인(9)에서 후방으로 반송되면서, 탈곡몸통(3)의 탈곡치(2)와 받침망(4)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탈곡된다. 탈곡된 탈곡물의 일부는 요동 선별선반(15)위로 낙하하고, 상기 요동 선별선반(15)의 요동작용과 풍구(17)로부터의 바람선별작용에 의해 선별되어, 1번 나선(20) 내에 받아들여 가고, 상기 1번 나선(20)에 받아들인 정리된 곡식알은, 그레인 탱크 또는 호퍼 내에 일시 저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탈곡장치를 탑재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탈곡후의 배출줄기는 이송체인(9)의 종단부에서, 지푸라기 배출체인(11)의 시작단부에 인계되어 반송되어 가고, 그 후, 커터(미도시)로 보내져서 절단되어 아래쪽의 밭위로 방출되어 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탈곡실(1) 내 남은 탈곡물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가지만, 그 도중에 있어서 일부 탈곡물은 앞쪽의 처리실(6) 내로 들어간다. 상기 앞쪽의 처리실(6) 내에 들어간 탈곡물은 선별풍 이송방향 위쪽으로 반송되어 가면서, 앞쪽의 처리몸체(8)와 처리망(S)의 상호작용으로 탈곡(특히, 가지가 막힌 낱알이 처리된다)되어서, 아래쪽의 요동 선별 선반(15) 위에 낙하해 간다.
탈곡몸통(3)과 앞쪽의 처리몸통(8)과 뒤쪽의 처리몸통(8)은, 함께 선별풍 이송방향 위쪽에서 아래쪽을 본 상황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앞쪽의 처리몸통(8)의 처리치(25)의 방향은, 탈곡물을 선별풍 이송방향의 위쪽방향으로 보내도록 한 방향에 고착하고 있다.
즉, 상기 처리치(25)에는 탈곡물을 선별풍 이송방향 위쪽에 반송하는 작용이 있고, 또한, 탈곡물을 처리하는 작용도 겸하여 가지고 있다. 즉, 처리치(25)는 나선의 일부이며, 또한, 그 원주방향의 끝단부와 처리망(S)과의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탈곡물을 처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앞쪽의 처리몸통(8)의 반송 종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날개(26)는, 탈곡물을 요동 선별선반(15) 위로 강제적으로 보내는 것이다.
상기 뒤쪽의 처리몸통(8)의 시작단부의 처리치(27)는, 탈곡실(1)의 후부로부터의 탈곡물을 선별풍 이송방향의 아래쪽 방향으로 보내도록 한 방향에 고착해 둘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처리치(27)는, 뒤쪽의 처리몸통(8)의 외주면에 감아 개재하여 있는 나선형상의 일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뒤쪽의 처리몸통(8) 처리망(S)의 눈이 거칠(격자상)므로, 일부의 짧은 지푸라기 부스러기는 요동 선별선반(15) 위에 낙하하고, 낙하하지 않은 긴 지푸라기 부스러기는 뒤쪽의 처리실(6)의 종단부까지 반송되어서, 뒤쪽의 처리몸통(8)의 종단부의 날개(28)에서 스트로랙(15d) 위에 강제적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탈곡물이 뒤쪽의 처리실(6) 내에서 반송되는 사이에, 뒤쪽의 처리몸통(8)과 상기 뒤쪽의 처리몸통(8)에 설치되어 있는 처리치(29)와 처리망(S)의 상호작용으로, 더욱 탈곡되는 동시에, 탈곡물은 풀어져서 속에 혼재하고 있는 곡식알(소위 박힌알)이 꺼내져서 아래쪽의 요동 선별선반(15) 위에 낙하하고, 또한 2번 라 선 (21) 내로 회수되어 가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탈곡실(1) 내의 탈곡물에서, 요동 선별선반(15) 위로 낙 하하지 않고, 앞쪽의 처리실(6) 내에도 들어가지 않은 남은 탈곡물은, 탈곡실(1)의 종단부까지 반송된다. 상기 탈곡실(1)의 종단부까지 반송되어 온 탈곡물은, 뒤쪽의 처리실(6) 내에 들어가고, 들어간 탈곡물은 선별풍 이송방향 아래쪽으로 반송되어 간다.
또한, 탈곡실(1)의 종단부까지 반송되어 온 탈곡물 중, 뒤쪽의 처리실(6) 내에 들어가지 않은 탈곡물은, 아래쪽의 요동 선별선반(15) 위로 낙하해 가는 구성이다.
탈곡실(1) 내의 종단부에서 뒤쪽의 처리실(6) 내에 탈곡물을 보낼 때에 있어서, 탈곡물이 막히지 않도록, 탈곡실(1)로부터 뒤쪽의 처리실(6)에의 인계부분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뒤쪽의 처리몸통(8)의 외주에 나선형상의 일부인 처리치(27)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처리치(27)의 이송작용으로 인계부에 탈곡물이 막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동 선별선반(15)의 요동작용과 풍구(17)로부터의 선별풍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1번 나선(20) 내에 들어가지 않은 남은 곡식알은, 다른 배출쓰레기물과 함께 다시 후방으로 보내져, 2번나선(21) 내에 들어 간다. 상기 2번 나선(21) 내에 들어간 2번물은, 2번 곡식올림통(22)에서 상기 앞쪽의 처리실(6)의 선별풍 이송방향 아래쪽에 환원되어서, 탈곡실(1)로부터의 탈곡물과 합류하고, 그 후, 선별풍 이송방향의 위쪽에 반송되면서, 처리망(S)과의 상호작용으로 탈곡처리되면서 반송되고, 종단부의 날개(26)에 의해 아래쪽의 요동 선별선반(15) 위로 낙하해 가는 구성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되고, 또한, 요철 칼날테두리(14)의 절단 작용부를 짧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되고, 또한, 절단시에 절단칼날(12)과 탈곡치(2)의 오버랩이 진행하여도 탈곡치(2)와 요철 칼날테두리(14)의 각도변화가 적어 안정된 절단작용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10)측과 반 탈곡구(10)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에 의하여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 처리되고, 또한, 탈곡치(2)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지푸라기 부스러기류가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치(2)의 베이스부측에 안내되면서 절단되어 절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 (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 와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에 의하여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되며, 또한, 절단작용부를 짧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에 움푹 패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에 의하여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되며, 또한, 절단시에 절단칼날(12)과 처리치(7)의 오버랩이 진행하여도 처리치(7)와 요철 칼날테두리(14)의 각도변화가 적고, 안정된 절단작용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칼날테두리(14)와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에 의하여 탈곡물이 양호하게 절단처리되고, 또한, 처리치(7)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지푸라기 부스러기류가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처리치(7)의 베이스부측에 안내되면서 절단되어, 절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탈곡실(1) 내에 탈곡몸통(3)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扱口, 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해서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2. 탈곡실(1) 내에 탈곡몸통(3)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 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3. 탈곡실(1) 내에 탈곡몸통(3)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탈곡실(1) 내에 있어서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탈곡몸통(3)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탈곡몸통(3)의 탈곡치(2)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탈곡치(2)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탈곡치(2)와 절단칼날(12)의 상기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탈곡실(1) 내의 탈곡구(10)측과 탈곡구(10) 반대측으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4. 처리실(6) 내에 처리몸통(8)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 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직선모양이 되도록 칼날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처리몸통(8)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처리몸통(8)의 처리치(7)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처리치(7)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와 상기 절단칼날(12)의 직선모양의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탈곡물을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절단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5. 처리실(6) 내에 처리몸통(8)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이 되도록 칼날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처리몸통(8)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처리몸통(8)의 처리치(7)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처리치(7)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와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안쪽으로 움푹 패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6. 처리실(6) 내에 처리몸통(8)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상기 처리실(6) 내의 위쪽에 설치하는 コ자형상의 절단칼날(12)에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를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이 되도록 칼날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처리몸통(8)의 축심방향으로 보아 상기 절단칼날(12)의 끝단부를 처리몸통(8)의 처리치(7)의 회전궤적 내에 들어가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절단칼날(12)의 한 쌍의 요철 칼날테두리(14) 사이를 처리치(7)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궤적을 그리는 처리치(7)와 상기 절단칼날(12)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부(14a)와 오목부(14b)를 교대로 반복하면서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요철 칼날테두리(14)에 의하여 처리실(6) 내의 위쪽에서 탈곡물을 절단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KR1020040085243A 2004-09-16 2004-10-25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KR100596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9645 2004-09-16
JP2004269645A JP2006081467A (ja) 2004-09-16 2004-09-16 脱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508A KR20060025508A (ko) 2006-03-21
KR100596015B1 true KR100596015B1 (ko) 2006-07-03

Family

ID=3616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243A KR100596015B1 (ko) 2004-09-16 2004-10-25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81467A (ko)
KR (1) KR100596015B1 (ko)
CN (1) CN10043874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0322B2 (ja) * 2006-08-31 2011-09-2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4766261B2 (ja) * 2006-09-29 2011-09-07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KR102652829B1 (ko) * 2017-12-12 2024-04-0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탈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491B2 (ja) * 1992-11-20 2002-06-04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脱穀機の未処理物処理装置
JPH0823758A (ja) * 1994-07-14 1996-01-30 Iseki & Co Ltd 脱穀装置
CN2323572Y (zh) * 1998-05-08 1999-06-16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带有侧封板的梳脱式收获滚筒
CN100337521C (zh) * 1999-10-28 2007-09-19 洋马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CN2428964Y (zh) * 2000-04-18 2001-05-09 买买提·吐尔逊卡日 多功能脱粒机
CN1245064C (zh) * 2000-06-14 2006-03-15 井关农机株式会社 收获机的脱粒装置
JP3449990B2 (ja) * 2001-02-09 2003-09-22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脱穀機の二番還元装置
JP3672916B2 (ja) * 2003-01-07 2005-07-20 ナシモト工業株式会社 脱穀部におけるわら切り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81467A (ja) 2006-03-30
CN100438748C (zh) 2008-12-03
KR20060025508A (ko) 2006-03-21
CN1748452A (zh)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015B1 (ko) 콤바인 등의 탈곡장치
JP3410605B2 (ja) 脱穀機における穀粒搬送装置
JP5292800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8178303A (ja)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
JP2006122057A (ja) コンバインの処理胴側排出機構
JP7039452B2 (ja) 脱穀装置
JPH0438676Y2 (ko)
JP4116417B2 (ja) コンバインなどの脱穀選別装置における選別部構造
JP2004008148A (ja) 排藁処理装置
JPH07194236A (ja) 脱穀装置
JPH0730016U (ja) 脱穀装置
JP4640112B2 (ja) 脱穀機
JP3748711B2 (ja) コンバインの選別用ファン
JP2004057117A (ja) 脱穀機の受網
JP3670118B2 (ja) コンバインの揺動選別装置
JPH07147839A (ja) コンバインの排稈処理装置
JPS6347Y2 (ko)
JP3404889B2 (ja) 脱穀装置
JP2002262650A (ja) 脱穀装置
JP2003018913A (ja) コンバイン
JPH11155357A (ja) 脱穀機の穀粒搬送装置
JP2009027935A (ja) 脱穀装置
JP2008228650A (ja) 脱穀機
JPH0884523A (ja) 脱穀装置
JP200426702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