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159B1 - 수신기 - Google Patents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159B1
KR100594159B1 KR20040079989A KR20040079989A KR100594159B1 KR 100594159 B1 KR100594159 B1 KR 100594159B1 KR 20040079989 A KR20040079989 A KR 20040079989A KR 20040079989 A KR20040079989 A KR 20040079989A KR 100594159 B1 KR100594159 B1 KR 10059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ption
receiver
evaluation valu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986A (ko
Inventor
키시다카히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000,614 priority Critical patent/US7602836B2/en
Publication of KR20050052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목적과 요구성능에 따른 최적의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을 실현하는 수신기를 제공한다.
제어회로는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한다. 평가값 H에 의거하여 「지연검파」가 선택된 경우, 지연검파회로 및 판정회로를 동작시키고, 선택회로에 있어서 판정회로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한편, 준동기 검파회로, 신호판정기, 및 차동복호기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공급 혹은 클럭 공급을 정지한다. 평가값 H에 의거하여 「준동기 검파」가 선택된 경우, 준동기 검파회로, 신호판정기, 및 차동복호기를 동작시키고, 선택회로에 있어서 차동복호기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한편, 지연검파회로 및 판정회로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공급 혹은 클럭공급을 정지한다. 평가값 H에 의거하여 「검파방식의 동적제어」가 선택된 경우, 통신 중에 양쪽 방식을 동적으로 절환하여 제어한다.
수신기

Description

수신기{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제어동작을 나타낸 플로어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입력단자 2: 지연검파회로(신호처리수단)
3: 판정회로 4: 준동기 검파회로(신호처리수단)
5: 절환기 6: 신호판정기
7: 차동복호기 8: 지연 검파기
9: 데이터 판정기 10: 선택회로
11: 출력단자 12: 수신레벨 검파기(수신상태 판단수단)
13: 제어회로 21: 패스 검색기
22-1~22-3: 핑거 23: 레이크 수신부(레이크 수신기)
24: 주파수 변환기 25: 심볼 합성기
26: 복조기 27: 심볼 에러율 산출부
28: 비교기 29-1, 29-2: 레지스터
30: 제어회로 S3: 평가값 산출수단
S5: 판단수단
본 발명은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최적의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신호의 복조를 행하는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최소의 소비전력을 통해 최고의 수신성능을 얻을 수 있는 수신신호 처리방식에 있어서의 개발은 미비하였다. 다만 종래의 수신기는, 예를 들면 n/4시프트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신호나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신호 등을 수신할 경우는 대표적인 검파방식으로서 지연검파나 동기 검파를 이용하는 수신기가 일반적이며, 이들 2가지 처리방식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징의 차이가 있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1
하지만, 지연 검파 및 동기 검파를 이용하는 수신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에 따라 검파방식을 선택하는 수신기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참조)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2
다르게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신호 혹은 스펙트럼 확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수신기 즉, 복수의 핑거를 구비한 레이 크(Rake) 수신기는 수신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 동작시키는 핑거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저소비전력화를 수행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이러한 종래 기술을 개시한 특허로는 하기 표시된 바와 같다.
<특허문헌 1>특개평 08-23232호 공보
<특허문헌 2>특개평 07-23072호 공보
<특허문헌 3>특허 제 2977396호 공보
<특허문헌 4>특개평 11-261523호 공보
<특허문헌 5>특허공개 2000-252896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신기에 있어서는, 최고의 수신성능을 얻을 수 있을지라도 전력소비량이 클 경우 이는 사용자에게 이득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수신기의 경우, 2개의 수신방식이 동시에 동작하기 때문에, 최고의 수신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전력소모량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요구하는 바가 최고의 수신성능에 따른 안정된 수신처리일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바가 전력소비량을 줄이는 것 즉, 전지수명의 연장인 경우, 2개의 수신방식을 동시에 동작시켜서 전지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사용자의 이익에 반하는 것이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소비전력을 고려한 특허문헌 3은, 수신 시에 지연검파회로 또는 준동기검파회로를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부호간 간섭량이나 신호판정 오차 등에 의해 수신신호의 수신상태를 항상 감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바가 최고의 수신성능에 의한 안정된 수신처리가 아닌 전지수명의 연장인 경우에는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에 따른 감시동작은 불필요한 동작에 불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이익에 반하는 것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4나 특허문헌 5는, 복수의 핑거를 구비한 레이크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핑거수를 변경함으로써 저소비전력화를 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신품질에 비해 레이크수신기에서 동작하는 핑거수가 과잉인 경우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이익에 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용목적과 요구성능에 따른 최적의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을 실현하는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신호의 복조를 행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복수의 처리방식의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수신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 산출수단과, 산출된 평가값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처리수단의 처리방식을 선택하는 판단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신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로의 입력신호에는 지연 검파를 행하기 위하여 차동 부호화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신신호에는 통상적으로 신호길이 NT의 트레이닝신호 구간이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는 입력단자 1로부터 입력된 RF주파수 혹은 IF주파수의 수신신호를 지연 검파하는 지연검파회로 2가 구비되어 있고, 그 출력에는 지연검파회로 2가 출력하는 신호의 신호판정을 행하는 판정회로 3이 접속되어 있다. 이어, 이러한 수신기에는 입력된 RF주파수 혹은 IF주파수의 수신신호를 준동기 검파하는 준동기 검파회로 4도 구비되어 있고, 그 출력에는 절환기 5를 통하여 종속 접속(cascade connection)된 신호판정기 6과 차동복호기 7, 및 마찬가지로 종속 접속된 지연검파기 8과 데이터 판정기 9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판정기 6은 준동기 검파회로 4가 출력하는 신호의 신호판정을 행하는 판정회로로, 지연검파를 행하기 위하여 입력신호에 실시된 차동부호화는 신호판정기 6의 출력에 접속된 차동복호기 7에 의해 복호된다.
또, 지연검파기 8은 준동기 검파회로 4가 출력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지연 검파하는 검파회로이며, 데이터 판정기 9는 판정회로 3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며 지연검파기 8을 통해 지연 검파후 즉, 차동부호화를 복호한 후에 신호의 신호판정을 행하는 판정회로이다.
또, 판정회로 3, 차동복호기 7, 및 데이터 판정기 9의 출력단에는 선택회로 10이 접속되어 있다. 이 선택회로 10은 판정회로 3, 차동복호기 7, 및 데이터 판정기 9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신호를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로서 출력단자 11로 출력한다.
또, 본 실시예의 수신기에는 입력된 RF주파수 또는 IF주파수의 수신신호 레벨 즉, 수신레벨 R을 측정하는 수신레벨 검파기 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신기에는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라 최적의 검파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회로13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제어회로 13은 수신레벨 검파기 12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레벨을 읽어 들이고,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따른 평가값 H를 산출하거나,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에 대하여 최적의 검파회로를 선택하기 위하여 지연검파회로 2의 출력 및 준동기 검파회로 4의 출력을 읽고, 각각의 검파회로에서의 수신상태를 평가하는 부호간 간섭량이나 신호판정 오차를 산출함과 동시에 산출된 평가값 H, 혹은 부호간 간섭량이나 신호판정 오차에 의거하여 선택회로 10이나 절환기 5를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신목적이나 수신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검파회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신기는 선택회로 10이나 절환기 5를 제어하여 입력된 RF주파수 혹은 IF주파수의 수신신호를 지연 검파회로 2 및 판정회로 3에 의 해 RF주파수 또는 IF주파수 그대로 지연감파하거나, 입력된 RF주파수 또는 IF주파수의 수신신호를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및 차동복호기 7에 의해 준동기 검파하거나, 입력된 RF주파수 혹은 IF주파수의 수신신호를 준동기 검파회로 4에 의해 베이스 밴드신호로 변환한 후, 지연검파기 8 및 데이터 판정기 9에 의해 지연 검파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수신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신기에 있어서 지연검파회로 2, 판정회로 3,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차동복호기 7, 지연검파기 8, 데이터 판정기 9, 수신레벨 검파기 12는 수신신호를 아날로그값 그대로 처리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수신신호를 양자화하여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는, 제어회로 13에 의한 최적의 검파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수신기 제어회로 13에 의한 최적의 검파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실시예의 수신기 제어회로 13에 있어서의 제어동작을 나타낸 플로어차트이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대하여 최적의 검파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본 실시예의 수신기 제어회로 13은 S1단계에서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최적의 검파회로를 선택하기 위해 수신신호의 수신상태를 고려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수신신호의 수신상태를 고려하겠다는 소정의 기능이 미 리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S1단계에서 수신신호의 수신상태를 고려한다는 기능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회로 13은 S2단계에서 수신레벨 검파기 12로부터 수신신호의 수신레벨 R을 취득한다. 그리고나서 제어회로 13은 S3단계에서 제어회로 13에 미리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의거하여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한다.
이와 달리 S1단계에 있어서 수신신호의 수신상태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기능이 지정된 경우 제어회로 13은 S4단계에서 수신신호의 수신레벨 R로 「0」을 설정한 후, S3단계로 진행하여 제어회로 13에 미리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따라서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한다.
여기서,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하기 위하여 제어회로 13에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해 표 3을 참조하면, 하기에 나타낸 표 3은 사용자의 통신목적와 검파방식의 조합마다 설정된 고정프로파일을 나타낸 표로, 고정프로파일은 수신신호의 수신레벨 R과 비교대상의 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에 의해 「수신레벨 R< 수신레벨 쓰레스홀드(threshold)값 Rth」의 경우와, 「수신레벨 R≥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의 경우 2가지로 구분되어 설정된다. 표 3에서는 수치가 클수록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3
한편, 표3에 표기된「검파방식의 동적제어」란, 제어회로 13이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도중에 연속적으로 산출되는 수신신호 품질을 나타내는 판정값에 의거하여 검파회로를 동적으로 절환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또한, 사용자의 통신 목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예로서, 셀룰라(cellular)용 셀프계 코덱에 의한 통상 음성이나 텍스트 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 VOIP(Voice over IP)에 의한 음성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높은 어플리케이션 및 동화상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꽤 높은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신목적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기에 나타낸 표 4는 사용자의 통신목적과 검파방식의 조합마다 설정된 고정 프로파일을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통신목적과 검파방식의 조합마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된 사용자 요구프로파일 수정값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표 4에서는 그 일예로서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전지수명의 연장」 및 「수신품질의 향상」으로서 나타낸다. 이하 문서, 표, 및 도면에 있어서 「전지수명의 연장」 및 「수신품질의 향상」은 각각 「전지수명」 및 「수신품질」로 약칭하여 표기한다. 그리고 표 4에서는 수치가 클수록 사용자의 요구에 대하여 우위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표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통상 음성이나 텍스트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지연검파」가 「전지수명」에 유리하므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 「2」가 지정된다. 한편 「검파방식의 동적제어」는 「전지수명」에 있어서 불리하므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 「-2」가 지정되어 있다. 또, 「수신품질」에 대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자신이 높은 품질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어떤 검파방식이든 이득이 없으며 이에 따라 모두 「0」이 지정되어 있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4
또한, 하기에 도시된 표 5는 표 4에 설정된 사용자 요구프로파일 수정값에 대하여 사용자가 개인의 기호에 따라 지정된 사용자 설정요구 배율을 나타낸 표이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목적과 요구조건에 따라 각각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에 대하여 예를 들면 「0」부터 「5」의 값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자 설정요구 배율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표 5에 나타낸 예에서는 통상 음성이나 텍스트 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전지수명」을 우선으로 해야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전지수명」란에 사용자 설정 요구배율 「4」가 지정되어 있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5
한편,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관련된 평가값 H는 표 3 내지 표 5에 도시된 제어회로 13에 미리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의거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의 조합 수만큼 산출된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6
여기서, P는 고정 프로파일, Q(n)은 n종류(n은 양의 정수)만큼 설정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 R(n)은 n종류의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요구 배율을 나타내며, J는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의 총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은 「전지수명 (n=1)」 과 「수신품질 (n=2)」에 관한 2종류이므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의 총수 J는 「J=2」이다.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 음성이나 텍스트 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레벨 R <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인 경우, 「지연검파」에 대한 최종적인 평가값 H는 고정프로파일 P=2,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Q(1)=2, Q(2)=0, 사용자 설정요구 배율 R(1)=4, R(2)=0으로서,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7
=2+2■4+0■0
=10
한편, 제어회로 13이 평가값 H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S5단계에서 산출된 평가값 H에 따라 최적의 검파회로를 선택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써, 하기의 표 6처럼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평가값 H 중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통신목적에 따라 평가값 H가 최대인 검파방식을 선택하고, 선택회로 10이나 절환기 5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검파방식에 대응하는 검파회로에 접속된 신호의 판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본 실시예의 수신기 출력신호로 한다.
또, 제어회로 13은 S6단계에서 저전력화를 위하여 선택되지 않은 검파방식에 대응하는 검파회로 및 신호의 판정회로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공급 혹은 클럭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선택되지 않은 검파방식에 대응하는 검파회로 및 신호의 판정회로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8
표 6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셀룰러용의 셀프계 코덱에 의한 통상 음성이나 텍스트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수신레벨 R<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인 경우 또는 「수신레벨 R≥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인 경우에 상관없이 평가값 H가 최대의 검파방식으로서 「지연검파」가 선택된다.
한편, VOIP에 의한 음성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수신레벨 R<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인 경우, 평가값 H가 최대의 검파방식으로서 「검파방식의 동적 제어」가 선택되고, 「수신레벨 R≥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인 경우, 평가값 H가 최대의 검파방식으로서 「준동기 검파」가 선택된다.
그리고, 평가값 H가 최대의 검파방식으로서 「지연검파」가 선택된 경우, 제어회로 13은 지연검파회로 2 및 판정회로 3을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에서 판정회로 3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판정회로 3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단자 11을 통해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회로 13은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 판정기 6, 및 차동복호기 7이 동작하기 위한 전원공급 또는 클럭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저전력화를 위하여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및 차동복호기 7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평가값 H가 최대의 검파방식으로서 「준동기 검파」가 선택되었을 경우, 제어회로 13은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및 차동 복호기 7을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에 연결되는 판정회로 3, 차동 복호기 7, 데이터 판정기 9 중 차동복호기 7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써 선택하고,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출력단자 11을 통해 출력한다. 한편, 제어회로 13은 저전력화를 위하여 자연검파회로 2 및 판정회로 3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공급 또는 클럭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지연검파회로 2 및 판정회로 3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또, 평가값 H가 최대의 검파방식으로서 「검파방식의 동적 제어」가 선택되었을 경우, 제어회로 13은 이하에 후술될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지연 검파기 8 및 데이터 판정기 9에 대해서는 이하에 나타난 「검파방식의 동적제어」를 이용할 경우에만 동작하기 위한 전원 또는 클럭이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제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제어회로 13에 의한 검파방식의 동적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회로 13은 지연검파회로 2의 출력신호와 준동기 검파회로 4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지연검파회로 2 및 준동기 검파회로 4의 내에서 수신특성이 좋은 쪽을 전환 타이밍마다 선택하여 동작시킨다. 또, 제어회로 13은 선택회로 10을 제어하여 판정회로 3 또는 차동 복호기 7, 또한 데이터 판정기 9 의 어느 하나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선택하고, 그 선택회로 10으로부터의 신호를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로서 출력단자 11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변조방식은 차동부호화 QPSK로 하고, 신호의 샘플링주기는 변조파의 심볼주기 T로 한다. 또한, 모든 신호는 동상 성분을 실수부, 직교성분을 허수부로 복소 표시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우선, 지연검파회로 2 및 판정회로 3을 미리 선택하여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에서 판정회로 3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선택한 후, 본 실시예의 수신기 출력신호로서 출력단자 11를 통해 출력할 때, 제어회로 13은 지연검파회로 2의 출력신호에 포함된 부호간 간섭량을 구한다. 여기서, 부호간 간섭량은 부호간 간섭에 의한 파형왜곡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이 값이 클 때에는 지연검파회로 2 및 판정회로 3에 의한 수신처리보다도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및 차동 복호기 7에 의한 수신처리 쪽이 수신에 적합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회로 13은 부호간 간섭량이 미리 설정된 쓰레스홀드값을 넘을 때에는 전환타이밍에서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및 차동복호기 7에 의한 수신처리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전환타이밍을 버스트 타이밍으로 설정하였을 때, 다음의 버스트 타이밍에서 제어회로 13은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 정기 6, 및 차동복호기 7을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을 제어하여 차동복호기 7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가 출력단자 11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지연검파회로 2가 출력하는 신호의 시각 t=kT(k는 정수)에서의 샘플링값을 z(k), 시각 t=kT와 시각(k-1)T에서의 복소 심볼의 위상차를 d(k)라 하면, 부호간 간섭에 의한 파형왜곡이 발생할 때, 이 z(k)d * (k)와 d(k-1)에 상관이 나타난다. 여기서, *는 복소 켤레를 나타낸다. 따라서, 부호간 간섭량은 z(k)d*(k)와 d(k-1)의 상관량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신호구간을 d(k)가 이미 알려져 있는 신호길이 NT의 트레이닝신호구간이라 하면, 이 상관 ■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09
한편,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및 차동복호기 7을 미리 선택하여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에서 차동복호기 7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선택하며 출력단자 11을 통해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도록 했을 경우, 제어회로 13은 수신품질을 나타내는 신호 판정오차로부터 구해지는 판정식에 따라 지연검파회로 2의 출력신호와 준동기 검파회로 4의 출력신호로부터 지연검파회로 2와 준동기 검파회로 4 내의 BER(Bit Error Rate)특성이 좋다고 판단되는 쪽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연검파방식과 동기 검파방식으로 같은 BER을 얻고자 하면, 검파회로의 출력에 있어서의 신호의 S/N비(Signal to Noise Ratio), 혹은 1비트당 신호에너지 대 잡음전력 밀도 Eb/No를 같게 하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는 신호길이 NT의 트레이닝 신호구간에서의 지연검파회로 2의 출력신호에 대한 신호판정 오차와 준동기 검파회로 4의 출력신호에 대한 신호판정 오차를 비교함으로써, 지연검파회로 2와 준동기 검파회로 4내의 BER특성이 좋다고 판단되는 쪽을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0
상기 [수학식 4]에서, eD(k)는 지연검파회로 2의 출력신호에 대한 신호 판정오차라 하고, eE(k)는 준동기 검파회로 4의 출력신호에 대한 신호판정 오차라 한다. 또, 판정값 D가 음일 때에는 다음의 버스트 타이밍에서 제어회로 13은 지연검파회로 2 및 판정회로 3을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을 제어하여, 판정회로 3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출력단자 11를 통해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판정값 D가 양일 때에는 제어회로 13은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및 차동복호기 7을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을 제어하여 차동복호기 7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출력단자 11을 통해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다르게는, 준동기 검파회로 4, 신호판정기 6, 및 차동복호기 7을 미리 선택 하여 동작시키며, 선택회로 10에서 차동 복호기 7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출력단자 11을 통한 본 실시예의 수신기 출력신호의 출력 시, 제어회로 13이 판정값 D에 의거하여 검파방식을 지연검파로 변경할 경우, 우선 지연 검파기 8 및 데이터 판정기 9를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을 제어하여 데이터 판정기 9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출력단자 11을 통해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다음의 버스트 타이밍에서 지연검파회로 2 및 판정회로 3을 동작시키고, 선택회로 10을 제어하여 판정회로 3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회로 10로부터의 신호를 본 실시예의 수신기 출력신호로서 출력단자 11를 통해 출력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동무선 통신방식에서는 이동국 장치가 이동하기 위하여, 전송로의 지연분산이 크게 변동하여 수신신호의 수신상태도 시시각각 변화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검파방식을 동적으로 전환하여 제어할 경우에는 수신신호의 수신상태를 항상 감시하고, 끊임없이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에 최적의 검파방식으로 전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동화상 등 요구되는 수신 품질이 상당히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경우에도 일정 레벨 이상의 높은 수신품질을 유지하면서, 장치의 소비전력을 가능한 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회로 13이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관련된 평가값 H 산출 시, 표 3에 나타낸 고정프로파일은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고정프로파일은 수신신호의 수신레벨 R과 비교대상의 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에 의해 수신레벨 R<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의 경우와, 수신레벨 R≥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의 경우 2가지로 구분 되어 설정된다. 그리고 평가값 H는 표 6에 있어서 수신신호의 수신레벨 R과 비교대상의 수신레벨 쓰레스홀드값 Rth에 의해 분류되어 산출되었지만,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로파일을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신신호의 지연시간 T와 비교대상의 지연시간 쓰레스홀드값 Tth에 의해 지연시간 T<지연시간 쓰레스홀드값 Tth의 경우와, 지연시간 T≥지연시간 쓰레스홀드값 Tth의 경우 2가지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평가값 H를 수신신호의 지연시간 T와 비교대상의 지연시간 쓰레스홀드값 Tth에 의해 분류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또, 수신신호의 지연시간 T는 이미 알려져 있는 신호길이 NT의 트레이닝신호의 수신시간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경우는 본 실시예의 수신기에 수신레벨 검파기 1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1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S1단계부터 S6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통신목적 에 대한 검파방식의 선택동작은 리얼타임으로 실행할 필요는 없다. 특히 목적으로 하는 통신을 단시간에 종료할 경우에는 적어도 목적의 통신을 개시할 때까지 검파방식이 결정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수신레벨 검파기 12에 의한 수신상태의 판단도 리얼타임으로 실행할 필요는 없으며, 목적으로 하는 통신 개시전 또는 개시시 중 어느 한 경우에만 실행하면 된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의 감소와 회로에 요구되는 처리능력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서 말한 「목적의 통신」이란, 상술한 표 3 내지 표 7에서 사용자의 통신목적으로서 나타낸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통신을 가리킨다. 그리고 송수신기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제어신호의 송수신에 관련된 통신은 송신기 및 수신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이면 항상 또는 소정 간격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신기가 목적의 통신의 개시전 또는 개시시에 수신레벨 검파기 12에 의한 수신상태의 판단을 수행할 경우, 송신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때의 수신신호에 의해 수신상태를 판단하면 된다.
그러나, 목적의 통신이 단시간에 종료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이동무선 통신방식에서는 이동국장치가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것에 의해 수신상태가 크게 변화되지 않으므로 도 2의 S1단계 내지 S6단계에서의 과정을 소정간격으로 실행하고, 주기적으로 수신상태를 재평가하여 최적의 검파방식(검파회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의 판단을 통신 도중에 소정 간격 으로 간헐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의 판단에 요하는 처리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수신신호에 따른 수신상태의 판단을 실행하며 동시에 판단된 수신상태에 최적의 평가값 H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실제의 수신신호에 따라서 수신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을 정확하게 균형있게 하고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수신성능 및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 모두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기의 처리부담을 경감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회로 13이 평가값 산출수단과 판단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S3단계에서 평가값 H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고, 도 2의 S5단계에서 평가값 H에 따라 최적의 검파 방식을 선택하는 판단수단을 구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신기는 제어회로 13에 미리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따라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함과 동시에, 산출된 평가값 H에 따라 검파방식을 선택한다. 그리고나서 선택된 검파방식에 대응한 검파회로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 양측에 규형된 처리방식에 의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 양측에 균형된 처리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을 균형있게 하고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수신성능과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 모두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목적의 통신이 단시간에 종료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신레벨 검파기 12에 의한 수신상태의 판단을 목적의 통신개시전 또는 목적의 통신개시시 어느 한 경우에만 실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대한 검파방식의 선택동작을 적어도 목적의 통신을 개시할 때까지 종료함으로써, 소비전력의 감소와 회로에 요구되는 처리능력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목적의 통신이 단시간에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신레벨 검파기 12에 의한 수신상태의 판단을 정기적으로 실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대한 검파방식의 선택동작을 실행하고, 판단된 수신상태에 최적의 검파방식(검파회로)을 선택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의 판단에 요하는 처리부담을 경감하면서, 실제의 수신신호에 따른 수신상태의 판단을 실행하고,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을 정확하게 균형시키고,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수신성능과,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 양측을 적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수신기의 처리부담을 경감하는 것으로,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평가값 H를 산출할 때,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을 검파방식의 선택에 반영시켜야 하고,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과 사용자 설정 요구배율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 및 사용자의 의사를 수치화하여 평가값 H에 반영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과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서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의 균형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통신목적 및 조건에 따른 수신성능과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 모두를 적확하게 실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신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신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의 수신기로의 입력신호에는 스펙트럼 확산이 수행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송신측에서 스펙트럼확산을 행할 때에 이용된 확산부호는 수신기 측에서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송신측으로부터는 송수신기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 타이밍을 동기시키고, 수신기가 수신신호의 선두신호를 발견하기 위한 동기신호가 송신되어 있고, 이 동기신호도 수신기측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수신기에는 패스 검색기 21과 복수의 핑거 22-1~22-3을 구비한 레이크 수신부 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크 수신부 23에 구비된 핑거의 개수는 3개로 하고, 핑거 22-1~22-3으로 나타나지만, 필요에 따라서 핑거의 수의 가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패스 검색기 21에는 주파수변환기 24에 의해 베이스밴드의 신호로 주파수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패스 검색기 21은 이 수신신호로부터 이 수신신호에 포함되는 멀티패스신호의 수신타이밍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상관기를 구비하여, 예를 들면 수신신호에 대하여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면서 이 수신신호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있는 동기신호의 복제(replica)와의 상관을 산출하고, 상관값이 커지는 타이밍을 이 수신신호에 포함되는 멀티패스신호의 수신 타이밍으로 한다.
즉, 패스 검색기 21로부터는 일정한 쓰레스홀드값 이상의 상관값이 산출된 타이밍에 대하여, 상관값이 큰 순으로 구비된 복수의 핑거 22-1~22-3에 맞춘 수(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3개)의 타이밍이 선택되어 출력되고, 복수의 핑거 22-1~22-3에 순서대로 설정된다. 또한, 일정한 쓰레스홀드값 이상의 상관값이 산출된 타이밍이 적고, 패스 검색기 21로부터 출력되는 수신타이밍의 수가 구비된 핑거의 수에 미치지 못한 경우, 수신타이밍이 설정되지 않은 핑거는 후술하는 제어회로 30이 수신타이밍이 설정되지 않은 핑거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공급 혹은 클럭 공급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저전력화를 위하여 그 동작을 정지하고, 그 때의 수신처리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핑거 22-1~22-3은 모두 동일한 구성의 역확산기로, 각각의 핑거는 입력된 수신신호에 패스 검색기 21로부터 설정된 수신타이밍에 따라서 확산부호를 곱하여 양자의 상관값을 산출함과 동시에, 수신신호와 확산부호의 타이밍을 순차 심볼주기씩 엇갈리면서, 양자의 상관값을 산출함으로써 수신신호에 실시된 스펙트럼 확산이 복조되고 심볼신호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입력된 수신신호가 멀티패스신호인 경우, 멀티패스신호를 구성하는 복수 경로의 신호가 각 경로의 신호의 수신타이밍으로 복조 처리를 실행하는 하나 하나의 핑거에 의해 각 경로의 신호로 분해되어 추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핑거수를 3개로 하였으므로, 다른 경로를 거쳐 도달한 3파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 핑거 22-1~22-3으로부터 출력되는 심볼신호는 심볼 합성기 25에서 수신신호의 수신타이밍 왜곡을 고려하여 가산되는 것에 의해 멀티 패스신호가 레이크 합성된다.
더욱이, 심볼합성기 25의 출력신호는 복조기 26에 입력되고, 송신측에서 실시된 예를 들면 QPSK등의 일차 변조가 복조됨과 동시에, 송신측에서 실시된 컨벌루셔널(Convolutional) 부호화를 복호하는 것에 의해 에러정정 등이 행해져 수신데이터로 변환된다.
한편, 심볼 에러율 산출부 27에서는 송신측에서 행해진 컨벌루셔널 부호화를 수신데이터에 다시 행함과 동시에, 심볼 합성기 25가 출력하는 심볼신호의 경(硬)판정값과, 다시 컨벌루셔널 부호화를 행한 수신데이터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에러인 경우의 정도, 즉 심볼 에러율 SER을 산출한다.
또, 심볼에러율 산출부 27에서 산출된 심볼에러율 SER은 비교기 28에서 2개의 레지스터 29-1, 29-2의 값 R1, R2(단, R1>R2)와 각각 비교되고, 「SER>R1>R2」, 「R1>SER>R2」, 「R1>R2>SER」등 3가지 경우의 비교결과가 비교기 28로부터 출력된 후 제어회로 30에 입력된다.
아울러, 레지스터의 개수는 레이크 수신부 23에 구비된 핑거의 개수보다 하나 적은 수를 구비하게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핑거의 수가 3개인 경우를 설명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레지스터의 수를 2개로 한다. 따라서, 핑거의 수가 n개(n=양의 정수)인 경우, 심볼 에러율 산출부 27에서 산출된 심볼 에러율은 비교기 28에서 (n-1)개의 레지스터 값과 각각 비교되고, n종류의 비교결과가 비교기 28로 부터 출력되고, 제어회로 30에 입력된다.
또, 제어회로 30은 레이크 수신부 2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비교기 28로부터 출력되는 심볼 에러율 SER과 레지스터의 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레이크 수신부 23에서 레이크 합성에 기여하는 핑거의 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비교기 28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가 「SER>R1>R2」인 경우는 수신상태가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크 수신부 23에서 레이크 합성에 기여하는 핑거의 수를 3개로 한다. 또, 비교기 28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가 「R1>SER>R2」인 경우는, 레이크 수신부 23에서 레이크 합성에 기여하는 핑거의 수를 2개로 한다. 또, 비교기 28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가 「R1>R2>SER」인 경우는 수신상태가 양호하므로, 레이크 수신부 23에서 레이크 합성에 기여하는 핑거의 수를 1개로 한다.
또, 제어회로 30은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대하여 최적의 핑거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가값 H에 의거하여 레지스터 29-1, 29-2의 값 R1, R2를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어회로 30이 평가값 산출수단과, 판단수단을 구비하며, 평가값 산출수단이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평가값 H를 산출함과 동시에 판단수단이 산출된 평가값 H에 의거하여 신호처리수단의 처리방식, 즉 레이크 수신부 23에서 레이크 합성에 기여하는 핑거의 수를 선택하도록, 레지스터 29-1, 29-2의 값 R1, R2를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제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제어회로 30에 의한 최적의 핑거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수신기의 제어회로 30은, 우선 제어회로 30에 미리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한다. 여기서, 통신목적과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와 검파방식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하기 위하여 제어회로 30에 미리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에 나타낸 표 8은 사용자의 통신목적마다 설정된 고정프로파일을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표 8에서는 수치가 클수록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2
여기서, 사용자의 통신목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의 예로서 텍스트 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 셀룰라용 셀프계 코덱에 의한 통상 음성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 통상 음성보다 비트율이 높은 고음질 음성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조금 높은 어플리케이션, VOIP에 의한 음성이나 동화상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혹은 매우 높은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신목적이 불특정한 경우에는 통 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낮은 어플리케이션과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중간의 것으로 취급하기로 한다.
또, 하기에 나타낸 표 9는 사용자의 통신목적마다 설정된 고정프로파일을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통신목적마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표 9에서는 일예로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을 「전지수명의 연장」 및 「수신품질의 향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이하에서, 문서, 표, 및 도면에서 「전지수명의 연장」 및 「수신품질의 향상」은 각각 「전지수명」 및 「수신품질」이라고 약칭하여 표기한다. 또, 표 9에서는 수치가 클수록 사용자의 요구에 대하여 핑거수가 많이 필요한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표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텍스트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전지수명」을 우선으로 하는데는 핑거수를 적게 하는 편이 좋으므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 「-1」이 지정되고, 한편 「수신품질」을 우선으로 할 경우는 핑거수를 과도하게 증가하는 일은 없으므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 「0」이 지정되어 있다.
또, VOIP에 의한 음성이나 동화상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혹은 상당히 높은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전지수명」을 우선으로 하는데는 핑거수를 적게 하는 편이 좋으므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 「-1」이 지정되고, 한편 「수신품질」을 우선으로 할 경우는 핑거수를 가능한 한 증가해야 하므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 「2」가 지정되어 있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3
또한 하기의 표 10은, 표 9에 설정된 사용자 요구프로파일 수정값에 대하여 사용자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지정한 사용자 설정 요구배율을 나타내는 표로,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통신목적과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의 조합마다,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에 대하여 사용자가 예를 들어 「0」부터 「5」의 값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설정 요구 배율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텍스트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다시 「전지수명」을 우선시켜야 하며, 사용자에 의해 「전지수명」란에 사용자 설정 요구배율 「2」가 지정되어 있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4
이에 따라,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관련된 평가값 H는 표 8부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어회로 30에 미리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따라, 하기 식(5)에 의해 통신목적의 수만큼 산출된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5
단, [수학식 5]에서 P는 고정프로파일, Q(n)은 n종류(n은 양의 정수) 설정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 R(n)은 n종류의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 요구배율을 나타내며, J는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의 총 수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은 「전지수명(n=1)」과 「수신품질(n=2)」에 관한 2종류이므로,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의 총수 J는 「J=2」이다. 일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텍스트 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최종적인 평가값 H는 고정프로파일 P=-2,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Q(1)=-1, Q(2)=0, 사용자 설정요구 배율 R(1)=2, R(2)=0이라 하여,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6
한편, 제어회로 30은 평가값 H를 산출할 수 있으면, 산출한 평가값 H에 의거하여 다시 하기 [수학식 7]에 따라서 레지스터 29-1, 29-2의 값 R1, R2를 변경하기 위한 레지스터 보정값 RH를 산출한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7
구체적으로는, 일예로서 하기 표 11에 나타낸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된 평가값 H에 의거하여 마찬가지로 하기 표 11에 나타낸 상기 [수학식 7]에 의해 산출된 레지스터 보정값 RH를 산출한다. 그리고, 하기 [수학식 8] 및 [수학식 9]에 따라서 레지스터 29-1, 29-2의 값 R1, R2를 변경한다. 아울러, [수학식 8], [수학 식 9]에 있어서의 레지스터 초기값은 수신기의 설계시에 수신기의 종합적인 수신성능에 의거하여 임의로 결정하도록 한다.
R1=레지스터 초기값 x RH
R2=레지스터 초기값 x RH
그리고, 제어회로 30은 비교기 28로부터 출력되는 심볼 에러율 SER과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대하여 최적의 핑거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된 레지스터 29-1, 29-2의 값 R1, R2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레이크 수신부 23에서 레이크 합성에 기여하는 핑거의 수를 제어한다.
또, 레이크 합성에 이용되지 않은 핑거는 후술하는 제어회로 30이 레이크 합성에 이용되지 않은 핑거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공급 혹은 클럭공급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저전력화를 위하여 그 동작을 정지하고, 그 때의 수신처리에는 관련되지 않게 한다.
Figure 112004045568006-pat00018
표 11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텍스트정보에 의한 전자메일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낮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레지스터 보정값 RH≒316으로 산출되므로, 레지스터 29-1, 29-2의 값 R1, R2가 커지고, 다소 심볼에러율 SER이 악화되더라도 비교기 28에 있어서의 비교결과가 「R1>R2>SER」이 되기 쉬워지므로, 레지크수신부 23에 있어서 레이크 합성에 기여하는 핑거수가 1개가 되며,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수신성능과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 양측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VOIP에 의한 음성이나 동화상 등 요구되는 수신품질이 비교적 혹은 상당히 높은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레지스터 보정값 RH≒0.00316으로 산출되므로, 레지스터 29-1, 29-2의 값 R1, R2가 작아지고, 다소 심볼율 SER이 좋더라도 비교기 28에서의 비교결과가 「SER>R1>R2」가 되기 쉬워지므로, 레이크 수신부 23에서 레이크 합성에 기여하는 핑거수가 3개가 되며, 전력소비를 희생하더라도 사용자의 통신 목적에 따른 수신성능을 안정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신기에 의하면, 제어회로 30에 미리 저장된 제어테이블에 의거하여 통신목적에 관련된 평가값 H를 산출함과 동시에, 산출된 평가값 H에 의거하여 레이크 수신에 기여하는 핑거의 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수의 핑거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핑거수에 의해 신호를 레이크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핑거수를 이용함으로써,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을 균형시키고,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수신성능과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 모두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평가값 H를 산출할 때,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을 검파방식의 선택에 반영시켜야 하며, 사용자 요구 프로파일 수정값과 사용자 설정요구 배율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 및 사용자의 의사를 수치화하여 평가값 H에 반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과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서 소비전력과 수신성능의 균형을 최적화시키고, 사용자의 통신목적 및 조건에 따른 수신성능과 불필요한 전력소비의 방지 양측을 적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상술한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수신기의 검파기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검파방식을 더 늘리는 것에 의해, 가능한 한 성능을 좋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가장 가까운 소비전력 과 성능을 실현하고, 필요이상의 전력소비의 삭감과 요구성능의 유지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수신신호의 복조를 행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복수의 처리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수신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사용자의 통신목적에 따른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된 평가값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처리수단의 처리방식을 선택하는 판단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의 수신상태를 판단하는 수신상태 판단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평가값 산출수단은 상기 통신목적과 상기 수신상태에 따른 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 판단수단은 상기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의 판단을 목적하는 통신개시 전 또는 목적하는 통신개시시 중 어느 한 경우에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 판단수단은 상기 수신신호의 수신상태의 판단을 통신중에 소정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행하고, 상기 평가값 산출수단이 동시에 상기 통신목적과 상기 수신상태에 따른 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이 스펙트럼 확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레이크수신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레이크 수신기의 핑거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 산출수단이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건에 따른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값에 가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통신목적에 따라서 설정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20040079989A 2003-12-01 2004-10-07 수신기 KR10059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00,614 US7602836B2 (en) 2003-12-01 2004-12-01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1492A JP4455028B2 (ja) 2003-12-01 2003-12-01 受信機
JPJP-P-2003-00401492 2003-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986A KR20050052986A (ko) 2005-06-07
KR100594159B1 true KR100594159B1 (ko) 2006-06-28

Family

ID=3472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9989A KR100594159B1 (ko) 2003-12-01 2004-10-07 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55028B2 (ko)
KR (1) KR100594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5180B2 (ja) * 2009-04-06 2013-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US8817891B2 (en) 2009-06-10 2014-08-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lli-meter-wave-wireless-interconnect (M2W2-interconnect) metho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s with ultra-high data rate capability
JP5643782B2 (ja) * 2012-03-21 2014-12-17 株式会社東芝 受信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2448A2 (en) 1999-11-15 2001-05-23 Ericsson Inc. Adaptive phase demodul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2448A2 (en) 1999-11-15 2001-05-23 Ericsson Inc. Adaptive phase demod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55028B2 (ja) 2010-04-21
JP2005167475A (ja) 2005-06-23
KR20050052986A (ko) 200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0288A (en) Time-shared lock indicator circuit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and traffic channel decoding in a radio receiver
US5754583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inger lock status in a radio receiver
JP3913879B2 (ja) 移動速度に基づく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8265123B2 (en) CDMA receiving apparatus and CDMA receiving method
KR20060015636A (ko) 하이브리드 이퀄라이저 및 레이크 수신기를 가진 수신 장치및 그 수신 방법
JP3637884B2 (ja) 逆拡散装置、伝播路推定装置、受信装置ならびに干渉抑圧装置、逆拡散、伝播路推定、受信および干渉抑圧方法、該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381169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th search
US6628700B1 (en) CDMA reception method and CDMA receiver
US20080037622A1 (en) Receiving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US6501789B2 (en) CDMA receiving apparatus
US6359925B1 (en) Relative-signal-level data detection from a spread-spectrum signal using matched-filter obtained side information
KR100594159B1 (ko) 수신기
US7602836B2 (en) Receiver
JP2004364321A (ja) 逆拡散装置、伝播路推定装置、受信装置ならびに干渉抑圧装置、逆拡散、伝播路推定、受信および干渉抑圧方法、該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189768A (ja) 同期検波装置
KR100943606B1 (ko)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양자화 장치 및 방법
JP2006500807A (ja) 自動周波数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を有する電子装置並びに同一機能を実行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KR101134722B1 (ko) 측정된 c/i의 변조 포맷에 따른 디지털 수신 신호의 스케일링과 클리핑
EP1392031B1 (en) Fading frequency estimation apparatus
JP2004364320A (ja) 逆拡散装置、伝播路推定装置、受信装置ならびに干渉抑圧装置、逆拡散、伝播路推定、受信および干渉抑圧方法、該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303952A (ja) ジオメトリ測定方法、無線受信装置及び移動局装置
JP2007116732A (ja) 移動速度に基づく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5328355A (ja) 通信装置
Potman et al. Opportunities for Adaptivity in the UMTS Terminal Receiver: The Path-Search Function
KR20040055094A (ko)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