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094A -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094A
KR20040055094A KR1020020081695A KR20020081695A KR20040055094A KR 20040055094 A KR20040055094 A KR 20040055094A KR 1020020081695 A KR1020020081695 A KR 1020020081695A KR 20020081695 A KR20020081695 A KR 20020081695A KR 20040055094 A KR20040055094 A KR 2004005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threshold value
signal strength
path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024B1 (ko
Inventor
이경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024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레이크 수신기에서 다중 경로에 할당된 복조기들이 다중 경로의 신호들을 수신하여 복조하면, 신호세기 측정기들은 상기 다중 경로의 신호들에 대해 신호세기들을 측정하고 비교기들은 상기 측정된 신호세기들을, 기준 임계값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각각 비교한다. 그러면 임계값 결정기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심볼 결합기는 상기 선택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복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들을 결합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레이크 수신기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RESHOLD IN RAKE RECEIV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크 수신기(Rake Receiver)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채널 환경에서 전파되는 신호의 품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현상은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Fading)이다.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수신기에 도착한 신호들의 위상차이(시간지연 차이)에 의한 것으로서,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감소시키고 전송에러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신호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을 일으킨다. 상기와 같은 페이딩을 극복하기 위한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통신 시스템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레이크 수신기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레이크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크 수신기는 핑거라고도 불리우는 복조기들(Demodulators)(110a 내지 110c)과 상기 복조기들(110a 내지 110c)의 출력들을 결합하는 심볼결합기(Symbol Combiner)(120)로 구성된다. 상기 복조기들(110a 내지 110c)은 서로 다른 전파경로를 통해 서로 다른 시간지연을 가지고 도착한 복수의 신호들을 각각 복조하며, 상기 심볼 결합기(120)는 상기 복조기들(110a 내지 110c)의 출력들에 대하여 전형적인 최대비 결합(MRC: Maximal Ratio Combining) 방식에 의해 결합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복조기들(110a 내지 110c)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SSI 측정기(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세기(RSSI)를 측정하며, 비교기(112)는 상기 RSSI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RSSI를 미리 설정된 소정 임계값 Vth와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Vth보다 크면 1을 출력하고 크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채널 추정기(113)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보상신호를 결정하고 공액(conjugate) 계산기(114)는 상기 채널 보상신호에 대한 공액 신호를 계산한다. 확산기(115)는 소정 월시코드 Wk를 가지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확산하며 채널 보상기(116)는 상기 확산된 신호에 상기 공액 신호를 곱하여 채널 보상을 수행한다. 누적기(117)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채널 보상기(116)으로부터의 채널 보상된 신호를 누적하며, 곱셈기(118)는 상기 비교기(112)의 비교결과(0 또는 1)에 따라 상기 누적된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형적인 MRC 방식의 레이크 수신기는 신호세기가 상기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로를 심볼결합기 입력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수신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레이크 수신기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경로 추정이 불완전하게 되면 채널보상 과정에서 추가적인 성능열화가 발생되며 이는 추정기간에 따른 추정에러와 추가적인 잡음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 다른 경로들에 비해 신호대잡음비가 현격하게 떨어져서 신뢰성이 없는 경로의 복조 신호는 수신성능을 오히려 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양호한 경로의 경우에도 평균적인 신호대잡음비가 일시적으로 매우 작아지는 이른바 'deep fading' 구간의 경우에는 복조 신호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떨어져 수신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둘째, 경로추정 오류에 의해 원천적으로 경로가 잘못 할당된 경우, 이를 확인하고 다시 경로를 할당할 때까지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게다가 단말기의 이동 등으로 인해 할당된 경로의 무선 채널 환경이 급격하게 변할 경우 레이크 수신기에서 이러한 경로변화를 자체적으로 추적하는 타이밍을 놓치게 되고, 이로 인해 그릇된 타이밍에서 복조를 수행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레이크 수신기에서 복수의 경로들 중 적절한 경로들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임계값의 설정은 수신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채널환경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므로 그에 따라 최적의 수신성능을 얻을 수 있는 임계값이 설정되어야 한다. 즉, 임계값이 높게 설정된 경우 모든 경로의 신호들이 임계값을 넘지 못해 신호의 복조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임계값이 낮게 설정된 경우 복조기 출력들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무선 채널환경의 변화에 따라 레이크 수신기에서 최적의 임계값을 스스로 설정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 또한 주어진 환경에서 최적화된 임계값을 계산하는데 지나치게 많은 연산이 필요하여 실제 구현에 부적절할 뿐 아니라 채널환경을 감지하여 최적의 임계값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하여 대기(latency)효과에 의한 성능의 열화가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레이크 수신기에 있어서 계산량을 감소시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임계값 계산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크 수신기에서 소정 임계값 이하의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의 신호를 심볼 결합에서 제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크 수신기에서 경로간의 전력비와 전체 신호대잡음비 및 채널추정 성능 등을 고려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현이 용이하며 무선 채널환경의 변화에 따라 빠른 속도로 채널환경에 적합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에 있어서,
다중 경로의 신호들을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수의 복조기들과, 상기 복조기들에서 수신하는 신호들의 신호세기들을 측정하는 신호세기 측정기들과, 상기 측정된 신호세기들을, 기준 임계값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들과, 상기 비교기들에 의한 비교결과,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임계값 결정기와, 상기 선택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복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들을 결합하는 심볼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방법에 있어서,
다중 경로의 신호들을 수신하여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 경로의 신호들에 대해 신호세기들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신호세기들을, 기준 임계값을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각각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레이크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복조기들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나타낸 복조기들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레이크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심볼들 중 유효한 심볼들의 개수에 따라 임계값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수신 신호세기(또는 수신 신호대잡음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의 심볼만을 유효한 심볼로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크 수신기는 핑거(Finger)라고도 불리우는 복수의복조기들(Demodulators)(210a 내지 210c)과 상기 복조기들(210a 내지 210c)의 출력들을 결합하는 심볼결합기(Symbol Combiner)(220)와 상기 복조기들(210a 내지 210c)의 출력들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하는 임계값 결정기(threshold controller)(230)로 구성된다. 상기 복조기들(210a 내지 210c)은 서로 다른 전파경로를 통해 서로 다른 시간지연을 가지고 도착한 복수의 수신 신호들을 각각 복조하며, 상기 심볼 결합기(220)는 상기 복조기들(210a 내지 210c)로부터의 출력들에 대하여 전형적인 최대비 결합(MRC: Maximal Ratio Combining) 방식에 의해 결합한다.
상기 임계값 결정기(230)는 상기 복조기들(210a 내지 210c)의 출력들을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 중 하나인 기준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의 개수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 중 하나의 임계값을 선택한다. 일 예로서 상기 기준 임계값은 상기 임계값들 중 최대의 임계값으로 설정된다. 그러면 상기 복조기들(210a 내지 210c)은 상기 선택된 임계값에 따라 복조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임계값들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과 채널상황, 수신기의 성능(채널추정기 및 기타 RF(Radio Frequency) 소자들의 성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한다. 상기 임계값들 중 가장 큰 임계값은 하나 혹은 두 개의 수신경로만으로도 충분히 우수한 수신성능을 보장할 수 있을 정도로 큰 값으로 결정하며, 가장 작은 임계값은 수신기의 최소 수신감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최소 수신감도는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가장 미약한 신호로 RF 및 수신기의 복조 및 디코더 성능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나머지 임계값들은 레이크 수신기에 구비된 복조기들의 개수에따라 상기 최대 임계값과 상기 최소 임계값 사이에서 적절한 간격을 가지도록 선택한다.
상기 임계값들의 개수와 레이크 수신기에 구비되는 복조기들의 개수 간에 절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나, 임계값들의 개수는 복조기들의 개수보다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계값 결정기에 의해 최적으로 선택되는 임계값은 기준 임계값 이상인 경로가 할당된 복조기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인 경로가 할당된 복조기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큰 임계값이 선택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나타낸 복조기들(210a 내지 210c)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여기서는 3개의 임계값들을 사용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측정기(2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특히 파일럿 채널 신호의 수신 신호세기(RSSI)를 측정한다. 여기서 파일럿 채널을 이용하는 것은 셀룰러 시스템에서 다른 채널의 신호에 비하여 큰 송신 전력을 가지고 전송되어 다중 경로 페이딩 현상의 특성을 추정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수신된 신호의 신호세기(RSSI)를 이용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파일럿 채널의 수신 신호대간섭비(Chip Energy to Interference: Ec/Io)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비교기들(212a 내지 212c)은 상기 RSSI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RSSI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 V1,V2,V3와 각각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들V1,V2,V3보다 크면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들은 V1>V2>V3의 관계를 가지며 최대 임계값 V1은 기준 임계값으로서 사용되므로 상기 V1을 사용하는 제1 비교기(212a)의 비교결과는 임계값 결정기(230)로 제공된다.
상기 임계값 결정기(230)는 상기 제1 비교기(212a)를 비롯하여 다른 복조기들의 비교기들로부터 해당 경로의 수신 신호세기를 상기 V1과 비교한 결과를 수집하며 그 개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임계값들 V1,V2,V3 중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 결과는 선택기(219)로 제공되며, 그에 따라 상기 선택기(219)는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들(212a 내지 212c)의 비교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한다. 즉 V1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비교기(212a)의 비교결과가 선택되고, V2가 선택되면 상기 제2 비교기(212b)의 비교결과가 선택되며, V3이 선택되면 상기 제3 비교기(212c)의 비교결과가 선택된다.
채널 추정기(213)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보상신호를 결정하고 공액(conjugate) 계산기(214)는 상기 채널 보상신호에 대한 공액 신호를 계산한다. 확산기(215)는 소정 월시코드 Wk를 가지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확산하며 채널 보상기(216)는 상기 확산된 신호에 상기 공액 신호를 곱하여 채널 보상을 수행한다. 누적기(217)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채널 보상기(216)으로부터의 채널 보상된 신호를 누적하며, 곱셈기(218)는 상기 선택기(219)에 의해 선택된 비교결과(0 또는 1)에 따라 상기 누적된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거한다.
상기 도 4를 앞서 언급한 도 2에 보인 종래의 복조기 구조와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조기(210)는 복조된 신호의 신뢰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개들(도 4에서는 3개)의 임계값과 비교하고, 가장 적절한 임계값과 비교된 결과를 선택하여 복조된 심볼에 대해 유효심볼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임계값 결정기(230)는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임계값들 중 특정 기준 임계값(도 4에서는 V1) 이상인 심볼의 개수를 각각의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1 or 0)에 따라 무선 채널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각각의 상태에 따라 유효심볼 판정을 위한 임계값을 선택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구현되므로, 한 심볼구간 내에 동작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상기 복조기(210)에서 복조된 심볼은 상기 임계값 결정기(230)의 선택 결과에 따라 선택된 임계값과 곱셈동작에 의해서, 선택된 임계값 미만일 경우 0으로 제거되며 그 이상일 경우 심볼결합기(220)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임계값들 V1,V2,V3(V1>V2>V3)를 사용하는 동작을 도시하였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과정(310)에서 복조기들(210a 내지 210c)이 각각 할당된 경로에 대한 심볼 복조를 완료하면 과정(320)에서 임계값 결정기(230)는 상기 복조기들(210a 내지 210c)에서 측정한 수신 신호세기(또는 수신 신호대간섭비, Ec/Io)를 최대 임계값 V1과 비교한 결과를 확인한다. 과정(330)에서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최대 임계값 V1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의 개수가 2개 이상인지를확인하고 만일 2개 이상이면 과정(340)으로 진행하여 최적 임계값을 상기 최대 임계값 V1으로 결정한다. 그러면 2개 이상의 경로가 선택된다.
상기 최대 임계값 V1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의 개수가 2개 이상이 아니면, 과정(350)에서 상기 최대 임계값 V1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의 개수가 1개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1개이면 과정(360)으로 진행하여 최적 임계값을 두 번째 임계값 V2로 결정한다. 그러면 상기 임계값 V2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이 선택된다. 상기 최대 임계값 V1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의 개수가 1개가 아니면 과정(370)으로 진행하여 최적 임계값을 최소 임계값 V3으로 결정한다. 그러면 상기 임계값 V3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이 선택된다.
과정(380)에서는 상기 결정된 최적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선택된 경로들에 해당하는 복조기로부터의 복조된 심볼들을 결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수신 중인 모든 경로의 상황을 동시에 고려하여 순간적인 채널의 상황을 반영하여 임계값이 결정되므로 다양한 채널환경에 대해 최적에 가까운 수신성능을 보장한다.
둘째, 채널환경에 적합한 임계값 설정에 있어서 지연이 없어 대기(latency) 문제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한다.
셋째, 구조가 간단하여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혹은 DSP(Digital Signaling Processor) 등의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다.

Claims (11)

  1.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에 있어서,
    다중 경로의 신호들을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수의 복조기들과,
    상기 복조기들에서 수신하는 신호들의 신호세기들을 측정하는 신호세기 측정기들과,
    상기 측정된 신호세기들을, 기준 임계값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들과,
    상기 비교기들에 의한 비교결과,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임계값 결정기와,
    상기 선택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복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들을 결합하는 심볼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임계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 중 최대의 임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결정기는,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최대의 임계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결정기는,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가 없으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최소의 임계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결정기는,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더 큰 임계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방법에 있어서,
    다중 경로의 신호들을 수신하여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 경로의 신호들에 대해 신호세기들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신호세기들을, 기준 임계값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과 각각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임계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 중 최대의 임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최대의 임계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가 없으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최소의 임계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더 큰 임계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의 개수가 3개일 때,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들의 개수가 2개 이상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들 중 최대의 임계값을 선택하고, 1개이면 두 번째로 큰 임계값을 선택하며, 상기 기준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가지는 경로가 없으면 최소의 임계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81695A 2002-12-20 2002-12-20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KR10051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695A KR100513024B1 (ko) 2002-12-20 2002-12-20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695A KR100513024B1 (ko) 2002-12-20 2002-12-20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094A true KR20040055094A (ko) 2004-06-26
KR100513024B1 KR100513024B1 (ko) 2005-09-05

Family

ID=3734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695A KR100513024B1 (ko) 2002-12-20 2002-12-20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0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024B1 (ko) 2005-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4948B1 (en) Electric power controlling system for variable bit rate CDMA transmission and mobile telephone system
EP13587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transmit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2018155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demodulation method
KR100670575B1 (ko)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에서의 포워드 전력 제어결정
EP1233535A1 (en) Phase rotation measuring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device having the same
JP3369513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受信方法
JP2000049662A (ja) Cdma受信装置における復調回路
JP2001196973A (ja) パス認定方法、cdma方式無線通信端末およびcdma方式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55327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 방법
US6542483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b/Nt estimation for forward power control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s
CN100372256C (zh) 估算信号的信号干扰比的方法和装置
US85541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724808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of measuring Eb/N0 after weighted signals are combined
US901423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H10271034A (ja) Cdma移動体通信受信装置
KR100513024B1 (ko)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US20090117894A1 (en) Wireless Diversity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EP1381173A2 (en)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577541B1 (ko) 레이크 수신기에서 트래픽 채널 신호 전송 검출 장치 및그 방법
KR100354165B1 (ko) 고속 순방향 전력제어 방법
JP4418289B2 (ja) ジオメトリ測定方法、無線受信装置及び移動局装置
US8976840B2 (en) Radio receiver for detecting a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channel
JP2003304177A (ja) 無線受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0209128A (ja) 受信装置
JP2003060558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