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095B1 -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095B1
KR100592095B1 KR1020040088648A KR20040088648A KR100592095B1 KR 100592095 B1 KR100592095 B1 KR 100592095B1 KR 1020040088648 A KR1020040088648 A KR 1020040088648A KR 20040088648 A KR20040088648 A KR 20040088648A KR 100592095 B1 KR100592095 B1 KR 10059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ise reduction
connection passage
vacuum cleaner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534A (ko
Inventor
이현주
송화규
임종국
이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095B1/ko
Priority to JP2005052060A priority patent/JP2006130290A/ja
Priority to US11/072,984 priority patent/US20060093501A1/en
Priority to CNB2005100594903A priority patent/CN100339038C/zh
Priority to GB0506822A priority patent/GB2419810B/en
Priority to RU2005112142/12A priority patent/RU2295273C2/ru
Priority to FR0503719A priority patent/FR2877203B1/fr
Priority to DE102005023406A priority patent/DE102005023406B4/de
Publication of KR20060039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는, 제1 및 제2흡입구를 구비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시 상기 제1흡입구와 상기 제2흡입구의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연결통로를 따라 설치되는 소음저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구조립체, 소음저감유닛,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 제1 및 제2흡음부재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A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조립체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흡입구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흡입구조립체의 배면도,
도 4은 도 1의 흡입구조립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제1소음저감리브 및 제1흡음부재를 확대한 평면도,
도 6는 도 4의 제1소음저감리브를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제1흡음부재를 확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진공청소기 110..청소기본체
200..흡입구조립체 210..하부하우징
220..유로커버 221..연결통로
230..상부커버 250..상부하우징
211,212..제1 및 제2흡입구 216,217..제1 및 제2하부개구
231,232..제1 및 제2상부개구 210d..후벽
210e..공기배출구 300..소음저감유닛
310,320..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 330,340..제1 및 제2흡음부재
310a,320a..제1 및 제2빗살공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청소면의 오물이 흡입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진공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원이 내장된 청소기본체, 피청소면과 마주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부분이 흡입구조립체, 상기 흡입구조립체에서 흡입한 오물을 상기 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연장유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흡입구조립체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이 전달되는 흡입구가 흡입구조립체의 중앙에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구가 설치된 중앙부는 흡입력이 강한 반면, 양측부로 갈수록 흡입력은 낮아진다. 이로 인해, 흡입구가 설치된 중앙부에서는 청소의 효율이 좋으나, 양측부에서의 청소효율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등록특허(US6,532,622)에 개시된 것처럼 흡입구를 흡입구조립체의 양 측부에 2개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흡입구를 흡입구조립체의 양 측부에 2개 형성할 경우, 2개의 흡입구에서 유입된 집진공 기가 연장관커넥터와 연결되는 좁은 공기배출구에 한꺼번에 모아져, 이로 인한 유속의 증가 및 상호 충돌시 발생하는 와류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양측부의 청소효율이 향상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이 저감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는, 제1 및 제2흡입구를 구비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시 상기 제1흡입구와 상기 제2흡입구의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연결통로를 따라 설치되는 소음저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유로커버; 및 상기 유로커버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저감유닛은, 복수개의 제1빗살공을 가진 제1소음저감리브; 및 복수개의 제2빗살공을 가진 제2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는 상호 대칭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통로의 후벽의 중심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소음저감리브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우측방향으로 상기 연결통로의 후벽을 따라 설 치되며, 상기 제2소음저감리브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좌측방향으로 상기 연결통로의 후벽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우측 및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2,H3)가 낮아지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빗살공은, 상기 공기배출구로 빠져나가는 집진공기의 흐름방향으로 경사각(θ1,θ2)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각(θ1,θ2)은, 40°이상 7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빗살공은, 상기 제1 및 제2빗살공의 상호간격(D1,D2)의 0.5배 내지 1.0배인 폭(W1,W2)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는, 상기 연결통로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흡음부재는 상기 제1소음저감리브와 상기 연결통로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흡음부재는 상기 제2소음저감리브와 상기 연결통로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흡음부재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우측 및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5,H6)가 낮아지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흡음부재는 다공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조립체(20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100)는 진공원(미도시)이 내장된 청소기본체(110), 상기 진공원(미도시)에서 발생된 진공력으로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조립체(200), 흡입구조립체(200)와 연결되며 흡입구조립체(200)에서 흡입된 오물을 청소기본체(110)로 안내하는 연장유로(120)를 포함한다. 연장유로(120)는 흡입구조립체(2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관커넥터(126), 연장관커넥터(126)에 연결되는 연장관(124), 일단이 상기 연장관(124)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청소기본체(110)에 연결되는 흡입호스(12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조립체(200)는 하부하우징(210)과, 상부하우징(250)과, 소음저감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하우징(210)에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구(211)와 제2흡입구(212)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흡입구(211)는 분리벽(213)에서 우측으로 소정간격 떨어져, 하부하우징(21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제2흡입구(212)는 분리벽(213)에서 좌측으로 소정간격 떨어져, 하부하우징(21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212)로 인하여 흡입력이 균일하게 흡입구조립체(200)의 중앙부(M)와 양측부(S)로 전달되어, 화살표 Q1방향으로 중앙부(M)로 유입되는 집진공기와, 화살표 Q2, Q3방향으로 흡입구조립체(200)의 양측부(S)로 유입되는 집진공기가 모두 원할하게 흡입구조립체(200)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앙부(M)에 흡입구가 1개 형성된 기존의 흡입구조립체에 비해 양 측부(S)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부(M)의 청소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넓은 면적의 피청소면이 청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212)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나 타원형, 삼각형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청소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하부하우징(210)에 제1,2하부개구(216,217)와 제1,2먼지이동채널(214,215)을 형성하고, 상부커버(230)에는 제1,2상부개구(231,2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하부개구(216)는 분리벽(213)에서 우측으로 근접하게, 하부하우징(21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제2하부개구(217)는 분리벽(213)에서 좌측으로 근접하게, 하부하우징(21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하부개구(216) 및 제2하부개구(217)는 직사각형의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타원형, 삼각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형성위치도 제1흡입구(211)와 제2흡입구(212)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먼지이동채널(214)은 분리벽(213)의 우측으로 제1하부개구(216)와 제1흡입구(211)를 지나면서, 하부하우징(210)의 우측면(210b)까지 뻗어나가는 하부하우징(2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통로이고, 제2먼지이동채널(215)은 분리벽(213)의 좌측으로 제2하부개구(217)와 제2흡입구(212)를 지나면서, 하부하우징(210)의 좌측면(210c)까지 뻗어나가는 하부하우징(2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통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화살표 F1,F2방향으로 제1상부개구(231) 및 제2상부개구(232)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밀폐된 흡입부조립체(200, 도 1참조)의 내부를 거쳐 화살표 F3, F4방향으로 제1하부개구(216) 및 제2하부개구(217)를 통하여 하부하우징(210)의 바닥면으로 유도된다.
이렇게 유도된 외부공기는 제1먼지이동채널(214)과 제2먼지이동채널(215) 사이에 쌓인 먼지를 비산시키며, 비산된 먼지를 포함한 집진공기는 화살표 F3, F4방향으로 제1먼지이동채널(214)과 제2먼지이동채널(215)를 따라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212)로 흡입된다. 따라서 제1먼지이동채널(214)과 제2먼지이동채널(215)에 쌓인 먼지도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어 청소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250)은 유로커버(220) 및 상부커버(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하우징(250)은 도면과 같이 별도로 구성된 유로커버(220) 및 상부커버(230)로 구성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로커버(220) 및 상부커버(230)를 일체로 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유로커버(220)는, 하부하우징(210)과 결합되어 제1흡입구(211)와 제2흡입구(212)의 연결통로(221)를 형성한다.
즉, 유로커버(220)에 의해 연결통로(221)의 상벽이 형성되고, 하부하우징(210)에 의해 연결통로(221)의 바닥과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커버(220)는 흡입된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아치형의 형상을 가지며, 도 2의 화살표 X1방향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으로 굽어진 U자의 형상을 가진다. 이때, 유로커버(220)의 높이는 중앙에서 최고높이 H1을 가지며, 좌 우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그리고, 유로커버(220)의 재질은 외부에서 흡입된 오물의 유동을 관찰하여 오물걸림현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커버(230)는, 흡입구조립체(200)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유로커버(220)의 상측에서 하부하우징(210)과 결합되며, 상부커버(23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상부개구(231)와 제2상부개구(232)가 관통형성된다. 이렇게 밀폐되게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제1상부개구(231) 및 제2상부개구(232)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1 및 2하부개구(216,217 도 3참조)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230)에는 유로커버(220)가 흡입구조립체(200)의 외부로 드러날 수 있도록 유로커버(2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214)가 형성되며, 이러한 절개부(214)를 통하여 유로커버(220)는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상부개구(231,232)가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이외에도 복수개의 홀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제1, 2상부개구(231,232)에 차폐부재를 설치하여 공기유입시에만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의 중심에는 공기배출구(210e)가 형성되며, 이러한 공기배출구(210e)에는 연장관커넥터(126, 도1참조)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공기배출구(210e)로 제1흡입구(211)로부터 화살표 Q5를 따라 유입된 집진공기 및 제2흡입구(212)로부터 화살표 Q6를 따라 유입된 집진공기가 모아진다.
한편,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212)로부터 유입된 집진공기가 공기배출구(210e)에 한꺼번에 모여 연장관커넥터(126)를 빠져나갈 경우, 유속증가 및 상호 충돌로 발생하는 와류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후벽(210d)과의 직접적인 충돌 및 압력으로 소음이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통로(221)에는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310, 320)와, 제1 및 제2흡음부재(330,340)로 구성된 소음저감유닛(300)이 설치된다.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310, 320)는 상호 대칭형상을 가지며, 연결통로(221)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며, 아크릴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이외에도 유리, 금속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310, 320)는 대칭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310, 320)의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제1소음저감리브(310)를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제1소음저감리브(310)는, 공기배출구(210e)의 우측방향인 화살표 R방향으로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을 따라 설치된다.
이렇게, 제1소음저감리브(310)가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을 따라 설치되는 이유는, 제1흡입구(211)로부터 연결통로(221)로 흘러가는 집진공기가 연결통로(221)의 구부러진 형상으로 인해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방향으로 치우쳐 흘러가므로, 이러한 후벽(210d)을 따라 제1소음저감리브(310)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많은 집진공기와 접촉하여 이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제1소음저감리브(310)와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사이에는 제1흡음부재(33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소음저감리브(310)는 공기배출구(210e)의 우측방향인 화살표 R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2)가 낮아지며, 제1흡입구(211)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은 유로커버(220)의 높이변화 및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의 형상변화를 고려한 것으로, 이로 인해 제1소음저감리브(310)는 연결통로(221)상에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집진공기는 제1소음저감리브(310)로 인한 저항을 덜 받으면서 연결통로(221)를 지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1소음저감리브(310)는 제1흡입구(211)로부터 공기배출구(210e)까지의 집진공기의 흐름방향인 Q5방향으로 수직선에 대하여 θ1 만큼 경사진 제1빗살공(310a)을 복수개 가진다. 이때 경사각(θ1)은, 40°이상 7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θ1)는 연결통로(221)를 지나가는 집진공기가 직접적으로 제1빗살공(310a)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집진공기가 화살표 Q5방향으로 연결통로(221)를 지나갈 때 간접적으로 화살표 Q8방향으로 제1빗살공(310a)으로 흘러갈 수 있어, 화살표 Q5방향으로 흘러가는 집진공기의 메인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1빗살공(310a)은, 제1빗살공(310a)의 상호간격(D1)의 0.5배 내지 1.0배인 폭(W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폭(W1)을 가진 제1빗살공(310a)으로 인해 집진공기가 일정량 수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흡음부재(330)는 제1소음저감리브(310)와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210e)의 우측방향인 화살표 R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5)가 낮아지며, 제1흡입구(211)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1흡음부재(330)는, 제1소음저감리브(310)에 의해서 저감된 소음을 다시 한번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인 스폰지, 일반필터재질, 폼(foam)등과 다공성재질로 형성된다.
이하, 후벽(210d)과 제1흡음부재(330)와 제1소음저감리브(310)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1흡음부재(330)의 후면(330b)을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인다. 다음으로, 제1흡음부재(330)의 전면(330a)에 제1소음저감리브(310)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여제1소음저감리브(310) 및 제1흡음부재(330)의 연결통로(221)상의 설치를 완료한다.
다만, 이러한 제1흡음부재(330)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만약 이러한 제1흡음부재(330)가 생략된다면, 제1소음저감리브(310)는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직접 붙일 수도 있다.그리고, 설치를 위해 반드시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는 없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나사, 용접 등 다른 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소음저감리브(320)는, 공기배출구(210e)의 좌측방향인 화살표 L방향으로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제2소음저감리브(320)와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사이에는 제2흡음부재(34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제2소음저감리브(320)는 공기배출구(210e)의 좌측방향인 화살표 L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3)가 낮아지며, 제2흡입구(212)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2소음저감리브(320)의 형상 및 제2소음저감리브(320)를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을 따라 설치하는 이유는, 제1소음저감리브(3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제2소음저감리브(320)는 제2흡입구(212)로부터 공기배출구(210e)까지의 집진공기의 흐름방향인 Q6방향으로 수직선에 대하여 θ2 만큼 경사진 제2빗살공(320a)을 복수개 가진다. 이때 경사각(θ2)은, 40°이상 7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θ2)는 연결통로(221)를 지나가는 집진공기가 직접적으로 제2빗살공(320a)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집진공기가 화살표 Q6방향으로 연결통로(221)를 지나갈 때 간접적으로 화살표 Q9방향으로 제2빗살공(320a)으로 흘러갈 수 있어, 화살표 Q6방향으로 흘러가는 집진공기의 메인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2빗살공(320a)은, 제2빗살공(320a)의 상호간격(D2)의 0.5배 내지 1.0배인 폭(W2)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폭(W2)을 가진 제2빗살공(320a)으로 인해 집진공기가 일정량 수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흡음부재(340)는 제2소음저감리브(320)와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210e)의 좌측방향인 화살표 L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6)가 낮아지며, 제2흡입구(212)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2흡음부재(340)는, 제2소음저감리브(320)에 의해서 저감된 소음을 다시 한번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인 스폰지, 일반필터재질, 폼(foam)등과 다공성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벽(210d)과 제2흡음부재(340)와 제2소음저감리브(320)의 연결관계는 이미 설명한 후벽(210d)과 제1흡음부재(330)와 제1소음저감리브(310)의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조립체(200)가 채용된 진공청소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본체(110)에 내장된 진공원(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호스(122), 연장관(124), 연장관커넥터(126)를 통하여 흡입구조립체(200)에 전달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흡입구조립체(200)에 전달된 흡입력은 화살표 Q5 및 Q6방향의 역방향으로, 제1흡입구(226) 및 제2흡입구(212)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흡입력에 의해, 화살표 Q1방향으로 흡입구조립체(200)의 중앙 부(M)로 유입되는 집진공기와, 화살표 Q2, Q3방향으로 흡입구조립체(200)의 양측부(S)로 유입되는 집진공기가,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212)로 유입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212)로 전달된 흡입력은 제1먼지이동채널(214) 및 제2먼지이동채널(215)을 따라 제1하부개구(216) 및 제2하부개구(217)로 각각 전달된다.
제1하부개구(216) 및 제2하부개구(217)에 전달된 흡입력은 상부커버(230)와 하부하우징(2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밀폐된 공간을 통하여 제1, 2상부개구(231,232)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흡입력으로 인해 외부의 공기는 화살표 F1,F2방향으로 제1상부개구(231) 및 제2상부개구(232)를 통하여 유입된다.
그리고, 제1상부개구(231) 및 제2상부개구(23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부커버(230)와 하부하우징(2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밀폐된 공간을 지나 제1하부개구(216) 및 제2하부개구(217)를 통과하면서, 피청소면의 바닥과 충돌하여 제1먼지이동채널(214)와 제2먼지이동채널(215)에 쌓인 먼지를 비산시킨다.
이렇게 비산된 먼지를 포함한 집진공기는 화살표 F3, F4방향으로 제1,2먼지이동채널(214,215)을 통과한 후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212)로 유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Q1, Q2, Q3, F3, F4 방향에서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212)로 유입된 집진공기는 화살표 Q5 및 Q6를 따라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310,320) 및 제1 및 제2흡음부재(330,340)로 구성된 소음저감유닛(300)가 설치된 연결통로(221)를 지나게 된다.
이때, 집진공기가 화살표 Q8 및 Q9방향으로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 (310,320)에 형성된 제1 및 제2빗살공(310a,320a)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어, 집진공기가 양적으로 분산된다.
또한, 이러한 제1 및 제2빗살공(320a)으로 인해 집진공기의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320)와의 충돌시 충격 및 압력이 분산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집진공기가 공기배출구(210e)에 한꺼번에 몰리고, 연결통로(221)의 후벽(210d)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음저감효과는 제1 및 제2흡음부재(216,217)에 의해 더욱 향상된다.
구체적인 실험데이타에 의하면, 소음저감유닛(300)이 있는 경우가 소음저감유닛(300)이 없는 경우에 비해, 전체소음이 74.5dB(A)에서 73.0dB(A)로 1.5dB(A)만큼 줄어든다. 따라서, 소음저감유닛(300)이 있는 경우가 소음저감유닛(300)이 없는 경우에 비해 소음의 저감의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후, 집진공기는 공기배출구(210e)에서 모인 후 연장관커넥터(126), 연장관(124), 흡입호스(122)를 거쳐 청소기본체(110)로 이동되어 먼지는 집진되고, 먼지와 분리된 정화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의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로 인해 흡입구조립체의 중앙부 및 양측부에 흡입력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소음저감유닛에 의해 집진공기가 공기배출구에 한꺼번에 모여 유속의 증가 및 상호충돌로 인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로 인해 발생되는 소 음이 저감되어 정숙한 청소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셋째, 소음저감유닛에 의해 집진공기가 연결통로의 후벽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 및 압력으로 인한 소음이 저감되어 정숙한 청소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 및 제2흡입구를 구비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시 상기 제1흡입구와 상기 제2흡입구의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연결통로의 후벽을 따라 설치되는 소음저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를 통해 상기 연결통로로 유입된 집진공기는 상기 연결통로의 후벽을 따라 접촉하면서 양적으로 분산되어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유로커버; 및
    상기 유로커버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유닛은,
    복수개의 제1빗살공을 가진 제1소음저감리브; 및
    복수개의 제2빗살공을 가진 제2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는,
    상호 대칭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의 후벽의 중심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소음저감리브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우측방향으로 상기 연결통로의 후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2소음저감리브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좌측방향으로 상기 연결통로의 후벽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음저감리브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우측 및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2,H3)가 낮아지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빗살공은,
    상기 공기배출구로 빠져나가는 집진공기의 흐름방향으로 경사각(θ1,θ2)을 가지며,
    상기 경사각(θ1,θ2)은, 40°이상 7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빗살공은,
    상기 제1 및 제2빗살공의 상호간격(D1,D2)의 0.5배 내지 1.0배인 폭(W1,W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음부재는 상기 제1소음저감리브와 상기 연결통로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흡음부재는 상기 제2소음저감리브와 상기 연결통로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흡음부재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우측 및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5,H6)가 낮아지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흡음부재는 다공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KR1020040088648A 2004-11-03 2004-11-03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KR10059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48A KR100592095B1 (ko) 2004-11-03 2004-11-03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JP2005052060A JP2006130290A (ja) 2004-11-03 2005-02-25 真空掃除機の吸入口組立体
US11/072,984 US20060093501A1 (en) 2004-11-03 2005-03-04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CNB2005100594903A CN100339038C (zh) 2004-11-03 2005-03-25 真空吸尘器的吸入口组件
GB0506822A GB2419810B (en) 2004-11-03 2005-04-04 Suction port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RU2005112142/12A RU2295273C2 (ru) 2004-11-03 2005-04-13 Всасывающий входной узел пылесоса
FR0503719A FR2877203B1 (fr) 2004-11-03 2005-04-14 Ensemble d'orifices d'aspiration d'aspirateur
DE102005023406A DE102005023406B4 (de) 2004-11-03 2005-05-20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48A KR100592095B1 (ko) 2004-11-03 2004-11-03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34A KR20060039534A (ko) 2006-05-09
KR100592095B1 true KR100592095B1 (ko) 2006-06-22

Family

ID=3620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648A KR100592095B1 (ko) 2004-11-03 2004-11-03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93501A1 (ko)
JP (1) JP2006130290A (ko)
KR (1) KR100592095B1 (ko)
CN (1) CN100339038C (ko)
DE (1) DE102005023406B4 (ko)
FR (1) FR2877203B1 (ko)
GB (1) GB2419810B (ko)
RU (1) RU229527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8972B1 (fr) * 2006-11-23 2010-11-05 Seb Sa Suceur d'aspirateur.
KR20080092063A (ko) * 2007-04-11 2008-10-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 유닛
US8172932B2 (en) * 2007-04-11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ing tube having dust sensing function for use in vacuum cleaner
KR101457162B1 (ko) * 2007-11-16 2014-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TWI418326B (zh) * 2011-04-07 2013-12-11 Pegatron Corp 進氣式清潔裝置
KR200465855Y1 (ko) * 2012-12-12 2013-03-13 광림특장공업(주) 진공흡입청소차용 소음기
EP2934266B1 (en) * 2012-12-21 2020-04-15 Aktiebolaget Electrolux Passive vacuum cleaner nozzle with an air intake aperture
EP3003111B1 (en) * 2014-03-31 2016-12-21 Koninklijke Philips N.V. A nozzle for a vacuum cleaner
DE102015108051B4 (de) * 2015-05-21 2019-08-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Hartbodendüse für Grobgut und Feinstaubaufnah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141A (en) * 1990-02-09 1992-06-23 Rexair, Inc. Cleaning tool having airflow directing manifold for a vacuum cleaner system
US5471707A (en) * 1993-05-29 1995-12-05 Daewoo Electronics Co., Ltd.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sound-absorbing system
KR0129653Y1 (ko) * 1993-09-17 1999-10-01 김광호 청소기의 흡입구체
KR0136305Y1 (ko) * 1996-09-10 1999-02-01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0136306Y1 (ko) * 1996-09-10 1999-02-01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JPH1142181A (ja) * 1997-07-25 1999-02-16 Hitachi Ltd 電気掃除機
FR2773457B1 (fr) * 1998-01-14 2000-03-03 Seb Sa Circuit d'aspiration d'un suceur d'aspirateur
JP2001061725A (ja) * 1999-08-27 2001-03-13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US6532622B2 (en) * 2000-05-17 2003-03-18 Daewoo Electronics Co., Ltd. Brush head of vacuum cleaner
US7159277B2 (en) * 2001-02-06 2007-01-09 The Hoover Company Multiple chamber suction nozzle configuration
JP2003033304A (ja) * 2001-07-25 2003-02-04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AU2003207685B2 (en) * 2002-01-25 2008-09-25 James R. Alton Vacuum cleaner nozzle assembly having edge-cleaning ducts
JP2005296621A (ja) * 2004-04-13 2005-10-27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吸入ブラシ組立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8672A (zh) 2006-05-10
FR2877203B1 (fr) 2010-09-03
KR20060039534A (ko) 2006-05-09
GB2419810B (en) 2006-11-29
GB0506822D0 (en) 2005-05-11
RU2005112142A (ru) 2006-10-20
US20060093501A1 (en) 2006-05-04
CN100339038C (zh) 2007-09-26
DE102005023406A1 (de) 2006-05-04
GB2419810A (en) 2006-05-10
FR2877203A1 (fr) 2006-05-05
RU2295273C2 (ru) 2007-03-20
JP2006130290A (ja) 2006-05-25
DE102005023406B4 (de)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102B1 (ko)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06130290A (ja) 真空掃除機の吸入口組立体
US7381236B2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RU2335229C2 (ru)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KR100445801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KR100645378B1 (ko) 멀티 집진장치
TWI424829B (zh) Electric vacuum cleaner
RU2281680C1 (ru) Узел всасывающего отверстия и пылесос с таким узлом
CN102038464B (zh) 用于空气过滤装置的改良旋风集尘室
KR100727818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100554238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JP2004167206A (ja) グリル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CN106123064A (zh) 吸油烟机
RU2367331C2 (ru) Пылесос
KR100732160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CN101204303A (zh) 真空吸尘器的吸嘴
KR100364701B1 (ko) 진공청소기용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60034897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KR10073606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KR20070032443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40105163A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구조
CN212307716U (zh) 一种用于吸水刷的吸水结构
KR101185263B1 (ko) 진공 청소기
CN113273925B (zh) 真空清洁器的集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