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792B1 -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 Google Patents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792B1
KR100591792B1 KR1020040044681A KR20040044681A KR100591792B1 KR 100591792 B1 KR100591792 B1 KR 100591792B1 KR 1020040044681 A KR1020040044681 A KR 1020040044681A KR 20040044681 A KR20040044681 A KR 20040044681A KR 100591792 B1 KR100591792 B1 KR 100591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atomic
superelastic
met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557A (ko
Inventor
남태현
안효준
김기원
조권구
안주현
박수문
신휘범
최현칠
김종욱
조규봉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4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792B1/ko
Priority to PCT/KR2004/001763 priority patent/WO2005124901A1/en
Priority to US11/629,465 priority patent/US20080066832A1/en
Priority to JP2007516374A priority patent/JP4744515B2/ja
Publication of KR2005011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4/00Alloys based on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에 관한 것으로, 집전체로서 Ti-Ni계 초탄성 2원계 합금 또는 Ti-Ni-X계 초탄성 3원계 합금을 사용하고, 집전체의 표면에 Ti 및 Ni 황화물을 생성시켜 양극 활물질로서 사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집전체 및 전극이 변형 후에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형태로 회복되는 초탄성 특성을 가지며 전지의 집전체와 양극의 역할을 하나의 소자로 동시에 수행하고, 박판 및 세선형태를 갖는 집전체-양극 일체형 소자를 제공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초탄성, 합금, 전지, 집전체-양극 일체형, 금속황화물, 소자

Description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Hybrid superelastic metal-metal sulfide materials for current collector and anode of battery}
도 1은 박판형의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세선형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의 구조도이다.
도 3은 Ti-Ni 합금의 초탄성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집전체와 양극 일체형 소자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Ti-Ni-Mo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의 X선회절도형이다.
도 6은 Ti-Ni-Cu 집전체-양극 일체형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의 초탄성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Ti-Ni-Cr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의 전지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집전체 2: 금속황화물
3: 열처리로 4: 황
5: 발열체
본 발명은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전체로서 Ti-Ni계 초탄성합금 판재 및 선재를 사용하고, 집전체의 표면에 Ti, Ni 황화물을 생성시켜 양극활물질로서 사용되도록 하며, 전체소자가 초탄성 특성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지의 집전체와 양극의 역할을 하나의 소자로 동시에 수행하고, 박판 및 세선형태를 갖는 집전체-양극 일체형 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음극, 양극, 전해질, 집전체로 구성되어 있고, 집전체는 방전시 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모으는 역할을, 양극에서는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에 의해 환원반응이 발생한다. 현재 집전체로는 구리(Cu),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이 사용되고, 양극으로는 금속산화물, 황화물, 수산화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집전체는 전지의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소성변형이 발생한다. 최근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가변형 전지는 사용목적에 따라 전지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의 집전체를 사용하는 경우 형상을 반복하여 변화시키면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가공경화가 일어나고, 그 결과 집전체의 경화 및 파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집전체가 가변형 전지에 적용되는 경우 반복적인 형상변화에 의해 가공경화와 파단의 문제점을 가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초탄성 특성을 갖는 Ti-Ni계 2원계 합금 또는 Ti-Ni-X계 3원계 합금을 집전체로 사용하여, 집전체 표면에 양극활물질로서 Ti 및 Ni 황화물을 생성시킴으로써 집전체 및 전극이 변형 후에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형태로 회복되는 초탄성 특성을 갖는 박판 및 세선형태의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금속-금속황화물 소자를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집전체로서 Ti-Ni계 초탄성 2원계 합금 또는 Ti-Ni-X계 초탄성 3원계 합금을 사용하고, 집전체의 표면에 Ti 및 Ni 황화물을 생성시켜 양극 활물질로서 사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집전체 및 전극이 변형 후에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형태로 회복되는 초탄성 특성을 갖는 박판 및 세선형태를 갖는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집전체로서 Ti-Ni계 초탄성 2원계 합금 또는 Ti-Ni-X계 초탄성 3원계 합금을 사용하고, 집전체의 표면에 Ti 및 Ni 황화물을 생성시켜 양극 활물질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집전체 및 전극이 변형 후에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 의 형태로 회복되는 초탄성 특성을 갖는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는 용도에 따라서 박판 또는 세선의 형태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하기 도면을 참조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박판형의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다. 집전체(1)로는 Ti-Ni계 초탄성합금 박판을 사용하고, 집전체의 한쪽 면에 Ti 및 Ni 황화물(2)이 생성된다.
도 2는 세선형의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다. 집전체(1)로는 Ti-Ni계 초탄성합금 박판을 사용하고, 집전체 주위에 Ti 및 Ni 황화물(2)이 생성된다.
초탄성효과란 고온상인 모상상태에서 응력을 가하여 응력유기 마르텐사이트를 생성시켜 소자를 변형시킨 후,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도 3은 Ti-Ni 합금의 초탄성효과를 나타낸다. 합금을 가열하여 모상으로 만든 후 응력을 가하여 변형시키면 응력유기 마르텐사이트변태에 의해 3% 정도의 변형이 발생한다(도 3의 a 참조). 그 후 응력을 제거하면 마르텐사이트가 모상으로 변화하면서 변형율이 완전히 회복한다(도 3의 b 참조).
이러한 초탄성효과는 Ti-Ni 2원계 합금 뿐 만 아니라, Ti-Ni-X 3원계 합금에 서도 얻어진다.
Ti-Ni 2원계 합금에서 T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다.
Ti-Ni-X 3원계 합금에서 T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는 23.0-51.95 원자%의 범위이며, X는 0.1-2.0 원자%의 철(Fe), 0.1-2.0 원자%의 알루미늄(Al), 0.1-2.5 원자%의 몰리브덴(Mo), 0.05-1.5 원자%의 코발트(Co), 0.05-1.5 원자%의 크롬(Cr), 0.1-2.5 원자%의 바나디움(V), 1.0-25.0 원자%의 구리(Cu), 0.05-1.5 원자%의 망간(Mn), 1.0-25.0 원자%의 하프늄(Hf) 및 1.0-25.0 원자%의 지르코늄(Zr)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각 원자의 농도 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초탄성 효과가 없어진다.
도 4는 집전체와 양극 일체형 소자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진공분위기의 열처리로(3)에 Ti-Ni 2원계 합금 또는 Ti-Ni-X 3원계 합금의 집전체(1)를 장입하고 동시에 고체상태의 황(4)을 장입한 다음 400~700℃에서 1~30시간 동안 가열한다. 만일 가열온도가 400℃ 이하이거나 가열시간이 1시간 이하가 되면 황화물의 생성이 불완전하고, 가열시간이 700℃ 이상이 되면 산화가 발생한다. 또한, 가열시간이 30시간 이상이면 시간이 경과하여도 황화물 생성량에 변화가 거의 없다.
도 5는 Ti-Ni-Mo 합금을 이용하여 제조한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표면의 X선회절시험 결과이다. 소자의 표면에 Ti 황화물과 Ni 황화물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유사한 결과가 Ti-Ni 2원 합금 및 Ti-Ni-X 합금 에서도 얻어졌다. 상기 Ti-Ni 2원 합금에서 T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다. 상기 Ti-Ni-X 합금에서 T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는 23.0-51.95 원자%의 범위이며, X는 0.1-2.0 원자%의 철(Fe), 0.1-2.0 원자%의 알루미늄(Al), 0.05-1.5 원자%의 코발트(Co), 0.05-1.5 원자%의 크롬(Cr), 0.1-2.5 원자%의 바나디움(V), 1.0-25.0 원자%의 구리(Cu), 0.05-1.5 원자%의 망간(Mn), 1.0-25.0 원자%의 하프늄(Hf) 및 1.0-25.0 원자%의 지르코늄(Zr)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각 원자의 농도 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초탄성 효과가 없어진다.
도 6은 Ti-Ni-Cu 합금을 이용하여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를 제조한 후 초탄성특성을 조사한 결과이다. 황화물이 생성되기 전과 유사하게 초탄성 특성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유사한 초탄성특성이 Ti-Ni 2원합금 및 Ti-Ni-X 합금에서도 얻어졌다. 상기 Ti-Ni 2원 합금에서 T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다. 상기 Ti-Ni-X 합금에서 T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는 23.0-51.95 원자%의 범위이며, X는 0.1-2.0 원자%의 철(Fe), 0.1-2.0 원자%의 알루미늄(Al), 0.05-1.5 원자%의 코발트(Co), 0.05-1.5 원자%의 크롬(Cr), 0.1-2.5 원자%의 바나디움(V), 0.05-1.5 원자%의 망간(Mn), 1.0-25.0 원자%의 하프늄(Hf) 및 1.0-25.0 원자%의 지르코늄(Zr)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각 원자의 농도 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초탄성 효과가 없어진다.
도 7은 Ti-Ni-Cr 합금을 이용하여 제조한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 금속황화물 소자를 이용하여 전지를 제조한 후 전지특성을 조사한 결과이다. 유사한 전지특성이 Ti-Ni 2원 합금 및 Ti-Ni-X 합금에서도 얻어졌다. 상기 Ti-Ni 2원 합금에서 T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다. 상기 Ti-Ni-X 합금에서 Ti의 농도는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는 23.0-51.95 원자%의 범위이며, X는 0.1-2.0 원자%의 철(Fe), 0.1-2.0 원자%의 알루미늄(Al), 0.05-1.5 원자%의 코발트(Co), 0.1-2.5 원자%의 바나디움(V), 1.0-25.0 원자%의 구리(Cu), 0.05-1.5 원자%의 망간(Mn), 1.0-25.0 원자%의 하프늄(Hf) 및 1.0-25.0 원자%의 지르코늄(Zr)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각 원자의 농도 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초탄성 효과가 없어진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에 관한 것으로, 집전체로서 Ti-Ni계 초탄성 합금 박판 및 세선을 사용하고, 집전체의 표면에 Ti 및 Ni 황화물을 생성시켜 양극 활물질로서 사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집전체 및 전극이 변형 후에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형태로 회복되는 초탄성 특성을 갖는 박판 및 세선형태를 갖는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를 제공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전기 전자기구 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집전체로서, 48.0-52.0 원자%의 Ti와 48.0-52.0 원자%의 Ni로 구성된 Ti-Ni계 초탄성 2원계 합금 또는 Ti-Ni-X계 초탄성 3원계 합금을 사용하고, 집전체의 표면에 내부황화법으로 Ti 황화물 및 Ni 황화물을 생성시켜 양극 활물질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초탄성 특성을 가지며 전지의 집전체와 양극의 역할을 하나의 소자로 동시에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i-Ni-X계 초탄성 3원계 합금은 Ti의 농도가 48.0-52.0 원자%의 범위이고, Ni의 농도가 23.0-51.95 원자%의 범위이며, X는 0.1-2.0 원자%의 철(Fe), 0.1-2.0 원자%의 알루미늄(Al), 0.1-2.5 원자%의 몰리브덴(Mo), 0.05-1.5 원자%의 코발트(Co), 0.05-1.5 원자%의 크롬(Cr), 0.1-2.5 원자%의 바나디움(V), 1.0-25.0 원자%의 구리(Cu), 0.05-1.5 원자%의 망간(Mn), 1.0-25.0 원자%의 하프늄(Hf) 및 1.0-25.0 원자%의 지르코늄(Zr)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박판 또는 세선의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황화법은 상기 집전체의 표면에 기화된 황이 닿도록 하여 400~700℃에서 1~30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KR1020040044681A 2004-06-16 2004-06-16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KR100591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681A KR100591792B1 (ko) 2004-06-16 2004-06-16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PCT/KR2004/001763 WO2005124901A1 (en) 2004-06-16 2004-07-15 Hybrid superelastic metal-metal sulfide materials for current collector and anode of battery
US11/629,465 US20080066832A1 (en) 2004-06-16 2004-07-15 Hybrid Superelastic Metal-Metal Sulfide Materials for Current Collector and Anode of Battery
JP2007516374A JP4744515B2 (ja) 2004-06-16 2004-07-15 電池の集電体および正極用のハイブリッド超弾性金属−金属硫化物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681A KR100591792B1 (ko) 2004-06-16 2004-06-16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557A KR20050119557A (ko) 2005-12-21
KR100591792B1 true KR100591792B1 (ko) 2006-06-26

Family

ID=3551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681A KR100591792B1 (ko) 2004-06-16 2004-06-16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66832A1 (ko)
JP (1) JP4744515B2 (ko)
KR (1) KR100591792B1 (ko)
WO (1) WO2005124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15B1 (ko) * 2006-06-02 2007-07-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집전체-전극 일체형 Ti-Ni계 합금-Ni황화물 소자
KR100859687B1 (ko) * 2007-03-21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796664B1 (ko) 2007-03-21 2008-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869796B1 (ko) 2007-04-05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5729520B2 (ja) * 2012-08-27 2015-06-0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負極活物質材料
HUE050836T2 (hu) * 2014-02-25 2021-01-28 Nippon Steel Corp Negatív elektródaktív anyag, negatív elektród és elem
HUE041866T2 (hu) * 2014-02-25 2019-06-2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Negatív elektródaktív anyag, negatív elektród és elem
WO2018056690A1 (ko) * 2016-09-20 2018-03-29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극, 전지 및 전극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256A (ko) * 1994-08-23 1996-03-22 미따라이 하지메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9485A (en) * 1968-10-02 1972-03-14 Ppg Industries Inc Electrolysis of brine using coated carbon anodes
US4855195A (en) * 1988-07-11 1989-08-0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internal circuit interrupter
JPH04206258A (ja) * 1990-11-29 1992-07-28 Seiko Instr Inc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3733404B2 (ja) * 2001-05-22 2006-01-1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3922579B2 (ja) * 2003-11-05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負極および電池
KR100740715B1 (ko) * 2006-06-02 2007-07-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집전체-전극 일체형 Ti-Ni계 합금-Ni황화물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256A (ko) * 1994-08-23 1996-03-22 미따라이 하지메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0925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24901A1 (en) 2005-12-29
JP4744515B2 (ja) 2011-08-10
KR20050119557A (ko) 2005-12-21
JP2008503048A (ja) 2008-01-31
US20080066832A1 (en)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715B1 (ko) 집전체-전극 일체형 Ti-Ni계 합금-Ni황화물 소자
CN103380525B (zh) 燃料电池隔板
CN105719841B (zh) 电化学电容器
CN108425131B (zh) 一种负载于泡沫镍的镍钼基合金以及无定形碳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91792B1 (ko)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초탄성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Wang et al. Metallurgically prepared NiCu alloys as cathode materials for hydrogen evolution reaction
CN106894045A (zh) 一种用于电化学析氧的铁掺杂镍基复合材料的制备方法
Du et al. Unusual temperature effect on the stability of nickel anodes in molten carbonates
Chen et al. Characterization of Cu3N/CuO thin films derived from annealed Cu3N for electrode application in Li-ion batteries
Church et al. Thermal expansion matching and oxidation resistance of Fe–Ni–Cr interconnect alloys
Endo et al. Electrochemical Lithiation and Delithiation in Amorphous Si Thin Film Electrodes Studied by Operando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KR100637798B1 (ko)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형상기억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CN111370710A (zh) 一种燃料电池的碳负载金属催化剂的热处理方法及其制备的碳负载金属催化剂
Hu et al. A kind of nanofiber-enclosed nanoporous structure prepared through dealloying a Cu-Ti glassy film
Reddy et al. Effect of substrate temperature on morphology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radio frequency magnetron sputtered lithium nickel vanadate films used as negative electrodes for lithium microbatteries
Zhang et al. Thermal stability of ternary compounds in the Cu-Li-Sn system and phase transition of the Cu6Sn5 electrode: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and experiment
Ahn et al. Effect of Pt nanostructures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o3O4 electrodes for micro-electrochemical capacitors
KR100614680B1 (ko) 전지용 집전체-양극 일체형 금속-금속황화물 소자
KR101394834B1 (ko) 탄소-금속 교대 반복 코팅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Liu et al. Synergistic effect of composite V2O5/Ca0. 17V2O5 film electrodes as high-performance cathodes of SIBs
JP2014099331A (ja) 薄膜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5317288A (ja) 白金フリー硫化物系燃料電池触媒とその製造方法
CN103490074A (zh) 包覆衬底和包括该衬底的产品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114686923B (zh) 一种智能分子开关的制备方法
Reshma et al. Development of Pd@ MWCNT-Co3O4 Electrode Sensors Using Cobalt Recovered from Spent Lithium Ion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