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689B1 - 다중 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인플레이터 - Google Patents

다중 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인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689B1
KR100591689B1 KR1019990040408A KR19990040408A KR100591689B1 KR 100591689 B1 KR100591689 B1 KR 100591689B1 KR 1019990040408 A KR1019990040408 A KR 1019990040408A KR 19990040408 A KR19990040408 A KR 19990040408A KR 100591689 B1 KR100591689 B1 KR 10059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ant
initiator
inflator
ga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306A (ko
Inventor
파크스브렌트에이.
버트론제이.
해밀톤브라이언케이.
스트럭맨데이비드더블유.
피어스스탠리더블유.
Original Assignee
오이에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이에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이에이,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23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8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monitoring crash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작은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 또는 큰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의 탐지에 따른 선택적인 활성화를 위한 이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는 운송수단내의 에어 백과 함께 이용하도록 제공된다. 운전자 일측의 인플레이터와 승객 일측의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인플레이터는 운송수단내의 여러 장소 중 어느 하나에 동작을 수행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와 제1 및 제2추진제를 포함한다. 작은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가 폭발되어 제1추진제를 점화시킨다. 본래, 에어 백내에 수용되는 모든 팽창가스는 제1추진제로부터의 연소생성물과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에 수용된 저장가스로 이루어진다. 소정의 시간 지연 후에, 상기 제2추진제는 제2이니시에이터에 의해 점화되어 가연성 추진제가 인플레이터의 사용 후에 잔류하지 않게된다. 큰 충격의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에는, 에어 백에 수용된 팽창가스가 상기 저장 가스와 함께 제1 및 제2추진제 둘 모두로부터의 연소생성물의 결합물이 되도록 제1 및 제2추진제 둘 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점화된다.
인플레이터, 이니시에이터, 추진제, 시간지연

Description

다중 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인플레이터{INFLATOR WITH MULTIPLE INITIATORS}
도1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양단부에 위치된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와 제1 및 제2가스발생 조립체를 나타낸 승객용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2는 이중 이니시에이터, 특히 상기 인플레이터의 다른 부품들에 관련된 정렬 및 연통상태를 나타낸 운전자용 인플레이터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204 : 인플레이터 하우징 30 : 제1가스발생 조립체
38, 240 : 제1추진제 22, 216 :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
108 : 제2가스발생 조립체 120, 286 : 제2추진제
100, 220 :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 50, 262 : 출구 조립체
본 발명은 2이상의 이니시에이터(initiator)와 2이상의 추진 장약(propellant charge)을 가진 인플레이터(inflator)에 관한 것이다.
인플레이터는 운송수단(vehicle)내에서 에어 백(air bag) 또는 팽창가능한 다른 물품을 팽창시키는데 이용된다. 상기 팽창가능한 물품은 운송수단의 충돌사고가 발생할 경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어떤 종류의 인플레이터의 동작방식은 운송수단이 개입된 충돌사고가 큰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 또는 작은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로 탐지되는지 아닌지에 달려있다. 상기 인플레이터의 에어 백은 상기 운송수단에 특정 충격이 발생하거나 상기 발생된 충격이 과도할 경우 팽창되도록 설계된다. 여러 종류의 운송수단의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는 일반적으로 상기 충격을 받은 운송수단이 비교적 저속으로 주행하는 동안에 발생된다. 이와 관련하여,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는 비교적 저속으로 주행하는 가해 운송수단이 피해 운송수단과 부딪힐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큰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는 가해 운송수단과 피해 운송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비교적 고속으로 주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에어 백에서 발생된 압력이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와 큰 충격의 충돌사고에 대하여 동일할 필요는 없다. 큰 충격의 충돌사고가 발생할 경우,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상기 에어 백을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인 경우에는, 상기 에어 백을 보다 작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운송수단 탑승자의 연령 및/또는 체격에 따라, 상기 에어 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송수단의 탑승자가 젊거나 작은 어린아이 인 경우에는, 성인 또는 체격이 큰 사람일 때보다 상기 에어 백에 작은 압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시스템은 운송수단의 충격 정도, 운송수단 탑승자의 연령 및/또는 체격, 및/또는 운송수단 내에서 탑승자의 위치와 같은 여러 요소를 고려한 것이 제안되어왔다. 종래 기술의 팽창시스템에서는, 가스로 에어 백을 채우기 위한 다수의 가스발생 유닛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백에 비교적 증가된 압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상기 유닛들 중 2이상의 유닛이 활성화된다. 공지된 다른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점화기와 함께 전기적으로 제어된 유출 밸브(vent valve)가 이용된다. 상기 유출 밸브는 에어 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통로와 다른 가스용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형상을 기초로하여, 전기 제어기가 유출 밸브를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고 두 점화기 각각을 발화시킬(firing) 경우, 상기 에어 백은 발생되는 가스의 100%로 팽창한다. 반면에, 예를 들면, 상기 유출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두 점화기 중 어느 하나만이 발화될 경우, 상기 에어 백은 제공될 수 있는 가스의 가능한 최대량으로 팽창된다.
인플레이터 시스템이 에어 백의 팽창을 제어하는 것에 관련하여 이미 진보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에어 백의 팽창을 제어하는 것에 관련된 주요 필수요건을 충족시키는 비교적 덜(less) 복잡한 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상기 장치는, 상기 시스템에 이용 가능하거나 이미 이용되는 부품들에 의존하고, 상기 에어 백 모듈에 필요한 약간의 변형을 가하면서, 가능한한 적은 수의 부품들을 추가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가 운송수단용으로 기재된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플레이터가 장착된 운송수단이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 큰 충격의 충돌사고 또는 작은 충격과 큰 충격 사이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는 충돌사고(중간정도 충격의 충돌사고)를 당했는지에 따라, 두 개의 이니시에이터 각각이 소정의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이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가 제공된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운송수단내의 여러 장소 중 어느 한 장소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승객의 정면에 장착된 에어 백 또는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도록 배치된 승객용 인플레이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운송수단 운전자의 정면에 장착된 에어 백을 팽창시키도록 배치된 운전자용 인플레이터이다.
상기 승객용 인플레이터는 압축 매질(pressurized medium)을 저장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 매질 또는 저장된 가스는 하나 이상의 가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산소 및 비활성 기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그의 길이방향의 대향하는 양단부에 장착된 제1 및 제2단부를 가진다. 상기 제1단부에서는, 제1이니시에이터를 포함하는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가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결합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1가스발생 조립체가 장착된다.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는 제1추진제를 포함한다. 점화될 경우, 상기 제1추진제는 저장된 가스와 함께 팽창가능한 물품을 채우거나 가압하는데 이용되는 추진가스를 포함하는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제1추진제의 점화에 의해 발생된 연소생성물과 저장된 가스의 결합물인 팽창가스는 상기 팽창가능한 물품으로 흘러 그를 채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플레이터는 팽창가스가 팽창가능한 물품으로 들어가게하는 출구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출구 조립체는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팽창가스가 팽창가능한 물품 또는 에어 백 모듈에 수용되도록하는 디퓨져(diffuser)를 포함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출구 조립체는 발사체 및 밀폐부재 또는 밀폐원판을 포함한다. 상기 인플레이터가 활성화되어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가 발화될 경우, 상기 발사체가 밀폐부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밀폐부재를 파열 또는 개방시켜 팽창가스가 디퓨져로 흐르도록한다. 또한,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는 제1추진제의 점화에 의해 발생된 추진가스를 포함하는 연소생성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방사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구멍들을 구비한 출구부재를 가진다. 상기 추진가스는 저장된 가스와 혼합되며 상기 밀폐부재를 파열시킨 후에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에 대향된 단부 또는 제2단부에서는, 상기 승객용 인플레이터가 작은 충격, 큰 충격 또는 다른 충격(예를 들면, 중간정도의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의 발생에 따라 제어되어 활성화되는 제2이니시에이터를 포함하는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2추 진제를 포함하는 제2가스발생 조립체가 장착된다.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가 발화될 경우, 상기 제2추진제는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킨다. 상기 연소생성물은 가스발생 조립체의 출구 단부를 통해 상기 가스발생 조립체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출구 단부는 연소생성물이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한다.
큰 충격의 총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두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는 동시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두 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 사이의 시간이 약 5밀리초(millisecond)를 초과하지 않도록)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에어 백을 가압하는 추진가스는 상기 제1 및 제2추진제 둘 모두에 의해 생성된다. 이때, 상기 제1추진제의 연소로 인한 추진가스는 전체 추진가스의 약 70%이며, 상기 제2추진제의 연소로 인한 추진가스는 그 나머지인 약 30%이다. 상기 추진가스는 인플레이터를 빠져나가기 위해 저장된 가스와 결합된다.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가 탐지될 경우, 제어신호 또는 폭발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에 인가된다. 활성화시, 상기 제1추진제가 점화된 다음, 팽창가스가 팽창가능한 물품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팽창가스는 저장된 가스와 제1추진제의 점화로부터 발생된 연소생성물이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추진제는, 작은 충격의 사고시, 상기 에어 백을 채우는데 이용되는 팽창가스의 증가를 위해 점화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인플레이터의 활성화 후에 잔류하는 충전물 또는 점화가능한 추진제 및/또는 이니시에이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의 폭발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다른 제어신호가 제2이니시에이터에 인가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의 발화시간과 제2이니시에이터의 발화시간 사이의 상기한 시간지연에 기초하여, 에어 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가스는 제2이니시에이터를 활성화시켜 제2추진제를 점화시키므로써 생성되지는 않는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두 발화시간 사이의 소정의 시간지연은 적어도 약20밀리초이다. 제1추진제의 점화로 인한 연소생성물이 제2추진제를 점화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의 출구 단부에 방사방향으로 위치된 다수의 구멍은 제2가스발생 조립체의 출구 단부와 일렬로 정렬되거나 동축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상기 형상으로 인해, 제1추진제로부터의 연소생성물이 제2가스발생 조립체의 개방 단부를 지나 제2추진제를 점화시킬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큰 충격의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팽창가능한 물품을 가압하는 팽창가스는 저장된 가스와 함께 제1 및 제2추진제 둘 모두로부터의 추진가스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 각각은 거의 동시에 활성화된다. 상기 제1추진제의 연소로 인한 추진가스는 제2추진제의 연소로 인한 추진가스보다 체적 또는 양이 크다.
일실시예에서, 운전자 일측의 인플레이터는 압축 매질 또는 저장된 가스를 수용하는 환상체 형상으로된(toroidal-shaped)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환상체 하우징의 내부에는 가스발생 하우징이 장착된다. 상기 가스발생 하우징의 중앙과 상기 환상체 하우징이 중앙을 관통하는 중심축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운전자용 인플레이터는 제1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와 제2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는 상 기 중심축의 대향하는 양측부에 장착된다. 상기 두 이니시에이터 각각은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가진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는 제1챔버와 연통되는 제1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챔버는 제1추진제를 수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는 제2챔버와 연통되는 제2통로를 가진다. 상기 제2챔버는 제2추진제를 수용한다. 상기 제2챔버는 제1챔버의 안쪽에 장착된다. 추진제 컵은 상기 두 챔버를 분리시킨다. 상기 추진제 컵은 제2추진제로부터의 연소생성물이 배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진다. 밀폐 컵은 상기 추진제 컵의 적어도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추진제 컵의 개구부를 덮는다. 상기 제1통로는 제1챔버와만 연통되고 제2챔버와는 연통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통로는 제2챔버와만 연통되고 상기 제1챔버와는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통로 각각은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편향되어(offset)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용 인플레이터는 디퓨져를 포함하는 출구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조립체는 가스발생 조립체의 두 이니시에이터 조립체가 장착된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출구 조립체는 적어도 상기 제1추진제로부터의 연소생성물로 인해 파열 또는 개방되는 밀폐부재 또는 밀폐원판을 포함한다.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가 폭발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와 제1챔버 사이의 제1통로를 통한 교류에 의해 상기 제1추진제가 점화될 수 있다. 환상체의 하우징 내에서 저장된 가스와 결합되는 추진가스를 포함한 연소생성물이 발생되어 팽창가스로서 팽창가능한 물품으로 들어간다. 상기 팽창가스는 파열된 밀폐원판을 통과하여 팽창가능한 물품을 향해 디퓨져를 빠져나 가므로써 상기 팽창가능한 물품을 가압하고 채운다. 상기 밀폐 컵은 제1추진제로부터의 연생소생성물이 제2챔버로 들어가는 것에 대한 장애물(barrier)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추진제로부터의 연소생성물에 의한 제2추진제의 점화를 피할 수 있다. 승객용 인플레이터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플레이터가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에 대한 탐지와 관련하여 이용된 다음, 소정의 시간지연 후에,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가 폭발되어 제2챔버내의 제2추진제를 점화시키므로써, 충전물 또는 연소가능성이 있는 제2추진체 및/또는 제2이니시에이터를 제거한다. 선택적으로, 큰 충격의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추진제가 둘 다 점화되어 추진가스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두 인플레이터 각각은 동시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활성화된다. 상기 저장된 가스를 포함하며, 두 이니시에이터를 동시에 활성화시키므로써 생성되는 보다 큰 양의 팽창가스는 상기 팽창가능한 물품에 보다 큰 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승객용 이니시에이터 및 운전자용 이니시에이터를 포함한 각각의 이니시에이터는 발생한 운송수단의 충돌사고에 따라 다르게 제어될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 및 비교적 큰 충격의 충돌사고 사이에서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중간정도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인 경우에,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는 제1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 후에 바람직하거나 요구된 시간에 활성화될 수 있다. 충돌사고의 격렬함(작은 충격보다는 크지만 큰 충격보다는 작은)과 운송수단 탑승자의 체격 및/또는 위치와 같은 여러 요인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가 제어되어 활성화되므로써 상기 에어 백을 가압하기 위한 추가적인 추진가스를 발생시키고 에어 백의 팽창곡선(inflation curve)(시간에 대한 에어 백내의 압력)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 후에 제2이니시에이터를 활성화시킬 때의 비교적 짧은 시간지연은, 제1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와 제2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 사이의 긴 시간지연에 비해 비교적 보다 빨리 에어 백을 가압하게 된다.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이중 이니시에이터는 바람직한 팽창곡선을 제공하도록 제어되거나 바뀔 수 있다.
전술한 요약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중요한 잇점을 쉽게 알 수 있다. 인플레이터는 운송수단의 충격의 정도 또는 수준에 상응하여 제공한다. 비교적 작은 운송수단의 충돌사고 또는 충격에 대해서는, 가압을 위한 요구사항이 낮으므로 에어 백 내에서 작은 압력이 발생된다. 반대로, 비교적 큰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에는, 상기 에어 백이 많은 팽창가스를 제공받아 고압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작은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큰 충격의 발생시 점화되는 추진제가 낮은 충격의 발생시 점화되는 추진제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생성물로 인해 점화되지 않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낮은 충격의 충돌사고만이 탐지된 경우에도, 소정의 시간지연 후에 큰 충격의 발생시 점화되는 추진제의 활성화가 제어되어 인플레이터의 사용 후에 충전물 또는 가연성 추진제 및 이니시에이터의 존재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이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는 승객용 및 운전자의 일측에 위치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운송수단내에서 서로 다른 여러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의 디자인은 이니시에이터 조립체 및 추진제의 바람직한 또는 최적인 정렬상태를 포함하는 소형형상이다. 상기 가스 발생 조립체 또는 하우징은 단단한(non-frangible)부품들로 이루어져, 상기 인플레이터가 큰 충격의 사고가 감지되어 활성화된 경우에, 큰 충격의 발생시 점화되는 추진제를 수용한 하우징 또는 챔버가 파열되지 않도록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1에는 이중 이니시에이터의 승객용 인플레이터(10)가 도시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0)는 볼륨(volume) 또는 챔버(chamber)(18)를 가진 인플레이터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상기 볼륨(18)은 다수의 가스, 바람직하게는 산소 및 아르곤(argon)과 같은 비활성 기체가 포함될 수 있는 압축 매질(pressurized medium)을 저장한다. 상기 인플레이터(10)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저장된 가스는 운송수단 내에 위치된 팽창가능한 물품 또는 에어 백을 채우거나 가압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이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는 두 개의 이니시에이터 조립체, 두 개의 가스발생 조립체, 및 두 개의 가스 발생재 또는 추진제(추진 장약)를 가지며, 이들 각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세트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4)에 대향하는 양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리고, 도1에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14)의 제1단부에는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가 결합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와이어에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핀을 가진 제1이니시에이터(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26)의 전도성 핀 중 어느 하나에는 제어신호 또는 초기화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를 활성화 또는 발화시킨다. 상기 제어신호는 바람직한 또는 소정의 문턱값(threshold)을 가진 운송수단의 충격 또는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발생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26)는 작은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 또는 사건이 탐지 회로에 의해 탐지된 경우에 활성화된다. 상기 제어신호를 전도성 와이어를 따라 제1이니시에이터(26)의 핀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회로는 상기 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를 탐지하는 기술은 기존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상기 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술은 본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사실로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사고에 의한 충격의 탐지는 차량에 장착되는 센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10)의 제1단부에 인접한 볼륨(18) 내에는 제1가스발생 조립체(30)가 위치된다.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30)는 제1추진제 또는 가스발생재(38)를 수용 또는 저장한 제1하우징(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추진제(38)는 가연성이어서,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26)의 활성화에 의해 점화될 경우, 추진가스(propellant gases)를 포함한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킨다. 상기 추진가스는 볼륨(18) 내의 압축 매질과 혼합 또는 결합되어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가스로 채운다. 또한, 상기 가스발생 조립체(30)는 연소생성물, 특히 추진가스를 볼륨(18)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46)이 방사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격되게 형성된 출구부재(4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10)는 그의 제1단부에 위치된 출구 조립체(50)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조립체(50)는 에어 백 또는 팽창가능한 물품과 유체의 교류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58)를 가진 디퓨져(diffuser)(54) 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조립체(50)는 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를 에워싸며, 또한 소정크기 및 그 보다 큰 바람직하지 않은 분진(particles)이 디퓨져의 개구부 또는 개구부들(58)을 통해 출구 조립체(50)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막(screen)(6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와 제1가스발생 조립체(30)의 사이에는 밀폐부재 또는 원판(70) 및 필러 와셔(filler washer)(74)가 장착된다. 상기 밀폐부재(70)와 필러 와셔(74)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4)의 볼륨(18)내에 위치된다. 상기 밀폐부재(70)와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의 사이에는 상기 밀폐부재(70)를 파괴 또는 파열시키는데 이용되는 발사체(80)가 위치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26)가 활성화 또는 연소될 경우,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에 의해 생성된 힘은 밀폐부재(70)를 향해 관통시킨 통로를 따라 발사체(8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밀폐부재를 파열시켜 볼륨(18)과 디퓨져(54) 사이에 유체의 교류를 위한 개구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발생 조립체(30)는 제1추진제(38)와 필러 와셔(74) 사이에 위치된 점화 조립체(84)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 조립체(84)는 부스터(booster)(92)를 점화시키기 위한 추진제(38)쪽으로 이동가능한 피스톤(88)을 포함한다. 상기 부스터(92)가 연소됨에 따라, 상기 제1추진제(38)가 점화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14)의 제2 또는 반대쪽 단부를 참조하면, 인플레이터 하우징(14)에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100)가 연결 또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와는 달리,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100)는 인플 레이터 하우징(14)의 벽(wall) 안쪽에 위치된다.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100)는 제2이니시에이터(1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26, 104)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어쨌든,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104) 역시 하나 이상의 전도성 핀을 가지며,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104)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핀은 소정조건하에서 제어신호 또는 초기화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104)의 전도성 핀에 인가된 제어신호는 제1이니시에이터(26)에 인가된 바로 그 제어신호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의 전도성 핀에 인가된 제어신호가 전도성 핀에 의해 수신되어 제2이니시에이터(104)를 활성화시킬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제1이니시에이터의 전도성 핀에 인가된 제어신호와 크기(magnitude) 및 시간에 있어 다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큰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 또는 사건이 탐지될 경우, 상기 제어신호 또는 초기화 신호는 제2이니시에이터(104)의 전도성 핀에 인가된다. 상기 큰 충격의 사고는 작은 충격의 사고보다 큰 문턱값과 관련이 있다. 상기 문턱값은 운송수단이 받는 충격, 탐지되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다른 경험의 크기 또는 격렬함과 관계가 있다.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104)의 활성화에 관련된 더 이상의 논의는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10)의 동작설명부분에서 제공될 것이다.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100)에는 제2가스발생 조립체(108)가 동작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14) 벽의 보다 안쪽에 위치된다.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108)는 제2이니시에이터(104)와 동축방향으로 정렬된 이동 튜브(transfer tube)(112)를 포함한다. 제2추진제 또는 제2가스발생재(120)는 제2가스발생 조립체(108)의 제2하우징(124)내에서 이동 튜브(112)의 외부에 집중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제2하우징(124)은 개구부(132)를 가진 출구단부(128), 즉 개방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튜브(112)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분사부재(136)가 배치되며, 상기 분사부재(136)는 제2추진제(120)의 점화로 인한 연소생성물, 특히 추진가스가 통과하는 다수의 분사 포트(140)를 가진다.
승객용 이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작은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가 탐지되었다고 가정한다. 상기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의 탐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제1이니시에이터(26)의 전도성 핀에 인가된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26)의 활성화는 발사체(80)가 상기 밀폐원판(70)을 관통하여 그에 개구부를 만들 뿐만아니라, 상기 충격 피스톤(88)이 이동하여 제1추진제(38)를 점화시키는 부스터재(booster material)(92)를 연소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점화는 제1추진제(38)로부터 추진가스를 포함하는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스들은 출구부재(42)에 방사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격되게 형성된 구멍(46)들을 통해 배출된다. 이 가스들은 압축 매질 또는 저장된 가스와 혼합된다. 상기한 팽창가스들은 밀폐부재(70)에 인접한 포트(150)들을 지나 밀폐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인플레이터 하우징(14)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팽창가스들은 스크린(62)의 애퍼쳐(apertures)를 통과하고 디퓨져(54)의 출구 구멍(58)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출구 조립체(50)를 빠져나간 팽창가스는 인플레이터(10)가 동작하도록 연결된 에어 백 또는 다른 팽창가능한 물품을 채운다.
상기 추진제(38)와 부수적으로 압축 매질의 양은, 탐지된 운송수단의 충격이 작으므로 팽창가능한 물품에 상대적인 규모(scale)면에서 적은 바람직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형성 또는 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플레이터(10)가 활성화되어 제1추진제(38)가 점화된 후에, 충전물(the live)과 가연성의 제2추진제(120) 및/또는 제2이니시에이터(104)를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래, 상기 제2추진제(120)는, 작은 충격의 사고가 탐지된 경우 에어 백을 채우는 팽창가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지 않을지라도,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의 탐지로 인한 인플레이터의 활성화 후에 상기 제2추진제(120)는 점화되도록 제어되어 잔류하는 가연성 물질을 제거한다. 특히, 제1이니시에이터(26)가 활성화 또는 연소를 시작하면, 소정의 시간간격 또는 시간지연 후에 제어신호가 적어도 제1이니시에이터(26)에 인가된 시간과 다른 시간에 제2이니시에이터(104)의 전도성 핀에 인가된다. 상기 활성화는 제2추진제를 점화시켜 상기 제2추진제의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킨다.
상기 압축 매질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는 이미 에어 백을 가압하는데 이용되었으므로, 제2추진제(120)로부터의 연소생성물을 이용하여 확장되어질 저장가스는 없다. 결과적으로, 소량의 팽창가스가 존재한다면, 팽창가스는 제2추진제(120)의 활성화에 의해 에어 백으로 넘어간다. 어쨌든,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104)의 활성화에 의해 상기 제2추진제(120)가 연소되어, 충전물 또는 가연성 추진제가 인플레이터(10)내에 잔류하지 않게 되며, 인플레이터(10)내에 동작중인 이니시에이터가 남아있지 않게 된다. 소정의 시간간격 또는 시간지연에 대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시간지연은 적어도 약 20밀리초(milliseconds)이어야 하고, 승객용 인플레이터는 약 100밀리초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연시간은 500밀리초를 초과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상기 지연시간은 500밀리초보다 클 수 있다.
큰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 또는 사건이 탐지된 경우에는, 다른 동작이 일어난다. 특히, 상기한 큰 충격의 사고가 탐지된 경우, 제어신호가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26, 104)의 각각에 동시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된다. 상기 각각의 이니시에이터에 인가된 제어신호는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및 제2추진제(38, 120)는 모두 출구 조립체(50)를 빠져 나가 에어 백을 가압하는 추진가스의 발생에 기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추진제(38, 120)의 양 및 구성성분은, 인플레이터(10)의 설계에 관련하여, 제1추진제(38)가 상기 추진가스의 약 70%를 제공하는 반면에, 제2추진제(120)는 에어 백에 추진가스의 나머지 약 30%를 제공한다.
제2가스발생 조립체(108)로부터 배출되는 추진가스는, 상기 배출 개구부(132)의 위치로 인해, 인플레이터 하우징(14)의 길이방향에 평행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제2가스발생 조립체(108)의 출구 단부(128)를 빠져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30)의 출구부재(42)로부터 배출되는 추진가스는 하우징(14)의 길이방향에 평행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과는 다른 방사방향의 경로로 구멍(46)을 빠져나간다.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30)로부터 배출되는 추진가스의 배출경로는 인플레이터(10)가 작은 충격의 사고가 탐지되어 활성화된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상기 사고가 발생하고 소정의 시간지연후에까지 상기 제2추진제(120)가 점화되지 않은 경우, 제1추진제(38)의 활성화가 제2추진제(120)의 연소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제1추진제(38)로부터의 연소생성물이 제2추진제(120)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출 개구부(132)를 향한 경로를 따라 배출되지 않으므로, 제1추진제(38)의 연소가 제2추진제(120)의 원하지 않은 점화를 일으키지 않도록하는 것이 보다 실질적으로 가능해진다.
서로 동일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추진제(38, 120)와 그들의 구성성분, 상기 압축 매질과 그 구성성분 또는 구성성분들 및 인플레이터의 구성요소들과 관련하여, 하드웨어(hardware)의 설계관점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에 대해서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hybrid inflator)"라는 명칭으로 1998년 8월 4일 등록되고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제5,788,275호가 참조된다. 특히, 참조문헌의 도1 내지 도4와, 4번째 칼럼(column)의 44번째 줄부터 19번째 칼럼의 65번째 줄이 참조된다.
도2에는 이중 이니시에이터 운전자용 인플레이터(200)가 도시된다. 상기 인플레이터(200)는 실질적으로 환상체의(toroidal) 형상을 가진 인플레이터 하우징(204)을 포함한다. 인플레이터 하우징(204)의 내부에는 가스발생 조립체(208)가 배치되며, 상기 가스발생 조립체(208)는 그의 중앙을 관통하는 중심축(212)을 가진다. 가스발생 조립체(208)의 제1단부에는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216, 220)가 있다.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216)는 동축 전도성 핀(228)을 가진 제1이니시에이터(224)(도면에 없음)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핀(228)은 소정의 운송수단 충돌사고 또는 사건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을 전도하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와이어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승객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10)와 마찬가지로, 운송수단에 작은 충격이 가해지는 사건 또는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224)는 폭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216)는 가스발생 조립체(208)내의 제1챔버(236)와 연통되는 통로(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챔버(236)는 제1이니시에이터(224)가 연소될 때 점화되는 제1추진제(240)를 수용한다. 상기 제1통로(232)는 제1추진제(240)를 점화시키기 위한 제1이니시에이터(224)로부터의 경로를 제공한다. 점화시에는, 추진가스를 포함하는 연소생성물이 발생되어 인플레이터 하우징(204)의 볼륨 또는 챔버(250)내로 하나 이상의 입력포트(244)를 통과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4)의 볼륨(250)은 추진제(240)의 연소로 인해 생성된 추진가스와 결합하는 압축 매질을 저장하여 상기 에어 백에 팽창가스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발생 조립체(208)는 추진제(240)의 점화에 의해 추진가스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되는 애프터버너 부재(254)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가스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04)내에 저장된 가스와 함께 하나 이상의 통로용 포트(258)를 통해 볼륨(250)으로부터 출구 조립체(262)로 빠져 나간다. 상기 인플레이터(200)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팽창가스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개방 또는 파열되는 밀폐부재 또는 밀폐원판(266)이 있다.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0)는 중심축(212)에 대하여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216)의 반대쪽에 장착된다.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0)는 제2이니시에이터(270)와, 동축 전도성 핀(274)을 포함하며 제2이니시에이터(270)를 폭발시 키는 2개의 전도성 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220)는 제2이니시에이터(270)와 제2챔버(282)를 연통시키는 제2통로(278)를 가진다. 상기 제2챔버(282)는 제2이니시에이터(270)의 활성화시 통로(278)를 통해 연소할 수 있는 제2추진제(286)를 수용 또는 저장한다. 상기 가스발생 조립체(208)의 제2챔버(282)는 개구부(296)를 가진 상단부(292)를 구비한 추진제 컵(propellant cup)(288)에 의해 한정 또는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96)는 얇은 밀폐 컵(300)으로 덮어지며, 상기 밀폐 컵(300)은 상단부(292)를 포함하는 추진제 컵(288)의 외면의 적어도 여러 부분 주위 또는 위로 연장된다.
상기 밀폐 컵(300)은 체크밸브(check valve)와 같이 동작한다. 특히, 상기 제1추진제(240)가 점화되어 연소생성물을 생성시킬 경우, 상기 연소생성물이 개구부(296) 위의 밀폐 컵(300)을 밀어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연소생성물이 밀폐 컵(300)에 의해 막혀 추진제 컵(288)의 개구부(296)를 통과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1추진제(240)로부터의 연소생성물은 제2챔버(282)내로 들어갈 수 없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2추진제(286)가 점화될 경우, 그로부터 발생된 연소생성물은 밀폐 컵(300)을 개구부(296)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거나 들어올리기에 충분한 힘을 가져, 상기 연소생성물이 제2챔버(282)로부터 제1챔버(236)내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통로(278)가 추진제 컵(288)의 내부 전체와는 연통되고, 제1챔버(236)와는 연통되지 않으므로, 제2이니시에이터(270)의 활성화가 제1추진제(240)를 점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통로(232)가 제1챔버(236)와는 연통되지만, 제2챔버(282)와는 연통되지 않으 므로,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224)의 활성화가 제2챔버(282)내의 추진제(286)를 점화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통로(232, 278)가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224, 270)의 각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편향(offset)되며, 이는 상기 이중 이니시에이터(224, 270)를 가진 운전자용 인플레이터(200)의 소형화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232, 278)의 여러 부분은 챔버의 바닥을 통해 미리 형성된다. 상기 통로들(232, 278)은 각각의 이니시에이터(224, 278)가 폭발될 때 만들어진 개구부들에 의해 완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챔버의 바닥에는, 바람직하게는 납땜에 의해 챔버의 밀폐부재(280)가 접합되어 제1 및 제2챔버(236, 282)를 덮고 용접 밀봉시킨다. 동시에, 상기 챔버의 밀폐부재(280)는 추진제 컵(288)의 바닥에 납땜되어 상기 추진제 컵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고 위치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챔버(236, 282)를 형성한다. 상기 챔버의 밀폐부재(280)는 비교적 얇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1이니시에이터(224)가 활성화될 경우 통로(232)와 정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챔버 밀폐부재(280)의 실질적으로 모든 나머지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제위치에 남아있고 개방되거나 파열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270)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2통로(278)와 정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챔버 밀폐부재(280)의 실질적으로 모든 나머지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제위치에 남아있고 개방되거나 파열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챔버의 밀폐부재(280)는 그를 챔버의 바닥에 납땜시키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가지 기능, 즉 챔버 바닥에 추진제 컵(288)을 바람직하게 연결시킴 과 함께 각각의 이니시에이터(224, 270)가 연소될 때 완전히 개방되는 통로(232, 278)를 덮는 용접 밀봉을 제공한다.
상기 이중 이니시에이션 운전자용 인플레이터(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작은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가 탐지되어 제1이니시에이터(224)의 전도성 핀(228)에 제어신호가 인가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이니시에이터(224)를 폭발시켜, 바람직한 점화 가스 또는 물질이 제1챔버(236)내의 제1통로(232)를 지나 추진제(240)를 점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1추진제(240)의 점화는 추진가스를 포함하는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키며, 상기 연소생성물은 입력 포트(들)(244)를 통해 상기 팽창가스가 저장된 가스와 혼합하는 환상체의 하우징(204)내로 넘어간다. 상기 추진가스들의 결합물은 출력 포트(들)(258)를 지나 환상체의 하우징을 빠져나가서 밀폐부재(266)를 파열시키고 출구 조립체(262)를 통해 상기 에어 백내로 배출될 수 있다.
작은 충격사고의 탐지에 의한 인플레이터(200)의 활성화 중에, 제1이니시에이터(224)가 폭발될 때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270)는 폭발되지 않는다. 그러나, 소정의 시간간격 또는 지연 후에는, 승객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10)와 같이,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270) 역시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화는,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 또는 사건으로 인한 인플레이터(200)의 활성화 후에, 제2추진제(286)를 점화시켜 제2이니시에이터(270) 뿐만아니라 가연성 물질 또는 충전된 추진제(286)도 제거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지연은 적어도 20밀리초정도이다.
큰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상기한 제어신호와 동일할 수 있는 제어신호가 동시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1이니시에이터(224)의 핀(228)과 제2이니시에이터(270)의 핀(274)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신호 또는 제어신호들은 두 이니시에이터(224, 270)를 각각 활성화시켜 제1 및 제2추진제(240, 286)를 연소시킨다. 이에 따라, 발생된 추진가스는 환상체 하우징(204)의 볼륨(250)내에서 압축 매질과 결합하여 인플레이터(200)와 연결된 에어 백 또는 팽창가능한 물품을 고압상태로 만드는 팽창가스를 제공한다. 작은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가 탐지된 경우, 상기 압력은 에어 백 내의 기압보다 크다. 상기 큰 압력은 적어도 에어 백이 팽창되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적용된다.
승객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10)와 같이, 추진제 및 압축 매질에 관련된 보다 많은 정보는 상기 도2의 인플레이터와 유사한 인플레이터의 하드웨어를 설명하는 전술한 미국특허에서 나타내어진 부품들에서 뿐만아니라, 48번째 칼럼(column)의 7번째 줄에서부터 51번째 칼럼의 27번째 줄의 상기 특허의 내용에서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을 포함하는 다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의 각 실시예에서는 중간정도 충격의 운송수단 충돌사고 또는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어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중간정도의 충격을 발생시키는 운송수단의 충돌사고는 비교적 작은 충격의 충돌사고와 비교적 큰 충격의 충돌사고 사이의 운송수단 충돌사고의 충격(격렬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운송수단의 충돌사고들에 대하여, 본 출원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이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의 제2이니시에이터는 수많은 다른 시간대 중 하나에 폭발될 수 있다. 제1이니시에이터의 폭발과 제2이 니시에이터의 폭발 사이의 약간의 시간지연은, 제2추진제에 의해 발생되는 추진가스가 많은 양의 팽창가스를 에어 백에 제공하게 되므로, 제1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와 제2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 사이의 비교적 큰 시간지연 후에 제2이니시에이터를 폭발시키는 것에 비해 에어 백을 비교적 빨리 고압상태로 만들게 된다. 예를 들면, 근본적으로, 제1 및 제2추진제가 동시에 활성화되어 제1추진가스가 전체 추진가스의 70%를 제공하고 제2추진가스가 전체 추진가스의 30%를 제공하는 경우, 에어 백을 가압하는 팽창가스에 기여하는 제2추진가스의 비율이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 사이의 시간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중간정도의 충격이 발생하는 운송수단의 충돌사고에 대한 소정의 시간간격은 약 5밀리초와 약 20밀리초 사이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설명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형태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대한 기술 또는 지식이 있는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상기한 설명에 상응하는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현하는 최상의 형태를 설명하고자 한 것이며, 본 발명의 특별한 적용 또는 이용에 의해 필요한 여러 가지 변형과 함께 상기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한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된 범위에서 선택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운송수단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에 따라 상기 운송수단의 에어 백 또는 팽창가능한 물품에 주입되는 팽창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압축 매질을 저장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하우징;
    추진가스를 포함하는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키는 제1추진제를 포함하는 제1가스발생 조립체;
    상기 제1추진제의 점화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
    추진가스를 포함하는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키는 제2추진제를 포함하는 제2가스발생 조립체;
    상기 제2추진제의 점화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 및
    상기 제1 및 제2추진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되는 팽창가스가 운송수단 내의 팽창가능한 물품내로 들어가는 출구 조립체
    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수단이 작은 충격을 받을 경우,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가 활성화를 시작하고 시간이 지연된 후에,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가 활성화되고;
    상기 운송수단이 작은 충격의 사고를 당할 경우, 상기 팽창가능한 물품으로 들어가는 실질적으로 모든 추진가스가 상기 제1추진제에 의해 발생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터 인플레이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이 큰 충격의 사고를 당할 경우,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 및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활성화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이 약 20밀리초보다 큰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5.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2추진제가 점화될 경우, 상기 제2추진제로부터의 연소생성물이 통과하여 배출되는 개방단부를 가진 제2가스발생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1추진제에 의해 발생된 추진가스가 통과하여 배출되는 구멍들을 가진 출구부재를 구비한 제1가스발생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들이 상기 제2가스발생 하우징의 상기 개방단부와 동축상에 위치되지 않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이 상기 제1가스발생 하우징의 출구부재 상에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2추진제가 점화될 경우, 추진가스가 통과하는 포트들을 가진 분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재가 상기 개방단부와 상기 제2추진제 사이에 장착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는 제1이니시에이터와 제1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1추진제를 수용하는 제1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1통로가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로부터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는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는 제2이니시에이터와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2추진제를 수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가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는 제1이니시에이터와 제1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1추진제를 수용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1통로가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제1부분을 가진 챔버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는 제2이니시에이터와 제2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2추진제를 수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 밀폐부재는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제2부분을 가진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2추진제가 수용되는 추진제 컵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 밀폐부재가 상기 추진제 컵에 접합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스발생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챔버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는 추진제 컵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 밀폐부재가 상기 추진제 컵의 저면에 접합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 조립체는 제1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 조립체는 제2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 밀폐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통로를 덮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2추진제가 수용되는 추진제 컵과, 상기 추진제 컵의 외부에 장착된 밀폐 컵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 컵은, 상기 제1추진제가 점화되고 상기 제2추진제는 점화되지 않은 경우 연소생성물이 상기 추진제 컵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스발생 조립체는 상기 제2추진제가 수용되는 추진제 컵과, 상기 추진제 컵의 외부에 장착된 밀폐 컵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 컵이, 상기 제2추진제의 점화로 인해 연소생성물이 발생될 경우 상기 추진제 컵에 대해 상대운동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제 컵이 상기 밀폐 컵의 여러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용 이중 이니시에이션 인플레이터.
  18. 운송수단이 당한 작은 충격의 사고를 탐지하는 단계;
    제1이니시에이터를 이용하여 제1추진제를 첫번째로 점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추진제로부터 추진가스를 발생시키는 단계;
    팽창가능한 물품에 상기 추진가스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첫번째의 점화단계 후에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지연단계 후에, 제2이니시에이터를 이용하여 제2추진제를 두 번째로 점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두 번째의 점화단계로 인해 상기 제2추진제로부터 연소생성물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가능한 물품에 수용된 실질적으로 모든 추진가스가 상기 제1추진제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팽창가능한 물품에 수용된 추진가스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2추진제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챔버에 포함된 실질적인 모든 비활성 기체는 제1이니시에이터에 의해 팽창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간격이 약 20밀리초보다 큰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시키는 단계가 상기 제1추진제를 포함하는 제1가스발생 조립체의 출구부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추진가스를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시키는 단계가 상기 제2추진제를 포함하는 제2가스발생 조립체의 개방단부로부터 연소생성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단부가 상기 두 번째의 점화단계 전에 개방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시키는 단계에서는 추진가스가 제2추진제를 수용하는 제2챔버내에 서 발생되지 않지만 상기 제1추진제를 수용하는 제1챔버내에서 추진가스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챔버가 상기 제1챔버에 대해 안쪽에 위치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의 점화단계가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와 제1챔버 사이의 통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시 상기 제1챔버내에 위치된 상기 제1추진제를 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로가 상기 제1이니시에이터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편향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의 점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와 제2챔버 사이의 제2통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의 활성화시 상기 제2챔버내의 상기 제2추진제를 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2이니시에이터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편향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니시에이터 각각이 상기 인플레이터의 중심축으로부터 편향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의 점화시키는 단계는 점화 후에, 상기 제2추진제로부터의 연소생성물을 이용하여 밀폐 컵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연소생성물이 상기 제1추진제로부터 상기 제2추진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 컵을 이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송수단내의 팽창가능한 물품을 팽창시키는 방법.
KR1019990040408A 1998-09-21 1999-09-20 다중 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인플레이터 KR100591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57,742 US6189922B1 (en) 1998-09-21 1998-09-21 Inflator with multiple initiators
US9/157,742 1998-09-21
US09/157,742 1998-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306A KR20000023306A (ko) 2000-04-25
KR100591689B1 true KR100591689B1 (ko) 2006-06-20

Family

ID=2256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408A KR100591689B1 (ko) 1998-09-21 1999-09-20 다중 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인플레이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89922B1 (ko)
JP (1) JP4377488B2 (ko)
KR (1) KR100591689B1 (ko)
CN (1) CN1261033A (ko)
ID (1) ID23844A (ko)
MY (1) MY117823A (ko)
TW (1) TW515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23054T2 (de) 1998-09-28 2005-05-2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akai Gasgenerator für luftsack und luftsackvorrichtung
JP4860809B2 (ja) * 1999-10-04 2012-01-25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ク装置
JP4161482B2 (ja) * 1999-10-07 2008-10-08 タカタ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6488310B1 (en) * 2000-03-28 2002-12-0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Hybrid inflator
JP4587584B2 (ja) * 2000-03-28 2010-11-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4587558B2 (ja) * 2000-11-22 2010-11-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US6709011B2 (en) * 2001-02-21 2004-03-23 Autoliv Asp, Inc. Leak detection enhancing insert for an airbag inflator assembly
JP2002302010A (ja) * 2001-04-04 2002-10-15 Daicel Chem Ind Ltd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の窒素酸化物の低減法
US6601872B2 (en) * 2001-08-16 2003-08-05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Compact multi-level inflator
EP1867532B1 (en) 2001-11-30 2012-02-2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US7134689B2 (en) * 2001-11-30 2006-11-1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JP2005521582A (ja) * 2002-03-26 2005-07-21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チャンバを備えた2段インフレータ
US6769714B2 (en) 2002-06-13 2004-08-03 Key Safety Systems, Inc. Low onset dual stage hybrid inflator
US6874814B2 (en) * 2002-06-13 2005-04-05 Key Safety Systems, Inc. Multiple stage inflator
GB2392228B (en) * 2002-08-23 2005-12-2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inflator
US6935655B2 (en) * 2003-04-08 2005-08-30 Autoliv Asp, Inc. Pyrotechnic inflator for a vehicular airbag system
US20050098988A1 (en) * 2003-11-12 2005-05-12 Smith Bradley W. Pressure-enhanced, adaptive inflator device
US7290797B2 (en) * 2004-10-29 2007-11-06 Autoliv Asp, Inc. Center discharge hybrid inflator device
DE502004003639D1 (de) * 2004-12-08 2007-06-06 Delphi Tech Inc Gasgenerator
EP1669259B1 (de) * 2004-12-08 2011-06-15 Delphi Technologies, Inc. Gasgenerator
US7320479B2 (en) * 2005-10-03 2008-01-22 Key Safety Systems, Inc. Hybrid inflator
US20070085309A1 (en) * 2005-10-17 2007-04-19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hybrid inflator
JP2008087518A (ja) * 2006-09-29 2008-04-17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5101923B2 (ja) * 2007-04-18 2012-12-19 株式会社ダイセル 車両の人員拘束用ガス発生器
DE102007018645B4 (de) * 2007-04-19 2012-06-14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irbagsystems
US8876267B2 (en) 2009-07-31 2014-11-04 Memjet Technology Ltd. Printing system with multiple printheads each supplied by multiple conduits
DE102011009309B4 (de) 2011-01-24 2024-02-08 Zf Airbag Germany Gmbh Gasgenerator
CN106660511B (zh) * 2014-07-10 2020-03-27 关键安全体系股份有限公司 带有可缩回活塞的点火器组件
KR20160058486A (ko) * 2014-11-17 2016-05-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전개 방법
US10875490B2 (en) * 2018-04-19 2020-12-29 Key Safety Systems, Inc. Hybrid airbag inflator
US11040692B2 (en) 2019-08-22 2021-06-22 Arc Automotive, Inc. Multi-vent passenger side airbag inflator
CN110758311B (zh) * 2019-10-23 2020-08-07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用于气囊保护用的双级式气体发生器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2699A (en) 1970-07-13 1972-06-27 Eaton Corp Automatic restraint system arming control
US3797854A (en) 1971-06-14 1974-03-19 Rocket Research Corp Crash restraint air generating inflation system
US3868126A (en) 1971-10-27 1975-02-25 Allied Chem Plural inflation for safety device
US3767228A (en) 1971-10-27 1973-10-23 Allied Chem Inflation time control for safety device
US3966224A (en) 1971-11-03 1976-06-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ultiple inflation rate occupant restraint system
AU5075773A (en) 1972-01-11 1974-07-04 Allied Chemical Corporation Inflation apparatus for safety device
US3773352A (en) 1972-03-30 1973-11-20 D Radke Multiple ignition system for air cushion gas supply
US3767002A (en) 1972-08-10 1973-10-23 A Gillund Seat occupancy responsive air cushion actuation and monitoring circuit
US3901530A (en) 1973-08-08 1975-08-26 Allied Chem Multiple mini hybrid with direct bag connection
JPS5916980B2 (ja) 1976-07-29 1984-04-1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ツグ用ガス発生器
DE2745620A1 (de) 1977-10-11 1979-04-12 Daimler Benz Ag Luftsack-system zum schutz der insassen eines kraftfahrzeuges bei unfaellen
DE3413768C1 (de) 1984-04-12 1985-07-1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Passives Insassenrueckhaltesystem
DE3904668A1 (de) 1989-02-16 1990-08-30 Daimler Benz Ag Insassen-rueckhaltesystem
US5071160A (en) 1989-10-02 1991-12-1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assenger out-of-position sensor
US5033390A (en) 1989-11-13 1991-07-23 Morton International, Inc. Trilevel performance gas generator
US4998751A (en) 1990-03-26 1991-03-12 Morton International, Inc. Two-stage automotive gas bag inflator using igniter material to delay second stage ignition
US5022674A (en) 1990-04-05 1991-06-11 Bendix Atlantic Inflator Company Dual pyrotechnic hybrid inflator
US5031932A (en) 1990-04-05 1991-07-16 Frantom Richard L Single pyrotechnic hybrid inflator
US5351988A (en) 1990-11-27 1994-10-04 Alliedsignal Inc. Hybrid inflator with staged inflation capability
US5076607A (en) 1990-11-27 1991-12-31 Bendix Atlantic Inflator Co. Hybrid inflator
US5348344A (en) 1991-09-18 1994-09-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ing a mixture of gases
US5330226A (en) 1992-12-04 1994-07-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out of position occupant
US5803492A (en) 1994-05-31 1998-09-08 Morton International, Inc. Fuel containment for fluid fueled airbag inflators
US5470104A (en) 1994-05-31 1995-11-28 Morton International, Inc. Fluid fueled air bag inflator
US5558367A (en) 1995-03-14 1996-09-24 Trw Inc. Dual stage augmented inflator for an air bag
US5564743A (en) 1995-03-22 1996-10-15 Morton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age air bag inflator system
US5685558A (en) * 1996-02-06 1997-11-11 Trw Inc. Air bag inflator mounting
US5863066A (en) 1997-03-13 1999-01-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ultiple stage air bag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77488B2 (ja) 2009-12-02
ID23844A (id) 2000-05-25
US6189922B1 (en) 2001-02-20
CN1261033A (zh) 2000-07-26
KR20000023306A (ko) 2000-04-25
MY117823A (en) 2004-08-30
JP2000103311A (ja) 2000-04-11
TW515767B (en) 200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689B1 (ko) 다중 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인플레이터
US7438313B2 (en) Compact multi-level output gas generator
CA2110825C (en) Dual stage inflator
US5345876A (en) Hybrid inflator
KR100957894B1 (ko) 에어백 팽창기
KR101077922B1 (ko)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및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KR0148835B1 (ko) 팽창 기구를 팽창시키는 장치
US7341276B2 (en) Airbag module with external venting
EP1775180A2 (en) Dual stage hybrid airbag inflator
KR100746187B1 (ko) 컴팩트 듀얼 노즐 에어백 팽창기
KR19980087274A (ko) 관형 연소실을 가진 에어백용 적응성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US5907120A (en) Inflator for vehicle air bags
US6213503B1 (en) Multi-level output air bag inflator
US3944249A (en) Inflating device for use with vehicle safety systems
US6976704B2 (en) Adaptive output airbag inflation device
US20070063497A1 (en)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CN214450811U (zh) 一种气囊充气机
KR100200431B1 (ko) 자동차 에어백용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KR20240042002A (ko) 듀얼 스테이지 인플레이터
MXPA00007213A (en) Dual level gas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