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090B1 -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090B1
KR100591090B1 KR1020040046769A KR20040046769A KR100591090B1 KR 100591090 B1 KR100591090 B1 KR 100591090B1 KR 1020040046769 A KR1020040046769 A KR 1020040046769A KR 20040046769 A KR20040046769 A KR 20040046769A KR 100591090 B1 KR100591090 B1 KR 10059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etailed information
database
information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597A (ko
Inventor
정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090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에서 통화가 재착신 된 경우에 재착신 전의 동작을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에게 재착신 전의 동작을 표시해 주고, 같은 동작을 반복하고자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한번의 조작으로 같은 동작을 다시 할 수 있게 하며, 통화를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최근에 전환했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전환 상대방의 번호와 상태를 바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환 상대방의 번호 및 상태를 찾는 수고를 덜어주고 빠른 전환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Processing in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Program}
도 1은 컴퓨터전화통합 기술을 바탕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사설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의 상세 논리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최근 전화가 재착신 된 경우의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보류했던 전화가 재착신 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도 6은 발신 이력이 있는 발신자로부터의 호가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처리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최근 전환 번호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사설 교환시스템 203 : CTI 링크(Link)
205 : CTI 프로그램 301 : 인터페이스 모듈
302 : 호처리 모듈 303 : 시스템정보 처리 모듈
304 : 디바이스 처리 모듈 305 : 메시지 처리 모듈
306 : DB 처리 모듈 307 : 데이터베이스
710 : 통화 상대방 정보 720 : 최근 전환 번호
722 : 전환 버튼
본 발명은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설 교환시스템과 연동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에 있어 최근에 착신 또는 전환된 번호 및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다시 이용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 컴퓨터전화통합)는 전화 기술과 컴퓨터 기술을 통합하여 기업 활동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도구로, CTI 시스템은 크게 컴퓨터 시스템과 전화 시스템, 그리고 이들을 결합하는 CTI 기술로 구성된다. CTI 기술은 한쪽으로는 전화 시스템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으로는 컴퓨터 시스템을 연결 및 결합하며 컴퓨터 기술을 이용하여 콜(Call)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다. CTI의 핵심기술에는 교환기와 CTI 서버를 연결하는 CTI 링크가 있는데, 여기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CTI 미들웨어(Middleware) 등이 있다. 이들은 전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기능(전화 걸기, 전화 받기, 전화 끊기, 호 전환 등)을 처리하는 CTI 솔루션의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CTI 어플리케이션은 발신자 인증이나 여러 개의 표준 방식 가운데 하나를 사용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가려내는 기능, 인증이나 메시지 전달을 위한 음성 인식, 육성·녹음된 음성·입력된 터치톤 등을 이용하여 통화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결정한다. 또한 발신자에게 대화식 음성 응답을 제공,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고객 기록과 대조한 뒤, 전화 응대하는 직원에게 그것을 참고자료로 제공한다거나, 음성 또는 화상회의의 관리, 대기중인 통화 또는 발신자가 남긴 메시지들을 수집하여 보여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팩스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그것을 적절한 팩시밀리로 자동 연결시키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교환시스템에서는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발신자의 정보가 R2 프로토콜 또는 No.7 신호 처리 방식에 의해 교환 시스템 간에 미리 알려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발신자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은 가장 먼저 이동통신 분야에서 시작되었으며, 사설망에서는 사설 교환시스템과 연동하여 컴퓨터를 연결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전화통합 기술(CTI :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와 전화의 통합 기술은 전화 서비스에 컴퓨터를 부가하여 보다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컴퓨터전화통합 기술을 바탕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사설망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사설 교환시스템(110)은 공중교환망(PSTN)(100)과 연결되어 있으며, 공중교 환망(100)으로 발호가 이루어지는 출 중계호의 처리와 공중교환망(100)으로부터 호가 수신되는 입 중계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사설 교환시스템(110)은 입 중계호의 착신시에 호 착신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발신자 아이디를 통해 컴퓨터전화통합 서버(120)로 전달하여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도록 한다. 그리고 컴퓨터전화통합 서버(120)로부터 발신자정보 수신시 이를 해당 단말로 전달한다.
사설 교환시스템(110)은 다수의 내부 가입자들을 구비하는데, 내부 가입자들에는 전화라인과 데이터를 함께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전화기(151) 가입자, 일반 전화 가입자들과 랜(LAN : Local Area Network)(130)을 통해 연결되는 IP 전화기(141)들을 구비한다. 디지털 전화 가입자들은 데이터 라인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입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IP 전화기(141)들은 랜을 통해 음성 신호와 함께 가입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전화기(151)들과 상기 IP 전화기(141)들은 발신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컴퓨터전화통합 서버(120)는 콜 분배 기능을 가지고 국선용 단말기나 인터넷 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담 요구에 대해 콜 센터 또는 상담원 단말기들과 통화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전화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 또한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내선번호, 집 전화번호 등에 매칭되어 발신자의 이름, 회사, 주소, 전자메일, 웹주소 그리고 입력된 메모 내용 등이 저장된다.
이러한 발신자 표시기능은 CTI 시스템의 광범위한 서비스를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능이며,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었다가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TI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쓰이고 있는 전화 서비스를 들자면, 통화 중에 다른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 중이던 전화를 잠시 대기시키고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는 통화중대기, 통화 중에 다른 곳에 전화를 걸어 여러 명이 동시에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회의통화 서비스, 통화 중인 전화를 다른 사람에게 연결시켜 줄 수 있는 호 전환 서비스 및 통화 중인 상대방과의 통화를 잠시 보류하고 다른 사람과 통화를 한 후 다시 원래의 상대와 통화를 할 수 있는 호 보류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교환원이나 상담원이 걸려온 전화를 받아 통화중대기 상태에 두거나, 다른 번호로 전환을 하였는데 전환시킨 착신 상대방이 계속 통화중이라면, CTI 시스템은 통화중대기나 전환이 시작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있어 해당 콜을 다시 원래 교환원이나 상담원에게 다시 착신시키는데, 이를 재착신(Recall)이라 한다.
전화가 재착신 된 경우에 교환원이나 상담원은 다시 전화를 받는다거나, 통화중대기 상태에 둔다거나, 다른 번호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때 교환원은 해당 재착신 콜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다시 재착신 되었는지 확인해야 하며, 전환하여야 하는 경우 해당 전환 번호를 누르고 다시 전환 버튼을 누르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또한, 추후에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동일한 전환 번호로 전환을 원하는 전화가 다시 걸려올 경우 이전에 했던 경우와 동일하게 전환시키고자 하는 전환 번호와 전 환 버튼을 누르기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기존의 CTI 프로그램에서 재착신 된 통화나 이전에 행해졌던 전환과 동일한 번호로의 전환을 원하는 통화를 처리하는 방식은 일반 유선전화 또는 무선전화 상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으로는, 전환을 원하는 착신 번호를 찾아 해당 번호를 누르고 전환 버튼을 다시 눌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호가 재착신 되는 경우 재착신 전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고, 호를 전환함에 있어서 전화 상대방의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최근에 전환했던 내선 또는 외부 회선의 번호 및 이름을 표시하고 해당 번호를 선택하면 곧바로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방법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호의 발신자가 요구하는 착신 단말로 상기 호를 전환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상기 전환 동작 정보가 포함된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호와 동일한 발신자의 호가 재착신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상세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전환 동작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호 발신자의 최후 동작 정보가 포함된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통화호 표시부; 상기 호와 동일한 발신자 호가 재착신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발신자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상세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최후 동작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방법은, 외부로부터 호가 유입되는 호의 발신자가 요구하는 착신 단말로 상기 호를 전환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자가 요구에 따라 전환된 착신 단말 번호가 포함된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발신 이력이 있는 발신자로부터 호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된 호 발신자의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상세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착신 단말 번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환된 착신 단말 번호들 중 하나의 착신 단말 번호로의 전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유입된 호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호의 발신자가 전환을 요구하는 착신 단말 번호가 포함된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통화호 표시부; 상기 상세정보의 착신 단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환정보 표시부; 발신 이력이 있는 발신자로부터 호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된 호 발신자의 상세정보에 포함된 착신 단말 번호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전환정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착신 단말 번호들 중 하나의 착신 단말 번호로의 전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유입된 호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전화통합 시스템은, 컴퓨터전화통합 링크를 통하여 상호 교환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각종 호 발신자의 최후 동작 정보가 포함된 상세정보 및 로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유입되는 호의 상세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호와 동일한 발신자 호가 재착신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세정보의 최후 동작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최후 동작을 다시 수행하는 호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CTI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사설 교환시스템(201), 다수의 CTI 프로그램(205, 205′, 205″), CTI 메시지의 통로인 CTI 링크(203) 등으로 구성된다.
사설 교환시스템(201)은 공중교환망(PSTN)에 연결되어 다수의 국선용 단말기로부터의 통화요구에 대해 교환 기능을 수행하며, CTI 프로그램(205)은 사용자 PC에 설치되어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CTI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CTI 링크(203)는 CTI 프로그램(205)과 사설 교환시스템(201)을 상호 연결시 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CTI 프로그램(205)에서 사설 교환시스템(201)을 직접 제어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데, 이는 응용 프로그램의 본질에서 벗어난 시스템 프로그램을 담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CTI 프로그램(205)을 쉽게 구현하기 위한 구조적인 보완을 위해 CTI 프로그램(205)에서 교환기를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CTI 링크(203)를 통해 교환기를 제어하도록 한다.
도 3은 CTI 프로그램의 상세 논리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사용자 PC에 설치된 CTI 프로그램(205)은 CTI 링크(203)를 통하여 주고 받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모듈(301), 인터페이스 모듈(301)을 통해 입력된 호를 처리하고 호가 종료된 경우에는 해당 호에 대한 로그를 데이터베이스(307)에 저장하는 호처리 모듈(302), 시스템 정보(Config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정보처리 모듈(303), 내선·국선과 같은 디바이스 정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 처리 모듈(304), 디바이스 혹은 CTI 프로그램 간의 인스턴트 메시지를 담당하는 메시지 처리 모듈(305), 저장된 DB를 가공하여 로그나 리포트를 만드는 DB 처리 모듈(306)과 각종 호 로그, 시스템 구성, 가입자 정보, 메시지 로그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7)등의 구성요소를 지닌다.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 모듈(302)은 외부로부터 호가 유입되는 경우 해당 호에 관한 동작을 데이터베이스(307)에 저장하고, 해당 호가 재착신 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07)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호의 최후 동작 정보를 추출해 단 한 번의 동작으로 최후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호가 유입되는 경우 해당 발신호의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307)에서 최근의 전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 상에서 현재 발신호가 목적하는 전환 번호를 선택하여 단 한번의 동작으로 목적 번호로 전환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최근 전화가 재착신 된 경우의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외부로부터 CTI 시스템으로 전화가 걸려오면(S401), 해당 호에 대한 처음의 상태는 착신 중이며, 교환원 또는 상담원이 걸려오는 전화를 받게 되면 해당 호는 통화 중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S402). 교환원 또는 상담원은 통화 중이거나 착신 중인 호에 대해 발신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호를 다른 번호로 전환시켜 주거나 보류 및 호 저장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S403). 이 때 CTI 프로그램(201)은 해당 호의 아이디와 수행 동작에 관한 호의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7)에 저장하게 된다(S404).
전환시킨 호에 대한 전환 대상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의 통화 후에 호가 종료될 것이나(S410), 전환시킨 호의 전환 수신자가 통화중인 경우 해당 호는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교환원 또는 상담원에게 돌아오게 된다. 보류 및 호 저장 등의 경우에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처음 통화가 이루어졌던 교환원 또는 교환원에게 다시 호가 돌아오는 현상, 즉 재착신이 발생한다(S405).
재착신이 발생하는 경우 CTI 프로그램(205)은, 데이터베이스(307)에 해당 호의 최후 동작 정보를 요구한다(S406). 데이터베이스(307)로부터 최후 동작 정보를 입력받은 CTI 프로그램(205)은, 도 5와 같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통화호 표시창을 통해 재착신 된 해당 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준다(S407). 교환원 또는 상담원은 해당 호에 대한 정보를 통해 기존에 보류 혹은 다른 번호로 전환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최후 동작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최후 동작 재수행" 명령이 버튼 또는 메뉴의 형식으로 활성화된다. 최후 동작 재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최후 동작 재수행" 버튼 또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최후 동작을 다시 한 번 수행하게 된다(S408).
해당 호가 착신중 또는 통화중인 상태에서 전환, 보류, 파크 등의 재수행이 성공하면, 그 호에 대한 금번의 동작을 최후 동작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409). 다시 한 번 전환시킨 호의 전환 상대방이 여전히 통화중이라거나 응답이 없는 경우, 발신자 쪽에서 통화를 종료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재착신은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호가 다시 재착신 되는지 확인하여 재착신 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스를 종료할 것이나(S410), 다시 재착신 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307)에 최후 동작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이후부터 반복하여 수행된다.
도 5는 보류했던 전화가 재착신 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가 나타내는 것은 현재 교환원 또는 상담원이 통화하고 있는 호에 대한 정보이며, 해당 호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통화호 표시창으로부터 해당 호는 내선번호가 204, 현재 상태 연결되어 있음, 통화 시작 시각부터 24초 경과, 이전에 보류했던 호가 재착신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교환원 또는 상담원은 추가정보로 표시된 "보류 재착신"을 보고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최후 동작 재수행" 버튼 또는 메뉴를 선택해 손쉽게 이전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발신 이력이 있는 발신자로부터의 호가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처리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외부로부터 호가 유입되면 해당 호는 일단 착신중 상태에 놓인다(S601). 착신중인 상태의 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착신호 표시창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교환원 또는 상담원이 착신중인 전화를 받으면 호는 통화 상태가 된다(S602). 통화 상태에서 CTI 프로그램은(205)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이전에 동일한 발신자로부터의 통화 이력이 있는지 데이터베이스(307)를 검색한다(S603). 이전의 발신 이력이 없는 경우에는 발신자의 요구에 따라 호를 전환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될 것이다(S605).
해당 호가 발신 이력이 있는 발신자로부터 걸려온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307)에 최근에 전환했었던 기록을 찾아 번호 및 이름을 추출해 줄 것을 요청한다(S604). 데이터베이스(307)로부터 공급 받은 최근 전환 정보(7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화호 표시창(700)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교환원 또는 상담원은 최근에 전환한 번호 리스트에 현재 발신자가 전환을 의도하는 번호가 있는 경우 해당 번호를 선택하고(S607), 전환을 시도한다(S608). 전환이 실패한 경우, 즉 전환 대상 수신측의 응답이 없다거나 통화중인 경우에는 전환 대상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부터 같은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전환이 완료되면, 데이터베이스(307)에 금번 전환 번호를 업데이트 하게 되고, 최근전환정보 리스트도 가장 최근의 전환 번호로 수정된다(S609).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최근 착신/전환 번호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외부로부터 호가 유입되면 CTI 프로그램(205)은 해당 호의 발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710) 상에 표시해 준다. 또한 해당 호의 발신 번호가 최근에 전환한 번호를 데이터베이스(307)로부터 추출해 통화호 창(700)의 최근 전환 번호(720) 항목에 전환한 번호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이름이 있으면 이름도 표시한다.
도 7에 나타난 통화호는 내선번호 205번을 사용하는 류웅희로부터 걸려온 전화로, 발신자는 국선 번호로 82-31-703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의 호 상태는 통화중 상태로, 11초간 통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내선 번호 204로 전환 요청하였으나 현재 재착신 되고 있는 상태이다. 최근 전환번호(720)란에는 모두 3개의 최근 전환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때 표시된 번호가 내선이라면 내선의 상태(721)도 같이 표시해 준다. 예를 들어, 전환할 착신 번호가 통화중인 경우 "Busy", 휴지(Idle) 상태인 경우에는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 해당 내선 번호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5에서 표시한 예에서는 최근에 전환했던 번호가 모두 휴지 상태로, 전환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내선의 상태가 전환 가능한 경우에는 오른쪽에 위치하는 전환 버튼(722)을 활성화한다. 사용자가 전환 버튼(722)을 누르면 시스템은 전환을 시도하고, 전환이 완료되면 최근에 전환한 번호를 데이터베이스(307)에 업데이트 한다. 업데이트 시에 기존에 전환하여 저장해 두었던 번호와 중복되는 경우에는 그 전의 정보를 제거 하고 새로운 정보로 대체한다.
도 7의 최근 전환번호(720)에 나타난 번호는 모두 세 번호이나, 이는 해당 시스템의 관리 범위와 통화 행태에 따라 가변적이다. 특정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전화번호에 대해 발신을 행하는 대부분의 사용자에 있어서, 그 용도가 사업상이거나 혹은 개인적이거나 상관없이 착신 혹은 전환하고자 하는 번호의 범위가 그리 넓지 않다. 그러므로 해당 시스템에 접근하는 발신자의 행태를 파악하여 유형화한 후 가장 적절한 가지수를 찾아내 인터페이스 상의 최근 전환 번호(720)의 범위를 4개 번호 이상으로 확장할 수도 2개 번호 이하로 축소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에서 통화가 재착신된 경우에 재착신 전의 동작을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에게 재착신 전의 동작을 표시해 주고, 같은 동작을 반복하고자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한번의 조작으로 같은 동작을 다시 할 수 있게 하며, 통화를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최근에 전환했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전환 상대방의 번호와 상태를 바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환 상대방의 번호 및 상태를 찾는 수고를 덜어주고 빠른 전환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0)

  1. 교환시스템과 연동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에서 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호의 발신자가 요구하는 착신 단말로 상기 호를 전환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상기 전환 동작 정보가 포함된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호와 동일한 발신자의 호가 재착신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상세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전환 동작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정보는,
    상기 호의 발신 번호, 상기 발신 번호로부터의 발신 이력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방법.
  3. 교환시스템과 연동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에서 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호 발신자의 최후 동작 정보가 포함된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통화호 표시부; 및
    상기 호와 동일한 발신자 호가 재착신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발신자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상세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최후 동작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4. 교환시스템과 연동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에서 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호가 유입되는 호의 발신자가 요구하는 착신 단말로 상기 호를 전환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자가 요구에 따라 전환된 착신 단말 번호가 포함된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발신 이력이 있는 발신자로부터 호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된 호 발신자의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상세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착신 단말 번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된 착신 단말 번호들 중 하나의 착신 단말 번호로의 전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유입된 호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착신 단말 번호로 상기 유입된 호를 전환하면, 상기 전환된 착신 단말 번호가 최근에 전환된 번호로 저장되도록 상기 상세정보의 발신 이력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착신 단말 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상기 상세정보의 발신 이력으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방법.
  6. 교환시스템과 연동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에서 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호의 발신자가 전환을 요구하는 착신 단말 번호가 포함된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통화호 표시부;
    상기 상세정보의 착신 단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환정보 표시부; 및
    발신 이력이 있는 발신자로부터 호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된 호 발신자의 상세정보에 포함된 착신 단말 번호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전환정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착신 단말 번호들 중 하나의 착신 단말 번호로의 전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유입된 호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정보 표시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갯수의 착신 단말 번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정보 표시부는,
    상기 착신 단말 번호의 휴지 또는 통화중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9. 컴퓨터전화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전화통합 링크를 통하여 상호 교환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각종 호 발신자의 최후 동작 정보가 포함된 상세정보 및 로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유입되는 호의 상세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호와 동일한 발신자 호가 재착신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세정보의 최후 동작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최후 동작을 다시 수행하는 호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전화통합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발신 이력이 있는 호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된 호 발신자의 상세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세정보에 포함된 최후 동작 정보들 중, 하나의 최후 동작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상기 호 발신자가 목적하는 최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컴퓨터전화통합 시스템.
KR1020040046769A 2004-06-22 2004-06-22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59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769A KR100591090B1 (ko) 2004-06-22 2004-06-22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769A KR100591090B1 (ko) 2004-06-22 2004-06-22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597A KR20050121597A (ko) 2005-12-27
KR100591090B1 true KR100591090B1 (ko) 2006-06-19

Family

ID=3729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769A KR100591090B1 (ko) 2004-06-22 2004-06-22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0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0980A (ja) 1999-12-03 2001-06-12 Hitachi Ltd 複数の電話番号に対応する発信者の管理方法
JP2001197205A (ja) 2000-01-17 2001-07-19 Nitsuko Corp 相手呼放棄情報履歴表示機能を有する電話応対業務支援システム
US6327359B1 (en) 1998-11-24 2001-12-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o call centers using intelligent network
KR20020044430A (ko) * 2000-12-06 2002-06-15 인경석 콜센터 전화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JP2004015584A (ja) 2002-06-10 2004-01-15 Fujitsu Ltd 発信者特定方法、プログラム、装置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7359B1 (en) 1998-11-24 2001-12-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o call centers using intelligent network
JP2001160980A (ja) 1999-12-03 2001-06-12 Hitachi Ltd 複数の電話番号に対応する発信者の管理方法
JP2001197205A (ja) 2000-01-17 2001-07-19 Nitsuko Corp 相手呼放棄情報履歴表示機能を有する電話応対業務支援システム
KR20020044430A (ko) * 2000-12-06 2002-06-15 인경석 콜센터 전화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JP2004015584A (ja) 2002-06-10 2004-01-15 Fujitsu Ltd 発信者特定方法、プログラム、装置及び記録媒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31972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597A (ko)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4323B1 (en) Establishing a conference call from a call-log
US7412047B2 (en) Conference call setup automation
US6493428B1 (en) Text-enhanced voice menu system
US6798872B1 (en) Call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7751546B2 (en) Call transfer system, method and network devices
US20020132638A1 (en) Mobile branch exchange
AU2002222322A1 (en) Mobile branch exchange
JP2003087835A (ja) Webダイヤルイン接続方法及びダイヤルイン接続のための内線電話帳サービス機能を有するWebサーバコンピュータ
EP2099205A1 (en) Telephone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telephone connection control system
US7616749B2 (en) Call park and call park pickup systems, methods and network devices
JP4679452B2 (ja) 電話装置のあふれ呼オーバーフロー時における予測待ち時間通知方法
US20100056120A1 (en) Method and server for filtering telephone calls
US20030061622A1 (en) Multi-media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ed paging
US8335495B1 (en) Displaying business directory information on a mobile handset
US201002797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SMS message communications into call center operation
JP2008533758A (ja) 発呼側電話機および相手先電話機による通話セッションの実行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18951B1 (ko) 통화중 녹음 방법 및 그 통신시스템
KR100591090B1 (ko)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7082163A (ja) 電話交換装置及び電話交換装置の着信制御方法
US200602469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enterprise IP-PBX and cellular mobile services
US20070116229A1 (en) Method for forwarding a call to a call number that is assigned to the originally dialed number by means of a directory system
JP5094023B2 (ja) 複数の電話番号を設定可能な電話機およびip電話システム
KR100570816B1 (ko)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266611A (ja) Acdシステム
KR100624684B1 (ko) 컴퓨터전화통합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