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484B1 -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484B1
KR100589484B1 KR1020040038521A KR20040038521A KR100589484B1 KR 100589484 B1 KR100589484 B1 KR 100589484B1 KR 1020040038521 A KR1020040038521 A KR 1020040038521A KR 20040038521 A KR20040038521 A KR 20040038521A KR 100589484 B1 KR100589484 B1 KR 100589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smetics
situation mushroom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033A (ko
Inventor
신영상
송기세
Original Assignee
신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상 filed Critical 신영상
Priority to KR102004003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48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항산화작용, 미백 효과 등이 우수하고 사람의 피부에 안전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천연물로써 상황버섯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엘라스타제 및 항히아루론다제 효과를 가짐으로 인해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 하고자 하며, 이 추출물을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로숀),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엣센스, 팩, 유화형 화운데이션 등에 첨가하는 것이다.
상황버섯,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항산화작용, 미백

Description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Cosmetics containing phellinus linteus extracts}
본 발명은 상황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버섯에서 추출한 추출물에 의하여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항산화작용 및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피부노화는 통상적으로 자외선이나 외부환경적 요인에 의해 활성산소나 프리라디칼이 생성 되고, 생성된 활성산소나 프리라디칼에 의해 세포막이 공격을 당하게 되어 피부 염증(inflammation)이 일어나며, 염증화된(inflammated) 조직은 생리학적 진행 메카니즘에 의해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을 파괴하여 주름 등을 형성하는 피부노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피부노화 메카니즘에 관여 되는 단계를 모두 억제, 막아 주는 것이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
활성산소는 공기 중에 산소가 자외선이나 효소 등의 영향을 받으면 활성산소가 된다. 이 활성산소는 지방산을 산화시켜 과산화물을 생성시킨다. 생체의 생체막 인지질도 산화시켜 장해를 일으킨다. 생성된 과산화물과 활성산소는 유전자 손 상을 일으켜 노화를 촉진시킨다. 이 활성산소는 티로신에서 멜라닌을 생성하는 기구에도 영향을 일으켜 피부의 흑화에도 관여한다. 이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것은 피부노화 화장료에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활성산소 억제와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이 알려져 있지만 합성품으로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에 안전성이 나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천연물은 활성산소 억제 효과가 약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사람의 피부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보증된다. 따라서 활성산소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강하고 사람의 피부에 대해서도 또 다른 효과가 있는 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또, 피부에서 엘라스틱 섬유는 콜라겐 섬유와 더불어 진피(epiderm)안쪽에서 가교 결합을 형성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이나 피부의 염증반응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섬유아세포로부터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제 분비작용으로 피부의 탄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함몰(sagging)이 생긴다. 조직학적으로는 염증 세포의 침윤이 증가하며,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콜라겐 섬유의 감소를 보여주며, 생화학적으로는 엘라스타제의 활성도가 현격히 증가한다. 엘라스타제는 엘라스틴을 분해 할 수 있는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효소이며,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노화를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보습제, 항염증제, 엘라스틴 및 콜라겐 가교 결합이 파괴되어 있는 조직에 영양 및 첨가제 등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노화를 지연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피부 탄력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 및 콜라겐의 분해를 근본적으로 저해시키는 저해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원료가 근본적으로 저해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새로운 기능성 물질들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어 왔다. 종래부터 생약 등으로 사용되어 오던 여러 가지 자연의 천연물 등은 안정성이 뛰어 날뿐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약효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 좋은 검색대상이 되어 오고 있다.
히아루론라제 작용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히아루론라제는 생체 중에 넓게 분포하며, 피부에도 존재하는 효소이며, 히아루론산을 분해한다. 히아루론산은 β-D-N-acetylglucosamine 과 β-D-glucouronic acid가 교차로 결합된 직쇄상의 고분자 다당이며, 글루코 아미노 글루칸(GAG)의 일종이다. 결합 조직 내의 히아루론산의 작용으로는 세포가 수분을 보유하며, 조직 내의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세포가 수분을 보유하게 된다. 히아루론산은 나이가 먹음에 따라 감소하고, 그 결과 수분 보유능이 저하되어 노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히아루론산을 분해하는 히아루론라제의 활성을 억제 하는 것은 제재에 사용 되고 있는 히아루론산의 안정성이나 피부에 도포한 후의 제형에서의 히아루론산 및 피부에 존재하는 히아루론산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미백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부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은 태양광의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멜라닌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멜라닌은 피부 세포의 일종인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되고, 피부 표면에 분포되어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연적인 스크리닝을 가지고 있다. 멜라닌 생성 기저에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 티 로시나제라는 효소가 있다. 티로시나제는 티로신이라는 아미노산을 기질로 하여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도파퀴논으로부터 여러 단계의 산화 축합 반응으로 흑색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미 아스코르빈산(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특개평 6-192062), 코직산(특개 56-7710), 알부틴(특개평 4-9315) 및 일부의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처방계 중에서의 안정성이 나빠 분해 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티로시나제의 억제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실제 생체 레벨과 유사한 실험에서는 그 효과가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생체레벨과 유사한 멜라노마 세포 배양에 의한 저해 효과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코직산과 아스코르빈산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다. 소량 함유한 화장료를 실온에서 수주일 동간 보관하면 갈변 현상이 발생한다. 반면, 천연물들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들을 가지고 있어 미백 물질의 좋은 검색대상이 되고 있다.
종래부터 피부노화의 억제기능을 가진 원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방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 야채, 과일, 꽃 등의 안전성이 뛰어난 식물추출물로부터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진 추출물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항산화 작용, 미백 효과 등의 효능이 우수하고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천연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효능을 갖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항산화작용, 미백 효과 등이 우수하고 사람의 피부에 안전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천연물로써 상황버섯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엘라스타제 및 항히아루론다제 효과를 가짐으로 인해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 하고자 하며, 이 추출물을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로숀),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엣센스, 팩, 유화형 화운데이션 등에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차로 상황버섯을 중량 변화가 없을 때까지 완전건조한 후 건조중량에 대하여
일정 분량의 정제수와 효모 추출물을 넣고 3일간 발효시킨다. 이로부터 발효액을 분리하고 발효액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여러차례의 실험 중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추출물로부터 여러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된 균주 들을 각각 TSA(Triptic Soy Broth)배지에서 1일 배양 후 , 다시 상기된 방법으로 발효시켰다. 이를 이 균주를 이용하여 항산화력이 향상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배양된 배양물에 아래와 같은 추출 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의 선택된 하나이상의 용매를 1-20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95 ℃에서 4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37℃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상황버섯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필요에 의해서 영양제, 방부제, 색소, 향료등 기타 첨가제 성분을 필요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는 특별히 정의 하지 않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1차 배양 실험
삼각 플라스크(500ml)에 깨끗한 물로 씻어 중량 변화가 없을 때까지 완전히 건조시킨 후 믹서기로 분쇄한 상황 버섯 10g,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1g을 정제수 100ml 에 넣고 35℃ 에서 72시간 250rpm으로 발효 시켰다.
배양액의 항산화력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항산화 측정 방법은 DPPH 프리라디칼 소거법에 의해 황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배양액 시료를 4ml MeOH에 녹여 1.5 X 10-4 M 녹여 DPPH MeOH 용액 1ml를 첨가한 후,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1/2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μg /ml)을 RC50 (환원 농도)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추출물의 RC50 농도는 950 (μg /ml)이었다.
[실시예 2] 상황버섯의 추출물제조
상황버섯 1kg, Yeast Extract 0.1g 및 물10kg에 넣고, 여기에 실시예1에서 얻은 배양액 45ml를 넣고 35℃에서 72시간 250rpm 으로 발효시켰다. 이 배양물에 용매로 물 10kg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0.45 μm 와 0.2 μm 의 멸균 여과지를 이용하여 완전 멸균시켜 추출물을 얻은 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 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105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3]
상황버섯 1kg와 Yeast Extract 0.1g을 넣고 물10kg에 넣고 배양액 45ml를 넣고 35℃에서 72시간 250rpm 으로 발효시키고 이 배양물에 용매로 50중량% 에탄올 수용액 10kg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02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4]
용매로 80% 에탄올 수용액 10ℓ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98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5]
용매로 에탄올 15ℓ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22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6]
용매로 에탄올 20ℓ에 넣고 15 내지 37℃에서 7일간 침적시켜 추출하고 추출액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 내지 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치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액을 70℃로 물중탕을 하면서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같이 제조하였다. 118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7 내지 21]
하기 표1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6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한다.
[ 표 1 ]
실시예 6 내지 21의 실험결과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1
[처방예 1]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스킨)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은 100중량부이다.
여기에 상황버섯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2
[처방예 2]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로숀)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3
[처방예 3]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4
[처방예 4]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5
[처방예 5]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6
[처방예 6]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7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측정 ( Superoxide dismutase(SOD)-like 효과)
생체에는 프리라디칼을 제거하는 방어기능이 있다. 이 방어 기능을 하는 것에는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등이 있다. Superoxide dismutase(SOD)는 2:O2 - + 2H+ → H2O 2 + O2 산소를 과산화수소로 만들며, Catalase는 H2O2 + O2 → 2H2O + O2 로 과산화수소를 물이 되게 한다.
실험방법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 실시예 1~21에 대하여 superoxide radical 소거 능력을 측정하였다.
Xanthine, Xanthine oxidase system에서 형성된 Superoxide dismutase능력을 SOD Test Wako.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0.05M Na2CO3 용액 2.3mL, 3mM Xanthine(sigma, X4002) 0.1mL, 3mM EDTA 0.1mL, 0.15% BSA 0.1mL, 0.75mM NBT 0.1mL에 상황버섯 추출물을 각 실시예 별로 0.1mL를 넣어 25℃에서 10분간 정치한다. 그 후 Xanthine oxidase(sigma, X4376) 0.1mL를 넣어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6mM CuCl2 0.1mL를 넣어 UV-Visible spectrum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Control은 Xanthine oxidase 0.1mL 대신 증류수 0.1mL를 넣는다.
[표 2]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8
[실험예 2]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
자동산화 반응의 종결은 항산화제가 수소원자를 과산화 라디칼에 줌으로써 달성된다. 수소 원자(전자)를 주는 능력이 바로 환원력이며 환원력이 클수록 강력한 항산화제가 된다. 이러한 환원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약으로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DPPH) 이 있다.
DPPH는 화합물내 질소 중심의 라디칼로 라디칼 전자의 비편재화에 의해 안정 화된 구조의 라디칼로 존재한다. DPPH는 517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내며 환원되면 517nm에서 흡수가 없어진다. 따라서 DPPH의 환원 정도는 환원제의 환원력에 달려있다.
실험 방법
상기 상황버섯추출물 실시예 2~21에 대하여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0.2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용액 1mL에 상황버섯 추출물을 각 실시예 별로 2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최대 흡광도를 측정하여 Free radical 소거효과(%)를 구한다. 이때 대조군은 DPPH대신 Methanol을 사용하며,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상황버섯 추출물 2mL을 첨가한다.
프리라디칼 억제율(%) = [1-(E-B)/C] × 100
(B : 대조군, C : 기준군, E : 시료군)
[표 3]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한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효과
Figure 112004022974103-pat00009
[실험예 3]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
엘라스타제는 돼지 췌장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 하였다. 췌장 엘라스타제에 의한 합성 팹티드 기질(Sigma)의 가수분해에 근거한 시험법으로 광파장 410㎚ 에서의 단위 시간당의 4-나트로아닐린의 방출량의 증가를 엘라스타제의 촉매 활성치로 하였다. 먼저 기질 용액을 1.0㎖씩 시험관에 넣고,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과 증류수를 가한다. 각 추출물 시료로는 에탄올 용액에 적당농도로 함유시킨 0.2㎖의 추출물 시료액을 반응액에 넣은 뒤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 시킨다. 이때 대조군은 각 추출물 대신 용매만을 0.2㎖씩을 넣고 광전 분광 분석계로 파장 41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각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는 다음의 공식으로 구한다.
엘라스타제 저해율(%) = [ 1 - ( 각 추출물의 효소 활성도/대조군의 효소 활성도) ] X 100
[표 4]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한 엘라스타제 저해효과
Figure 112004022974103-pat00010
[실험예 4]
히아루론라제 저해 효과 측정
히아루론라제(시그마, 타입4)을 사용하여 콤파운드 48/80에 의한 불활성형 효소의 활성화 단계의 저해작용을 중심으로 측정했다. 상황버섯 추출물 시료를 0.1 M 아세트산 완충용액(pH 4.0) 100 ml에 용해해서 시험관에 넣고, 아세트산 완충용액 50 ml에 용해한 효소 0.1 mg을 가해 37도에서 20분간 방치시킨다. 최후로 아세드산 완충용액 250 ml에 녹인 히아루론산나트륨 200 mg을 가해 37도에서 40분간 방치시킨 후 0.4 몰 수산화나트륨 100 ml를 가해 냉각 후 붕소산 완충용액(pH 9.1) 100 ml을 가해 37도에서 20분간 항온 시킨 후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대조로는 상황버섯 추출물 시료용액에 아세트산 완충용액을 사용한다. 대조 시험의 흡광도와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흡광도의 비에서 100을 곱하여 저해효과를 ( % )로 나타내었다.
[표 5]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한 히아루론라제 저해효과
Figure 112004022974103-pat00011
[실험예 5]
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으로 미백 효과 측정
멜라노사이트 배양을 통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세포 수준에서 검정 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는 10 % 소의 멜라노마 세포를 5 %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하여 1.0 X 108 세포 / T25프라스크가 될 때까지 배양한다. 그 후, 배양중간체를 제거하고 트립신을 첨가하여 세포들을 원심분리하여 수거하여 세포의 흑화 정도를 관측한다. 세포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정량은 수건된 세포를 5 % 트리크로로아세트산를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한 후, 에테르-에탄올 용액과 에테르를 처리하여 세포를 세척한 다음, 1 몰 수산화나트륨를 처리하여 90도에서 멜라닌들을 용액 속으로 녹여낸다. 475 nm에서 용액 속의 멜라닌을 정량하고 세포수를 세여 단위 세포당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정량하여 %로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표 6]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한 미백효과 측정 결과
Figure 112004022974103-pat00012
[실험예 6]
피부탄력성에 대한 상황버섯 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명의 왼쪽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두 번 적용하였다. 처리하지 않은 오른쪽 눈 가장자리는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화장료를 처리하기 전과 처리하고 난 14일 후 피부 표면의 피부 탄력성을 Corneometer CM 80과 Cutometer SEM 474에 의해 측정 하였다. Corneometer CM 820에 의한 피부 보습 측정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보습력 값을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Cutometer SEM 474에 의한 피부 탄력도 측정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탄력성이 좋은 것이다. 탄력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표 7]
상황버섯 추출물의 피부 표면 보습 및 탄력도 증가 효과
Figure 112004022974103-pat00013
상기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은 매우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항 산화작용 및 미백효과 등의 효능을 나타냄을 발견하였으며 안정성, 안전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일정농도 이상 배합하여 사람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 결과에서도 뚜렷한 피부 탄력 및 노화로 기인한 피부상태가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상황버섯을 세척하고 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상황버섯 분쇄물에 정제수와 효모인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발효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황버섯, 정제수, 이스트 엑기스(yeast extract)를 혼합한 혼합액에 상기 2)단계에서 제조한 배양액을 넣고 발효하여 2차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2차 배양액에 1 ~ 20 중량비의 용매를 첨가하여 50 ~ 95 ℃에서 4 ~ 20시간 가열하거나 5 ~ 37 ℃에서 1 ~ 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하는 단계;
5) 상기 추출액을 감압중탕시켜 용매를 날려서 회수하고 건조추출물을 얻는 단계;
를 가지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추출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브틸렌글리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클로로포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건조중량으로 0.00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유연화장수(스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영양화장수(로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영양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맛사지 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유화형 화운데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엣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40038521A 2004-05-28 2004-05-28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058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21A KR100589484B1 (ko) 2004-05-28 2004-05-28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21A KR100589484B1 (ko) 2004-05-28 2004-05-28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33A KR20050113033A (ko) 2005-12-01
KR100589484B1 true KR100589484B1 (ko) 2006-06-14

Family

ID=3728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521A KR100589484B1 (ko) 2004-05-28 2004-05-28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10B1 (ko) * 2012-04-26 2014-11-20 주식회사 엘비씨 표고 버섯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119B1 (ko) * 2005-09-14 2007-05-22 주식회사 이엠코리아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4088B1 (ko) * 2007-01-23 2007-12-10 최옥례 상황버섯 분말과 그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팩의조성물
KR20130019887A (ko) * 2011-08-18 2013-02-27 상황미인(주) 미백용 천연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677362B1 (ko) * 2014-02-20 2016-11-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10B1 (ko) * 2012-04-26 2014-11-20 주식회사 엘비씨 표고 버섯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33A (ko)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486B1 (ko)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1883A (ko) 빌베리열매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7788B1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지충이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589484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0295875B1 (ko) 초두구추출물을함유하는화장료
KR20130040316A (ko) 만병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07B1 (ko) 황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711B1 (ko) 방가지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00067187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TWI748553B (zh) 用於修護皮膚的萃取物、含此萃取物之組成物及其用途
KR20190048935A (ko) 적양파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적양파 흑효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3643B1 (ko) 유리코마 롱기폴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20010018665A (ko)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72122B1 (ko) 페놀성 물질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KR101603956B1 (ko) 그린 토마토 뽕나무버섯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38112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33787B1 (ko)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