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690B1 -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690B1
KR100588690B1 KR1020050029602A KR20050029602A KR100588690B1 KR 100588690 B1 KR100588690 B1 KR 100588690B1 KR 1020050029602 A KR1020050029602 A KR 1020050029602A KR 20050029602 A KR20050029602 A KR 20050029602A KR 100588690 B1 KR100588690 B1 KR 10058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end cover
stopper
roller
rear co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길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콘솔의 앤드 커버에 멀티 트레이를 결합시킬 때에 상단으로 선조립이 가능하고 하단으로도 선조립이 가능한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멀티 트레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홈과, 앤드 커버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힌지홈과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힌지부; 상기 멀티 트레이에 결합된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에 결합되어서 멀티 트레이의 안내 역할을 하는 롤러로 이루어진 안내부재; 및 상기 롤러의 후방 이동을 제어하고 멀티 트레이를 앤드 커버와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이동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함으로써, 멀티 트레이가 상단 선조립 또는 하단 선조립 중 어느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롤러의 손상 없이 앤드 커버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리어콘솔, 멀티 트레이, 앤드 커버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rear conesole tray in vehicles}
도 1은 종래 리어 콘솔 트레이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콘솔 트레이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힌지부 12: 힌지홈
14: 힌지축 20: 안내부재
22: 판 스프링 24: 롤러
26: 회전축 30: 이동저지부재
31: 프레임 32: 스토퍼
33: 토션 스프링 34: 수직면
35: 경사면 36: 지지봉
37: 안착홈 38: 걸림턱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자동차용 리어콘솔의 앤드 커버에 멀티 트레이를 결합시킬 때에 상단으로 선조립이 가능하고 하단으로도 선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누구라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앤드 커버에서 멀티 트레이를 탈거시킬 때에도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어 콘솔 박스는 자동차의 전방 시트 사이의 플로어 패널에 설치되는 상자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서, 동전과 같은 작고 간단한 물건을 보관하는 사물함으로 사용되고, 후방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를 위한 재떨이 등이 후면에 제공되기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 콘솔 박스를 제조할 때는, 리어 콘솔의 앤드 커버와 그와 결합될 멀티 트레이를 별도로 제작하고, 상기 리어 콘솔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공간에 앤드 커버를 설치한 다음 멀티 트레이를 밀어 넣어 앤드 커버에 끼우는 식으로 조립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롤러(7)가 설치된 판 스프링(6)을 멀티 트레이(3)에 고정되게 결합하여서 상기 멀티 트레이(3)를 리어 콘솔(1)에 장착된 앤드 커버(2)에 조립할 때는, 상기 판 스프링(6)에 설치된 롤러(7)를 프레임(8) 하부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게 한 다음 멀티 트레이(3)에 형성된 힌지홈(5)을 앤드 커버(2)의 하단 힌지축(4)에 걸쳐 끼우는 방식(이하, 제1 방법이라 칭함)을 이용하는 것과, 상기 멀티 트레이(3)에 형성된 힌지홈(5)을 앤드 커버(2)의 하단 힌지축(4)에 걸쳐 끼운 다음 멀티 트레이(3)에 장착된 판 스프링(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롤 러(7)를 프레임(8) 하부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게 하는 방식(이하, 제2 방법이라 칭함)을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립방식 중에서 제1 방법 같은 경우는 조립방식을 잘 알고 있는 사람만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일반인들에게는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대체로 상기 제2 방법의 조립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제2 방법이 이용될 경우에는 단지 멀티 트레이에 장착된 판 스프링의 탄성력만을 믿고 억지 끼움식으로 앤드 커버에 밀어 넣는데, 이 때는 판 스프링의 전방에 장착된 롤러 또는 회전축(9)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 불필요하게 롤러를 교체해야 하는 일을 발생시켰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2 방법에 의해 결합되어 파손된 부적절한 롤러가 설치될 경우, 상기 멀티 트레이를 열고 닫을 때 롤러의 원활하지 못한 회전이동과 그로 인한 소음 발생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멀티 트레이를 앤드 커버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단지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을 느끼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리어콘솔의 앤드 커버에 멀티 트레이를 결합시킬 때에 상단으로 선조립이 가능하고 하단으로도 선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누구라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앤드 커버에서 멀티 트레이를 탈거시킬 때에도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는, 리어콘솔의 앤드 커버에 멀티 트레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멀티 트레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홈과, 상기 앤드 커버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힌지홈과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힌지부; 상기 멀티 트레이에 결합된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에 결합되어서 멀티 트레이의 안내 역할을 하는 롤러로 이루어진 안내부재; 및 상기 롤러의 후방 이동을 제어하고 멀티 트레이를 앤드 커버와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조장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이동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는 힌지부(10), 안내부재(20), 및 이동저지부재(30)를 구성한다.
상기 힌지부(10)는 상기 멀티 트레이(3)의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홈(12)과, 리어콘솔(1)의 앤드 커버(2)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힌지축(14)으로 이루어진 다.
상기 힌지홈(12)은 그에 끼워져 장착되게 될 힌지축(14)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리어 콘솔(1)에 장착된 앤드 커버(2)에 멀티 트레이(3)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힌지홈(12)의 크기는 항상 힌지축(14)의 두께보다 클 필요는 없고, 단지 힌지축(14)에 걸쳐진 멀티 트레이(3)가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면 된다.
상기 힌지축(14)은 앤드 커버(2)의 공간부의 양측벽 하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데, 설치 위치는 멀티 트레이(3)가 조립된 후 그 스스로가 아닌 강제로 탈거시킬 때 분리될 수 있는 위치면 된다.
상기 안내부재(20)는 상기 멀티 트레이(3)에 결합된 판 스프링(22)과, 상기 판 스프링(22)의 전방에 설치된 롤러(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 스프링(22)의 일단부는 멀티 트레이(3)의 전방 상부에 단단히 장착되어서 사용자가 그에 힘을 가할 때 충분한 탄력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롤러(24)는 판 스프링(22)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멀티 트레이(3)의 안내 역할을 하는 데, 여기서는 단지 롤러(24)만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롤러(24)와 판 스프링(22)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회전축(26)은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멀티 트레이(3)가 개폐될 때에는 롤러(24)에 의해 부드럽게 개방되거나 닫히는 것이 가능하며, 롤러(24)의 회전에 의해서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폐 시 소음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이동저지부재(30)는 상기 롤러(24)의 후방 이동을 제어하고 멀티 트레이(3)를 앤드 커버(2)와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스토퍼(32)와, 상기 스토퍼(32)의 복원을 조장하는 토션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32)는 앤드 커버(2)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지지봉(3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지만, 앤드 커버(2)에 의해 하향 회동이 저지되며, 상향 회동 또한 토션 스프링(33)에 의해 저지된다.
상기 스토퍼(32)의 전방부는 상부 전방으로 절곡되게 하여 프레임(3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걸쳐지게 하고, 상기 스토퍼(32)의 하단부의 외부는 상기 롤러(24)와 접촉되는 지점부터 말단부까지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 트레이(3)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앤드 커버(2)의 공간부로 밀어 넣을 때 롤러(24)가 스토퍼(32)의 경사면(35)에 접촉하여 부드럽게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토퍼(32)의 하단부 내부에는 롤러(24)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안착홈(37)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멀티 트레이(3)가 개방될 때 상기 안착홈(37)의 수직면(34)에 부딪혀 후방 이동이 저지되어 최대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토션 스프링(33)은 상기 지지봉(36)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지만,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32)의 상면에 놓여 있어 스토퍼(32)의 상향 회동과 복원 회동을 제어하고 타단부는 토션 스프링(33)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앤드 커버(2)에 장착된 걸림턱(38)에 걸쳐서 고정된다.
상기 멀티 트레이(3)를 앤드 커버(2)에 조립할 때에는,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서,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2)와 토션 스프링(33)을 상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롤러(24)가 앤드 커버(2)의 공간부로 이동하여 멀티 트레이(3)가 조립될 수 있게 하였고, 조립되고 난 후에는 토션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32)를 원위치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롤러(24)가 스토퍼(32)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멀티 트레이(3)가 앤드 커버(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멀티 트레이(3)를 앤드 커버(2)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롤러(24)가 스토퍼(32)의 상향 회동을 저지하지 않을 만큼 상기 멀티 트레이(3)를 빼낸 다음 손가락 또는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스토퍼(32)를 상향 회동시켜서 분리하고, 그 다음 힌지 홈(12)과 힌지축(14)을 분리함으로써 앤드 커버(2)에서 상기 멀티 트레이(3)를 탈거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에 의한 조립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멀티 트레이(3)를 리어콘솔(1)의 앤드 커버(2)에 조립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는, 먼저 상기 힌지홈(12)과 힌지축(14)을 결합하는 방식을 선조립으로 이용하고, 그 다음에 롤러(24)와 스토퍼(32)에 의한 조립방식을 후조립으로 이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멀티 트레이(3)의 힌지홈(12)에 힌지축(14)을 끼우는 방식으로 선조립한 후 멀티 트레이(3)를 앤드 커버(2) 측으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 상기 멀티 트레이(3)의 전방에 설치된 롤러(24)를 스토퍼(32)의 하단부로 부딪히게 하는데, 이 때에 부딪힐 때의 힘 또는 미는 힘을 통해서 상기 판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24)를 아래로 이동하게 하고, 동시에 스토퍼(32)를 위로 이동하게 하면서 상기 롤러(24)를 앤드 커버(2)에 형성된 공간부로 삽입 이동시켜서 멀티 트레이의 조립을 실시한다.
상기 롤러(24)가 삽입되어서 앤드 커버(2)의 공간 내부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 후, 스토퍼(32)는 그의 상부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33)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멀티 트레이(3)의 최대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거리를 결정해준다.
상기 멀티 트레이(3)를 앤드 커버(2)에 조립시키기 위한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먼저 롤러(24)와 스토퍼(32)에 의한 조립방식을 선조립으로 이용하고, 그 다음에 상기 힌지홈(12)과 힌지축(14)을 결합하는 방식을 후조립으로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트레이(3)를 앤드 커버(2)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32)를 상향 회동시켜서 롤러(24)를 스토퍼(32)의 외측으로 나오게 하고, 그 다음 힌지 홈(12)과 힌지축(14)을 분리함으로써 탈거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를 이용하면, 자동차용 리어콘솔의 앤드 커버에 멀티 트레이를 결합시킬 때에 사용자 누구라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상기 앤드 커버에서 멀티 트레이를 탈거시킬 때에도 상호간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조립시 롤러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개폐 회동이 가능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리어콘솔의 앤드 커버에 멀티 트레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멀티 트레이(3)의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홈(12)과, 상기 앤드 커버(2)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힌지홈(12)과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14)으로 이루어진 힌지부(10);
    상기 멀티 트레이(3)를 상기 앤드 커버(2)의 공간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재(20); 및
    상기 롤러(24)의 후방 이동을 제어하고 멀티 트레이(3)를 앤드 커버(2)와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스토퍼(32)와, 상기 스토퍼(32)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이동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2) 및 토션 스프링(33)은 상기 앤드 커버(2)에 장착된 지지봉(3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2)의 전방부는 상향 전방으로 절곡되게 하여 프레임(31)의 상부에 걸쳐지게 하고, 하단부의 외부는 상기 롤러(24)와 접촉되는 지점부터 말단부까지 하향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 레이의 조립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33)의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32)의 상향 전방으로 절곡된 부분의 상면에 놓여지고, 타단부는 앤드 커버(2)에 장착된 걸림턱(38)에 걸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는 상기 멀티 트레이(3)에 결합된 판 스프링(22)과, 상기 판 스프링(22)에 결합된 롤러(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KR1020050029602A 2005-04-08 2005-04-08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KR10058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602A KR100588690B1 (ko) 2005-04-08 2005-04-08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602A KR100588690B1 (ko) 2005-04-08 2005-04-08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690B1 true KR100588690B1 (ko) 2006-06-12

Family

ID=3718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602A KR100588690B1 (ko) 2005-04-08 2005-04-08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6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990U (ko) * 1997-12-10 1999-07-05 유철진 바닥 재떨이 취부 구조
KR100249295B1 (ko) 1996-12-11 2000-05-01 정몽규 뒷자석 재떨이 열림장치
JP2003291734A (ja) 2002-04-08 2003-10-15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容器保持装置
KR200363563Y1 (ko) 2004-06-28 2004-10-06 허봉 자동차용 냉온 음료용기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295B1 (ko) 1996-12-11 2000-05-01 정몽규 뒷자석 재떨이 열림장치
KR19990023990U (ko) * 1997-12-10 1999-07-05 유철진 바닥 재떨이 취부 구조
JP2003291734A (ja) 2002-04-08 2003-10-15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容器保持装置
KR200363563Y1 (ko) 2004-06-28 2004-10-06 허봉 자동차용 냉온 음료용기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5364B (zh) 扶手锁定装置
US8740265B2 (en) Dual pawl latch mechanism for a dual door assembly
KR20090062177A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US20220106822A1 (en) Four-Bar Linkage Apparatus for Preventing Sliding Door for Vehicle from Swaying
US7017956B2 (en) Lock mechanism and opening-closing device
US6666504B2 (en) Sliding cover for tie down anchor
JP2007118623A (ja) スライド部材のロック構造
KR100588690B1 (ko) 자동차용 리어콘솔 트레이의 조립구조
JP3402417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102583419B1 (ko) 측면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방지를 위한 콘솔 암레스트 어셈블리
KR102273871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0543759B1 (ko) 자동차의 트레이 개폐 구조
JP3597509B2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構造
KR100733644B1 (ko) 자동차용 재떨이
JP3240552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用カップホルダー
KR200161530Y1 (ko) 컵 홀더
KR100369005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록킹 구조
KR100836436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열림 방지구조
KR101244946B1 (ko) 차량의 트레이 도어 구조
KR200447928Y1 (ko) 차량용 아암레스트
JP4947550B2 (ja)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
KR100526984B1 (ko) 차량의 내측 도어 핸들
KR19980046835U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JP3971757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3591890B2 (ja) 車両用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