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137B1 -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137B1
KR100588137B1 KR1020050053176A KR20050053176A KR100588137B1 KR 100588137 B1 KR100588137 B1 KR 100588137B1 KR 1020050053176 A KR1020050053176 A KR 1020050053176A KR 20050053176 A KR20050053176 A KR 20050053176A KR 100588137 B1 KR100588137 B1 KR 10058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ata
odd
digital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137B1/ko
Priority to US11/447,244 priority patent/US2006028487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137B1/ko
Priority to CNA2006100938421A priority patent/CN188591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는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와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m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출력부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k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패널구동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나머지에 전달하며,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m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복수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칩 및 수신 칩을 이용하여 m 비트보다 큰 n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DIGITAL VIDEO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전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전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입력부 20 : 비디오 프로세서
21 :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23 : 영상데이터 출력부
24a, 24b : 영상데이터 전송부
25 : 경로선택부 25a : 스위칭부
30 : 디스플레이부 31 : 패널구동부
32 : 영상데이터 수신부 33 : 타이밍 컨트롤러
34 :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해상도 및 계조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이중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나 PDP(Plasma Display Panel)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투광도가 대전력에 따라 달라지는 액정의 물성적 특성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패널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제어된다.
여기서, 패널구동부는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하는 영상 프로세서 등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게 된다.
근래에 패널구동부와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방식으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과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LVDS 방식은 디지털 정보를 구리선으로 통해 고속으로 패널구동부로 보내기 위해 제안된 방식으로, 노이즈 및 EMI를 적게 유발하고, 소비전력이 감소된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TMDS 방식은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전송시 발생하는 신호 손실을 현저히 감소 시켜, 컴퓨터와 모니터와 같이 영상데이터의 전송 라인이 비교적 긴 데스크탑 컴퓨터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LVDS 방식이나 TMDS 방식에서는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전송시 고주파의 클럭신호의 주파수를 이분주 방식에 따라 조정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패널구동부의 소스 드라이브를 홀수 번째 소스 드라이브 IC와 짝수 번째 소스 드라이브 IC로 두 그룹으로 구분하고,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에서 패널구동부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때 두 그룹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즉,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로 구분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LVDS 방식이나 TMDS 방식을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패널 구동부 측에 LVDS 방식이나 TMDS 방식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LVDS 리시버나 TMDS 리시버와 같은 수신 칩이 구비되고,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측에도 대응하는 LVDS 트랜스미터나 TMDS 트랜스피터와 같은 전송 칩이 구비된다.
그런데, 근래에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나 계조가 높아지고 영상데이터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커짐에 따라 기존의 수신 칩이나 전송 칩의 용량으로는 적응적으로 대처하는게 어려워지고 있다.
예컨대, 기존의 수신 칩이나 전송 칩이 8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 8비트 이상의 버스폭의 영상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8비트 버스폭의 전송 칩 및 수신 칩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패널 구동부의 제조사와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의 제조사가 다른 경우,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의 제조사는 8 비트 전용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와 8 비트 이상, 예컨대 12 비트 전용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를 구분하여 제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8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출력부(110a) 및 전송 칩(120a)을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는 8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패널구동부의 수신 칩(130a)과 연결하여야 하고, 12 비트 버스폭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출력부(110b) 및 전송 칩(120b)을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는 12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패널구동부의 수신 칩(130b)과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복수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칩 및 수신 칩을 이용하여 m 비트보다 큰 n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회로 조작만으로 n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와 m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구동부에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와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m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출력부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k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구동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나머지에 전달하며,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은 LVDS 방식과 TMDS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 비트가 12 비트이고 상기 m 비트가 8 비트이고 상기 k 비트가 8 비트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패널구동부에 전송 가능한 제1 영상데이 터 전송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가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가 각각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각각 8 피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과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신호출력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에 연결되는 제1 이븐데이터 출력핀과,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이븐데이터 출력핀과,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에 연결되는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과,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나머지와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입력핀 중 나머지에 연결되는 제2 오드데이터 출력핀과,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에 연결되는 제3 오드데이터 출력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영상신호출력부가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출력부의 상기 제2 이븐데이터 출력핀을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상기 일부에 연결하 고, 상기 영상신호출력부가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출력부의 상기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을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상기 일부에 연결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구동부와;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와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m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출력부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k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구동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나머지에 전달하며,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은 LVDS 방식과 TMDS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 비트가 12 비트이고 상기 m 비트가 8 비트이고 상기 k 비트가 8 비트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패널구동부에 전송 가능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구동부는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된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 비트가 12 비트이고 상기 m 비트가 8 비트이고 상기 k 비트가 8 비트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패널구동부에 전송 가능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12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된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12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된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12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로 인식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구동부과;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출력부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k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구동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상기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상기 n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나머지에 전달하는 경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은 LVDS 방식과 TMDS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 비트가 12 비트이고 상기 k 비트가 8 비트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상기 패널구동부에 전송 가능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출력될 때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구동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이븐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오드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이븐데이터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오드데이터로 인식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입력부(10), 비디오 프로세서(20), 디스플레이부(3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신호입력부(10)는 컴퓨터 등의 영상소스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신호입력부(10)는 다양한 포맷의 비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입력부(10)는 D-Sub 커넥터, DVI 커넥터, 컴포지트 단자, 콤포넌트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20)는 신호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가 표시 가능한 포맷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전송한다.
여기서, 비디오 프로세서(20)는 디스플레이부(30)에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21)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디오 프로세서(20)와 디스플레이부(30) 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며, 이외에도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로 구분하여 전송하는 다른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 예컨대,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2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 출력부(23)와,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와, 경로선택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출력부(23)는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와 n 비트보다 작은 m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n 비트가 12 비트이고, m 비트가 8비트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영상데이터 출력부(23)는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를 통해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0)로 출력하는 스케일러일 수 있다. 또한, 스케일 러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2차적으로 조정하여 화면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스케일러의 출력단에 연결된 화질개선부가 마련되는 경우, 영상데이터 출력부(23)는 해당 화질개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는 화질개선부를 거쳐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에 전달된다.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는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LVDS 방식에 따라 n 비트보다 작은 k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화하여 패널구동부(31)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k 비트가 8비트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패널구동부(31)에 전송 가능한 한 쌍의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며, 각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를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경로선택부(25)는 영상데이터 출력부(23)로부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를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오드데이터를 영상데이터 전송부(24a,24b) 중 나머지에 전달한다.
예컨대, 경로선택부(25)는 영상데이터 출력부(23)로부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가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로 전달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경로선택부(25)는 영상데이터로부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오드데이터가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로 전달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는 각각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입력핀과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출력부(23)는 제1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4,7],even[8,11]), 제2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0,3]),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odd[8,11]), 제2 오드데이터 출력핀(odd[4,7]), 및 제3 오드데이터 출력핀(odd[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제1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4,7],even[8,11])은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의 8비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과 연결된다. 즉,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12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출력핀 중 8 비트가 제1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4,7],even[8,11])으로 할당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제2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0,3])은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의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 예컨대,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4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즉,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12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출력핀 중 4 비트가 제2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0,3])으로 할당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odd[8,11])은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의 8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 예컨대,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입력핀 중 4 비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에 연결된다. 즉 ,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12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출력핀 중 4 비트가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odd[8,11])으로 할당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제2 오드데이터 출력핀(odd[4,7])은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의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나머지와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의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입력핀 중 나머지에 연결된다. 여기서,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제2 오드데이터 출력핀(odd[4,7])에는 12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출력핀 중 4 비트가 할당되고, 4 비트의 제2 오드데이터 출력핀(odd[4,7])이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의 4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의 4 비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제3 오드데이터 출력핀(odd[0,3])은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의 8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3 오드데이터 출력핀(odd[0,3])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은 각각 4 비트씩 할당된다.
여기서, 경로선택부(25)는 영상신호출력부가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영상신호출력부의 제2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0,3])을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의 4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에 연결하는 스위칭부(2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데이터 출력부(23)로부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12 비트의 이븐데이터 출력핀으로부터 출력되는 12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25a)를 포함한 경로선택부(25)에 의해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의 8 비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 및 4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을 통해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에 전달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12 비트의 오드데이터 출력핀으로부터 출력되는 12 비트의 오드데이터는 경로선택부(25)에 의해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의 12 비트의 이븐데이터와 4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을 통해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에 전달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 출력부(23)가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의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전송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영상데이터 출력부(23)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를 8 비트의 제1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4,7],even[8,1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데이터 출력부(23)의 8 비트의 제1 이븐데이터 출력핀(even[4,7],even[8,11])을 통해 출력되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는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의 8 비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에 입력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출력부(23)는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를 4 비트의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odd[8,11])과 4 비트의 제2 오드데이터 출력핀(odd[4,7])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odd[8,11])으로부터 출력되는 4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는 스위칭부(25a)를 통해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의 4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2 오드데이터 출력핀(odd[4,7])으로부터 출력되는 나머지 4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는 제1 영상데이 터 전송부(24a)의 나머지 4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영상데이터 출력부(23)로부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는 모두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에 입력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34)과,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34)을 구동하는 패널구동부(31)를 포함한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34)은 패널구동부(31)의 제어에 따라 화면 상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34)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패널구동부(31)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21)의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로부터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수신부(32)와, 영상데이터 수신부(32)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34)을 구동하는 타이밍 컨트롤러(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 수신부(32)는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32a) 및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32a) 및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32b)는 각각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LVDS 방식 또는 TMDS 방식에 따라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32a) 및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32b)는 각각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의 데이터 버스폭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는 8 비트의 이븐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8 비트의 이븐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32a)로 전송하고, 8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8 비트의 오드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32a)로 전송한다.
동일하게,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는 8 비트의 이븐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8 비트의 이븐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32b)로 전송하고, 8 비트의 오드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8 비트의 오드데이터 전송부를 통해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32b)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로부터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32a) 및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32b)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영상데이터 출력부(23)를 통해 출력되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 및 제2 디지털 영상신호에 따라 달라짐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33)가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 이부(30)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장치를 갖는 이미지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33)는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32a)를 통해 수신되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8 비트 버프폭의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34)을 구동한다.
반편,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33)가 12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12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장치를 갖는 이미지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33)는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32a)를 통해 수신되는 12 비트 버스폭의 데이터를 이븐데이터로 인식하고,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32b)를 통해 수신되는 12 비트 버스폭의 데이터를 오드데이터로 인식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34)을 구동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장치의 영상데이터 출력부(23)가 12 비트 버스폭의 제1 디지털 영상신호와 8 비트 버스폭의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경우, 경로선택부(25)의 스위칭부(25a)를 회로 조작을 통해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24a)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24b)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출력 유형을 바꿀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8 비트 또는 12 비트의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장치와, 8 비트 또는 12 비트의 디스플레이부(30) 간을 결합할 때, 다양한 경우의 조합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m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복수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칩 및 수신 칩을 이용하여 m 비트보다 큰 n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회로 조작만으로 n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와 m 비트 버스폭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4)

  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구동부에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와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m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출력부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k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구동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나머지에 전달하며,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은 LVDS 방식과 TMDS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 비트가 12 비트이고 상기 m 비트가 8 비트이고 상기 k 비트가 8 비트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패널구동부에 전송 가능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가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가 각각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각각 8 피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과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신호출력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이븐데이터 입력핀에 연결되는 제1 이븐데이터 출력핀과,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이븐데이터 출력핀과,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에 연결되는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과,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나머지와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입력핀 중 나머지에 연결되는 제2 오드데이터 출력핀과,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일부에 연결되는 제3 오드데이터 출력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영상신호출력부가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출력부의 상기 제2 이븐데이터 출력핀을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상기 일부에 연결하고, 상기 영상신호출력부가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출력부의 상기 제1 오드데이터 출력핀을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의 상기 8 피트의 오드데이터 입력핀 중 상기 일부에 연결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6.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구동부와;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와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m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출력부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k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구동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나머지에 전달하며,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은 LVDS 방식과 TMDS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n 비트가 12 비트이고 상기 m 비트가 8 비트이고 상기 k 비트가 8 비트 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패널구동부에 전송 가능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동부는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된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 비트가 12 비트이고 상기 m 비트가 8 비트이고 상기 k 비트가 8 비트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패널구동부에 전송 가능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12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된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12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된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12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로 인식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구동부과;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출력부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k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패널구동부로 전송 가능한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상기 n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상기 n 비트 버스폭의 오드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 전송부 중 나머지에 전달하는 경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은 LVDS 방식과 TMDS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 비트가 12 비트이고 상기 k 비트가 8 비트인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전송부는 8 비트 버스폭의 이븐데이터와 오드데이터를 갖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패널구동부에 전송 가능한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영상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출력될 때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이븐데이터 및 오드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동부는,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이븐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정의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오드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제1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이븐데이터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영상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오드데이터로 인식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50053176A 2005-06-20 2005-06-20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KR100588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76A KR100588137B1 (ko) 2005-06-20 2005-06-20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US11/447,244 US20060284875A1 (en) 2005-06-20 2006-06-06 Digital video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NA2006100938421A CN1885915A (zh) 2005-06-20 2006-06-20 数字视频数据发送装置和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76A KR100588137B1 (ko) 2005-06-20 2005-06-20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137B1 true KR100588137B1 (ko) 2006-06-09

Family

ID=3718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176A KR100588137B1 (ko) 2005-06-20 2005-06-20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84875A1 (ko)
KR (1) KR100588137B1 (ko)
CN (1) CN18859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350A1 (en) 2011-12-28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20998B1 (ko) * 2017-08-04 202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통신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574A (ja) * 1984-10-17 1986-05-15 Hitachi Ltd Pcm信号の変換方法,pcm信号の記録方法及びpcm信号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5915A (zh) 2006-12-27
US20060284875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2759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LCD panel
JP4562225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平板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画像信号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方法
JP5179467B2 (ja) 直列化されたマルチレベルデータ信号を伝達するためのディスプレイ、タイミング制御部及びデータ駆動部
US7598950B2 (en) Display control device with multipurpose output driver
US8314763B2 (en) Display device transferring data signal with clock
US7283132B2 (en) Display panel driver
JP5506124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22027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とそのソースドライバ
US7724225B2 (en) Display panel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20100164845A1 (en) Modulation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N100386789C (zh) 显示面板
KR100588137B1 (ko) 디지털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65497A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니터 구동회로
US11955051B2 (en) Receiver of display dri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5326805A (ja) シリアルプロトコル式パネル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293523B1 (ko) 액정표시장치
JP6465583B2 (ja)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75702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f image display device
JP4291663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319196B1 (ko) 액정 패널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시스템
JP3717810B2 (ja) 画像信号伝送システム
KR20080001484A (ko)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434374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image data thereof
KR20240041200A (ko) 디스플레이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미지 데이터 검사 방법
JP2001346202A (ja) 画像信号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