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537B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537B1
KR100587537B1 KR20030004941A KR20030004941A KR100587537B1 KR 100587537 B1 KR100587537 B1 KR 100587537B1 KR 20030004941 A KR20030004941 A KR 20030004941A KR 20030004941 A KR20030004941 A KR 20030004941A KR 100587537 B1 KR100587537 B1 KR 100587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end portion
spout
receiving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708A (ko
Inventor
문광열
Original Assignee
문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열 filed Critical 문광열
Priority to KR2003000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537B1/ko
Priority to CNB2004800026097A priority patent/CN100345733C/zh
Priority to PCT/KR2004/000124 priority patent/WO2004065249A1/en
Publication of KR2004006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의 섭취시 음료가 입술의 주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입술을 통해 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음료의 섭취시 음료가 용기 내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몸통의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주둥이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주둥이부를 막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술이 밀착되는 부분인 전방 둘레에 원호단부가 형성되고 이 원호단부의 양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대칭되게 함몰되는 함몰단부로 이루어져 개방된 음료 배출부와, 상기 음료 배출부와 연통되며 양 함몰단부의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 배출부의 양측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개방 형성된 반 장홀 단부가 포함된 공기 유입량 조절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A drink bottle}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주둥이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통해 음료를 섭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분해 사시도를,
도 7b는 주둥이부를 막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통
11 : 함몰홈부
12 : 수취함몰부
3 : 뚜껑부
31 : 둘레부
311 : 돌출둘레부, 312 : 개방 돌출둘레부
32 : 측벽
4 : 주둥이부
41 : 음료 배출홀
411 : 원호단부, 413 : 함몰단부
42 : 공기 유입량 조절홀
421 : 반 장홀 단부
5 : 음료 이동부
51 : 이동면
52 : 경사측벽
본 발명은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주둥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음료의 섭취시 음료가 입술의 주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입술을 통해 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음료의 섭취시 음료가 용기 내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라 함은, 액상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모든 용기를 총칭하 는 것으로서, 내용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상태로 되어 있는 몸체와, 이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주둥이부 및 이 주둥이부를 막는 뚜껑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둥이부는 원형의 단부를 포함하여 개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통상의 음료용기를 통해 음료를 섭취할 경우에는, 음료 섭취자가 뚜껑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음료용기의 주둥이부를 입술에 밀착한 후, 음료병의 후방을 기울이면서 음료를 섭취한다.
다시 말해 음료용기에 형성된 원형으로 개방된 주둥이부를 섭취자의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료용기를 통해 음료를 섭취함에 있어서, 주둥이부가 원형으로 개방됨에 따라서 주둥이부의 상부를 통해 음료가 배출되어 입술주위로 넘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주둥이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음료가 항상 과다하게 배출됨으로서 음료가 넘치는 문제점이 증폭되고, 특히, 어린이 등이 짧은 시간에 음료를 과다하게 섭취하게 됨으로서 기도가 막히거나 채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음료섭취자가 용기의 수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용기의 중간둘레에 함몰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음료용기가 널리 통용화 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함몰홈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함몰홈부가 포함된 용기를 통해 음료를 섭취함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에는 함몰홈부의 내측면과 미끄럼 방지돌기의 내측면이 돌출됨에 따라, 음료의 섭취 후 일부의 음료가 내부의 돌출부분에 잔류됨으로 음료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음료의 섭취시 음료가 입술의 주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입술을 통해 음료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량의 음료를 연속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음료의 섭취시 음료가 용기내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통의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주둥이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주둥이부를 막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술이 밀착되는 부분인 전방 둘레에 원호단부가 형성되고 이 원호단부의 양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대칭되게 함몰되는 함몰단부로 이루어져 개방된 음료 배출부와, 상기 음료 배출부와 연통되며 양 함몰단부의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 배출부의 양측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개방 형성된 반 장홀 단부가 포함된 공기 유입량 조절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주둥이부를 확대도시한 개략 평면도로서, 몸통(1)의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주둥이부(4)가 구비되어 있고 주둥이부(4)를 막는 뚜껑부(3)를 포함하는 통상의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4)는, 상부에 형성되어 섭취자의 입술이 밀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음료 배출부(41)와, 음료 배출부(41)와 연통되며 이 음료 배출부(41)의 양측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개방 형성된 공기 유입량 조절홀(4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음료 배출부(41)는, 전방 둘레에 형성되는 원호단부(411)와 이 원호단부(411)의 양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대칭되게 함몰되는 함몰단부(41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량 조절홀(42)은, 상기 음료 배출부(41)를 구성하는 양 함몰단부(413)의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 배출부(41)의 양측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개방 형성된 반 장홀 단부(421)가 포함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 유입량 조절홀(4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 반 장홀 단부(421)을 통해 후방으로 좁아지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 유입량 조절홀(42)의 폭이 음료 배출홀(41)보다 상대적으로 좁음에 따라서 음료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통해 음료를 섭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음료 섭취자가 뚜껑부(3)를 개방한 상태에서 음료용기의 주둥이부(4)를 입술에 밀착한 후 음료용기의 후방을 기울이면서 음료를 섭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음료용기에 형성된 주둥이부(4)는 음료배출홀(41)과 공기 유입량 조절홀(42)로 구성됨에 따라서, 음료를 섭취할 경우에는 섭취자의 윗입술과 아랫입술사이로 상기 음료 배출홀(41)이 위치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입술이 공기 유입량 조절홀(42)의 일부를 막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료의 섭취시 상기 윗입술을 통해 공기 유입량 조절홀(4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즉 외부공기가 용기내로 투입되는 양을 조절함으로서, 음료의 배출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음료의 섭취순간에 음료 배출량을 자신이 윗입술로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서, 음료의 과다한 배출로 인하여 음료가 입술주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함에 따라, 어린이 등의 음료 섭취시 적정하게 배출되는 음료를 천천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짧은 시간에 음료를 과다하게 섭취하여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뚜껑부(3)는, 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일체로 구성된 원호단부(411)와 양 함몰단부(413) 및 반 장홀 단부(421)의 상측에 부착되어 있고 둘레부(31)가 상기 용기의 상측 둘레를 감싸며 밀착되게 덮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부(3)의 둘레부(31)가, 용기의 상측 둘레를 감쌀 경우 상기 원호단부(411)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둘레부(311)의 돌출길이보다 상기 양 후방단부 및 반 장홀 단부(421)의 하측으로 돌출된 개방 돌출둘레부(312)의 돌출길기가 더 길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뚜껑부(3)의 후방 양측에 길게 돌출되어 있는 개방 돌출둘레부(312)를 손가락을 끼워 수취한 후 이를 벗겨내는 과정을 통해 판형상의 뚜껑부(3)를 주둥이부(4)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주둥이부(4)에 포함되는 양 함몰단부(413)와 그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반 장홀 단부(421)의 하측인 용기 상측 둘레의 후방 양측에는 손가락이 삽입되어 뚜껑부(3)를 개방하는 함몰홈부(11)가 더 구비됨으로서, 뚜껑부(3)의 개방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분해사시도를, 도 7b는 주둥이부를 막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뚜껑부(3)는, 상기 음료 배출부(41)와 공기 유입량 조절홀(42)과 상응되게 측벽(32)을 가지며 구성되어 주둥이부(4)의 둘레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삽입 장착됨으로서, 필요에 따라 용기의 주둥이부(4)를 개폐하였다가 다시 밀폐할 수 도 있는 것이다.
한편, 주둥이부(4)에 포함되는 양 함몰단부(413)와 그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반 장홀 단부(421)의 하측인 용기 상측 둘레의 후방 양측에는 손가락이 삽입되어 뚜껑부(3)를 개방하는 함몰홈부(11)가 더 구비됨으로서, 뚜껑부(3)의 개방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1) 중간에는 통상의 용기를 수취하기 위한 수취함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취함몰부(12)의 전방인 상기 원호단부(411)의 수직선상의 위치에는 음료의 배출시 음료가 용기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음료 이동부(5)가 용기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몸체(1)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음료 이동부(5)는, 수취함몰부(12)에서 돌출되어 용기내부와 연통되며 수취함몰부(12)의 상,하부에 위치된 몸체측벽의 내측면과 동일한 내측면을 가지는 이동면(51)과, 이 이동면(51)의 양측에 상기 수취함몰부(12)의 측벽과 일체로 연결된 양 경사측벽(5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 과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섭취자가 음료를 섭취함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에는, 용기의 측벽 내면과 동일한 면을 가지는 음료 이동면(51)이 형성됨으로서 음료가 원활하게 음료 배출부(41) 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료의 섭취 후 용기에 음료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료의 섭취시 음료가 입술의 주위로 넘치는 것으로 방지하면서도 입술을 통해 음료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좀더 안정적으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료의 섭취시 음료가 용기내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음료가 낭비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몸통(1)의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주둥이부(4)가 구비되어 있고 이 주둥이부(4)를 막는 뚜껑부(3)를 포함하는 통상의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4)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술이 밀착되는 부분인 전방 둘레에 원호단부(411)가 형성되고 이 원호단부(411)의 양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대칭되게 함몰되는 함몰단부(413)로 이루어져 개방된 음료 배출부(41)와,
    상기 음료 배출부(41)와 연통되며 양 함몰단부(413)의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 배출부(41)의 양측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개방 형성된 반 장홀 단부(421)가 포함된 공기 유입량 조절홀(42),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3)는, 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일체로 구성된 원호단부(411)와 양 함몰단부(413) 및 반 장홀 단부(421)의 상측에 부착되어 있고 둘레부(31)가 상기 용기의 상측 둘레를 감싸며 밀착되게 덮어지고;
    상기 뚜껑부(3)의 둘레부(31)가, 용기의 상측 둘레를 감쌀 경우 상기 원호단부(411)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둘레부(311)의 돌출길이보다 상기 양 함몰단부(413) 및 반 장홀 단부(421)의 하측으로 돌출된 개방 돌출둘레부(312)의 돌출 길기가 더 길게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3)는, 상기 음료 배출부(41)와 공기 유입량 조절홀(42)과 상응되게 측벽(32)을 가지며 구성되어 주둥이부(4)의 둘레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삽입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 중간에는 통상의 용기를 수취하기 위한 수취함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취함몰부(12)의 전방인 상기 원호단부(411)의 수직선상의 위치에는, 수취함몰부(12)에서 돌출되어 용기내부와 연통되며 수취함몰부(12)의 상,하부에 위치된 몸체측벽의 내측면과 동일한 내측면을 가지는 이동면(51)과, 이 이동면(51)의 양측에 상기 수취함몰부(12)의 측벽과 일체로 연결된 양 경사측벽(52)이 포함되는 음료 이동부(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후방단부(412)와 그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반 장홀 단부(421)의 하측인 용기 상측 둘레의 후방 양측에는 손가락이 삽입되어 뚜껑부(3)를 개방하는 함몰홈부(1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 중간에는 통상의 용기를 수취하기 위한 수취함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취함몰부(12)의 전방인 상기 원호단부(411)의 수직선상의 위치에는, 수취함몰부(12)에서 돌출되어 용기내부와 연통되며 수취함몰부(12)의 상,하부에 위치된 몸체측벽의 내측면과 동일한 내측면을 가지는 이동면(51)과, 이 이동면(51)의 양측에 상기 수취함몰부(12)의 측벽과 일체로 연결된 양 경사측벽(52)이 포함되는 음료 이동부(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20030004941A 2003-01-24 2003-01-24 음료용기 KR100587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941A KR100587537B1 (ko) 2003-01-24 2003-01-24 음료용기
CNB2004800026097A CN100345733C (zh) 2003-01-24 2004-01-20 一种饮料瓶
PCT/KR2004/000124 WO2004065249A1 (en) 2003-01-24 2004-01-20 A drink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941A KR100587537B1 (ko) 2003-01-24 2003-01-24 음료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403U Division KR200311469Y1 (ko) 2003-01-24 2003-01-24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708A KR20040067708A (ko) 2004-07-30
KR100587537B1 true KR100587537B1 (ko) 2006-06-13

Family

ID=3609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4941A KR100587537B1 (ko) 2003-01-24 2003-01-24 음료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87537B1 (ko)
CN (1) CN100345733C (ko)
WO (1) WO2004065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6772B2 (en) 2011-10-28 2017-05-23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Container with pour spout
US9108757B2 (en) * 2011-10-28 2015-08-18 Raul M. Paredes Container with pour spout
USD713252S1 (en) 2012-04-11 2014-09-16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Container finish
AU2014260394B2 (en) * 2013-05-01 2017-08-03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Container with pour spout
US10875687B2 (en) 2016-10-31 2020-12-29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lastic container with integrated spout for directional pour
WO2018081689A1 (en) * 2016-10-31 2018-05-03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lastic container with integrated spout for directional pour
JP2020519545A (ja) * 2017-05-11 2020-07-02 ラミンカン・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流体を貯蔵および分注するための容器
US11203457B2 (en) 2018-11-09 2021-12-21 Graham Packaging Company, L.P.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with integrated spout
USD888564S1 (en) 2019-10-09 2020-06-30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Container
USD1013521S1 (en) 2021-04-08 2024-02-06 H.J. Heinz Company Brands Llc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354A (en) * 1997-11-12 1999-05-04 Garcia; Miguel Z. Drinking mug
KR200236613Y1 (ko) * 1999-04-30 2001-09-25 정수용 빙과 용기
JP3865291B2 (ja) * 2000-12-28 2007-01-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内溶液を残りなく注出可能にした液体中空容器
JP3852678B2 (ja) * 2001-06-27 2006-12-06 博文 大成 飲用容器の飲用制御構造
KR200285715Y1 (ko) * 2002-05-29 2002-08-13 양동훈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1943A (zh) 2006-03-01
CN100345733C (zh) 2007-10-31
WO2004065249A1 (en) 2004-08-05
KR20040067708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537B1 (ko) 음료용기
US7789263B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US7243814B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US7530478B2 (en) Closure with one or more lids
KR10055876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ZA997766B (en) Dispenser package for fluent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311469Y1 (ko) 음료용기
US20070269560A1 (en) Beverage Bottle Closure Having Cap, Cover, and Confection
CA2341418C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KR101920743B1 (ko) 펠릿형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하는 상품용기
KR200412106Y1 (ko) 내용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포장튜브
KR200397038Y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KR200367256Y1 (ko)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KR970000604Y1 (ko) 캔 또는 팩에 설치한 출몰식 빨대
KR970000343Y1 (ko) 캔 마개
KR960004446Y1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용기
JP4367699B2 (ja) 飲料容器
KR910005390Y1 (ko) 음료수 용기
KR200342897Y1 (ko) 휴대용 음료수통
KR200280838Y1 (ko)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KR200237433Y1 (ko) 스푼 보관통이 구비된 분유통
KR100447937B1 (ko) 발효식품용 뚜껑
KR200201900Y1 (ko) 컵을 가지는 휴대용 수통
KR20050093728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상캡 구조
JP2002282113A (ja) 注ぎ口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