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38Y1 -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38Y1
KR200280838Y1 KR2020020010653U KR20020010653U KR200280838Y1 KR 200280838 Y1 KR200280838 Y1 KR 200280838Y1 KR 2020020010653 U KR2020020010653 U KR 2020020010653U KR 20020010653 U KR20020010653 U KR 20020010653U KR 200280838 Y1 KR200280838 Y1 KR 200280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discharge
bottle
drink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화
Original Assignee
김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화 filed Critical 김삼화
Priority to KR2020020010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38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기능을 갖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병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의 외주연에 유동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그 상부의 배출구에 일정량으로 배출되게 조절하는 조절구를 고정한 배출캡과; 상기 배출캡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환형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그 상면에 조절구와 동일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배출캡의 외주연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유동캡과; 상기 배출캡에 착탈되면서 병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내용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보호캡으로 이루어져 배출캡의 소정 위치에 병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미세한 유입공을 형성시켜 대기압과 내부 기압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켜 원활한 배출과 음용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음용시에 혀가 유동캡을 밀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원활하고 자유로운 배출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병을 들고 마시면서 입에서 떼지 않고 계속적으로 마실 수 있는 만족감과 함께 주는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Bottle Cap of Improved Function}
본 고안은 개선된 기능을 갖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음료수 또는 음용수 등을 담아서 이동시에 휴대하거나 목이 마를 때 마실 수 있도록 용기에 물을 담아서 음용시에 용기 내부에 발생되는 압력차로 인해음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원활하게 음용할 수 있는 개선된 기능을 갖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나 식수 등의 음용수 뿐만 아니라 주류 등은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용기 내에 담아서 판매되고 있는데 용기의 상부에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새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병마개를 체결하고 있다.
병마개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지고 있는데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에 병마개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판매가 이루어지고, 병마개는 사용자에 의하여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병마개를 체결부에 체결하면서 재사용이 가능한 병마개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또한 유아나 어린이 등이 마시는 음료수 병에는 유아나 어린이가 마시기 편리하도록 용기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나선부의 외주면에는 캡의 회전시에 손에 잘 잡히면서 캡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빗나가지 않도록 일정한 홈이 형성된 배출캡이 체결된다.
배출캡의 상부에는 체결부 보다 작은 배출구를 형성하여 그 상면에는 병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일시에 배출되지 않고 일정량으로 배출되게 하는 조절구를 설치하고, 조절구의 저면에는 배출캡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리브로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 유동캡을 설치하여 배출구에 고정된 조절구와 유동캡 사이로 내용물이 배출되게 하여 어린이나 유아 등이 내용물을 흘리지 않으면서 마실 수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병마개는 병을 들고 캡 부분을 입 안에 물고서 내용물을 마시게 되면 초기에는 병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배출되어지나 계속해서 마시게 되면 혀가 유동캡을 조절구 방향으로 밀게 된다.
유동캡이 조절구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병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병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대기압과의 기압 차이로 인해 병 내부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입 밖으로 내어 병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병 내부의 기압과 대기압을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병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여러 사람이 나누어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위생상의 불결함이 발생되어 여러 사람이 나누어 마실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병 내부의 기압과 대기압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음용시에 계속적으로 입 안에 물고서 마실 수 있는 병마개가 요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캡의 소정위치에 공기홀을 형성하여 병 내부의 기압과 대기압이 항상적으로 일치되게 함으로써 음용시에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계속적으로 입 안에 내용물이 유입되어 편하게 마시면서 음용시에 내용물의 맛을 음미하면서 마실 수 있는 만족감과 함께 편리함을 제공하는 병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병마개가 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병마개를 분해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병마개가 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병마개 11: 배출캡
12: 안착홈 13: 걸림돌기
14: 배출구 15: 조절구
16: 유입공 20: 유동캡
21: 돌기 30: 보호캡
31: 환형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병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의 외주연에 유동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그 상부의 배출구에 일정량으로 배출되게 조절하는 조절구를 고정한 배출캡과; 상기 배출캡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환형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그 상면에 조절구와 동일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배출캡의 외주연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유동캡과; 상기 배출캡에 착탈되면서 병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내용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보호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병마개가 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병마개를 분해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병마개가 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병마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병마개(10)는 병에 체결부에 체결되는 배출캡(11)과, 상기 배출캡(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유동되면서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동캡(20)과, 상기 유동캡(20)의 외주 연에 결합되어 내용물의 배출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캡(11)은 병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와 결합되도록 내면에나선을 형성시키고, 나선이 형성된 외면에는 배출캡(11)의 착탈시에 손으로부터 배출캡(11)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형성한다.
배출캡(11)의 상부에는 보호캡(30)의 결합시에 보호캡(30)이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안착홈(12)을 형성하고, 안착홈(12)의 상부는 유동캡(20)이 인서트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부의 외주연에 걸림돌기(13)를 형성하고, 내용물이 일정량으로 배출되는 배출구(14)의 상부에 내용물이 일시에 배출되지 않고 적정량으로 배출되게 하는 조절구(15)를 설치한다.
배출캡(11)의 걸림돌기(13)와 안착홈(12) 사이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시켜 유동캡(20)과 보호캡(30)이 상호 간섭없이 결합되게 하고, 유동캡(20)이 인서트되는 절곡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세한 유입공(16)을 형성시킨다.
상기의 유입공(16)은 유동캡(20)이 설치된 걸림돌기(13)에서부터 보호캡(30)이 착탈되는 안착홈(12) 사이에 형성되어 내용물에 배출될 때에 병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대기압과 내부 기압의 차이로 인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여 대기압과 내부 기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유동캡(20)은 내측면의 소정 위치에 배출캡(11)의 환형돌기(31)의 하부로 끼워져 배출캡(11)의 외주연에 형성된 절곡면에서 상하로 유동되면서 상면에는 조절구(15)의 크기와 동일한 통공을 형성하여 조절구(15)와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되게 하고, 상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보호캡(30)의 개폐 상태에 따라 보호캡(30)이 오픈될 시에는 유동캡(20)이 상승하고 보호캡(30)이 폐쇄될 시에는 하강하도록 보호캡(3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돌기(21)를 형성한다.
상기 보호캡(30)은 내주연에 배출캡(11)의 안착홈(12)에 걸려지는 환형돌기(31)를 형성시켜 배출캡(11)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유동캡(20)의 돌기(21)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시켜 보호캡(30)의 탈거시에는 유동캡(20)이 상부로 이동되게 하며 보호캡(30)의 결합시에는 유동캡(20)이 하부로 이동되게 하여 보호캡(30)과 유동캡(20)의 의하여 내용물이 배출되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보호캡(30)에는 사용자에게 병마개(1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호캡(30)의 하부에 안전방지탭(도면상 미도시됨)을 배출캡(11)의 외주연에 겹합시켜 보호캡(30)의 개폐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며, 배출캡(11)에도 안전방지탭(도면상 미도시됨)을 형성시켜 병마개(10)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병마개(10)를 음료수, 생수 등의 음용수를 병에 담아 병마개(10)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사용을 하게 되면 사용자는 먼저 병마개(1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고 병에 담긴 내용물을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보호캡(30)을 탈거시키게 되면 보호캡(30)의 내면에 밀착되어 유동캡(20)은 상부로 이동되어지고, 병을 잡고 입에 넣어 흡입하게 되면 내용물은 배출캡의 배출구(14), 조절구(15)를 통해 배출캡(11)과 유동캡(20)의 통공을 통해 입안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내용물이 배출될 때에 배출캡(11)에 형성된 유입공(16)을 통해 대기상태의 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되게 됨으로써 병 속의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 원활하고 자유롭게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어린아이나 유아 등이 병을 입에 넣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음용 도중에 병 내부의 기압이 낮아진 진공 상태에 구애됨이 없이 마실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을 계속적으로 마실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배출캡의 소정 위치에 병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미세한 유입공을 형성시켜 대기압과 내부 기압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켜 원활한 배출과 음용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음용시에 혀가 유동캡을 밀어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원활하고 자유로운 배출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병을 들고 마시면서 입에서 떼지 않고 계속적으로 마실 수 있는 만족감과 함께 주는 것이다.

Claims (1)

  1. 병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의 외주연에 유동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그 상부의 배출구에 일정량으로 배출되게 조절하는 조절구를 고정한 배출캡과;
    상기 배출캡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환형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그 상면에 조절구와 동일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배출캡의 외주연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유동캡과;
    상기 유동캡이 인서트된 배출캡의 소정 위치에 배출캡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미세한 통공이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된 유입공과;
    상기 배출캡에 착탈되면서 병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내용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보호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KR2020020010653U 2002-04-09 2002-04-09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KR200280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653U KR200280838Y1 (ko) 2002-04-09 2002-04-09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653U KR200280838Y1 (ko) 2002-04-09 2002-04-09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38Y1 true KR200280838Y1 (ko) 2002-07-06

Family

ID=7312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653U KR200280838Y1 (ko) 2002-04-09 2002-04-09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8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25A (ko) * 2002-04-15 2003-10-22 해태음료 주식회사 스포우트형 음료용기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25A (ko) * 2002-04-15 2003-10-22 해태음료 주식회사 스포우트형 음료용기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4922B1 (en) Drinking vessel suitable for use as a trainer cup or the like
US7156253B2 (en) Single-piece paper cup sip adaptor
US6571981B2 (en) Disposable sipper cups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US5029719A (en) Bottle and cap assembly
US5607073A (en) Valve
US20080041809A1 (en) Closure device for drinking vessel
US5018635A (en) Fluid containment and access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US5487482A (en) Handled closure device
JPH01121010A (ja) 漏れ防止蓋
KR20210095894A (ko) 음용 컵
US20210093110A1 (en) Drinking container with barrier system
CA2434952C (en)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RU2279383C2 (ru) Закрываемое выпуск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уска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емкости жидких, вязких или пластичных сред
US10654627B2 (en) Spill-proof lid for container
JPH04503905A (ja) 飲用容器に関する改善
KR200280838Y1 (ko)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KR100659600B1 (ko) 유아용 음료용기
US20070068893A1 (en) Spill proof drinking cap for bottles
KR200433734Y1 (ko) 스트로를 갖는 음료용기의 압력 평형 밸브
US20140291275A1 (en) Oral Motor Development Sipping Spout
KR200141303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840001662Y1 (ko) 탄산수(炭酸水) 음료용기
KR20000017799A (ko) 내용물 흡·배출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 및 그병뚜껑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