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749B1 -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 - Google Patents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749B1
KR100584749B1 KR1020010083370A KR20010083370A KR100584749B1 KR 100584749 B1 KR100584749 B1 KR 100584749B1 KR 1020010083370 A KR1020010083370 A KR 1020010083370A KR 20010083370 A KR20010083370 A KR 20010083370A KR 100584749 B1 KR100584749 B1 KR 100584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tundish
pad
cleanlines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613A (ko
Inventor
권오덕
이상민
임창희
이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7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8Refining the metal by circulating the metal under, over or around we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3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impact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장입용강의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성을 향상시킨 턴디쉬(TUNDISH)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턴디쉬(4')는, 용강(1)이 주입되는 부위의 턴디쉬 바닥(4'a)에 설치되고, 거리가 짧은측 주형(5a)으로의 용강 체류시간을 길게 하도록 일측 상단에 유동억제체(12a)가 일체로 형성된 용강 역류형패드(12); 및, 상기 역류형패드 (12)에 설치되어 패드(12)에 주입되는 용강을 탕면측으로 역류 유도하여 용강상의 개재물을 턴디쉬 슬랙으로서 최대한 포집되어 용강의 청정성을 높이도록 하는 난류억제수단(1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강의 재산화를 억제하면서 용강의 청정도는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래들, 용강, 턴디쉬, 편심 주입형 턴디쉬, 난류억제수단, 용강 청정도

Description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A TUNDISH}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종래 턴디쉬내의 용강 유입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종래의 일반적인 용강 유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b) 및 (c)는 종래에 턴디쉬 상에 역류형 패드를 설치한 용강 유입상태들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강의 난류억제를 보다 향상시킨 난류억제수단을 갖는 패드가 설치된 턴디쉬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턴디쉬에 유입되는 용강의 유동패턴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일반적인 용강 유입시의 패턴을 도시한 모식도
(b) 및 (c)는 유입 용강의 난류억제를 위한 패드를 갖는 종래의 턴디쉬에서의 용강 유동패턴을 도시한 모식도
(d)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의 난류억제를 증대시킨 난류억제수단을 갖춘 패드가 설치된 턴디쉬의 용강 유동패턴을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모델시험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용강 2.... 래들
3.... 쉬라우드노즐 4,4'.... 턴디쉬
5.... 주형 6.... 댐
7.... 웨어 8.... 턴디쉬 중앙바닥
9.... 주형내 용강탕면 10,12.... 역류형패드
11.... 턴디쉬 출구, 13.... 용강상승류
14.... 난류억제수단
본 발명은 장입용강의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성을 향상시킨 턴디쉬(TUNDISH)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래들로 부터 용강이 주입되고 2개의 연속주조 주형에 장입시키는 편심 주입형 턴디쉬에서 입측과 양 출측간의 용강의 체류시간을 동일하게 하면서도 주입되는 용강의 턴디쉬 내부에서의 상승 용강유동은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서, 용강의 재산화를 억제하면서 용강의 청정도는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의 생산공정은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을 전로에서 정련하여 2차의 정련 공정을 거쳐 연속주조 공정에서 주편을 생산하는데, 도 1에서 도시한 바 와 같이, 현재의 연속주조공정은, 2차 정련 공정으로 부터 용강(1)을 수강 래들(2)로 운반하여 쉬라우드노즐(3)을 통하여 턴디쉬(4)로 주입하고, 상기 턴디쉬(4)에서 다수의 연속주조 주형(5)으로 분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턴디쉬(4)에서는 래들(2) 연주시 래들간 용강(4)의 온도 편차를 줄이는 기능과 용강상의 개재물을 제거하는 기능 그리고, 철정압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용강의 온도편차 및 청정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형태의 용강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는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턴디쉬(4a)의 내부에 댐(6)과 웨어(7)를 설치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용강의 유동을 제어하는데, 이때 상기 댐(6)과 웨어(7)의 형상, 크기 및, 그 설치수를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래들(2)에서 턴디쉬(4a)로의 용강 주입의 경우에는 대부분 래들(2)의 용강이 턴디쉬(4a)의 중앙(8)에 주입되지만, 일부의 경우에는 용강(1)이 턴디쉬(4a)내에 비대칭으로 주입되어 양쪽의 연속주조 주형(5)으로 공급되는데, 이때에는 용강의 온도와 청정도가 한쪽으로 치우지는 편차가 발생된다.
즉, 주입위치에서 주형(5a)까지의 거리가 먼 곳은 가까운 곳보다 용강의 온도가 저하되고, 개재물의 부상분리시간이 길게되는데, 이와 같이 용강의 온도가 저하되면, 주형(5)의 용강탕면(9)에서 초기응고가 발생되면서 응고된 주편표면에 개재물이 권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결국 턴디쉬(4a)에서 주형(5)으로 주입되는 용강의 청정도가 낮으면 주편전체의 청정도가 저하된다.(참고, 1999,ISS-AIME, " stee lmaking conference proceedings" p191-198).
따라서, 이와 같은 용강의 온도편차와 청정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턴디쉬가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턴디쉬(4b)로 주입되는 용강(1)을 용강 상면으로 역류시킬수 있는 용기형의 내화물로 된 역류형패드(10)를 갖춘 턴디쉬(4)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래들(2)에서 턴디쉬(4b)로 주입되는 쉬라우드 노즐(3) 주변의 난류흐름을 억제하여 턴디쉬 출구(11)별로 용강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는 방법인데, 이는 미국특허 제 5518153호 및 동 특허 5882577호에서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역류형패드(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드(10)에 위하여 쉬라우드 노즐(3) 주변에서의 용강의 난류흐름이 과도하게 억제되어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기는 하지만, 용강(1)을 탕면상부로 유도해주는 흐름이 약해지기 때문에,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고, 특히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편심 주입형 턴디쉬(4b)에서는 좌우측 양쪽의 주형(5)에 공급되는 용강(1)의 체류시간을 동일하게 유지시킬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c에서는 종래의 또 다른 턴디쉬 즉, 다른 역류형패드(12)를 갖춘 턴디쉬(4c)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역류형패드(12)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국내 특허출원 2001-73580호에서 개시된 기술로서 이는, 편 심주입형 턴디쉬(4c)를 대상으로 양측 주형(5)으로의 턴디쉬(4c)내 용강(1)의 체류시간을 동일하게 하도록 형성시킨 것이지만, 실제 현장시험결과 역류되는 용강상승류 (13)가 너무 과도하여 용강이 재산화되면서 오히려 턴디쉬내 용강의 청정도가 열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편심 주입형 턴디쉬에서 입측과 양 출측간의 용강의 체류시간을 동일하게 하면서도 상승 용강류를 억제하여 용강 재산화 억제 및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입용강의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성을 향상시킨 턴디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래들을 통하여 주입된 용강을 연속주조 주형에 편심 주입시키는 편심 주입형 턴디쉬에 있어서, 용강이 주입되는 부위의 턴디쉬 바닥에 설치되고, 거리가 짧은측 주형으로의 용강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일측 상단에 유동억제체가 일체로 형성된 용강 역류형패드 및, 상기 패드의 유동억제체 반대측으로 상기 패드의 측벽에 45°-70°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벽으로 용강의 체류시간 편차를 방지토록 구성되어 패드에 주입되는 용강을 탕면측으로 역류 유도하여 용강상의 개재물을 턴디쉬 슬랙으로서 최대한 포집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높이는 난류억제수단을 구비한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용강의 난류억제를 보다 향상시킨 난류억제수단을 갖는 패드가 설치된 턴디쉬(4')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주조 라인에서 래들(2)을 통하여 주입된 용강(1)을 연속주조 주형(5)에 편심 주입시키는 편심 주입형인 본 발명의 턴디쉬 (4')는, 크게 용강 역류형패드(12) 및 상기 패드(12)에 설치되는 난류억제수단 (14)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턴디쉬(4')에서 상기 역류형 패드(12)는 용강(1)이 주입되는 부위의 턴디쉬 바닥(4a)에 설치되고, 거리가 짧은측 주형(5a)으로의 용강 체류시간을 길게 하도록 일측 상단에 유동억제체(1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인 상기 난류억제수단(14)은 상기 역류형패드 (12)에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패드(12)에 주입되는 용강을 탕면측으로 역류 유도하여 용강상의 개재물을 턴디쉬 슬랙으로서 최대한 포집되어 용강의 청정성을 높이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난류억제수단(14)은 상기 패드(12)의 유동억제체(12a) 반대측으로 상기 역류형 패드(12)의 측벽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패드(12)가 설치되는 먼쪽의 주형(5b)측의 측벽에 일정각도(θ)로 경사져 설치된 경사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난류억제수단인 경사벽(14)의 경사각도(θ)는 45°-70°형성시키는데, 바람직하기는 65°로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고, 이하에서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먼저, 실제 연속주조기에서 도 2a 내지 도 2c에서 도시한 종래 일반적인 턴디쉬(4a) 및, 종래에 역류형 패드(10)(12)들을 갖춘 종래의 턴디쉬(4b)(4c)들의 각각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일반적인 턴디쉬(4a)와 종래의 다른 턴디쉬(4c)를 조합한 경우에 대하여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조중 턴디쉬(4a-4c)들의 입,출측에서 용강시편과, 주편시편을 채취하여 전산소 및 질소 함량을 분석하였는데, 정상부의 주편의 전산소 비교 뿐만 아니라, 주조초기와 연결부와 같은 비정상부는 정상부보다 용강의 오염도가 높고 정상부 용강 즉, 래들(2)의 용강 전산소치(=T.O(ppm))는 열(heat)에 따라 다르므로 비정상부용강의 오염도는 아래의 수학식 1 에서와 같이, 주조초기와 래들 교환시점의 전산소치(T.O)를 정상부의 전산소치로 뺀 차이로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오염량은 아래의 표 1에서 나타내었는데, 시험치(heat)의 △ T.O를 기존댐(7)과 웨어(6)의 조합시 △T.O 에 대한 상대분율, 아래의 수학식 2,3을 이용한 용강오염지수 및 용강흡질지수를 나타내었다.
[△T.O]= [T.O(초기, 래들 연결부 )]-[T.O(중기)] (주편 또는 용강)
용강 오염 지수(%)=[△T.O]시험 X 100(%)/[△T.O](a)
용강 흡질 지수(%)=[△T.N]시험 X 100(%)/[△T.N](a)
분석항목(구분) 턴디쉬(4a) 턴디쉬(4b) 턴디쉬(4c) 턴디쉬(4a+4c)
T.O(ppm) 18 19 19 19
편심도 1.45 1.40 1.25 1.35
주조초기 용강 오염지수 100% 25% 28% 53%
래들 연결시 용강오염지수 100% 102% 112.5% 125%
현장 시험 결과인 상기 표 1에서 용강 및 주편의 전산소는 주조 중기에는 거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주조초기의 오염지수는 패드(10)(12)를 사용하거나 조합한 경우가 모두 기존댐(7) 을 갖는 턴디쉬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래들 연결부위의 오염지수는 기존댐(7)보다 패드(10)를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가 불리하였는데, 도 2b에서 도시한 난류 억제형패드(10)가 설치된 턴디쉬(4b)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연결부 흡질량이 기존 대비 훨씬 높았음을 알수 있었다.
이와 같은 흡질량은 주조초기와 래들 교환시점의 전질소치(=T.N)를 정상부의 전질소치로 뺀 차이(=(T.N)로 나타내었고, 용강 흡질 지수도 위의 수학식 3에서 와 가이, 개재물 지수와 유사한 방법으로 계산되었는데, 용강 오염지수와 흡질지수가 높을수록 용강이 공기에 의하여 재산화되어 개재물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측 주형(5a)(5b)의 청정도 편차를 조사하기 위하여 좌우편심도 지수를 조사하였는데, 편심도 지수는 아래의 수학식 4식와 같이 좌우측 주형(5a)(5b)에서의 용강 전산소치를 비교하였다.
편심도 지수=([T.OX 스트랜드]/[T.OY 스트랜드])
한편, 편심도지수는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종래의 다른 턴디쉬(4c)가 가장 양호함을 알수 있었다.
래들 연결부의 경우 교환전 래들을 주입 종료 후 다음 래들의 노즐이 개공되면서 턴디쉬 용강 레벨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정상 주조시의 유량보다 약 3배가량의 유량을 가진 용강이 수분간 주입되고, 이때 용강이 재산화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원인을 해석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시예 2에서 수모델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크기의 1/3 크기로 턴디쉬(4)의 수모델 장치를 제작하고, 아크릴로 도 2에서와 같은 4가지의 조합(4a,4b,4c,4a+4c)과 도 3에서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턴디쉬(4') 즉, 역류형패드(12)에 난류억제수단인 경사벽(14)이 설치된 경우, 그 경사각(θ)을 각각 40,45,65,70,75도에 대하여 총 5가지를 제작하였다.
또한, 분석항목은 래들 노즐과 턴디쉬 노즐에 설치된 전기전도도 센서(S)를 이용한 턴디쉬(4)(4')내 유체의 체류시간 측정, 래들 노즐(3)로 부터의 염료 투입에 의한 턴디쉬(4)(4')내 유체의 유동패턴(P) 관찰, 턴디쉬내 유입용강 상승류에 의하여 탕면상에 도포된 오일의 미도포(나탕) 면적,그리고 레이저 유속계(L)에 의하여 턴디쉬(4)(4') 유체의 탕면 직하부의 상승류 속도(13)를 측정하여 다음의 표 2 로서 나타내었다.
구분 (턴디쉬 부호) 종래예 (4a) 종래예 (4b) 종래예 (4c) 종래예 (4a+4c) 본 발명 (4') 40도 본 발명 (4') 45도 본 발명 (4') 65도 본 발명 (4') 70도 본 발명 (4') 75도
최소체류시간(초) /XY스트랜드 35.5/ 40.5 50/ 38 49/ 54.5 89.5/ 80.5 35.5/ 52.3 40/ 46 43.5/ 42.5 46.5/ 42.5 49.5/ 40.2
평균체류 시간(초) /XY스트 랜드 445/ 414 440/ 387 451/ 439 482/ 499 350/ 459 400/ 430 434/ 425 453/ 418 473/ 408
상승유속 (m/s) (58/112 l/min) < 0 0.009/ 0.003 0.052/ 0.058 0.050/ 0.053 0.015/ 0.030 0.020/ 0.035 0.025 0.040 0.034/ 0.039 0.038/ 0.035
나탕면적 (㎠) (112/140l/min) 0 110/ 120 696/ 1480 680/ 1420 530/ 1120 550/ 1220 500/ 960 550/ 980 650/ 1280
(이때, 종래예와 본 발명의 부호 4,4'는 도 2 및 도 3의 종래와 본 발명의 턴디쉬부호이고, 각도는 본 발명인 난류억제수단(14)의 경사각도이다)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유체의 체류시간은 가능하면 길어서 개재물이 부상분리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한데, 이의 측정결과, 턴디쉬가 4b,4a,4c,4a+4c 순으로 높고, 본 발명의 턴디쉬(4')에서 난류억제수단인 경사벽(14)의 경사각도가 40도, 45도, 65도, 70도, 75도의 순으로 길게 됨을 알수 있었다.
한편, 용강의 유동패턴(P)은 가능하면 상부로 유도하여 개재물이 탕면의 슬랙에 포집될 수 있도록 유도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염료 투입시험후 용강의 유동패턴(P)을 관찰하면, 도 4a에서는 토출 용강류가 턴디쉬(4a) 바닥에 부딪친 후 턴디쉬나 댐(6) 및 웨어(7)의 측벽을 따라서 상승하여 쉬라우드 노즐(3)측으로 모이는 선회류 형태를 보인다.
반면에, 도 4b 및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머지 턴디쉬 4b, 4c와 본 발명의 턴디쉬 4'들에서는 턴디쉬 바닥의 패드(10)(12)를 맞은 후 탕면으로 바로 상승하는 역류형 순환패턴(P)을 나타내는데, 도 4b의 턴디쉬 4b에서는 사실상 역류하는 유속이 극히 낮은 사실상의 정체상태이다.
한편, 역류형 유동패턴의 문제점은 상승류가 과도하면 탕면에서 나탕이 발생하여 용강중 알루미늄(Al)이 재산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즉, 상기 표 2에서 탕면의 오일 미도포 면적 및, 속도계로 상승유속을 측정한 결과, 미도포 면적 및 상승 유속은 종래 턴디쉬 4c 및 4a+4c인 경우가 가장 크며, 이는 강한 상승 유속에 의하여 나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턴디쉬 4'의 이들보다도 낮고 이들중에서도 각도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반면에, 일반적인 턴디쉬 4a에서는 토출류가 벽을 따라서 상승후 노즐로 선회하여 노즐 근방의 상승류가 음의 속도가 되므로 나탕 면적이 없고, 종래 턴디쉬 b는 가장 상승유속이 낮고 나탕 면적도 작음을 알수 있다.
또한, 난류억제형 패드(12)와 이에 설치되는 난류억제수단인 경사벽(14)의 각도(θ)가 40도인 경우에 상승유속이 가장 적고, 75도인 경우에는 상승유속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즉, 각도가 작을수록 상승류의 확산범위가 넓어 유속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음의 수학식 5에서 로 부터 알수 있다.
V1A1 = V2A2
즉, 상기 수학식 5에서 A1과 V1은 각각 패드(10)내 상승류의 단면적 및 유속이며, A2는 상승류의 탕면충돌면적인데, 각도가 작을수록 A2가 크므로 충동유속 (V2)이 적어 나탕 발생이 적다.
상승유속이 낮아지면 주입위치에서 주형(5a)까지의 거리가 먼 곳은 체류시간이 짧아져서 주입위치에서 양 주형까지의 체류시간 편차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턴디쉬 4'에서 경사벽(14)의 경사각도가 40도인 경우에는 기존의 턴디쉬 4a보다도 체류시간 편차가 커지게 되고, 그 다음 45도부터는 기존의 턴디쉬 4a와 유사해진다. 반면에 경사각도가 75도부터는 주입위치에서 주형(5a)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곳의 체류시간이 짧아져서 주입위치에서 양측 주형(5)까지의 체류시간 편차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결국, 도 4a의 일반적인 턴디쉬(4a) 즉, 댐과 웨어를 갖는 경우에는, 상승류가 적어 용강의 청정화 효과가 없으나 래들 연결부의 재산화현상을 발생되지 않고, 도 4b의 종래 턴디쉬(4b) 즉, 초기 난류억제형 패드(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좌우 주형으로의 체류시간 편차가 크고 너무 길며 상승류가 적어 용강 청정화 효과가 적고 용강온도 저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c의 종래의 다른 난류억제형 패드(12)를 갖는 종래의 다른 턴디 쉬(4c)는 상승류로 인하여 용강 상향화 효과는 있으나 래들 연결시 용강 토출량 증가시 나탕 발생으로 인하여 용강이 재산화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표 2에서 알수 있듯이, 억제형패드(12)가 설치되고, 그 일측벽에 난류억제수단인 경사벽(14)이 설치된 본 발명의 턴디쉬(4')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벽(14)의 경사각을 45도, 65도, 70도로 하는 경우, 상승류(13) 속도와 탕면 나탕 면적율 그리고 양측 주형(5a)(5b)으로의 체류시간을 살펴보면, 상기 각도의 구간에서 용강의 상승유속이 낮고 나탕 면적이 작을 뿐만 아니라 주형의 체류시간 차이가 가장 적음을 알수 있는데, 가장 바람직하기는 상기 경사벽(14)의 각도를 65도로 한 경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에 의하면, 2개의 주형과 연계되는 편심 주입형 턴디쉬에서 입측과 양 출측간의 용강의 체류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체류시간 편차를 줄이면서도 상승 용강류를 억제하여 용강재산화 억제 및 청정도를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래들(2)을 통하여 주입된 용강(1)을 연속주조 주형(5)에 편심 주입시키는 편심 주입형 턴디쉬(100)에 있어서,
    용강(1)이 주입되는 부위의 턴디쉬 바닥(4a)에 설치되고, 거리가 짧은측 주형(5a)으로의 용강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일측 상단에 유동억제체(12a)가 일체로 형성된 용강 역류형패드(12); 및,
    상기 패드(12)의 유동억제체(12a) 반대측으로 상기 패드(12)의 측벽에 45°-70°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벽으로 용강의 체류시간 편차를 방지토록 구성되어 패드에 주입되는 용강을 탕면측으로 역류 유도하여 용강상의 개재물을 턴디쉬 슬랙으로서 최대한 포집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높이는 난류억제수단(14);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
  2. 삭제
  3. 삭제
KR1020010083370A 2001-12-22 2001-12-22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 KR100584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370A KR100584749B1 (ko) 2001-12-22 2001-12-22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370A KR100584749B1 (ko) 2001-12-22 2001-12-22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613A KR20030053613A (ko) 2003-07-02
KR100584749B1 true KR100584749B1 (ko) 2006-05-30

Family

ID=3221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370A KR100584749B1 (ko) 2001-12-22 2001-12-22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7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9591A (en) * 1992-02-07 1992-12-08 Bethlehem Steel Corporation Impact pad for a continuous caster tundish
JPH10166112A (ja) * 1996-12-11 1998-06-23 Eugene Savoie 溶融金属、特に鋼を保持するための供給貯蔵器
US6159418A (en) * 1996-04-11 2000-12-12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KR20030042799A (ko) * 2001-11-24 2003-06-0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 턴디쉬의 용강 분배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9591A (en) * 1992-02-07 1992-12-08 Bethlehem Steel Corporation Impact pad for a continuous caster tundish
US6159418A (en) * 1996-04-11 2000-12-12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JPH10166112A (ja) * 1996-12-11 1998-06-23 Eugene Savoie 溶融金属、特に鋼を保持するための供給貯蔵器
KR20030042799A (ko) * 2001-11-24 2003-06-0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 턴디쉬의 용강 분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613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as Modeling of continuous casting defects related to mold fluid flow
US5882577A (en) Tundish
CN102728827A (zh) 提高钢液洁净度的连铸中间包
KR100584749B1 (ko) 유동제어가 가능하여 용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킨 턴디쉬
CN201603863U (zh) 一种热轧连铸中间包
JP2006239746A (ja) 鋼の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JP3365362B2 (ja) 連続鋳造方法
KR100379604B1 (ko) 연주공정의래들-턴디시간편심주입시청정강제조를보장하는턴디시구조
CN105921735B (zh) 中间包吸杂过滤器
KR20020052797A (ko) 고깔댐이 설치된 연속주조용 t형 턴디쉬
KR100985299B1 (ko) 침지노즐
JPH1043842A (ja) 鋼の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CN217121735U (zh) 一种具有稳流结构的连续铸造用浸入式水口
JP2005028376A (ja) 鋼の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KR950005279Y1 (ko) 유동제어 가능한 소형턴디쉬
Isaev Improving the technology for the tundish refining of steel in order to elevate the quality of continuous-cast semifinished products and rolled plates
KR102033642B1 (ko) 용융물 처리 장치
JPH08164449A (ja) 広幅薄肉鋳片の連続鋳造装置
JP3470537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における介在物除去方法
JP6672549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そのタンディッシュ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
JP2000094104A (ja) 連続鋳造方法
JP2003245757A (ja) タンディッシュ
JPH0623492A (ja) 移動鋳型壁を持つ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湯面保護カバー
KR19990014103A (ko) 턴디쉬 노즐
JP2004209512A (ja) 連続鋳造方法及び浸漬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