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670B1 - 신규 엔테로박터 속 비엘-2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피지비-1과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의 활용 - Google Patents

신규 엔테로박터 속 비엘-2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피지비-1과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의 활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670B1
KR100584670B1 KR1020030094387A KR20030094387A KR100584670B1 KR 100584670 B1 KR100584670 B1 KR 100584670B1 KR 1020030094387 A KR1020030094387 A KR 1020030094387A KR 20030094387 A KR20030094387 A KR 20030094387A KR 100584670 B1 KR100584670 B1 KR 10058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bial
pgb
polyglucosamine
cationic
bi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719A (ko
Inventor
이용현
신현동
손미경
Original Assignee
이엔지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엔지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엔지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6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응집제, 탈수조제, 그리고 흡착침강제로 사용할 수 있는 생물응집제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Enterobacter sp. BL-2와, 이 균주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 (polyglucosamine biopolymer PGB-1), 그리고 생산된 PGB-1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양이온성 생물고분자응집제로 활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미생물 유래 생물고분자 응집제는 음이온성 내지는 중성 다당류로서, 음이온성을 띠는 유기성 폐기물에 대해 응집활성이 높은 양이온성 생물응집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새로이 분리?동정한 미생물 Enterobacter sp. BL-2는 글루코사민의 함량이 95%이상의 단량체로 구성되는 양이온성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를 분비 생산하였다. 이 양이온성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은 카올린, 활성슬러지와 같은 콜로이드성 현탁물, 대장균 및 고초균과 같은 미생물 균체, 그리고 산성 및 분산염료와 같은 화합물에 대해 매우 우수한 응집 및 침전능을 보였다.
미생물 고분자응집제, 양이온성, 폴리글루코사민 폴리머 PGB-1, Enterobacter sp. BL-2

Description

신규 엔테로박터 속 비엘-2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피지비-1과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의 활용 {Microbial polyglucosamine biopolymer PGB-1 from Enterobacter sp. BL-2 and its utilization as the cationic bioflocculant}
도 1은 본 발명의 양이온성 폴리글루코사민 폴리머 PGB-1을 생산하는 Enterobacter sp. BL-2의 주사전사현미경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양이온성 폴리글루코사민 폴리머 PGB-1을 생산하는 미생물 Enterobacter sp. BL-2의 16S rDNA phylogenetic tree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라 폴리글루코사민 폴리머 PGB-1의 분자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분리?정제한 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그래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폴리글루코사민 폴리머 PGB-1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분리?정 제된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폴리머 PGB-1을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광도계 (FT-IR)로 분석한 흡수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폴리머 PGB-1에 의해 각종 염료들이 응집, 침강되는 현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도시하수 및 산업폐수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활성슬러지의 침전, 중금속 또는 염료등과 같은 화합물의 흡착처리, 생물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생물 균체의 분리, 회수 및 활용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양이온성 미생물 폴리머의 개발과 이를 생산하는 미생물인 Enterobacter sp. BL-2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공정폐수의 응집처리에는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고분자 응집제가 주로 이용되는 반면, 음이온성을 띠는 생활하수, 오수, 식품가공 및 생물공정 폐수등 유기성 폐기물이 다량 함유된 폐수의 응집처리에는 양이온성 고분자 응집제가 보다 유효하다. 이와 같은 오폐수 처리용 응집제로는 유기계/무기계 합성고분자가 저렴한 가격과 높은 응집성능으로 인해 관련 산업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 후 이들 합성고분자 응집제는 슬러지에 잔류함으로 자연환원 또는 유기비료 등으로의 활용이 어려워 매립 또는 소각처리에 의존하게 된다. 특히 대표적인 합성고분자 응집제인 폴리아크릴아미드 계열은 오?폐수 처리공정에서의 반송 슬러지에 잔류하여 폭기조 내의 미생물 활성저하, 벌킹 현상 등을 야기함으로 처리공정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구성 단량체인 아크릴아미드는 강한 신경독소이자 발암물질이므로 음용수 등의 처리과정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유기계/무기계 합성고분자 응집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연에서 생분해되는 환경 친화적인 생물응집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생물응집제 및 응집보조제로는 천연물질인 알긴산(alginate), CMC(carboxymethyl cellulose), 젤라틴(gellatin), 전분, 구아검(guar gum), 그리고 키틴-키토산 (chitin-chitosan) 등 다수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 키틴-키토산 응집제이외에는 모두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응집제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이온성을 띠는 유기성 오염물질에 대한 응집활성이 낮아 활용 범위가 좁은 단점이 있다.
게, 새우 등의 껍질에 다량 존재하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생산되는 양이온성 키틴-키토산 응집제는 유기성 슬러지의 응집처리, 염료흡착 등에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생산 공정에서 원료물질 총량의 반에 해당하는 염산과 NaOH를 사용해야 함으로 생산 공정에서 환경오염물질을 대량 배출하는 모순을 유발한다. 또한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잔류 염산 및 희석 초산용매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수분해가 일어나서 분자량이 감소하고 물성이 떨어져서 유통기한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Macromol. Chem. Phys., (1997) 198: 471~484). 그러나 무엇보다도 높은 판매가로 인하여 상용화함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미생물 응집제로는 Agrobacterium sp, Aeromonas hydrophila, Pseudomonas sp., Streptomyces griseus, Bacillus cereus, Aspergillus sojae, Corynebacterium glutamicum 등이 생산하는 각종 다당류 고분자 물질이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국내 에 특허 출원된 미생물 고분자응집제로는 대한민국특허 제1001955460000호에 기재된 Pestalotiopsis sp. 가 생산하는 글루코스 (glucose), 글루코우로닉산 (glucuronic acid), 갈락토사민 (galactosamine)및 람노스 (rhamnose)로 구성된 다당류인 페스탄 (pestan), 대한민국특허 출원제1019990054616호에 기재된 Bacillus megaterium이 생산하는 생물고분자, 대한민국특허 출원제1019990054033호에 기재된 Achrombacter piechsudii YJ-66이 생산하는 프럭토스 (fructose)와 글루코스 (glucose)로 이루어진 다당류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미생물 유래 응집제들은 앞서 언급한 천연물질 유래의 응집제들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이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으로 각종 유기물에 대해 광범위하게 응집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결점이 있으리라 보여 진다. 최근 일본의 Fujita M 등 (Fujita M., M. Ike, S. Tachibana, G. Kitada, S. M. Kim., and S. Inoue. 2000. J. Biosci. Bioeng. 89: 40-46.)은 미생물 Citrobacter sp. TKF04가 생산하는 글루코사민 함량이 29.4%인 고분자생물응집제 (bioflocculant)를 보고한 바 있다. 양이온성인 글루코사민이 주성분인 것으로 미루어 양이온성을 띌 것으로 유추 되나, 글루코사민 단량체의 비율이 29.4%로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기물, 중금속, 그리고 염색염료 등을 흡착침전 시킬 수 있는 양이온성 미생물 고분자응집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생물응집제, 탈수조제, 그리고 흡착침강제로 사용할 수 있는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탐색, 분류?동정하고, 선별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양이온성 미생물 고분자 응집제를 생산하고, 생산된 양이온성 고분자 물질의 성분과 특성을 규명하며, 이를 각종 콜로이드 및 미생물 균체, 그리고 각종 염료에 적용하여 응집 및 침전능을 조사하여 생물응집제로서 적합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올린에 대한 응집활성이 높고 헥소사민 (hexoamine) 함량이 높은 양이온성 미생물폴리머를 생산하는 균주를 새로이 탐색하고 동정하여 Enterobacter sp. BL-2로 분류하였다. 신규 탐색균주 Enterobacter sp. BL-2는 국내 특허균주 기탁기관인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농용미생 물보존센터 (KACC)에 기탁번호 ‘KACC 91086’으로 2003년 11월 21일에 등록하였다. 또한 분류 동정을 위하여 신규 미생물 Enterobacter sp. BL-2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미국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 (NCBI) GenBank에 등록번호 ‘AY 488028'로 등록하였다.
특허균주를 배양하여 양이온성 미생물 폴리머를 생산하고 이를 분리정제한 후, 각종 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화학적 조성분석,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자량 결정,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및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광도계 (FT-IR)를 이용한 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신규 탐색균주 Enterobacter sp. BL-2가 분비 생산한 양이온성 폴리머는 글루코사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로서 PGB-1이라 명명하였다.
상기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을 카올린, 활성슬러지와 같은 각종 콜로이드, 대장균 및 고초균과 같은 미생물균체, 그리고 염기성 염료 및 분산염료와 같은 화합물에 대한 응집, 침강 현상을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인지할 것이다.
<실시예 1> 미생물응집제 생산 균주의 선별 및 분리?동정
논, 밭, 퇴비, 식물체 등에서 80 여종의 고체 또는 액체 시료를 채취하여, 선별 고체한천 배지 상에서 윤기가 있고 점성이 높은 콜로니를 우선적으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콜로니를 다양한 탄소원이 포함된 LB medium에서 30-40℃, 진탕속도 100-400rpm의 다양한 조건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 1mL을 카올린 (kaolin, 300 mesh, Kishida Chemical, Japan) 0.5% 현탁액에 혼합하여 5분간 방치한 후, 흡광도를 550 nm에서 측정하여 응집도를 결정하였다. 높은 카올린 응집능을 보인 다수의 미생물들의 배양상등액 내의 헥소사민 양을 Elson-Morgan 법으로 정량하였다. 최종적으로 배양액의 카올린 응집능이 우수하고, 헥소사민 함량이 높은 미생물 균주를 선발하였다.
최종 선별 균주를 Bergey's Manual of the Systematic Bacteriology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Bacteriology에 제시된 각종 검사법을 따라 20 여 종의 생리, 생화학적 및 형태적 특성을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선별 균주의 형태적 특성을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도 1]의 사진을 얻었다.
균주의 유전학적 위치와 속명 결정을 위해 genomic DNA를 분리하여 PCR 기법, DNA 클로닝, DNA sequencing을 통해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neighbor-joining method를 이용하여 미생물 종간의 유전적 거리와 위치를 결정하는 계통도 (phylogenetic tree)를 [도 2]와 같이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선별된 균주는 Enterobacter 속의 미생물로 분류되었으며 Enterobacter sp. BL-2로 명명하여, 국내특허균주 수탁기관인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농용미생물보존센터 (KACC)에 기탁번호 KACC 91086으로 2003년 11월 21일에 등록하였다.
[표 1]
신규 미생물 Enterobacter sp. BL-2의 형태, 배양, 생화학적 특성
측정 항목 측정치 측정 항목 측정치
형태적 특성 형태 세포 크기(폭x길이) (㎛) 운동성 Gram staining 배양 특성 Growth at 4℃ Growth at 41℃ Growth at 44℃ 생화학적 특성 Catalase Oxidase β-galactosidase Urease Citrate 이용성 5% KCN (growth) Gelatin liquefaction Straight rods 0.3×1.5 + - + + + + - + - + - - Indole 생산 Methyl red 반응 Voges-proskauer 반응 H2S 생산 Arginine dehydrolase Lysine decarboxylase Ornithine decarboxylase Phenylalanine deaminase 산 생성 기질 D-glucose D-galactose D-xylose D-mannose D-cellobiose D-sorbitol D-mannitol - + + - - - - - + + + + + + +
<실시예 2> 미생물응집제 PGB-1의 생산 및 분리?정제
Enterobacter sp. BL-2를 5 L jar fermenter에서 30℃, pH 8, 통기량 0.3vvm, 그리고 교반속도 300에서 72시간 배양하여, 최종적으로 17.1g/L의 균체량과 1.5g/L의 미생물 폴리머를 얻을 수 있었다. 분비된 폴리머를 침전과 탈 단백질 등 분리정제과정을 통하여 단일물질의 미생물응집제 PGB-1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미생물응집제 PGB-1의 조성 및 평균 분자량
분리정제된 미생물응집제 PGB-1의 조성 성분을 중성당은 phenol-sulphuric acid 방법으로, 헥소사민은 Elson-Morgan 법으로 정량하였다. 미생물응집제 PGB-1은 전체 구성당의 95% 이상이 글루코사민(glucosamine) 단량체로 구성된 고중합 양이온성 폴리글루코사민 다당체였으며 이를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이라 명명하였다. 분리?정제된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의 분자량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분석한 결과 [도 3]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의 평균 분자량은 100,500이며, 균일한 분자량을 지니는 단일 고분자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의 FT-IR 스펙트럼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을 퓨리에변환 적외선 분광광도계 (FT-IR)로 분석한 흡수스펙트럼 결과는 [도 4]와 같으며, 키틴-키토산과 유사한 FT-IR 스펙트럼을 보였다.
<실시예 5>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의 콜로이드성 현탁물과 미생물 균체에 대한 응집성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의 응집성을 카올린, 분말활성탄, diatomaceous earth, Al2O3, soil solid, Ca(OH)2, 그리고 활성슬러지와 같은 콜로이드성 현탁물을 대상으로 10ppm의 PGB-1으로 처리한 결과와 E. coli, B. subtilis, P. putida, P. syringae, L. acidophilus, 그리고 S. cerevisiae 와 같은 미생물 균체를 처리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PGB-1은 효율의 차이는 다소 있으나 콜로이드 물질에 대한 우수한 응집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미생물에 대해서도 높은 응집활성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콜로이드 상의 수질오염 물질 제거와, 산업용 미생물의 발효 종료 후 균체 회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표 3]
콜로이드 응집활성 미생물 응집활성
PGB-1 대조군 PGB-1 대조군
카올린 clay 99.5 10.0 E. coli 95.0 5.0
분말활성탄 89.5 21.0 P. putida 75.5 5.5
Diatomaceous earth 82.5 34.0 P. syringae 60.5 6.0
Al2O3 96.0 5.0 L. acidofilus 81.0 2.5
Soil solid 81.5 20.5 L. casei 84.0 2.0
Ca(OH)2 96.0 0.0 S. cerevisiae 80.0 16.0
<실험예 6>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의 염색염료에 대한 응집능
여러 종류의 염색염료 용액을 10ppm의 PGB-1로 처리한 후 24시간 방치한 후, 응집활성을 확인한 결과는 [도 5]와 같다.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은 양이온성 염료에 대해서는 응집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른 대부분의 분산염료와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염료에 대해서는 탈색 (bleaching)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섬유, 피혁,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많은 염색폐수의 처리에 고분자응집제 PGB-1을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Enterobacter sp. BL-2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미생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규 Enterobacter sp. BL-2가 분비 생산하는 생물응집제 역시 글루코사민 단량체의 함량이 95%이상에 달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로서 지금까지 발견된 바 없는 새로운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 확인되었다.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은 카올린, 활성슬러지와 같은 각종 콜로이드, 대장균 및 고초균과 같은 미생물균체, 그리고 염기성 염료 및 분산염료와 같은 화합물에 대한 매우 우수한 응집, 침전활성을 보였다.
본 발명의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은 지금까지 개발된 미생물 고분자 응집제보다 매우 광범위한 오염물질에 대해 응집활성을 갖고 있으며, 생분해되고 생물독성이 없는 환경친화적인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 사료된다. 또한 잉여 슬러지의 유기질 비료 및 사료화와 같은 재활용성 증대 그리고 음용수의 고도처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글루코사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양이온성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Enterobacter sp. BL-2 (한국농용미생물보존센터 기탁번호 KACC 91086).
  2.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의 제조방법:
    (a) 제1항의 Enterobacter sp. BL-2를 배양하여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을 배양액으로 분비·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PGB-1를 회수하는 단계.
  3. 삭제
  4. 삭제
KR1020030094387A 2003-12-22 2003-12-22 신규 엔테로박터 속 비엘-2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피지비-1과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의 활용 KR10058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387A KR100584670B1 (ko) 2003-12-22 2003-12-22 신규 엔테로박터 속 비엘-2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피지비-1과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의 활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387A KR100584670B1 (ko) 2003-12-22 2003-12-22 신규 엔테로박터 속 비엘-2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피지비-1과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의 활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719A KR20050062719A (ko) 2005-06-27
KR100584670B1 true KR100584670B1 (ko) 2006-05-29

Family

ID=3725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387A KR100584670B1 (ko) 2003-12-22 2003-12-22 신규 엔테로박터 속 비엘-2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피지비-1과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의 활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0357A (zh) * 2017-02-14 2017-06-13 厦门大学 一种用生物絮凝剂处理刚果红废水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15B1 (ko) * 2005-11-10 2007-02-02 이엔지바이오 주식회사 사이트로박터 속 bl4에 의해 분비 생산되는 미생물폴리글루코사민 pgb­2 및 그 용도
CN102286379B (zh) * 2011-07-28 2014-05-28 中山大学 一种从污泥中提取土著微生物的方法
CN102774947B (zh) * 2012-07-25 2013-10-30 华南理工大学 一种生物复配絮凝剂及其应用
CN104591410B (zh) * 2015-02-16 2016-09-0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处理低温低浊水的复合絮凝剂及其制备方法
CN106698680A (zh) * 2017-02-14 2017-05-24 厦门大学 一种用生物絮凝剂吸附重金属铅的方法
CN107794238B (zh) * 2017-11-13 2020-10-13 中国科学院成都生物研究所 高产生物絮凝剂的bfx-01菌株及获得的生物絮凝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0357A (zh) * 2017-02-14 2017-06-13 厦门大学 一种用生物絮凝剂处理刚果红废水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719A (ko) 200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e et al.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of bacteria and their potential environmental applications
CN101503709B (zh) 利用地衣芽孢杆菌制备生物絮凝剂的方法
Agunbiade et al. Flocculating performance of a bioflocculant produced by Arthrobacter humicola in sewage waste water treatment
Li-Fan et 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conditions of a bioflocculant produced by Penicillium sp.
Zaki et al. Characterization of bioflocculants produced by bacteria isolated from crude petroleum oil
Zhao et al. Production of bioflocculants prepared from formaldehyde wastewater for the potential removal of arsenic
Sarvajith et al. Properties of alginate-like exopolymers recovered from flocculent and granular microbial sludges of different biological treatment systems treating real municipal wastewater
Mohammed et al. Role of cationization in bioflocculant efficiency: a review
Abd-El-Haleem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bioflocculants produced by bacteria isolated from Qatari ecosystems
CN115109719B (zh) 一株具有絮凝以及低温生物脱氮功能的陶厄氏菌及其应用
KR100679754B1 (ko) 호알칼리 균주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가용화하는 슬러지처리방법 및 이의 장치
KR100584670B1 (ko) 신규 엔테로박터 속 비엘-2가 생산하는 미생물 폴리글루코사민 바이오폴리머 피지비-1과 양이온성 생물응집제로의 활용
CN101805707A (zh) 利用淀粉废水生产微生物絮凝剂的生产菌及其生产工艺
CN110218682B (zh) 一株假真菌样芽孢杆菌及其在污泥减量中的应用
Oyewole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ioflocculant produced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earthen pond sludge
JP4172294B2 (ja) 有機性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Zhong et al. Bioflocculant production by Haloplanus vescus and its application in acid brilliant scarlet yellow/red removal
Ding et al. Study on community structure of microbial consortium for the degradation of viscose fiber wastewater
CN106906157B (zh) 红球菌及其生产絮凝剂的方法与在海带加工废水中的应用
CN113755407B (zh) 胶冻样类芽孢杆菌、制备的胞外多糖及其在微生物絮凝剂制备中的应用
CN106591172A (zh) 一种赤红球菌pta-2及其固定化和应用
CN111233167A (zh) 一株粪产碱菌及在鸡粪沼液絮凝中的应用
Trivedi Exopolysaccharides: production and application i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Horan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filamentous and floc‐forming bacteria from activated sludge flocs
Fang et al. Optimized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tion-independent bioflocculant produced by Klebsiella sp. 59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