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909B1 - 휴대통신단말 및 화상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통신단말 및 화상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909B1
KR100582909B1 KR1020030082818A KR20030082818A KR100582909B1 KR 100582909 B1 KR100582909 B1 KR 100582909B1 KR 1020030082818 A KR1020030082818 A KR 1020030082818A KR 20030082818 A KR20030082818 A KR 20030082818A KR 100582909 B1 KR100582909 B1 KR 10058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 control
image data
conta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338A (ko
Inventor
후루타신이치
혼마아츠시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 등의 무선통신단말 및 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화상표시방법에 관련되고, 예를 들면 촬영기능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을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정보와 함께 표시시키는 기능에 관한 것이며, 휴대전화(1)의 발신이력표시에 있어서, 도 15의 (a)에서 (c)→(b)→(d)로 조작한 경우, (b)로부터 클리어키(129)를 조작하면, 버퍼(211)에 기억되는 조작이력에 따라 직접 (a)로 되돌아가지 않고, (c)가 표시되며, 한편 (a)의 발신이력표시상태로부터 (b)의 상세표시상태→(d)의 화상데이터의 확대표시상태로 조작한 경우, (b)의 상세표시상태로부터 클리어키(129)를 조작하면, 버퍼(211)에 기억되는 조작이력에 따라 (a)의 발신이력표시상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통신단말, 무선통신, 화상메모리, 화상표시방법, 발신이력, 착신이력

Description

휴대통신단말 및 화상표시방법{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휴대통신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배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회로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RAM의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화상메모리의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의 내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주소록데이터로부터 발신한 예(a), 다이얼키에 의해 입력되어 발신한 전화번호가 기억된 예(b)를 나타내는 것.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의 내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링크정보격납영역의 내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주소록에 화상을 등록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로 촬영한 화상을 화상메모리에 격납하는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발신이력표시화면에 발신상대의 얼굴사진 을 표시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발신이력표시화면(리스트표시)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세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진부착발신이력화면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데이터의 확대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에 나타낸 표시부에 표시되는 발신이력표시화면의 전환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착신이력의 상세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로 촬영한 동화상 (동화상파일)을 화상메모리에 격납하는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세표시화면으로부터 동화상을 재생 표시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동화상의 재생 표시화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전화 11: 표시부
12: 키조작부 13: 마이크
14: 스피커 15: 안테나
16: 서브표시부 17: 통지용LED
18: 촬영렌즈 19: 통지용스피커
21: 제어부 22: RAM
23: 시스템ROM 24: 키입력부
25, 33: 표시드라이버 26: 음원회로부
27: 진동발생기 28: 드라이버
29: 무선송수신부 30: 무선신호처리부
31: 음성신호처리부 32: ROM
34: 촬상부 35: DSP
36: 화상메모리 37: 화상처리부
50: 버스 121: 카메라키
122: 주소록키 123: 억셉트키
124: 커서키 125: 메일키
126: 웹키 127: 오프훅키
128: 온훅키 129: 클리어키
130: 다이얼키 131: 전언메모/음성녹음키
132: 매너키 220: 작업영역
221: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 222: 착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
223: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 224: 링크정보격납영역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 등의 무선통신단말 및 통신단말에 있어서의 화상표시방법에 관련되고, 예를 들면 촬영기능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을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정보와 함께 표시시키는 기능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무선통신단말에 카테고라이즈되는 휴대통신단말은 통화요구 때에 자체단말로부터 발신하거나 또는 교환국으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를 표시시키는 발신자 ID시스템에 대응하는 표시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발신 또는 착신한 전화번호와 자체단말의 주소록(Phone Book Memory)을 대조시켜서 일치하는 경우는, 발신처나 착신원으로 되는 단말사용자의 이름 등을 표시시키는 주소록기능, 발신이력표시기능 및 착신이력표시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있다.
상세하게는 이 주소록기능은 전화번호와 그 전화번호와 대응지워 기억되어 있는 이름 등, 이 전화번호로 특정되는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한편 발신이력기능 및 착신이력기능은 이 자체단말로 발신 또는 착신한 전화번호와 그 발신, 착신일시를 함께 기억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리스트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또 근래에는 휴대전화에 화상표시기능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주소록기능으로 데이터표시시킬 때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말사용자의 얼굴사진 등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단말에 촬상기능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발신이력이나 착신이력 등의 과거의 통신이력을 표시시킬 때에 통신상대의 단말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24776호(제 5 쪽, 도 8)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1999-41339호(제 3-4 쪽, 도 2, 도 4)
그러나 이와 같이 주소록데이터나 통신이력을 표시할 때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은 사용자에 대해 직감적으로 연락처 사용자를 인식시키는 점에서는 효과가 있는데, 그 한편으로는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의 표시화면을 구비하는 단말기기는 리스트표시시키는 등으로 하여 복수의 연락처를 인식하는 경우, 이와 같은 화상의 표시는 표시면적을 점유하여 버려 표시화면의 이용에 있어서는 효율적이지 않았었다.
또 연락처 사용자 등을 타인에게 화상을 보이고 싶지 않은 경우, 미리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나서 주소록이나 통신이력을 표시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사용자에 있어서 사용편리함이 좋은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연락처정보의 표시나 통신이력의 표시 때, 화상의 표시/ 비표시를 유연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통신단말 및 화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련되는 휴대통신단말은, 표시수단과,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과, 적어도 1개의 연락처정보와 이 연락처정보 에 관련하는 각종 정보를 대응지워 기억하는 주소록데이터기억수단과, 상기 주소록데이터기억수단의 특정의 데이터와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되는 화상데이터의 격납주소의 관련지움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발신, 및 해당 휴대통신단말이 수신한 연락처정보를 통신이력으로서 기억하는 통신이력기억수단과, 통신이력의 상기 표시수단으로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 1 지시수단과, 해당 제 1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통신이력기억수단에 기억된 연락처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표시하는 제 1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에 의해서 리스트표시되어 있을 때, 화상부착의 통신이력의 상기 표시수단으로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 2 지시수단과, 해당 제 2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연락처정보에 대응하여 화상데이터가 관련지워져 있는지 아닌지를 상기 기억수단을 참조하여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해당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의 결과 화상데이터가 관련지워져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리사이즈하고, 상기 연락처정보와 함께 리스트표시하는 제 2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2에 관련되는 표시부와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와 주소록데이터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통신단말의 화상표시방법은, 상기 주소록데이터메모리의 특정의 데이터와 상기 화상메모리에 기억되는 화상데이터의 격납주소의 관련지움을 소정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기억스텝과,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발신, 및 해당 휴대통신단말이 수신한 연락처정보를 통신이력으로서 통신이력메모리에 기억시키는 통신이력기억스텝과, 상기 통신이력메모리의 기 억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스텝과, 해당 제 1 지시스텝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통신이력메모리에 기억된 연락처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리스트표시시키는 제 1 표시제어스텝과, 상기 제 1 표시제어스텝에서 리스트표시되어 있을 때, 화상부착의 통신이력의 상기 표시부로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 2 지시스텝과, 해당 제 2 지시스텝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연락처정보에 대응하여 화상데이터가 관련지워져 있는지 아닌지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를 참조하여 판단하는 제 1 판단스텝과, 해당 판단스텝에 의한 판단의 결과 화상데이터가 관련지워져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리사이즈하고, 상기 연락처정보와 함께 표시부에 리스트표시시키는 제 2 표시제어스텝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통신단말로서 휴대전화의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배면도이다. 휴대전화(1)는 2접음타입이고, 도 1의 (a)는 덮개를 열은 상태의 표면측을 나타내고, (b)는 덮개를 열은 상태의 배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a)에 있어서, 휴대전화(1)는 도형이나 화상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의 표시부(11), 각종 정보의 입력이나 기능지시 등을 실시하는 키조작부 (12), 송화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13), 수화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4), 휴대용의 무선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통신용의 안테나(15)를 구비하 고 있다.
도 1의 (b)에 있어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도 간단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서브표시부(16), 착신 또는 경고 등을 통지하는 통지용LED(17),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렌즈(18), 착신음 또는 경고음 등을 출력하는 통지용스피커(19)를 갖고 있다.
또 도 1의 (a)에 있어서, 키조작부(12)에는 각 모드에 있어서 특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경우나, 카메라모드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조작하는 카메라키(121), 각 모드에 있어서 특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경우나, 주소록모드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조작하는 주소록키(122), 각 모드(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소록모드)에 있어서 결정을 지시하는 경우 조작하는 억셉트키(123), 각 모드(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소록모드)에 있어서 선택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커서키(124), 메일모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메일키(125), 인터넷접속을 지시하기 위한 웹키(126), 오프훅키(127), 온훅키(128), 클리어키(129), 다이얼키(130), 전언메모/음성녹음키(131), 매너키(132)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1)의 회로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휴대전화(1)의 회로는 휴대전화(1)의 개별동작 및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1), 이 제어부(21)의 제어하에 있어서 각 모드에 있어서의 키조작부(12)의 조작이력을 기억하는 버퍼(211), 및 발신조작을 검출한 경우, 후술의 RAM(22)의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격납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버퍼메모리(212), 휴대전화로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제어부(21)가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22), 제어부(21)를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시스템ROM(23), 키조작부(12)의 키누름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24), 표시부(11)를 구동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드라이버(버퍼, 25), 각종의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통지용스피커(19)로부터 출력하는 음원회로부 (26), 통지용LED(17) 및 착신을 진동으로 알리는 진동발생기(27)를 구동하는 드라이버(28), 안테나(15)를 통하여 기지국(미도시)과 무선에 의해 음성이나 데이터를 송수하는 무선송수신부(29), 무선송수신부(29)에서 수신한 음성이나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는 무선송수신부(29)로부터 송신하는 음성이나 데이터를 변조하는 등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처리를 하는 무선신호처리부(30), 마이크(13)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부호화처리하거나 또는 수화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음성신호처리부(31), 사용자에 의한 각종의 설정정보 등을 기억하는 고쳐 쓰기 가능한 ROM(플래시ROM, 32), 서브표시부(16)를 구동하여 간단한 메시지를 표시시키는 표시드라이버(33), 촬영렌즈(18)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CCD 등으로 전기신호로 하는 촬상부(34), 촬상부(34)로부터 얻어진 전기신호를 화상신호로 하는 DSP(35), 촬상부(34)에서 촬상한 화상을 격납하는 화상메모리(36) 및 화상신호를 정지화상이미지이면 JPEG형식으로, 동화상이면 AMC형식(MPEG-4형식에 준거한 동화상파일형식)으로 압축부호화하고, 또 JPEG형식의 화상데이터나, AMC형식의 데이터를 판독한 경우는 신장(伸張) 처리하는 화상처리부(37)를 갖고, 이들 부품이 버스(50)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RAM(22)의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RAM(22)에는 제어부(21)의 작업영역(220) 외에, 과거의 통신이력을 기억하는 발신이력데이터격 납영역(221)과 착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2), 또 이 외에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 (223), 링크정보격납영역(224)이 설정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화상메모리(36)의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 화상메모리(36)의 메모리영역구성은 화상데이터의 격납주소로서의 레코드No.영역 (361), 파일명격납영역(362), 화상데이터가 정지화상파일인지 동화상파일인지의 파일속성을 격납하는 파일속성격납영역(363), …, 화상데이터에 링크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링크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A영역(364)이 한조로 격납되도록 되어 있고, 플래그A가 “1”의 경우, 링크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도 3에 나타낸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의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1건의 발신이력레코드는 격납주소로서의 레코드No.영역(2211), 발신일시영역(2212),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B영역(2213), 플래그B영역(2213)에 있어서 “0”즉, 링크가 없는 것으로서 설정된 경우, 격납되는 발신 때의 발신처전화번호영역 (2214), 플래그B영역(2213)에 있어서 “1” 즉, 링크가 있는 것으로서 설정된 경우, 격납되는 대응하는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의 레코드No.가 격납되는 영역 (2215), 해당 발신이력레코드를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해 소거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1”이 설정되는 플래그C1영역(2216) 및 해당 발신이 음성발신이 아니고 쇼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한 데이터송신의 경우에 “1”이 설정되는 플래그C2영역(2217)로 구성된다.
이들 데이터의 격납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4월 19일 9시 52분에 주소록으로 부터 「아키모토 요우코」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대응하는 전화번호 “09012345678”를 발신하고, 소거로크를 건 경우, 레코드No. 01의 발신일시영역(2212)에는 “4월 19일 9시 52분”이 격납되며, 플래그B영역(2213)에 “1”이 설정되고, 발신처전화번호영역(2214)에는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으며, 영역(2215)에는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의 「아키모토 요우코」의 레코드No.가 격납되고, 플래그C영역(2216)에 “1”이 설정된다. 또 12월 13일 9시 27분에 직접 다이얼키(130)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09020001234를 발신한 경우는, 레코드No. 02의 발신일시영역(2212)에는 “12월 13일 9시 27분”이 격납되고, 플래그B영역(2213)에 “0”이 설정되며, 발신처전화번호영역(2214)에는 “09020001234”가 설정되고, 영역(2215)에는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으며, 플래그C영역에는 “0”이 설정된다.
또한 발신 때에 다이얼키(130)에 의해 직접 입력된 전화번호이더라도 그 후 이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가 후술의 도 6에 나타내는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 (223)에 있는지 없는지가 검색되고, 있으면 대응하는 레코드No.가 격납되며, 플래그B영역(2213)에 “1”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b)는 12월 14일 21시 16분에 다이얼키(130)의 직접적인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전화번호 “08020005678”을 발신한 직후의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를 나타내는 것인데, 발신조작 후, 이 전화번호 08020005678에 일치하는 것이 주소록데이터에 있는 경우, 이 대응하는 주소록데이터의 레코드No.가 발신한 전화번호에 대신하여 격납되고, 플래그B영역에 “1”이 설정된다. 그리고 이 결과 도 5의 (a)와 같은 격납상태로 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착신이력데이터 격납영역 (222)의 구성예도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에 준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발신한 전화번호에 대신하여 착신 때에 수신한 발신자번호가 우선 착신일시에 대응지워 격납되고, 그 후 이 발신자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가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 (223)에 있는지 없는지가 검색되며, 있으면 대응하는 레코드No.가 격납되고, 플래그 “1”이 설정된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의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1건의 레코드는 격납주소로서의 레코드No.영역(2231)과, 이름영역(2232), 통신처정보로서의 전화번호영역(2233), 이 전화번호의 속성(휴대전화인지 고정전화인지, 프라이빗용인지 비지네스용인지 등)을 나타내는 속성영역 (2234), 이 속성영역(2234)의 속성내용에 따라서 설정되는 속성아이콘영역(2235), 통신처정보로서의 메일주소를 격납하는 메일주소격납영역(2236), 주소록데이터내에 있어서 무슨 그룹에 속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1” 또는 “0”가 설정되는 플래그D영역(2237), 이 플래그D영역(2237)에 “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룹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표시아이콘이 설정되는 아이콘영역(2238), 해당 레코드가 시크리트데이터인 경우에 “1”이 설정되는 플래그E영역(2239) 및 주소록기능에 있어서 필수로 되는 데이터에 한정되는 일이 없는 휴대전화(1)의 사용자와의 관계, 예를 들면 친구, 부모 등의 데이터나 생일데이터가 격납되는 기타정보영역(2240)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링크정보격납영역(224)의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등록되어 있는 레코드No.영 역(2241)과, 화상메모리(36)내의 레코드No.가 격납되는 레코드No.영역(242)이 대응지워져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착신대수(待受)상태에 있어서 주소록키(122)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주소록모드로 이행한 경우의 화상을 등록하는 동작순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발신, 착신이력표시화면에 발신처 상대의 얼굴사진 등의 화상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 또는 착신한 상대의 얼굴사진 등의 화상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는 우선 사용자는 발신처나 착신원에 관련하는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설정한다.
휴대전화(1)는 주소록키(122)의 조작을 검출하면 주소록모드에서 준비되는 각 기능을 메뉴표시(미도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 메뉴표시를 봄으로써 커서키(124)를 조작하여 소망의 기능을 선택하고, 억셉트키(123)를 눌러서 결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뉴표시로부터 주소록등록모드로의 이행을 검출하면, 주소록등록모드로 이행한다. 제어부(21)는 스텝S1에서 주소록모드로 되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주소록등록모드로 된 경우는 스텝S2에서 등록화면을 표시부 (11)에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전화번호나 이름 등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RAM(22)의 도 3의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등록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등록한 이름의 인물의 얼굴사진 등의 화상을 발신, 착신이력화면에 표시하고 싶은 경우는, 재차 화상등록을 선택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1)는 스텝S3에서 화상등록으로 판단하면, 스텝S4에서 화상메모리(36)에 엑세스하여 화상선택화면을 표시한다. 이 화상선택화면은 롸상메모리(36)에 격 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예를 들면 섬네일의 형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화면을 보고 표시하는 화상을 선택하면, 제어부(21)는 스텝S5에서 화상선택으로 판단하고, 스텝S6에서 주소록등록화면의 해당의 란에 화상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화면을 보고 그것으로 좋은 경우는 결정 조작을 하고, 좋지 않은 경우는 되돌림 조작을 하여 재차 화상선택으로 되돌린다. 이 조작을 받아서 제어부(21)는 스텝S7에서 화상의 등록을 결정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스텝S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S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S8에서는 주소록의 레코드No.와 이것에 관련지워져 등록한 화상데이터의 레코드No.를 링크시키는 링크정보(후술함)를 생성하여 RAM(22)의 도 7에 나타내는 링크정보격납영역(224)에 등록하고, 또한 도 4에 나타낸 화상메모리(36)의 플래그A영역(364)에 “1”을 설정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휴대전화(1)의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얻은 화상을 화상메모리(36)에 격납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촬영화상을 화상메모리(36)에 격납하는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싶을 때, 휴대전화(1)의 키조작부(12)를 조작하여 카메라모드로 이행한다. 제어부(21)는 스텝S21에서 휴대전화(1)가 카메라모드로 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22에서 촬상부(34)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어지는 전기신호를 DSP(35)에 의해 화상데이터로 한 것을 드라이버(25)를 통하여 표시부(11)에 그대로 스루 표시한다.
그 후 제어부(21)는 스텝S23에서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검출했는지 어떤지 를 판단하고,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S22의 처리로 되돌아가며, 검출된 경우는 스텝S24에서 카메라키(121)가 눌려졌을 때의 DSP(35)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RAM(22)의 작업영역(220)에 로드하여 일시 기억한다. 이와 동시에 이 때 DSP(35)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데이터를 표시드라이버(25)를 통하여 표시부(11)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스텝S25에서 사용자에게 파일명입력지시를 표시부(11)에 표시한 후, 스텝S26에서 파일명의 입력결정을 검출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검출한 경우는 스텝S28의 처리로 진행하며,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S27로 진행하여 캔슬을 검출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캔슬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S25의 처리로 되돌아가며, 캔슬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S2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S28에서 로드한 화상데이터를 화상처리부(37)에서 JPEG형식의 정지화상파일로 압축부호화하고, 파일속성·정지화상을 붙여서 화상메모리(36)에 격납한다.
또한 상기는 휴대전화(1)의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화상데이터를 얻고, 이것을 화상메모리(36)에 격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화상메모리(36)에 격납하는 화상데이터는 무선송신부(29), 무선신호처리부(30)를 통하여 다른 휴대전화로부터 메일 등으로 보내어 얻은 수신화상데이터이어도 좋으며, 또는 WWW(World Wide Web)접속기능에 의해 인터넷상의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그 사이트로부터 기호의 화상데이터를 다운로드한 화상데이터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발신이력표시화면에 발신상대의 얼굴사진을 표시하는 동작순서를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순서에 있어서의 키조작부(12)의 조 작이력은 해당 모드의 종료를 검출하기까지 도 2의 버퍼(211)에 순차 기록된다. 휴대전화(1)로 전화를 걸면, 제어부(21)는 발신처의 전화번호를 RAM(22)의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에 발신일시와 함께 순번으로 격납하여 간다. 또한 주소록모드로부터 소망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발신한 경우, 발신이력에는 발신한 전화번호가 격납되는 주소록데이터의 레코드No.가 격납되고, 다이얼키(130)를 조작하여 직접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발신한 경우는 전화번호가 우선 격납된다. 그 후 제어부(21)는 발신이력격납영역(221)에 격납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격납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대조하고, 주소록데이터에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있으면, 발신한 전화번호에 대신하여 주소록데이터의 대응하는 레코드No.를 기억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키조작부(12)를 조작하여 발신이력표시화면을 호출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제어부(21)는 스텝S31에서 발신이력의 호출을 검출하면, 버퍼(211)를 클리어하여 스텝S32에서 도 3에 나타낸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내를 검색해서 발신일시순으로 호출하고, 스텝S33에서 발신일시 및 발신처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록데이터로부터 판독하는 경우는 발신상대의 이름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발신이력을 리스트표시한다.
여기에서 도 11은 일시 및 발신처(전화번호 또는 이름)가 리스트표시된 화면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표시부(11)에는 전파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1101), 전지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1102), 현재시각(1103), “착신이력”탭 (1104), “발신이력”탭(1105), 리스트를 순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 (1106), 리스트를 역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7), 도 5의 레코드No.영역(2211)의 기억내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레코드No.(1108), 도 5의 발신일시영역(2212)의 기억내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발신일시(1109), 도 5의 발신처전화번호영역(2214)의 기억내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전화번호(1110), 해당 전화번호가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격납되어 있는 경우, 도 6의 속성아이콘영역 (2235)의 내용이 표시되는 아이콘(1111), 해당 전화번호가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 (223)에 격납되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이름영역(2232)의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 (1112), 화상부착발신이력화면의 표시지시 때, 대응하는 키로서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13), 상세데이터의 표시지시 때, 대응하는 키로서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14), 반전표시되어 있는 데이터의 편집/ 삭제/ 등록 등의 데이터편집지시 때, 주소록키(122)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15), 도 5의 플래그C2영역(2217)의 설정내용에 따라서 표시되는 아이콘(1129) 및 도 6의 아이콘영역(2238)의 내용이 표시되는 아이콘(1120)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착신이력”탭(1104), “발신이력”탭(1105), 아이콘(1106) 및 아이콘 (1107)은 커서키(124)의 좌우의 조작검출에 의해 지시내용이 교체되고, 발신이력이 리스트표시되어 있는 도 11의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커서키(124)의 오른쪽방향 조작을 검출하면,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에 레코드No. 05 이후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는 레코드No. 05∼08의 데이터의 리스트표시를 실시하고, 커서키 (124)의 왼쪽방향 조작을 검출하면 착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2)의 레코드No. 01∼04의 데이터의 리스프표시를 실시한다.
이 발신이력의 리스트표시화면에 있어서, 스텝S34에서 커서키(124)의 상하방향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망하는 데이터를 반전 표시시키고, 엑셉트키 (123)의 조작을 검출하여 상세표시의 지시를 검출하면, 스텝S35에서 발신이력의 선택된 발신정보부분(반전표시부분)에 대응하는 상세발신정보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한다.
여기에서 도 12는 도 11의 리스트표시화면에서 선택된 발신정보부분의 1건만이 화면 가득이 표시된 상태, 즉 상세정보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표시부(11)에는 전파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1101), 전지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1102), 현재시각(1103), “상세”탭(1116), “사진”탭(1117), 상세정보를 리스트순에 따라서 순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6), 상세정보를 리스트순에 역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7), 도 5의 레코드No.영역(2211)의 기억내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레코드No.(1108), 도 5의 플래그C1영역(2216)의 설정내용에 따라서 표시되는 아이콘(1118), 도 6의 플래그E영역(2239)의 설정내용에 따라서 표시되는 아이콘(1119), 도 6의 아이콘영역(2238)의 내용이 표시되는 아이콘(1120), 통신상황으로서 과거에 같은 전화번호를 몇 번 발신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1121), 도 6의 이름영역(2232)의 내용이 표시되는 (1112), 도 6의 전화번호영역(2233)의 내용이 표시되는 전화번호(1123),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에 격납되어 있는 이 발신처의 과거의 발신내용(1124), 해당 발신이력을 신규로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등록할 때, 대응하는 키로서 카메 라키(121)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25), 재차 이 전화번호를 발신시킬 때, 대응하는 키로서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26) 및 반전표시되어 있는 데이터의 편집/ 삭제/ 등록 등의 데이터편집지시 때, 주소록키 (122)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15)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세”탭(1116), “사진”탭(1117), 아이콘(1106) 및 아이콘(1107)은 커서키(124)의 좌우의 조작검출에 의해 지시내용이 교체되고, 상세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도 12의 상황에 있어서, 예를 들면 커서키(124)의 오른쪽방향 조작을 검출하면, 이 표시정보에 대해 도 7에 있어서 관련지워진 화상메모리(36)의 레코드No.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의 전체화면표시를 실시하고, 커서키(124)의 왼쪽방향 조작을 검출하면,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에 다음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으면 그 데이터의 상세표시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된 상세표시화면에서 사용자의 커서키(124)의 좌우조작검출에 의한 화면 오른쪽 위의 「사진」의 선택을 검출하면, 스텝S36에서 이 발신정보에 관련하는 화상의 표시의 지시로 판단하고,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의 이 표시된 정보의 레코드No.에 대응하여 화상데이터의 링크등록(등록있음 “1”)이 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색한다.
이 검색의 결과, 링크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1)는 링크정보격납영역 (224)을 검색하여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2)의 레코드No. 대응으로 링크되어 있는 화상메모리(36)의 레코드No.를 키로서 화상메모리(36)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검색한다.
즉 제어부(21)는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1)의 링크등록의 유무를 판단하고, 또한 이 링크등록되어 있는 주소록데이터의 레코드No.에 대응지워 화상메모리 (36)의 레코드No.가 관련지워져 있는지를 링크정보격납영역(224)을 참조하여 판단하며, 있었던 경우,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화상메모리(36)의 레코드No.에 의거하여 파일명을 검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1)는 화상메모리(36)의 레코드No.를 검색키로서 도 4에 나타낸 화상메모리(36)의 플래그가 세워져 있는 격납정보란으로부터 검색하고, 화상데이터를 판독한다.
제어부(21)는 스텝S37에서 화상메모리(36)내의 상기한 파일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리사이즈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한다. 없었던 경우는 스텝S39에서 클리어키(129)의 조작의 검출의 유무를 스텝S39에서 판단하고, 클리어키(129)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S33의 리스트표시로 되돌아가며,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는 스텝S35의 상세발신정보의 표시를 유지한다.
또 스텝S37의 화상데이터의 표시상태로부터 사용자의 커서키(124)의 좌우조작검출에 의한 화면왼쪽 위의 「상세」의 선택을 검출한 경우, 스텝S35의 상세발신정보의 표시로 이행하고,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화상데이터의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스텝S34에서 상세표시의 지시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는 스텝S40에서 카메라키(121)의 조작의 검출의 유무를 판단한다.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S41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재차 스텝S49에서 클리어키(129)의 조작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검출하면, 스텝S41에서 리스트표시되어 있는 모든 발신이력데이터에 대해서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플래그B영역의 설정내용을 참조한다. 그리고 링크정보가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화상메모리(36)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주소록데이터의 레코드No.를 검색키로서 링크정보격납영역(224)을 검색한다.
검색한 결과, 화상데이터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 (36)로부터 판독하여 리사이즈하는 동시에, 없는 것에 대해서는 미리 준비된 더미화상을 판독하고, 스텝S42에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상부착발신이력화면을 표시한다.
도 13은 스텝S42에 있어서의 화상부착발신이력화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표시부(11)에는 전파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1101), 전지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1102), 현재시각(1103), “착신이력”탭(1104), “발신이력”탭(1105), 리스트를 순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6), 리스트를 역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7), 도 5의 레코드No.영역(2211)의 기억내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레코드No.(1108), 도 5의 발신일시영역(2212)의 기억내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발신일시(1109), 도 5의 발신처전화번호영역(2214)의 기억내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전화번호(1110), 해당 전화번호가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 (223)에 격납되어 있는 경우, 도 6의 속성아이콘영역(2235)의 내용이 표시되는 아이콘(1111), 해당 전화번호가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격납되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이름영역(2232)의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1112), 화상메모리(36)로부터 판 독되어 리사이즈된 화상데이터(1127), 더미화상(1128), 도 5의 플래그C2영역(2217)의 설정내용에 따라서 표시되는 아이콘(1129),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발신이력의 리스트표시지시 때, 대응하는 키로서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30), 상세데이터의 표시지시 때, 대응하는 키로서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14), 반전표시되어 있는 데이터의 편집/ 삭제/ 등록 등의 데이터편집지시 때 주소록키(122)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15)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표시형태는 상기 스텝S33에 있어서의 리스트표시에 유사한 것의 1화면에 표시되는 발신이력의 데이터수가 적게 되어 있다. 즉 각 발신이력데이터에 화상데이터를 대응지워 표시시키기 때문에 1화면당 데이터수는 스텝S33과 비교하여 감소하는데, 화상데이터를 리사이즈할 때, 최저한 확인 가능한 표시범위로 리사이즈하므로 리스트표시이더라도 각 데이터에 대해서 누구에게 발신했는지 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화상부착발신이력화면에 있어서, 스텝S43에서 커서키(124)의 상하방향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망하는 데이터를 반전 표시시키고,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검출하여 상세표시의 지시를 검출하면, 스텝S44에서 발신이력의 선택된 발신정보부분(반전표시부분)에 대응하는 상세발신정보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된 상세표시화면에서 사용자의 커서키(124)의 좌우방향의 조작검출에 의한 화면 오른쪽 위의 「사진」의 선택을 검출하면, 스텝S45에서 이 발신정보에 관련하는 화상의 표시의 지시로 판단하고, 화상부착발신이력화면에 있어서 리사이즈표시된 화상데이터를 확대 표시해야하며, 재차 리사이즈한다. 그리고 스텝S46에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사이즈된 화상데이터(1131)를 표시부(11)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의 조작을 검출하지 않고 스텝S48에서 클리어키(129)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 스텝S33의 리스트표시로 이행하며, 조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상세표시를 유지한다. 또한 화상부착발신이력화면에 있어서 더미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발신이력데이터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커서키(124) 조작검출에 의한 화면 오른쪽 위의 「사진」의 선택 및 억셉트키(123)의 조작에 의한 결정을 검출해도 NOP(No Operation)로 판단된다.
이 화상데이터의 표시상태로부터 스텝S47에서 사용자의 커서키(124) 좌우방향의 조작검출에 의한 화면 왼쪽 위의 「상세」의 선택을 검출한 경우, 스텝S44의 상세발신정보의 표시로 이행하고,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화상데이터의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스텝S49에서 클리어키(129)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 해당 발신이력의 표시모드를 캔슬했다고 판단하여 버퍼(211)를 클리어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스텝 S33의 리스트표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발신이력표시화면의 전환에 대해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욱 더 유연하게 상호 표시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단 도 15의 (a), (b), (c), (d)는 상기한 도 11, 도 12, 도 13, 도 14에 상당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a)의 발신이력표시상태로부터 (c)→(b)→(d)로 조작한 경우, (b)로부터 클리어키(129)를 조작하면, 버퍼(211)에 기억되는 조작이력에 따라 (a)로 되돌아가지 않고, (c)가 표시된다. 한편 (a)의 발신이력표시상태로부터 (b)→(d)로 조작한 경우, (b)로부터 클리어키(129)를 조작하면 버퍼(211)에 기억되는 조작이력에 따라 (a)가 표시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면 해당 휴대전화(1)를 옥외에서 사용하는 등, 극렬히 타인에게 화상을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경우, 도 15의 (a)→(b)→(d)로 조작하면, (c)의 화상부착발신이력화면을 표시하는 일없이 복수의 발신이력을 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화상부착으로 확인하고 싶은 경우는 도 15의 (a)→(c)→(b)→(d)로 조작하면, (c)의 화상부착발신이력화면으로 복수의 발신이력을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거의 통신기록으로서 발신이력의 표시형태를 상술했는데, 착신이력을 표시하는 모드에 대해서도 발신한 전화번호에 대신하여 착신 때에 수신한 발신자번호(발신원을 특정하는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이외, 착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2)의 구성이 상기 발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223)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똑같은 표시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6은 착신이력내용의 상세표시를 예시한 것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표시부(11)에는 전파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1101), 전지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 (1102), 현재시각(1103), “상세”탭(1116), “사진”탭(1117), 상세정보를 리스트순에 따라서 순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6), 상세정보를 리스트순 에 역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7), 착신이력데이터의 레코드No.영역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레코드No.(1141), 통신상황으로서 착신 때에 응답을 검출하지 않았던지, 착신 때에 응답을 캔슬한 경우에 착신검출로부터 캔슬까지에 걸린 시간을 명시하기 위한 아이콘(1132), 도 5의 플래그C1영역(2216)의 설정내용에 따라서 표시되는 아이콘(1118), 도 6의 플래그E영역(2239)의 설정내용에 따라서 표시되는 아이콘(1119), 도 6의 이름영역(2232)의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1112), 도 6의 전화번호영역(2233)의 내용이 표시되는 전화번호(1123), 착신이력데이터격납영역 (222)에 격납되어 있는 이 과거의 착신내용(1133), 착신검출로부터 캔슬까지에 걸린 시간(1134), 해당 착신이력을 신규로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등록할 때, 대응하는 키로서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25), 재차 이 전화번호를 발신시킬 때 대응하는 키로서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26) 및 반전표시되어 있는 데이터의 편집/ 삭제/ 등록 등의 데이터편집지시 때, 주소록키(122)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15)이 표시되어 있다.
또 주소록데이터표시모드에 있어서도 링크정보격납영역(224)에 격납되는 관련지움정보를 참조하므로 발신이력의 경우와 똑같이 유연하게 화상데이터의 표시 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지화상에 의한 화상데이터의 표시를 발신이력표시 때에 실시하는 것을 상술했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동화상데이터를 표시시켜도 좋다. 이하 그 경우에 대해서 상술한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7∼도 19를 이용하여 상술하는데, 회로구성 및 발신이력표시화면에 발신상대의 얼굴사진을 표시하는 동작순서에 대해서는 대체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다음에 휴대전화(1)의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얻은 동화상을 화상메모리 (36)에 격납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촬영한 동화상을 화상메모리(36)에 격납하는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피사체의 무비를 촬영하고 싶을 때, 휴대전화(1)의 키조작부(12)를 조작하여 카메라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드로 이행한 후, 스텝S51에서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모드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검출한 경우 동화상촬영을 실시하는 무비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는 도 9의 카메라모드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S51에서 무비모드로의 이행을 검출하면, 제어부(21)는 스텝S52에서 촬상부(34)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어지는 전기신호를 DSP(35)에 의해 화상데이터로 한 것을 드라이버(25)를 통하여 표시부(11)에 그대로 스루 표시한다.
그 후 제어부(21)는 스텝S53에서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검출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S52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검출된 경우는 스텝S54에서 카메라키(121)가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촬영화상을 로드하기 위한 타이머를 기동시키며, 스텝S55에서 DSP(35)로부터 순차 출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RAM(22)의 작업영역(220)에 순차 로드한다. 또 이와 동시에 스텝S56에서 순차 작업영역(220)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AMC형식의 동화상파일로 작성하기 위해 화상처리부(37)에서 압축 부호화한다.
동화상촬영이 완료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에 대해서는 우선 스텝S57에서 재차 카메라키(121)가 조작되는 것에 의한 셔터조작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로 실시한다.
스텝S57에서 셔터조작이 검출되면, 그 시점에서 촬상부(34), DSP(35)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스텝S59에서 압축 부호화된 동화상파일을 재차 작업영역(220)에 일시 기억시킨다. 한편 스텝S57에서 셔터조작을 검출하지 않아도 스텝S58에서 스텝S54에서 기동시킨 타이머가 타임업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타임업한 경우는 그 시점에서 촬상부(34), DSP(35)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스텝S59에서 압축 부호화된 동화상파일을 재차 작업영역에 일시 기억시킨다. 셔터조작을 검출하지 않고, 또 타임업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재차 스텝S55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S59의 상태로부터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해당 동화상파일의 보존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스텝S60에서 판단하고, 보존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S61에서 파일속성·동화상을 붙여서 화상메모리(36)에 격납한다.
스텝S60에서 보존을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재차 스텝S62에 있어서 클리어키(129)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에 의한 캔슬의 검출의 유무를 판단한다. 캔슬을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S63에서 작업영역(220)에 일시 기억된 동화상파일을 소거하고, 스텝S52로 되돌아간다. 또 캔슬을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는 스텝S59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발신이력표시상태에 있어서,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0의 소정의 레코드No.에 도 17에서 작성된 동화상파일이 대웅지워져 있엇던 경우에 대해서 도 18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술한다.
이 흐름도에서는 도 10에 있어서의 스텝S36 및 스텝S45까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똑같다. 즉 도 12의 상세표시상태로부터 스텝S36에서 발신정보에 관련하는 화상의 표시의 지시로 판단한 경우,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의 이 표시된 정보의 레코드No.에 대응하여 화상데이터의 링크등록(등록있음 “1”)이 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색한다.
링크등록처로서 화상메모리(36)내의 동화상파일이 있었던 경우, 스텝S71에서 대응하는 동화상파일을 판독하고, 화상처리부(37)에서 신장처리를 실시하며, 스텝S72에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11)에 동화상의 재생표시를 실시한다.
그리고 스텝S73에서 재생이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종료를 검출하면, 자동적으로 스텝S35의 상세발신정보의 표시로 되돌아간다. 또 재생중에 스텝S74에서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조작을 검출하면, 이어서 스텝S75에서 그 검출한 시점에서의 재생화면에서 일시 정지한다. 그리고 이 일시정지상태로부터 스텝S76에서 재차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조작을 검출하면, 재차 그 시점부터 재생 표시를 실시한다.
스텝S76에서 재차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스텝S77에서 클리어키(129)의 조작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S77에서 클리어키(129)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 동화상의 재생처리를 정 지하여 스텝S35의 상세발신정보의 표시로 되돌아 간다. 한편 조작을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는 스텝S75의 일시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스텝S74 및 스텝S76에서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각각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는 동화상재생표시를 계속시킨다.
또 스텝S45의 사진표시지시검출로부터 본 흐름도의 동작을 실행한 경우는 동화상재생표시 및 일시정지표시상태에 대해서는 상기 동작과 똑같이 되는데, 재생종료한 경우는 스텝S44의 상세정보표시로 이행한다. 또 동화상파일이 발신이력정보에 대응지워져 있는 경우는 도 13에 있어서의 표시형태에서는 리사이즈된 화상데이터(1127) 대신으로서 대응하는 동화상파일에 있어서의 선두프레임(1픽처)의 동화상데이터가 리사이즈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19는 스텝S72에 있어서의 표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표시부(11)에는 전파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1101), 전지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1102), 현재시각(1103), “상세”탭(1116), “화상”탭(1117), 상세정보를 리스트순에 따라서 순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6), 상세정보를 리스트순에 역방향으로 표시 천이시키기 위한 아이콘(1107), 재생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136), 동화상재생화면(1137), 토탈의 재생시간(1138), 현재표시되어 있는 재생시간게이지(1139), 해당 착신이력을 신규로 주소록데이터격납영역(223)에 등록할 때, 대응하는 키로서 카메라키(121)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25), 일시정지를 지시할 때, 대응하는 키로서 억셉트키(123)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40) 및 데이터의 편집/ 삭제/ 등록 등의 데이터편집지시 때 주소록키(122)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표시영역(1115)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신이력의 소정의 데이터에 대응지워 동화상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그 발신이력데이터로부터 직접적으로 동화상재생을 할 수 있는 외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일지정지시킬 수 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하고 있지 않은데, 화상부착발신이력표시나 확대표시에 있어서 화상데이터를 표시시킬 때, 화상메모리(36)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최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리사이즈했는데, 촬상부(34)에서 촬상된 화상을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규격에 의거하여 기억하도록 하고, 이 때 작성되는 섬네일화상을 화상부착발신이력표시나 확대표시에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의 동작을 프로그램화하고,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 컴퓨터프로그램은 플랙시블디스크나 하드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반도체메모리나 카드형 메모리 등의 각종 메모리 또는 통신네트워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기록매체를 통하여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없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구성, 기능, 작용, 효과에 있어서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고, 촬영기능을 갖는 PDA나 휴대형의 퍼스컴 등의 각종 형태 통신단말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표시수단: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
    적어도 1개의 연락처정보와 이 연락처정보에 관련하는 각종 정보를 대응지워 기억하는 주소록데이터기억수단:
    상기 주소록데이터기억수단의 특정의 데이터와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되는 화상데이터의 격납주소의 관련지움을 기억하는 기억수단: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발신, 및 해당 휴대통신단말이 수신한 연락처정보를 통신이력으로서 기억하는 통신이력기억수단:
    통신이력의 상기 표시수단으로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 1 지시수단:
    해당 제 1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통신이력기억수단에 기억된 연락처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표시하는 동시에, 화상부착의 통신이력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표(1113)를 표시하는 제 1 표시제어수단: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에 의해서 리스트표시되어 있을 때, 상기 지표에 대응하는 키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화상부착의 통신이력의 상기 표시수단으로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 2 지시수단:
    해당 제 2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연락처정보에 대응하여 화상데이터가 관련지워져 있는지 아닌지를 상기 기억수단을 참조하여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해당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의 결과 화상데이터가 관련지워져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리사이즈하고, 상기 연락처정보와 함께 리스트표시하는 제 2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이력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연락처정보와 같은 것이 상기 주소록데이터기억수단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은 해당 제 2 판단수단에 의해서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연락처정보로 바꾸어서 이 연락처정보에 관련하는 각종 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표시되어 있는 연락처정보로부터 특정의 연락처정보를 선택하는 제 1 선택수단:
    해당 제 1 선택수단에 의해서 연락처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연락처정보에 의해서 통신되었을 때의 통신상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3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표시되어 있는 각종 정보로부터 특정의 각종 정보를 선택하는 제 2 선택수단:
    해당 제 2 선택수단에 의해서 소정의 각종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각종 정보와 통신되었을 때의 통신상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4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는 복수의 연락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표시제어수단은 이들 복수의 연락처정보와 이 연락처정보의 속성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표시로부터 리스트표시의 지시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수단:
    해당 제 3 판단수단에 의해서 리스트표시가 지시되었을 때,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리스트표시를 거쳐 제 3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진 경우는,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리스트표시를 하는 한편,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리스트표시를 거쳐 제 3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진 경우는,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리스트표시를 실시하게 하는 제 5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표시로부터 화상데이터의 표시가 지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4 판단수단,
    해당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화상데이터의 표시가 지시되었을 때, 상기 기억수단에 대응지워 기억되는 화상데이터의 격납주소에 의거하여 화상데이터를 판독해서 리사이즈하고, 상기 제 4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표시에 대신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제 6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통신이력으로서 발신이력과 착신이력을 각각 나누어 표시하고,
    발신이력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 3 지시수단:
    착신이력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 4 지시수단:
    해당 제 3 지시수단 및 제 4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검출할 때마다 발신이력과 착신이력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 7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9.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신호에 의해 통신을 실시하고,
    해당 무선신호의 수신상태를 항상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8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데이터는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화상데이터가 동화상데이터일 때, 해당 동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동화상을 재생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11. 제 1 항에 있어서,
    촬상수단:
    해당 촬상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기억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12. 표시부와,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와, 주소록데이터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통신단말의 화상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데이터메모리의 특정의 데이터와 상기 화상메모리에 기억되는 화상데이터의 격납주소의 관련지움을 소정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기억스텝: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발신, 및 해당 휴대통신단말이 수신한 연락처정보를 통신이력으로서 통신이력메모리에 기억시키는 통신이력기억스텝:
    상기 통신이력메모리의 기억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스텝:
    해당 제 1 지시스텝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통신이력메모리에 기억된 연락처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리스트표시시키는 동시에, 화상부착의 통신이력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표(1113)를 표시하는 제 1 표시제어스텝:
    상기 제 1 표시제어스텝에서 리스트표시되어 있을 때, 상기 지표에 대응하는 키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화상부착의 통신이력의 상기 표시부로의 표시를 지시하는 제 2 지시스텝:
    해당 제 2 지시스텝에 의한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연락처정보에 대응하여 화상데이터가 관련지워져 있는지 아닌지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를 참조하여 판단하는 제 1 판단스텝:
    해당 판단스텝에 의한 판단의 결과 화상데이터가 관련지워져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리사이즈하고, 상기 연락처정보와 함께 표시부에 리스트표시시키는 제 2 표시제어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이력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연락처정보와 같은 것이 상기 주소록데이터메모리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표시제어스텝은 해당 제 2 판단스텝에 의해서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연락처정보로 바꾸어서 이 연락처정보에 관련하는 각종 정보를 상기 표시부 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리스트표시되어 있는 연락처정보로부터 특정의 연락처정보를 선택하는 제 1 선택스텝:
    해당 제 1 선택스텝에 의해 연락처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연락처정보에 의해서 통신되었을 때의 통신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 3 표시제어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리스트표시되어 있는 각종 정보로부터 특정의 각종 정보를 선택하는 제 2 선택스텝:
    해당 제 2 선택스텝에 특정의 각종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각종 정보와 통신되었을 때의 통신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 4 표시제어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는 복수의 연락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표시제어스텝은 이들 복수의 연락처정보와 이 연락처정보의 속성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표시로부터 리스트표시의 지시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스텝:
    해당 제 3 판단스텝에서 리스트표시가 지시되었을 때, 상기 제 1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리스트표시를 거쳐 제 3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진 경우는, 상기 제 1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리스트표시를 하는 한편, 상기 제 2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리스트표시를 거쳐 제 3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진 경우는 상기 제 2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리스트표시를 실시하게 하는 제 5 표시제어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표시로부터 화상데이터의 표시가 지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4 판단스텝,
    해당 제 2 판단스텝에 의해 화상데이터의 표시가 지시되었을 때.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대응지워 기억되는 화상데이터의 격납주소에 의거하여 화상데이터를 판독해서 리사이즈하고, 상기 제 4 표시제어스텝에 의한 표시에 대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6 표시제어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데이터는 통화상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표시제어스텝은 상기 화상데이터가 동화상데이터일 때, 해당 동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동화상을 재생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휴대통신단말은 촬상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해당 촬상부로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화상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기억제어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KR1020030082818A 2002-11-22 2003-11-21 휴대통신단말 및 화상표시방법 KR100582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8783 2002-11-22
JPJP-P-2002-00338783 2002-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338A KR20040045338A (ko) 2004-06-01
KR100582909B1 true KR100582909B1 (ko) 2006-05-24

Family

ID=3734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818A KR100582909B1 (ko) 2002-11-22 2003-11-21 휴대통신단말 및 화상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442B1 (ko) * 2009-06-04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338A (ko)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87273A (ja) 携帯電話端末、及び、発信履歴表示方法
JP4374610B2 (ja) 撮像装置、画像データ記憶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40499B2 (ja) 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4258546B2 (ja) 電話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4932159B2 (ja) 通信端末、通信端末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65986B2 (ja) 撮像装置、画像データ記憶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0527820C (zh) 视频重放设备和视频重放方法
US20060001756A1 (en) Data communications device, data communications system, document display method with video and document display program with video
US20060152600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JP426417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692005B1 (ko)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JP4618356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2005001805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ynamic image preparation method and dynamic image preparation program
KR100582909B1 (ko) 휴대통신단말 및 화상표시방법
JP200801093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JP4569459B2 (ja) 情報表示端末、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JP2004357092A (ja) 情報機器、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ータ表示方法
JP2005184366A (ja) 端末装置
JP2004015158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JP2001101101A (ja) メール作成装置、メール作成方法、メール再生装置、メール再生方法および携帯電話機
JP4349153B2 (ja) 撮像機器、動画表示制御方法及び動画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5204085A (ja) 通信装置及び留守番応答プログラム
KR200600571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정보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