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595B1 - 안테나의 지향각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의 지향각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595B1
KR100581595B1 KR1020030009488A KR20030009488A KR100581595B1 KR 100581595 B1 KR100581595 B1 KR 100581595B1 KR 1020030009488 A KR1020030009488 A KR 1020030009488A KR 20030009488 A KR20030009488 A KR 20030009488A KR 100581595 B1 KR100581595 B1 KR 10058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vity angle
antenna
reception quality
interferenc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096A (ko
Inventor
코지 메다
유지 아부라가와
토루 오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3006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01Q3/2611Means for null steering; Adaptive interference nu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amplitu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적은 처리량과 작은 회로 규모로 간섭파의 영향을 억압할 수 있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수신 장치(50)로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지향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각 가변 안테나(56)와, 수신 신호로부터 간섭파를 제거한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간섭 제거 수단(57)과,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출력하는 측정 수단(58)과,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의 넓고 좁음을 제어하는 지향각 제어 수단(59)으로 구성되는 무선 수신 장치이다.

Description

안테나의 지향각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Mobile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vity Angle of Antenn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응용할 수 있는 무선 엔트런스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원형 개구 안테나에 의한 간섭파 저감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적응 어레이 안테나(adaptive array antenna)에 의한 간섭파 저감을 나타낸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간섭 제거기(canceller)에 의한 간섭파 저감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phased array antenna)를 구비한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존(zone)
 2  기지국
 3  빔 패턴(beam pattern)
 4  안테나
 5  희망파
 6  간섭파
 7  지연파(遲延波)
 50  무선 수신 장치
 56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
 57  간섭 제거기
 58  CIR 측정기
 59  지향각 제어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한 희망파 전력과 간섭파 전력 비(比) 등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의 넓고 좁음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 시스템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의 기지국간을 접속하는 무선 엔트런스 네트워크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무선 엔트런스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각 존(1)을 형성하는 각 기지국(2)이 지향성(3)을 가지는 안테나(4)를 구비하고 있다. 기지국 대 기지국의 무선 엔트런스 네트워크는 지향성 안테나(4)를 개재하여 확립된다(도 1의 굵은 화살표 참조). 이러한 기지국간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통신의 상대측인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전반되는 희망파 뿐만이 아니고,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소망하지 않는 전파나 건물 등에 반사된 반사파도 간섭파로서 수신하여 버린다. 수신 품질 향상을 위해서 간섭파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의 종래의 방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기술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엔트런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원형 개구 안테나의 경우, 도 2에 나타내듯이, 희망파(5) 이외에 간섭파(6)가 안테나에 입사 된다. 안테나는 빔 패턴을 나타내는 영역(8) 내를 길게 전반하여 온 전파를 강하게 수신하는 특성이 있다. 간섭파(6)에 의해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 또는 캐리어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CIR : Carrier to Interference Ratio)가 열화하는 경우에, 도 2의 우측 안테나에 나타내듯이, 안테나 지름(7)을 충분히 크게 하고 지향각(8)을 좁게 하여 간섭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동일한 강도의 전파가 다른 방향으로부터 입사하여 오는 경우에, 지향의 중심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전파가 가장 강하게 수신되고,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은 약해진다. 중심 방향으로부터 가장 강하게 입사해 오는 전파의 전력의 반의 전력으로 수신되는 입사 전파의 각도를(양측을 더하여) 2배 한 것이 지향각이다. 예를 들면, 지향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15。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전력이 중심 방향으로부터의 최대 입사 전력의 반인 경우에 지향각은 30。로 된다.
또, 간섭의 영향을 경감하는 다른 종래 기술로서 도 3에 나타내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의 사용도 알려져 있다. 적응 어레이 안테나(9)는 수신 환경에 따라 안테나 빔 패턴(10)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공간적인 신호 처리에 의해 간섭파의 영향을 경감하는 기술이다. 수신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통상은 간섭파(6)의 도래 방향에 대해서 현저하게 이득이 낮은 널(null)을 향하는 것 같은 빔 패턴을 생성하고 있다.
또한, 적응 어레이 안테나에 시간적인 신호 처리를 조합한 것으로서 시공 등화기(equalizer)가 있다. 이러한 시간/공간 신호 처리를 함으로써 희망파(5)와 동일한 도래각(到來角)으로부터 도래하는 희망파의 지연파(7)로부터 수신하는 간섭의 영향도 저감할 수 있다.
다른 간섭 저감 기술로서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은 간섭 제거기가 알려져 있다. 도 4의 간섭 제거기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44)와 과거의 전파로의 추정 오차로부터 전파로(傳播路)를 추정하고, 이 전파로 추정치를 이용하여 간섭파(46)의 리플리카(replica)(47)를 생성한다. 수신 신호(44)로부터 간섭파 리플리카(47)를 감산함으로써, 희망파 전력(48) 대 간섭파 전력(49) 비를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간섭 경감법 중, 원형 개구 안테나에 의하면, 안테나 지름을 크게 함으로써 간섭 경감을 꾀할 수 있지만, 안테나 지름을 크게 한다고 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넓은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간섭의 영향이 심각하지 않고 복수의 기지국에 대해서 자발적으로 2 이상의 링크를 뻗치고 싶은 경우 등에 있어서 지향각을 넓게 하고 싶을 때가 있지만, 그러한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 또, 지향각을 바꾸기 위해서는 안테나 자체를 교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새롭게 회선을 증설할 때에는 안테나를 물리적으로 건설해야 하는 것 이외에, 새로운 회선으로부터 받는 간섭이 증가하여 타 회선의 안테나까지 교환할 필요가 생긴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적응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간섭 경감법에 의하면, 지향 방향 및 지향각을 자율적으로 바꿀 수 있고 제어에 의해 회선의 증설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새롭게 증가하는 간섭에도 대처할 수 있지만, 제어의 복잡함에 기인하는 처리계 구성의 곤란함과 계산량의 증가가 문제가 된다.
또, 상기의 원형 개구 안테나 및 적응 어레이 안테나의 지향각의 좁음에는 물리적,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희망파의 도래 방향과 대체로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도래해 오는 간섭파의 영향은 강하게 남아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다음에, 간섭 제거기에 의하면, 이론적으로 모든 간섭파를 제거할 수 있지만, 간섭파의 수가 많아지면, 간섭파(1)마다 리플리카 생성 회로가 필요하기 때문에, 회로 규모 및 계산량이 지수적으로 증대하여 처리계의 실현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적은 처리량과 작은 회로 규모로 간섭파의 영향을 억압할 수 있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지향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각 가변 안테나와,수신 신호로부터 간섭파를 제거한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간섭 제거 수단과,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출력하는 측정 수단과,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의 넓고 좁음을 제어하는 지향각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수신 품질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좁게 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수신 품질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넓게 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간섭 제거 수단에 의해 수신 신호로부터 여러 파의 간섭파를 감산하도록 동작하고, 간섭 제거 신호에 기초하여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 등의 수신 품질을 측정한다. 측정한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의 넓고 좁음을 제어할 수 있어 최적인 지향각이 얻어진다. 지향각 제어와 간섭 제거 수단이 협동함으로써, 제어량·처리량을 억제한 간섭 억압 기능을 가지는 무선 수신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좁게 하도록 제어한다. 즉, 수신 품질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 지향각을 좁게 함으로써 도래하는 간섭파의 영향을 줄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넓게 하도록 제어한다. 즉, 수신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 지향각을 넓게 하여 수신 가능한 전파의 종류를 늘림으로써 복수의 링크를 확립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수신 장치(50)의 블럭도를 도 5에 나타낸다. 지향성 가변 안테나(56)는 복수의 소자로부터 구성되는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이다.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좋은 예로서, 실시 형태에서는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다.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와 같이 간섭파 도래 방향에 널(null)을 향하게 하는 것 같은 고도의 연산·제어는 하지 않고, 지향 방향 및 지향각을 가변하는 제어만을 하기 때문에, 처리량이 적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지향성 가변 안테나는 지향 방향뿐만이 아니고 지향각도 가변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향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안테나이면 어떠한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간섭 제거기(57)가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56)에 접속되고, 이로부터 수신 신호를 받는다. 간섭 제거기(57)는, 도 4로 설명한 것처럼, 수신 신호로부터 간섭파를 제거한다. 간섭 제거기(57)로부터의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는 복조기(52) 및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CIR) 측정기(58)에 입력된다. 복조기(52)는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를 복조하여 소망한 통신 동작을 달성한다.
CIR 측정기(58)는 입력된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의 CIR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인 CIR 값(예를 들면, dB 값)을 지향각 제어부(59)에 입력한다. 지향각 제어부(59)는 안테나(56)의 지향각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로 CIR 측정기(58)로부터의 CIR 값에 따라 안테나(56)의 지향각의 제어를 한다. 이하에 제어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제 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CIR 측정기(58)로부터 측정한 CIR 값을 받는다(S1). 그 CIR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S2). CIR 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는, 수신 품질이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 지향각을 좁게 하여(S3) 간섭파의 영향을 약하게 한다. 안테나 지향각을 좁게 한 후에, 새롭게 설정한 안테나 지향각이 안테나의 지향 능력의 물리적 하한까지 좁아져 있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S4). 만약, 한계까지 좁아져 있는 경우에는 좁게 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아직도 가장 좁은 상태에까지 좁아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시작으로 돌아온다.
S2에 있어서, CIR 값이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는, 수신 품질이 양호하므로 안테나 지향각을 좁게 할 필요는 없고, 그대로 시작으로 돌아온다.
다음에,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제 2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CIR 측정기(58)로부터 측정한 CIR 값을 받는다(S5). 이 CIR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S6). CIR 값이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는, 수신 품질이 양호하므로, 안테나 지향각을 넓게 한다(S7).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안테나 지향각을 넓게 한 후에, 새롭게 설정한 안테나 지향각이 안테나의 지향 능력의 물리적 상한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한 상한까지 넓어지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정해도 좋다. 이때 만약 상한까지 넓어져 있는 경우에는, 넓게 하는 처리를 종료하고 시작으로 돌아오도록 구성해도 좋다.
CIR 값이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S6)는, 수신 품질이 양호하지 않고, 안테나 지향각을 넓게 할 필요는 없고, 그대로 시작으로 돌아온다.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기의 제 1의 제어와 제 2의 제어를 조합한 복합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CIR 측정기(58)로부터 측정한 CIR 값을 받는다(S8). 안테나 지향각이 하한까지 작아지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S9). 하한까지 작아지고 있는 경우(즉, FANT = 0인 경우)에는, S10으로 진행되어, CIR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CIR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안테나의 지향각을 넓힌다(S12). 이때 안테나 가장 좁은 플래그(FANT)를 가장 좁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1”로 세트(set)하고 나서 시작으로 돌아온다. S10에 있어서 CIR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안테나의 지향각을 제어하지 않고 시작으로 돌아온다.
S9에 있어서, 안테나 지향각이 한계까지 작아져 있지 않은 경우, S11로 진행되어, CIR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CIR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안테나의 지향각을 좁게 한다(S13). 좁게 한 후의 안테나 지향각이 가장 좁은지 어떤지를 판정하고(S14), 가장 좁은 경우에는 FANT를 “0”으로 세트하고 시작으로 돌아온다. 가장 좁지 않는 경우에는 그대로 시작으로 돌아온다.
또, S11에 있어서, CIR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지 않았던 경우, S10'에 진행되어, 그래서 S10, S12와 같은 동작을 한다. 다만, 이 경우는 FANT의 값은 이 미 “1”이므로 FANT는 그대로 둔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안테나 지향각을 최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S11에 있어서의 소정의 임계치를 S10 및 S10'에 있어서의 소정의 임계치와 동일한 정도로 해도 좋다. 혹은, S11에 있어서의 소정의 임계치를 S10 및 S10'에 있어서의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안테나 지향각을 변화 시키는 회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IR를 좋은 예로서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신 신호 전력 대 간섭파 전력(SIR : Signal to Interference Ratio))이나, 그 외의 수신 품질을 이용하여 지향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간섭파라는 것은, 통신하고 있지 않은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전파나, 이동국 등의 다른 전파 발신원으로부터의 전파나, 반사파, 그 외 통신의 방해로 되는 온갖 전파나 잡음 그 외의 요소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안테나 지향각을 좁게 함으로써, 희망파 도래 방향 이외로부터의 간섭파는 안테나에 의해 억압되고, 안테나 지향 방향으로부터의 강한 간섭파만이 잔류한다. 그렇지만, 강한 간섭파는 수가 한정되기 때문에 현실적인 회로 규모의 간섭 제거기에 의해 억압할 수 있다.
또, 간섭 제거기와 CIR 값으로 지향각을 제어하는 지향성 가변 안테나를 조합함으로써, 안테나 지향각의 한계가 비교적 넓어도 충분한 간섭 경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IR 값에 따라 지향각 제어를 하는 단순한 안테나를 이용함으로써, 적응 어레이 안테나 등의 복잡한 안테나와 비교하여 연산량을 억제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무선 엔트런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처리량이 적고 회로 규모가 작고, 한편 높은 간섭 억압 효과를 가져오는 무선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안테나 지향각을 쓸모 없이 필요 이상으로 좁게 하지 않기 때문에 자율적으로 링크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14)

  1. 무선 수신 장치로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지향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각 가변 안테나와,
    수신 신호로부터 간섭파를 제거한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간섭 제거 수단과,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출력하는 측정 수단과,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의 넓고 좁음을 제어하는 지향각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는 무선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수신 신호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4. 제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 을 좁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5. 제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넓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6. 제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제 1의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좁게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 품질이 상기 제 1의 소정치보다 큰 제 2의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넓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7. 제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수신 장치를 가지는 기지국으로서, 동시에 복수의 무선국과 통신 가능한 기지국.
  8. 제 7항에 기재된 기지국을 복수 구비하고, 기지국간의 무선 엔트런스 네트워크(entrance network)를 구축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
  9. 무선 수신 방법으로서,
    지향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향각 가변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무선 신호로부터 간섭파를 제거하고,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간섭파가 제거된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의 측정한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의 넓고 좁음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무선 수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희망파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수신 신호 전력 대 간섭파 전력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방법.
  12. 제 9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좁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방법.
  13. 제 9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넓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방법.
  14. 제 9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이 제 1의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좁게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 품질이 상기 제 1의 소정치보다 큰 제 2의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지향각 가변 안테나의 지향각을 넓게 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방법.
KR1020030009488A 2002-02-15 2003-02-14 안테나의 지향각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81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9236A JP2003243921A (ja) 2002-02-15 2002-02-15 アンテナの指向角を制御する無線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JP-P-2002-00039236 2002-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096A KR20030069096A (ko) 2003-08-25
KR100581595B1 true KR100581595B1 (ko) 2006-05-22

Family

ID=2762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488A KR100581595B1 (ko) 2002-02-15 2003-02-14 안테나의 지향각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46965B2 (ko)
EP (1) EP1337047B1 (ko)
JP (1) JP2003243921A (ko)
KR (1) KR100581595B1 (ko)
CN (1) CN1234253C (ko)
DE (1) DE60324722D1 (ko)
SG (1) SG110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9068B2 (en) * 2000-12-01 2011-09-13 Alcatel Lucent Method of allocating power for the simultaneous downlink conveyance of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antennas and multiple destinations
JP4726306B2 (ja) * 2001-01-31 2011-07-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局及び方位決定方法
KR100651434B1 (ko) * 2002-10-05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 수신기에서의 간섭신호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474849B1 (ko) * 2002-11-01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빔포밍 방법에 의한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를 재사용하는방법 및 장치
JP2004248162A (ja) * 2003-02-17 2004-09-02 Kyocera Corp 基地局装置
JP2005210171A (ja) * 2004-01-20 200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6042268A (ja) * 2004-07-30 2006-02-09 Fujitsu Ltd 電子タグ認証装置、および電子タグとの通信調整方法
WO2006013677A1 (ja) 2004-08-06 2006-02-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無線受信装置
JP4534655B2 (ja) * 2004-08-06 2010-09-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
EP1646112A1 (en) * 2004-10-11 2006-04-12 Sony Deutschland GmbH Directivity control for short rang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O2006064647A1 (ja) 2004-12-13 2006-06-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無線装置及び無線タグ通信装置
US8943410B2 (en) 2006-12-22 2015-01-27 Apple Inc. Modified media presentation during scrubbing
US7992097B2 (en) 2006-12-22 2011-08-02 Apple Inc. Select drag and drop operations on video thumbnails across clip boundaries
US8020100B2 (en) 2006-12-22 2011-09-13 Apple Inc. Fast creation of video segments
US8526821B2 (en) * 2006-12-29 2013-09-03 Finisar Corporation Transceivers for testing networks and adapting to device changes
US8606191B2 (en) * 2009-03-24 2013-12-10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erminal, radio base station, controller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397028B2 (ja) * 2009-06-05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電波制御装置、電波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波制御方法
US9048907B2 (en) * 2010-03-10 2015-06-02 Alcatel Lucent Method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s
JP5483709B2 (ja) * 2010-03-19 2014-05-0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信号電力測定方法
GB2500927B (en) * 2012-04-05 2014-11-19 Broadcom Corp Antenna using fading conditions to control radiation beam
JP6000631B2 (ja) * 2012-05-10 2016-10-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アンテナ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20714B1 (en) * 2013-03-04 2020-07-21 Ethertronics, Inc. Beam shaping techniques for wideband antenna
US9318799B2 (en) 2013-03-29 2016-04-19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radiation patterns based on fading conditions
WO2016010167A1 (ko) * 2014-07-15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원 할당 방법 및 단말의 신호 처리 방법
US10256877B2 (en) 2017-08-02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beam refinement
US11601172B2 (en) 2018-06-20 2023-03-07 Airsfan Ip Holdco Llc Technique for controlling a beam pattern employed by an antenna apparatus
GB2574853A (en) * 2018-06-20 2019-12-25 Airspan Networks Inc Technique for controlling a beam pattern employed by an antenna apparatus
JP7231828B2 (ja) * 2019-04-26 2023-03-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干渉波演算方法、干渉波演算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284731B2 (ja) * 2020-03-27 2023-05-31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CN115361676B (zh) * 2022-10-19 2023-01-03 天地信息网络研究院(安徽)有限公司 一种基于波束宽度自适应调整的定向自组网邻居发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3A (ja) * 1983-06-15 1985-01-05 Fujitsu Ltd ビ−ム巾可変空中線
WO1986001057A1 (en) * 1984-07-23 1986-02-13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Care Of The Secretar Adaptive antenna array
US6009124A (en) 1997-09-22 1999-12-28 Intel Corporation High data rate communications network employing an adaptive sectored antenna
FI980616A (fi) 1997-11-05 1999-05-0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parantaa radioyhteyden laatua solukkoradioverkossa
JP3718337B2 (ja) * 1998-01-08 2005-11-24 株式会社東芝 適応可変指向性アンテナ
US6289004B1 (en) * 1998-03-12 2001-09-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cancellation of fixed interferers
JPH11266180A (ja) * 1998-03-18 1999-09-28 Fujitsu Ltd 無線基地局のアレーアンテナシステム
US6792290B2 (en) * 1998-09-21 2004-09-14 Ipr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rectional re-scan of an adaptive antenna
US6400317B2 (en) * 1998-09-21 2002-06-04 Tantivy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control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704557B1 (en) 1999-04-22 2004-03-09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receiver from jamming interference
US6453177B1 (en) * 1999-07-14 2002-09-17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Transmitting beam forming in smart antenna array system
JP2001203619A (ja) 2000-01-19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895258B1 (en) * 2000-08-14 2005-05-17 Kathrein-Werke Kg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trategy for data service
US6728554B1 (en) * 2000-09-11 2004-04-27 International Systems, Ll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6694147B1 (en) * 2000-09-15 2004-02-17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a basestation and multiple mobile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0022A1 (en) 2005-04-28
CN1234253C (zh) 2005-12-28
DE60324722D1 (de) 2009-01-02
CN1438810A (zh) 2003-08-27
US20030157897A1 (en) 2003-08-21
EP1337047A2 (en) 2003-08-20
EP1337047B1 (en) 2008-11-19
EP1337047A3 (en) 2004-02-04
KR20030069096A (ko) 2003-08-25
US7046965B2 (en) 2006-05-16
JP2003243921A (ja) 200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595B1 (ko) 안테나의 지향각을 제어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10215B1 (ko) 무선 통신기
ES2375216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la formación de haces en un entorno de interferencias variables.
KR101785953B1 (ko) 무선 통신들에서 채널 추정
AU7481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radio signals
KR100947650B1 (ko) 간섭 억제를 실현하는 빔 성형 방법
KR100426110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020026605A (ko)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7610025B2 (en) Antenna array pattern distortion mitigation
JP2000511370A (ja) セルラ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干渉除去組合せおよびダウンリンク・ビームフォーミング
JP3704493B2 (ja) ツリー型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の送信電力設定方法及び送信電力設定プログラム
CN108141260B (zh) 人工相互耦合的天线阵列
JP2002529984A (ja) 指向性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EP1187254A2 (en) Adaptive antenna control method and adaptive antenna transmission/reception characteristic control method
US7031679B2 (en) Estimating power on spatial channels
JP3370621B2 (ja) 移動通信用基地局アンテナ装置
JP2008306664A (ja) アレーアンテナ装置、アレーアンテナの通信方法、リレー通信システム及びリレー通信方法
JP4253173B2 (ja) 無線装置、送信制御切替方法、および送信制御切替プログラム
US10177835B2 (en)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apparatus for cancelling side lobe between neighboring cells
JP2001053661A (ja) アダプティブアレイ基地局における送受信系調整方法およ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無線装置
JP3337274B2 (ja) 移動通信方式
Armeniakos et al. Angular Distance-Based Performance Analysis of mmWave Cellular Networks
FI103445B (fi) Lähetysmenetelmä ja radiojärjestelmä
JP4778982B2 (ja) 受信装置及び干渉抑圧方法
JP2007027908A (ja) アダプティブアレイアンテナ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