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136B1 - 국수류 스토커 - Google Patents

국수류 스토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136B1
KR100580136B1 KR1020000009993A KR20000009993A KR100580136B1 KR 100580136 B1 KR100580136 B1 KR 100580136B1 KR 1020000009993 A KR1020000009993 A KR 1020000009993A KR 20000009993 A KR20000009993 A KR 20000009993A KR 100580136 B1 KR100580136 B1 KR 100580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sta
hole
noodl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514A (ko
Inventor
니와두타마사
Original Assignee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2Rotary display stands
    • A47F5/025Rotary display stands having mechanical drive, e.g.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수류를 수용하여 보존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량의 국수류를 계량하면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국수류 스토커를 제공한다.
파스타 스토커(11)는 바닥을 가진 타원 통 형상의 용기 본체(12)와, 그 용기 본체(12)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중간 뚜껑(13), 회동 뚜껑(14) 및 상부 뚜껑(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뚜껑(13)에는 좌우 한쌍의 로트부(21)가 설치되고, 각 로트부(21)의 중앙에는 구경이 다른 제 1 인출 구멍(22) 및 제 2 인출구멍(23)이 뚫려져 있다. 이들 인출 구멍(22, 23)과 끼워지는 제 1 감합부 및 제 2 감합부(29)가 돌출된 회동 뚜껑(14)은, 그 기단부의 회전 동작축(26)을 축으로 중간 뚜껑(13)에 축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중간 뚜껑(13)의 좌우 끝부분에는 공간부(25)가 형성되며, 회동 뚜껑(14)의 선단부에는 손가락을 거는 부분(27)이 노치로 형성되어 있다.
인출 구멍, 감합부, 회동 뚜껑, 중간 뚜껑, 회전 동작축

Description

국수류 스토커{Noodle Container}
도 1은 실시예의 파스타 스토커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실시예의 파스타 스토커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2b-2b선을 따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모두 실시예의 파스타 스토커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정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모두 실시예의 파스타 스토커를 사용하고 있는 모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11 : 파스타 스토커 12 : 용기 본체
13 : 중간 뚜껑 14 : 회동 뚜껑
15 : 상부 뚜껑 21 : 로트부
22 : 제 1 인출 구멍 23 : 제 2 인출 구멍
25 : 공간부 27 : 손가락을 거는 부분
28 : 제 1 감합부 29 : 제 2 감합부
31 : 파스타
본 발명은 국수류를 수용하여 보존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량의 국수류를 계량하면서 꺼낼 수 있는 국수류 스토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국수류 스토커로서는, 실개소61-14776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식품용 보존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 식품용 보존용기는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깔때기 형상의 뚜껑을 끼울 수 있게 장착하고, 해당 깔대기 형상 뚜껑의 일부 주변 가장자리벽에는 상부 뚜껑의 단부에 뚫려진 큰 구멍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깔때기구를 형성하고, 큰 구멍과 작은 구멍을 뚫은 상기 상부 뚜껑을 해당 깔대기 형상의 뚜껑의 주변 가장자리벽에 대하여 회전 동작 가능하게 끼워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용기 본체 내에 보존되어 있는 스파게티를 꺼낼 때는 상부 뚜껑을 깔때기 형상 뚜껑의 주변 가장자리벽에 대하여 회전 동작시켜 큰 구멍과 깔때기구를 일치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200g의 스파게티를 계량하면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작은 구멍과 깔때기구를 일치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100g의 스파게티를 계량하면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식품용 보존용기에서는, 정확히 200g의 스파게티를 계량하기 위해서는 상부 뚜껑의 큰 구멍을 회전 동작시켜 깔때기구와 정확하게 일치시킬 필요가 있으며, 조금이라도 어긋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계량할 수 없었다. 그리고, 이 큰 구멍과 깔때기구를 일치시키는 작업은, 대단히 번거로운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국수류를 수용하여 보존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량의 국수류를 계량하면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국수류 스토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국수류 스토커는 바닥을 가진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막대형의 국수류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상부를 끼우고 뺄수 있도록 폐쇄하는 중간 뚜껑 및 상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국수류 스토커로서, 상기 중간 뚜껑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로트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 로트부의 중앙에는 구경이 다른 좌우 한쌍의 인출 구멍을 뚫고, 중간 뚜껑과 상부 뚜껑과의 사이에는 양 인출구멍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판 형상의 회동 뚜껑을 설치하고, 그 회동 뚜껑의 각 면에는 상기 인출 구멍과 끼워지는 감합부를 설치하고, 회동 뚜껑을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켜 한쪽의 인출구멍과 끼움으로써, 그 인출 구멍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국수류 스토커는,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 뚜껑의 좌우 단부를 오목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공간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동 뚜껑의 선단부에 손가락을 거는 부분을 노치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국수류 스토커로서의 파스타 스토커(11)는 합성 수지로 바닥을 가진 타원 통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12)와, 그 용기 본체(12)의 상부 개구부를 끼우고 뺄 수 있도록 폐쇄하는 중간 뚜껑(13), 회동 뚜껑(14) 및 상부 뚜껑(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파스타 스토커(11)는 시판되는 파스타(31)의 평균적인 길이에 상당하는 높이로 형성됨과 동시에, 수 인분 내지 십수 인분의 파스타(31; 예를 들면, 1kg의 파스타)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갖고 있고, 시판되는 파스타(31)를 대량으로 구입하여 보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2)의 측벽(16)은 상부로 갈수록 약간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2)의 상부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결합홈(17)이 가로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뚫려져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뚜껑(13)은 합성 수지에 의해 거의 타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저벽(18)과, 그 저벽(18)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진 내측벽(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내측벽(19)의 외주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약간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용기 본체(12) 상부의 측벽(16) 내주면에 밀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내측벽(19)의 상부에는 결합 돌출부(20)가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돌출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12)의 결합홈(17)과 결합·이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중간 뚜껑(13)이 용기 본체(12)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벽(18)의 좌우 위치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로트부(21)가 설치되어 있다. 각 로트부(21)의 중앙에는, 구경이 다른 제 1 인출 구멍(22) 및 제 2 인출구멍(23)이 모두 원형 구멍 형상으로 뚫려져 있다. 상기 제 1 인출 구멍(22)은 예를 들면, 100g의 파스타(31)를 묶었을 때의 단면적에 상당하며, 통상의 1인분의 식사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2 인출 구멍(23)은 예를 들면, 200g의 파스타(31)를 묶었을 때의 단면적에 상당하여, 통상의 2인분의 식사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뚜껑(13)의 중앙에 위치하는 내측벽(19)에는, 대향하는 한쌍의 베어링 구멍(24)이 원형 구멍 형상으로 뚫려져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베어링 구멍(24)은 상기 제 1 인출 구멍(22) 및 제 2 인출 구멍(23)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면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뚜껑(13)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 로트부(21)의 한측면과 내측벽(19)의 내주면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동시에,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는 공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뚜껑(14)은 합성 수지로 거의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 뚜껑(13)의 상부 반면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동 뚜껑(14)의 기단부 양측에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회동축(26)이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중간 뚜껑(13)의 베어링 구멍(24)내에 삽입됨으로써, 회동 뚜껑(14)이 중간 뚜껑(13)에 축결합되고, 회동축(26)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회동 뚜껑(14)의 선단부는 원호 형상으로 절단되어 손가락(32)을 걸기 위한 손가락을 거는 부분(27)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뚜껑(14)의 좌우 각 면에는 지름이 다른 제 1 감합부(28) 및 제 2 감합부(29)가 원통 형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인출 구멍(22)측으로 회전 동작된 회동 뚜껑(14)의 제 1 감합부(28)는, 중간 뚜껑(13)의 제 1 인출 구멍(22) 내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인출구멍(23)측으로 회전 동작된 회동 뚜껑(14)의 제 2 감합부(29)는 중간 뚜껑(13)의 제 2 인출 구멍(23) 내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뚜껑(15)은 합성 수지에 의해 타원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용기 본체(12)의 측벽(16)의 상단 가장자리에 끼우고 뺄수 있도록 끼워지고, 용기 본체(12)의 상부 개구부 전체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스타 스토커(11)의 작용에 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파스타 스토커(11)를 사용하여, 소정량의 파스타(31)를 계량하면서 꺼내는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2)와 중간 뚜껑(13)을 분리한다. 계속해서, 용기 본체(12)내에 수인분 내지 십수인분의 파스타(31)를 삽입한 후, 회동 뚜껑(14)이 장착된 중간 뚜껑(13)을 용기 본체(12)의 상부 개구부 내부에 끼운다. 다음에, 필요하면 회동 뚜껑(14)을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키고, 제 1 인출 구멍(22) 또는 제 2 인출 구멍(23)을 회동 뚜껑(14)에 의해서 폐쇄한 상태가 되게 한다.
이 때, 도 3a에 도시하는 제 1 인출 구멍(22)을 폐쇄한 상태의 회동 뚜껑(14)을 180°회전 동작시켜, 도 3b에 도시하는 제 2 인출구멍(23)을 폐쇄한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하기와 같이 하면 된다. 먼저, 도 3a에 도시하는 회동 뚜껑(14)의 손가락을 거는 부분(27) 및 중간 뚜껑(13)의 공간부(25)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손가락(32)을 삽입하고, 그 손가락(32)으로 손가락을 거는 부분(27)을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회동 뚜껑(14)의 제 1 감합부(28)와 중간 뚜껑(13)의 제 1 인출 구멍(22)과의 감합 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에, 회동 뚜껑(14)을 180°회전 동작시킨 후에 아래쪽으로 가압함으로써,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뚜껑(14)의 제 2 감합부(29)가 중간 뚜껑(13)의 제 2 인출 구멍(23) 내부에 끼워지고, 제 2 인출 구멍 (23)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하는 제 2 인출 구멍(23)을 폐쇄한 상태의 회동 뚜껑(14)을 180°회전 동작시켜 도 3a에 도시하는 제 1 인출 구멍(22)을 폐쇄한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하기와 같이 하면 된다. 먼저, 도 3b에 도시하는 회동 뚜껑(14)의 손가락을 거는 부분(27) 및 중간 뚜껑(13)의 공간부(25)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손가락(32)을 삽입하여, 그 손가락(32)으로 손가락을 거는 부분(27)을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회동축(14)의 제 2 감합부(29)와 중간 뚜껑(13)의 제 2 인출 구멍(23)과의 감합 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에, 상기의 경우와 같이, 회동 뚜껑(14)을 180° 회전 동작시킨 후에 아래 쪽으로 가압하고, 제 1 인출 구멍(22)을 폐쇄한다.
2인분의 파스타(31)를 계량하면서 꺼내는 경우에는, 먼저, 도 4a에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뚜껑(14)에 의해 제 1 인출 구멍(22)을 폐쇄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2)의 제 2 인출 구멍(23)측의 측벽(16) 및 제 2 인출 구멍(23)을 아래쪽으로 기울여 유지한다. 이 때, 용기 본체(12)내의 파스타(31)는 용기 본체(12)의 제 2 인출 구멍(23)측에 밀집됨과 동시에, 제 2 인출 구멍(23)측의 로트부(21)를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고, 제 2 인출 구멍(23) 부근에서 밀집한다.
계속해서, 필요하면 진동을 가하면서, 제 2 인출 구멍(23)을 더욱 아래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제 2 인출 구멍(23)내에 밀집된 파스타(31)는 그 제 2 인출 구멍(23)을 통하여 외부로 튀어나온다. 그 외부에 튀어나온 파스타(31)를 손으로 받아냄으로써, 통상의 2인분(약 200g)의 파스타(31)를 계량하면서 꺼낼 수 있다.
한편, 1인분의 파스타(31)를 계량하면서 꺼내는 경우에는, 먼저, 도 4b에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뚜껑(14)에 의해 제 2 인출 구멍(23)을 폐쇄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2)내의 제 1 인출 구멍(22)측의 측벽(16) 및 제 1 인출 구멍(22)을 하방으로 기울여 유지한다. 계속해서, 필요하면 진동을 가하면서, 제 1 인출 구멍(22)을 더욱 하방으로 기울임으로써, 상기의 경우와 같이, 통상의 1인분(약 100g)의 파스타(31)를 계량하면서 꺼낼 수 있다.
또한, 3인분 이상의 파스타(31)를 꺼내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계량하면서 집어낸 1인분 및 2인분의 파스타(31)를 적절히 조합시킴에 따라 계량할 수 있다.
이 파스타 스토커(11)내에서 파스타(31)를 보존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2) 상부의 소정 위치에 중간 뚜껑(13) 및 회동 뚜껑(14)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부 뚜껑(15)을 용기 본체(12)의 상단 가장자리와 끼운다. 이렇게 하여 파스타(31)를 보존하는 경우에는, 습기나 먼지 등의 혼입 및 파스타(31)의 불규칙한 절단을 방지하면서, 필요할 때에 필요한 분량의 파스타(31)를 꺼내어 먹을 수 있다.
상술한 파스타 스토커(11)에 의해서 얻어지는 효과를 하기에 기재한다.
실시예의 파스타 스토커(11)는 중간 뚜껑(13)에 구경이 다른 제 1 인출 구멍(22) 및 제 2 인출 구멍(23)이 뚫려져 있는 데다가, 회전 동작축(26)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회동 뚜껑(14)을 축결합하고, 상기 인출 구멍(22, 23)을 회동 뚜껑(14)에 의해서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회동 뚜껑(14)을 회전 동작시켜 제 1 인출 구멍(22) 또는 제 2 인출 구멍(23)의 어느 한쪽을 폐쇄함으로써, 제 2 인출 구멍(23) 또는 제 1 인출 구멍(22)으로부터 200g 또는 100g의 소정량의 파스타(31)를 매우 용이하게 계량하면서 꺼낼 수 있다.
또한, 이 파스타 스토커(11)는 바닥을 가진 타원 통 형상의 용기 본체(12)내에, 대량의 파스타(31)를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 뚜껑(15)에 의해서 용기 본체(12)의 상부 개구부 전체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파스타 스토커(11)내에 파스타(31)를 수용하여 보존할 수 있는 데다가, 습기나 먼지 등의 혼입 및 파스타(31)의 불규칙한 절단을 방지하면서, 필요할 때에 필요한 분량의 파 스타(31)를 꺼내어 먹을 수 있다.
중간 뚜껑(13)의 좌우 단부에 공간부(25)가 형성되어 있는 데다가, 회동 뚜껑(14)의 선단부에 손가락을 거는 부분로부터, 중간 뚜껑(13)의 제 1 인출 구멍(22) 또는 제 2 인출 구멍(23)과, 회동 뚜껑(14)과의 감합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량의 파스타(31)를 한층 더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실시예의 파스타 스토커(11)는, 제 1 인출구멍(22)의 상단 가장자리, 제 2 인출 구멍(23)의 상단 가장자리 및 회동 뚜껑(14)의 회전 동작축(26)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면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인출 구멍(22) 또는 제 2 인출 구멍(23)과, 회동 뚜껑(14)을 끼웠을 때, 제 1 감합부(28)와 제 1 인출 구멍(22), 또는 제 2 감합부(29)와 제 2 인출 구멍(23)이 용이하고 또한 안정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회동 뚜껑(14)에 의한 인출 구멍(22, 23)의 폐쇄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용기 본체(12)가 바닥을 가진 타원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스타 스토커(11)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용기 본체(12)의 끝부분에 파스타(31)를 용이하게 밀집시킬 수 있고, 1인분 또는 2인분의 파스타(31)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히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고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 본체(12)를 바닥을 가진 직사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중간 뚜껑(13)및 상부 뚜껑(15)을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회동 뚜껑(14)을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파스타 스토커(11)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용기 본체(12)의 끝부에 파스타(31)를 용이하게 밀집시킬 수 있고, 1인분 또는 2인분의 파스타(31)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히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본체(12)를 바닥을 가진 직사각 통 형상, 바닥을 가진 육각 통 형상, 바닥을 가진 팔각 통 형상 등의 바닥을 가진 다각 통 형상 또는 바닥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중간 뚜껑(13), 회동 뚜껑(14) 및 상부 뚜껑(15)을 용기 본체(12)의 형상에 대응시켜서 형성한다. 또, 용기 본체(12)를 바닥을 가진 직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회동 뚜껑(14)을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삭제
제 1 인출 구멍(22)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파스타(31)의 분량은 100g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아이, 여성, 장년층 또는 남성 1 인분의 식사량 상당으로 함과 동시에, 제 2 인출 구멍(23)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파스타(31)의 분량은 200g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아이, 여성, 장년층 또는 남성 2인분의 식사량에 상당하게 한다.
제 1 인출 구멍(22) 및 제 2 인출 구멍(23)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파스타(31)의 분량은, 1인분 및 2인분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0.5인분, 1.5인분, 2.5인분, 3인분 등의 임의의 분량으로도 좋다.
제 1 인출 구멍(22) 및 제 2 인출 구멍(23)을 예를 들면, 삼각 구멍 형상, 사각 구멍 형상, 육각 구멍 형상, 팔각 구멍 형상 등의 다각 구멍 형상 또는 타원 구멍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 1 감합부(28) 및 제 2 감합부(29)를 그 인출 구멍(22, 23)의 형상에 대응시켜서 형성한다.
제 1 감합부(28) 및 제 2 감합부(29)를 각각 제 1 인출 구멍(22) 및 제 2 인출 구멍(23) 내부에 끼워지도록 원주 형상으로 형성한다.
제 1 감합부(28) 및 제 2 감합부(29)를 각각 제 1 인출 구멍(22) 및 제 2 인출 구멍(23) 외부에 끼워지도록 형성한다.
손가락을 거는 부분(27)을 생략함과 동시에, 회동 뚜껑(14)의 선단부에 제 2 감합부(29)가 설치되도록, 회동 뚜껑(14)을 짧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회동 뚜껑(14)의 선단부와 중간 뚜껑(13)의 내측벽(19)과의 사이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공간부(25)에 손가락(32)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회동 뚜껑(14)의 선단부에 손가락을 거는 부분(27)을 노치로 형성하는 대신에, 회동 뚜껑(14)의 선단부 각 면에 손끝에서 끼울 수 있는 한쌍의 협지편을 돌출 설치한다.
손가락을 거는 부분(27)을 생략하여 구성한다.
국수류 스토커로서의 파스타 스토커(11)내에, 예를 들면, 메밀국수, 우동, 소면, 냉국수, 키시멘(납작국수), 마카로니 등의 건면을 수용하여 보존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파스타 스토커(11)의 용도를 확대할 수 있다.
중간 뚜껑(13)의 로트부(21)를 생략하여,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저벽(18)에 제 1 인출구멍(22) 및 제 2 인출 구멍(23)을 뚫는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파스타(31)를 수용하여 보존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량의 파스타(31)를 계량하면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1) 상기 회동 뚜껑과 인출 구멍을 감합시켰을 때, 회동 뚜껑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한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국수류 스토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회동 뚜껑과 인출 구멍을 용이하고 또한 안정하게 끼울 수 있다.
(2) 상기 용기 본체를 바닥을 가진 타원 통 형상 또는 바닥을 가진 직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한 청구범위 제 1 항, 청구범위 제 2 항 및 상기 (1)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국수류 스토커.
(3) 바닥을 가진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막대 형상의 국수류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상부를 끼우고 뺄수 있도록 폐쇄하는 중간 뚜껑 및 상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국수류 스토커로서, 상기 중간 뚜껑에는 구경이 다른 좌우 한쌍의 인출구멍을 뚫고, 중간 뚜껑과 상부 뚜껑과의 사이에는 양 인출 구멍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판 형상의 회동 뚜껑을 설치하고, 그 회동 뚜껑의 각 면에는 상기 인출 구멍과 감합하는 감합부를 설치하고, 회동 뚜껑을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켜 한쪽의 인출구멍과 끼움으로써, 그 인출 구멍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국수류 스토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국수류를 수용하여 보존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량의 국수류를 계량하면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국수류 스토커에 의하면, 국수류를 수용하여 보존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량의 국수류를 계량하면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국수류 스토커에 의하면,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소정량의 국수류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Claims (2)

  1. 바닥을 가진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막대형상의 국수류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상부를 끼우고 뺄수 있게 폐쇄하는 중간 뚜껑 및 상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국수류 스토커에 있어서,
    상기 중간 뚜껑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로트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 로트부의 중앙에는 구경이 다른 좌우 한쌍의 인출 구멍을 천공하고, 중간 뚜껑과 상부 뚜껑의 사이에는 양 인출구멍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판 형상의 회동 뚜껑을 설치하고, 그 회동 뚜껑의 각 면에는 상기 인출구멍과 끼워지는 감합부를 설치하며, 회동 뚜껑을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켜 한쪽의 인출 구멍과 끼움으로써, 그 인출 구멍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국수류 스토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뚜껑의 좌우 단부를 오목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공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회동 뚜껑의 선단부에 노치로 손가락을 거는 부분을 형성한 국수류 스토커.
KR1020000009993A 1999-07-14 2000-02-29 국수류 스토커 KR100580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299A JP4137298B2 (ja) 1999-07-14 1999-07-14 麺類ストッカー
JP99-200702 1999-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14A KR20010014514A (ko) 2001-02-26
KR100580136B1 true KR100580136B1 (ko) 2006-05-16

Family

ID=1642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993A KR100580136B1 (ko) 1999-07-14 2000-02-29 국수류 스토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37298B2 (ko)
KR (1) KR100580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85B1 (ko) * 2019-12-20 2021-06-04 임기순 면류 보관용기용 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446A (ja) * 2004-12-24 2006-07-13 Sanada Seiko Kk パスタ用の容器
JP5746609B2 (ja) * 2011-12-21 2015-07-08 株式会社日清製粉グループ本社 乾麺用計量器および乾麺収納容器
KR101455190B1 (ko) * 2012-09-06 2014-10-31 문혜진 계량부가 구비된 면 보관용기
US9944439B2 (en) * 2014-03-06 2018-04-17 Helen Of Troy Limited Container lid
CN104229324A (zh) * 2014-09-25 2014-12-24 王云楼 一种挂面计量收纳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961A (ja) * 1981-12-18 1983-07-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小出し孔と大出し孔を有する振出し用容器蓋
JPS61147768U (ko) * 1985-03-07 1986-09-11
JPH0811915A (ja) * 1994-06-24 1996-01-16 Toppan Printing Co Ltd 振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H09124066A (ja) * 1995-10-31 1997-05-13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収納容器
JPH1014653A (ja) * 1996-07-05 1998-01-20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容器
KR19980081031A (ko) * 1997-04-03 1998-11-25 존에이도닝거 분배용 밀봉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961A (ja) * 1981-12-18 1983-07-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小出し孔と大出し孔を有する振出し用容器蓋
JPS61147768U (ko) * 1985-03-07 1986-09-11
JPH0811915A (ja) * 1994-06-24 1996-01-16 Toppan Printing Co Ltd 振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H09124066A (ja) * 1995-10-31 1997-05-13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収納容器
JPH1014653A (ja) * 1996-07-05 1998-01-20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容器
KR19980081031A (ko) * 1997-04-03 1998-11-25 존에이도닝거 분배용 밀봉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85B1 (ko) * 2019-12-20 2021-06-04 임기순 면류 보관용기용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14A (ko) 2001-02-26
JP2001031162A (ja) 2001-02-06
JP4137298B2 (ja)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9891A (en) Nursing bottle
KR100580136B1 (ko) 국수류 스토커
CN206491653U (zh) 一种手柄可折叠的锅具
US5887719A (en) Medication storage and serving tray device
JP5308793B2 (ja) 計量キャップ付容器
KR102313617B1 (ko) 수저 한 벌 자동공급장치
KR200464060Y1 (ko) 이쑤시개와 꽂이 및 면봉용 멀티 수납케이스
KR102120407B1 (ko) 조미료 용기용 뚜껑
CN214483576U (zh) 一种具有定量取药功能的失智失能老人用药箱
CN107364648A (zh) 一种带有夹壁的木质包装盒
JP2001048261A (ja) 麺類ストッカー
CN215922849U (zh) 一种可折叠存放的药盒
JP2011073685A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KR101621756B1 (ko)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JP3909198B2 (ja) 繰り出し容器
KR200316556Y1 (ko) 분말용 용기
JPH0346655Y2 (ko)
KR900009500Y1 (ko) 조미료 용기
JPH0720046Y2 (ja) クリーム状物収納容器
KR800001700Y1 (ko) 뚜껑을 대소용기에 겸용할 수 있는 코펠
JPS6036198Y2 (ja) 棒状化粧品容器
JPS6241702Y2 (ko)
US1602999A (en) Toothpick holder
JPH0310896Y2 (ko)
JPH02341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