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993B1 - 진동모터의 회전자 - Google Patents

진동모터의 회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993B1
KR100578993B1 KR1019990045237A KR19990045237A KR100578993B1 KR 100578993 B1 KR100578993 B1 KR 100578993B1 KR 1019990045237 A KR1019990045237 A KR 1019990045237A KR 19990045237 A KR19990045237 A KR 19990045237A KR 100578993 B1 KR100578993 B1 KR 10057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oncave portion
rotation
vibration moto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608A (ko
Inventor
안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99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회전자에 관한 것으로, 회전자와 지지축을 일체성형하고, 고정자인 상/하측케이스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회전자의 상/하 부분에 볼을 삽입시켜 회전자의 회전시 지지축과의 마찰에 의한 회전력 손실을 없애기 위한 진동모터의 회전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모터의 회전자는, 하측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마그네트와 회전자를 씌우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중앙부에 회전자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의 제 1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3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의 제 2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4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3 오목부 사이와, 제 2 오목부와 제 4 오목부 사이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시 회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각각 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회전자의 상하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볼을 삽입하기 때문에 회전자가 회전할 때 볼 접촉에 의한 회전에 의해 회전력의 손실이 적어지게 되어 전류값이 안정화되고, 또 회전축을 회전자에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의 스토퍼 및 워셔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되어 작업 공정수의 단축과 원가절감에 있어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회전자, 회전축, 마그네트, 볼

Description

진동모터의 회전자{ROTOR OF VIBRATION MOTOR}
도 1은 종래의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측케이스 12 : 제 3 오목부
22 : 제 4 오목부 32 : 제 1 오목부
34 : 제 2 오목부 20 : 하측케이스
30 : 회전자 36 : 회전축
40 : 지지축 50 : 마그네트
60 : 워셔 70 : 스토퍼
80 : 볼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회전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회전자와 지지축을 일체성형하고 고정자인 상/하측케이스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회전자의 상/하 부분에 볼을 삽입시켜 회전자의 회전시 지지축과의 마찰에 의한 회전력 손실을 없 애기 위한 진동모터의 회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모터는 호출기나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호출음이나 전화기 신호음을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도 진동으로 호출 상황이나 전화 수신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20)의 상부에 영구자석인 마그네트(50)가 장착된 중심부에 지지축(40)이 삽입되며,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자(30)가 상기 지지축(40)에 압입된다. 상기 회전자(30)의 회전시 발생되는 지지축(4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지지축(40)과 상하로 인접하는 사이에 워셔(60)가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자(30)의 회전시 상측케이스(1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축(40)에 스토퍼(70)가 삽입되며, 그 상부에 상측케이스(10)가 안착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진동모터의 회전자에 있어서는, 회전자가 회전시 지지축 및 워셔, 스토퍼와의 마찰에 의하여 회전력의 손실이 발생하여 전류값이 상승하고 마찰열에 의한 회전자의 회전이 방해되며, 작업 공정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자와 지지축 을 일체로 성형하고, 고정자인 상/하측케이스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회전자의 상/하 부분에 볼을 삽입시킴으로서 회전자의 회전시 지지축과의 마찰에 의한 회전력 손실을 없애고, 작업공정수를 줄이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회전자는, 하측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마그네트와 회전자를 씌우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중앙부에 회전자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의 제 1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3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의 제 2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4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3 오목부 사이와, 제 2 오목부와 제 4 오목부 사이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시 회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각각 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회전자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2에 있어서, 도 1과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회전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하측케 이스(20)상면에 영구자석인 마그네트(50)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회전자(30)가 설치되며, 그 위에 상측 케이스(10)를 씌워 구성한다. 상기 회전자(30)는 그 중심부가 지지축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회전축(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 케이스(10)와 하측 케이스(20)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자(30)의 회전축(36)의 중앙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볼(8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라운딩된 제 1, 제 2 오목부(32,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6)과 대응하는 상측 케이스(10)와 하측 케이스(20) 위치에는 상기 제 1, 제 2 오목부(32,34)에 대응하여 볼(8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라운딩된 제 3, 제4 오목부(12,22)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모터의 회전자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36)이 회전자(30)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하측케이스(10,20)에 각각 형성된 제 3, 제 4 오목부(12,22)와 이에 대응하는 회전축(30)의 제 1, 제 2 오목부(32,34)에 볼(80)이 삽입되므로, 케이스(10,20)와의 볼(80) 접촉에 의해 회전자(30)가 회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회전자에 의하면, 회전자의 상하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볼을 삽입하기 때문에 회전자가 회전할 때 볼 접촉에 의한 회전에 의해 회전력의 손실이 적어지게 되어 전류값이 안정화되고, 또 회전축을 회전자에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의 스토퍼 및 워셔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되어 작업 공정수의 단축과 원가절감에 있어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하측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마그네트와 회전자를 씌우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중앙부에 회전자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의 제 1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3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의 제 2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4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3 오목부 사이와, 제 2 오목부와 제 4 오목부 사이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시 회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각각 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회전자.
KR1019990045237A 1999-10-19 1999-10-19 진동모터의 회전자 KR10057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237A KR100578993B1 (ko) 1999-10-19 1999-10-19 진동모터의 회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237A KR100578993B1 (ko) 1999-10-19 1999-10-19 진동모터의 회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608A KR20010037608A (ko) 2001-05-15
KR100578993B1 true KR100578993B1 (ko) 2006-05-12

Family

ID=1961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237A KR100578993B1 (ko) 1999-10-19 1999-10-19 진동모터의 회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631B1 (ko) * 2001-07-18 2003-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WO2007040274A1 (ja) * 2005-10-06 2007-04-12 Seiko Precision Inc. 電磁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608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811B1 (ko) 진동모터
JPS5981254U (ja) 回転電機の軸受電蝕防止用接地装置
KR100578993B1 (ko) 진동모터의 회전자
US6710493B2 (en) Dynamo-electric machine having tapered magnets secured to yoke
JP2000341909A (ja) 一軸受型永久磁石電動機及び一軸受型ファンモータ
KR100302680B1 (ko) 진동모터
JP3624321B2 (ja) 電動機の回転子
JPH08256464A (ja) ホルダー一体型ステータコアを有するブラシレスモーター
KR100689088B1 (ko) 스핀들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KR100519812B1 (ko) 편심 중량 마그네트를 갖는 브러쉬리스 진동모터
KR200144413Y1 (ko)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
KR100226407B1 (ko) 가전용 모터의 로터
KR200229629Y1 (ko) 모터용 정류자
KR100234745B1 (ko) 전동기의 회전자
KR20000002777U (ko) 모터에서의 누유 방지구조
KR0163562B1 (ko) 브러시레스 모터의 회전자
KR100659246B1 (ko) 모터하우징
JPH05209615A (ja) 軸受保持装置
KR930002196Y1 (ko) 베어링 지지체
JPS6029327Y2 (ja) 直流直結型モ−タ
JP2000092804A (ja) 振動を大にした超小型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H0511763U (ja) 低騒音モータ
JPH1175342A (ja) 重心の移動を大にし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H03107346A (ja) モールドモータ
KR960006203A (ko) 마그네트 회전형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