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451B1 -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451B1
KR100578451B1 KR1020040067067A KR20040067067A KR100578451B1 KR 100578451 B1 KR100578451 B1 KR 100578451B1 KR 1020040067067 A KR1020040067067 A KR 1020040067067A KR 20040067067 A KR20040067067 A KR 20040067067A KR 100578451 B1 KR100578451 B1 KR 10057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sion
substation
circulating
circulating curren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597A (ko
Inventor
정병태
안복신
윤영길
Original Assignee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45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전기철도의 급전계통에서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장점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구분소에 설치된 보조 슬레이브장치와 구분소에 설치된 주 슬레이브장치 및 변전소에 설치된 마스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및 구분소에는 단권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철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및 구분소의 단권변압기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검출하는 순환전류 검출수단; 및 급전계통에 지락에 의한 고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순환전류 검출수단에게 순환전류 검출을 명령하여 상기 순환전류 검출수단으로부터 순환전류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순환전류들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들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점 위치를 검출하는 고장점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교류, 전기철도, 순환전류, 지락, 임피던스

Description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 및 장치{A fault loc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electric railwa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되는 전기철도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보조 슬레이브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주 슬레이브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마스터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된 폐루프 임피던스 추정 표정 알고리즘 모델,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6a의 S26을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조 슬레이브장치 20 : 주 슬레이브장치
30 : 마스터장치 40 : 보호계전기
50 : 차단기 10-1, 20-1 : 변류부
10-2, 20-2, 30-5 : 제어부 10-3, 20-3 : 디지털신호 입출력부
10-4, 20-4, 30-6 : 조작 표시부 10-5, 20-5, 30-7 : 전원 공급부
30-1 : 디지털신호 수신부 30-2 : 변성/변류부
30-3 : 시리얼신호 입출력부 30-4 : 신호 처리부
본 발명은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권변압기에 의한 교류전기철도 급전계통에서 지락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고장점의 위치를 전기량에 의해 찾을 수 있도록 한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철도에서는 가공전선과 레일(Rail)을 전력의 전송로로 사용하여 차량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전력을 차량에 공급하는 것을 급전이라고 하는데, 공급하는 전력의 형태에 따라 크게 직류 급전방식과 교류 급전방식으로 구분된다.
직류 급전방식은 일반 전력 계통으로부터 수전하는 특별고압(22.9㎸, 154㎸ 등)의 교류전기를 철도용 변전소 변압기에서 직류(1500V 등)로 변환하여 전차선로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며, 교류 급전방식은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 수전하는 상용주파수 전기(3Φ)를 단상변압기 또는 3상/2상 변환장치에 의해 전차선로에 단상교류전기를 공급하여 운전하는 방식이다.
교류 급전방식은 급전방식, 주파수방식, 전압방식 및 전기차량 방식별에 의하여 분류할 수 있으나, 크게 급전방식에 따라 직접 방식, 흡상변압기(Booster Transformer)방식, 단권변압기(AT)방식으로 분류된다.
직접 급전방식은 가장 간단한 급전회로로서 전차선로 구성을 트롤리(Trolley)와 레일(Rail)만으로 된 것과 레일(Rail)과 병렬로 별도의 귀선을 설치한 2가지 방식이 있다. 흡상변압기(Booster Transformer; BT) 급전방식은 권선비 1:1의 특수변압기를 약 4㎞마다 설치하여 트롤리(Trolley)에 부스터 섹션을 설치하고 흡상변압기(BT)의 1차측 및 2차측을 트롤리(Trolley)와 피더(Feeder)에 각각 직렬로 접속하고, 흡상변압기와 흡상변압기 사이는 중간점에서 레일(Rail)과 피더(Feeder)를 흡상선으로 접속하여 레일(Rail)에서 대지에 누설되는 전기차 귀선전류를 흡상변압기(BT)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피더(Feeder)에 흡상시켜 통신선로의 유도장애를 경감하는 방식이다. 단권변압기(AT) 급전방식은 권수비가 1:1 혹은 1:2인 단권변압기를 사용하여 피더(Feeder)를 선로를 따라 가선하여 이 피더(Feeder)와 트롤리(Trolley)와의 사이에 약 10㎞ 간격으로 단권변압기를 병렬로 설치 접속하여 변압기 권선의 중성점을 레일(Rail)에 접속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철도시스템의 교류 급전방식에 있어서는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사이, 보조 구분소와 보조 구분소 사이, 보조 구분소와 구분소 사이의 거리가 약 10km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는데도 불구하고, 전기철도시스템의 고장 발생시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사이, 보조 구분소와 보조 구분소 사이, 보조 구분소와 구분소 사이 등으로 대략적인 고장 위치를 판정하기 때문에 복구에 많은 인력과 시간 등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02년 11월 8일자로, 전기철도시스템의 고장 발생시 변전소의 급전 전류 및 변전소, 다수의 보조구분소, 및 구분소 에서 발생된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를 검출하여 고장 형태를 판단한 후 판단된 고장형태에 따라 정확한 고장위치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복구를 위해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많은 인력 및 시간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명칭 : 전기철도시스템의 고장점 표정방법) 및 장치(명칭 : 전기철도시스템의 고장점 표정장치)를 출원하여, 각각 등록받았습니다.
상기한 전기철도시스템의 고장점 표정방법(등록번호 : 10-0384815호) 및 전기철도시스템의 고장점 표정장치(등록번호 : 10-0384816호)에 의하면, 흡상전류의 크기를 기준으로 고장구간을 찾고 고장구간 양단의 흡상전류의 비를 이용하여 고장점을 찾는 방식이다.
그런데, 흡상전류에 고장이외의 요인에 의해 유입되는 성분 (예건대, 누설전류)가 포함되는 경우, 고장이 없는 구간의 흡상전류가 고장구간의 흡상전류보다 클 수가 있고, 이로 인해 표정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류 전기철도의 급전계통에서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장점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류 전기철도의 급전계통에서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장점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구분소에 설치된 보조 슬레이브장치와 구분소에 설치된 주 슬레이브장치 및 변전소에 설치된 마스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및 구분소에는 단권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철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및 구분소의 단권변압기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검출하는 순환전류 검출수단; 및 급전계통에 지락에 의한 고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순환전류 검출수단에게 순환전류 검출을 명령하여 상기 순환전류 검출수단으로부터 순환전류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순환전류들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들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점 위치를 검출하는 고장점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구분소에 설치된 보조 슬레이브장치와 구분소에 설치된 주 슬레이브장치 및 변전소에 설치된 마스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및 구분소에는 단권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철도시스템에 있어서,
급전계통에 지락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변전소의 단권변압기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에게로 해당하는 단권변압기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요청하는 제 1과정; 및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에서의 단권변압기 순환전류가 상기 마스터장치에게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검출된 변전소의 단권변압기 순환전류와 상기 입력된 보조구분소 및 구분소의 단권변압기 순환전류 및 상기 순환전류들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들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점 위치를 검출하는 제 2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되는 전기철도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다수의 보조구분소(미도시)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보조 슬레이브장치(10a∼10n)(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조 슬레이브장치(10)로 약칭함); 구분소(미도시)에 설치된 주 슬레이브장치(20); 변전소(미도시)에 설치된 마스터장치(30); 보호계전기(40); 및 차단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10)는 상기 마스터장치(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 및 순환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전송한다.
상기 주 슬레이브장치(20)는 상기 마스터장치(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 및 순환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전송한다.
상기 마스터장치(30)는 상기 변전소에 설치되며, 변전소에서 발생된 급전 전 압 및 급전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10)와 주 슬레이브장치(2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기철도시스템의 상태표시용 데이터를 취득하여 전기철도시스템의 상태를 표시 및 기록한다.
상기 마스터장치(30)는 급전계통에 지락 등에 의한 고장 발생시 상기 보호계전기(40)로부터 인가되는 트립신호에 따라 상기 변전소의 단권변압기(AT)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에게로 해당하는 단권변압기(AT)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각각 요청한 후,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와 상기 검출된 변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 및 상기 순환전류들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들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점 위치를 검출한 후에 표정한다.
즉, 상기 마스터장치(30)는 고장점 위치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에서 구분소까지 소정거리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각 폐루프의 구동전압간의 차의 제곱들의 합을 구한 후에 그 구해진 각 지점에서의 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지점을 고장점 위치로 결정한다.
상기 보호계전기(40)는 전기철도시스템에 고장 발생시 차단기(50)를 차단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단기(50)는 상기 보호계전기(40)로부터 출력된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변전소내 급전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보조 슬레이브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변류부(10-1)와, 제어부(10-2)와, 디지털신호 입출력부(10-3)와, 조작 표시부(10- 4)와, 전원 공급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류부(10-1)는 상기 보조 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마스터장치(30)로부터의 순환전류 요청에 따라 상기 변류부(10-1)에서 검출된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로부터 순환전류를 계산하여 신호처리하게 된다. 권수비가 1:1인 단권변압기에서 순환전류는 흡상전류의 절반이 된다.
상기 디지털신호 입출력부(10-3)는 상기 제어부(10-2)에서 신호처리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조작 표시부(10-4)는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거나 검출된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0-5)는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10)에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주 슬레이브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변류부(20-1)와, 제어부(20-2)와, 디지털신호 입출력부(20-3)와, 조작 표시부(20-4)와, 전원 공급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류부(20-1)는 상기 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를 검출하게 된 다.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마스터장치(20)로부터의 순환전류 요청에 따라 상기 변류부(20-1)에서 검출된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로부터 순환전류를 구하여 신호처리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신호 입출력부(20-3)는 상기 제어부(20-2)에서 신호처리된 순환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마스터장치(3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조작 표시부(20-4)는 상기 주 슬레이브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거나 검출된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0-5)는 상기 주 슬레이브장치(20)에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도 2와 도 3의 보조 슬레이브장치(10)와 주 슬레이브장치(20)는 동일한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10)는 전류 2채널만 있고 예비 채널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주 슬레이브장치(20)는 변전소의 유지 보수나 고장 등으로 급전할 수 없을 때 인접 변전소에서 급전하는 연장 급전을 고려하여 전류 2채널이 예비로 갖춰져 있으며, 연장급전시 보호계전기(40)의 트립신호와 단로기(도시 생략)의 접점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마스터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지털신호 수신부(30-1)와, 변성/변류부(30-2)와, 시리얼신호 입출력부(30-3)와, 신호 처리부(30-4)와, 제어부(30-5)와, 조작 표시부(30-6)와, 전원 공급부(3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부(30-1)는 상기 보호계전기(40)로부터의 트립신호 또는 테스트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변성/변류부(30-2)는 상기 변전소내 단권변압기의 급전 전류, 급전 전압, 및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시리얼신호 입출력부(30-3)는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로부터 각각 출력된 순환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신호 처리부(30-4)에서 신호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에게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신호 처리부(30-4)는 상기 제어부(30-5)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변성/변류부(30-2)에서 검출된 급전 전류, 급전 전압, 및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와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부(30-1)를 통해 수신된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 각각의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에 따라 현재 전기철도시스템의 상태를 판정하고, 고장발생시 고장 형태를 판정한 후 각 고장 형태에 따른 고장점을 표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30-4)는 지락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5)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변성/변류부(30-2)에서 검출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와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부(30-1)를 통해 수신된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 각각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 및 상기 순환전류들에 의해 형성되는 모든 폐루프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점을 검출한 후에 표정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마스터장치(30)의 동작을 총괄제어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30-4)에서 판정된 현재 전기철도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상기 보호계전기(40)로부터 출력된 트립신호 또는 테스트신호에 따라 고장점을 검출 및 표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30-4)로부터 출력된 현재 전기철도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현재 전기철도시스템의 고장점을 검출하여 표정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0-5)는 외부의 노트북(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상기 노트북을 통해 상기 제어부(30-5)로부터 급전 전류, 급전 전압, 단권변압기(AT) 흡상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고장점 표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작 표시부(30-6)는 상기 마스터장치(30)를 제어하거나 마스터장치(30)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30-7)는 상기 마스터장치(30)에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보조 슬레이브장치(10)의 변류부(10-1; 도 2참조)와 주 슬레이브장치(20)의 변류부(20-1; 도 3참조) 및 마스터장치(30)의 변성/변류부(30-2; 도 4참조)가 본 발명 장치의 구성요소인 순환전류 검출수단이 된다. 또는 상기 마스터장치(30)의 디지털신호 수신부(30-1)가 상기 변류부(10-1) 및 변류부(20-1)에서 검출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수신하기 때문에, 상기 마스터장치(30)측에서는 디지털신호 수신부(30-1) 및 변성/변류부(30-2)가 순환전류 검출수단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장치(30)의 신호 처리부(30-4)와 제어부(30-5)가 본 발명 장치의 구성요소인 고장점 위치 검출수단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된 폐루프 임피던스 추정 표정 알고리즘 모델로서, 도 5의 모델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채택하고 있는 알고리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보면, 순환전류는 흡상전류/2 이다. 예를 들어, 단권변압기(AT0)의 흡상전류는 순환전류(I0)+순환전류(I0')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장점 검출에서는 흡상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락고장발생시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점을 검출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설명한다.
도 5의 모델 계통에서, 전차선도체군의 한점 F와 레일도체군의 한점 O사이에 지락이 발생하면, F-O사이의 고장전류는 I0, I1, I2, I3, I0', I1', I2', I3'로 분류하여 각각의 단권변압기(AT)의 중성점을 통해 전차선 또는 급전선으로 흡상된다.
그리고, 권수비가 1:1 인 단권변압기의 특성상 I0=I0', I1=I1', I2=I2', I3=I3'가 되며, I0, I1, I2, I3는 F-O를 통해 형성되는 폐루프를 순환하는 전류가 되며, I0', I1', I2', I3'는 단권변압기에서 흡상되어 급전선을 통해 변전소로 귀환하는 전류가 된다.
즉, 고장점 F에서 I0, I1, I2, I3를 통해서 형성되는 폐루프는 전차선-고장점-레일-AT-전차선의 폐루프이다. I0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임피던스를 Z0, I1 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임피던스를 Z1, I2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임피던스를 Z2, I3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임피던스를 Z3라고 하고, 전차선과 급전선 간의 상호 임피던스를 무시하면 I0, I1, I2, I3에 대한 각각의 폐루프 임피던스는 다음의 식 1과 같다.
(식 1)
Z0=L0(Zc+Zr-Zm0)+ZAT
Z1=L1(Zc+Zr-Zm1)+ZAT
Z2=L2(Zc+Zr-Zm2)+ZAT
Z3=L3(Zc+Zr-Zm3)+ZAT
Zm=(Zc+Zr)/κm
여기에서, Zc는 전차선도체군의 단위길이당 임피던스이고, Zr은 레일도체군의 단위길이당 임피던스이며, Zm은 전차선도체군과 레일도체군 사이의 상호 임피던스이고, ZAT는 단권변압기의 누설 임피던스이며, κm은 보상상수이다. 그 Zc, Zr, Zm은 도체의 종류와 상호간 공간적인 거리를 알면 계산으로 구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대표적인 값(예컨대, Zc는 0.194+j0.731 Ω/km, Zr은 0.009+j0.467 Ω/km, Zm은 0.053+j0.373 Ω/km)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L0, L1, L2, L3는 고장점 F와 각 단권변압기(AT)사이의 거리이다.
특히 도 5의 모델은, 변전소 방향으로의 단권변압기(AT) 중성점에 흡상되는 전류가 크게 되도록 고장점에서 구분소 방향의 폐루프 Z3에 대해서는 단위길이당 임피던스가 변하지 않으며, 고장점에서 변전소 방향의 폐루프 Z0, Z1, Z2에 대해서는 전차선과 레일간의 상호 임피던스가 길이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모델링되었다.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에 따라, 각 폐루프의 구동전압은 고장점 양단의 VFO가 되며, 이는 각각의 폐루프의 구동전압(Z*I)이 되므로, VFO는 다음의 식 2와 같이 된다.
(식 2)
VFO=Z0*I0=Z1*I1=Z2*I2=Z3*I3
이상적인 경우 고장점의 위치에서 Z0*I0, Z1*I1, Z2*I2, Z3*I3의 값이 동일하며, 그 상호간의 차는 제로(Zero)가 된다.
실제 고장시에는 VFO를 알지 못하므로, 마스터장치(30)는 변전소에서 구분소까지 소정 거리(예컨대, 0.1km)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각 지점에서 다음의 식 3과 같은 값(P값)을 정의하고 가장 작은 값을 갖는 지점을 구한다.
(식 3)
P=(Z0*I0-Z1*I1)2+(Z0*I0-Z2*I2)2+(Z0*I0-Z3*I3)2+(Z1*I1-Z2*I2)2 +(Z1*I1-Z3*I3)2+(Z2*I2-Z3*I3)2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상적인 경우 고장점의 위치에서 Z0*I0, Z1*I1, Z2*I2, Z3*I3의 값이 동일하며, 그 상호간의 차는 제로(Zero)가 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장치(30)는 변전소로부터 구분소까지 0.1km단위로 증가시면서 Z0*I0, Z1*I1, Z2*I2, Z3*I3의 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지점의 값을 고장점 위치로 한다. 그 가장 작은 값을 갖는 지점이 변전소내의 단권변압기 위치에서 고장점까지의 거리(L0; 고장점 위치)가 되고, 그 고장점 위치에 변전소의 위치를 더해주면 고장점 표정값이 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전소에서 전원을 발생(S10)하게 되면 마스터장치(30)는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에게로 주기적으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 슬레이브장치(10)는 상기 변전소에서 공급된 급전 전압에 따라 검출된 보조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상기 마스터장치(30)로 전송하게 됨과 더불어 주 슬레이브장치(20)는 상기 변전소에서 공급된 급전 전압에 따라 검출된 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상기 마스터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S12).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10)의 변류부(10-1)는 상기 보조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검출하게 되고, 제어부(10-2)는 상기 변류부(10-1)에서 검출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신호처리한 후 디지털신호 입출력부(10-3)를 통해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출력하게 되고, 아울러 조작표시부(10-4)를 통해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 슬레이브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류부(20-1)가 상기 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검출하게 되고, 제어부(20-2)는 상기 변류부(20-1)에서 검출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신호처리한 후 디지털신호 입출력부(20-3)를 통해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출력하게 되고, 아울러 조작표시부(20-4)를 통해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마스터장치(30)는 보조 슬레이브장치(10), 주 슬레이브장치(20)로부터 전송된 전류 정보와 해당 마스터장치(30)에서 계측된 전압, 전류 정보를 근거로 현재 운전상태 및 계측 정보를 표시한다(S14).
그리고, 상기 마스터장치(30)는 상기 변전소에서 보호계전기의 동작에 의해 트립신호의 발생 또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발생시킨 테스트 신호에 의해 고장점 표정을 실시하며, 트립신호 또는 테스트 신호의 입력을 받음과 동시에 보조 슬레이브장치(10)와 주 슬레이브장치(20)에 현재의 순환전류값을 기억하도록 명령을 내리고 다시 기억된 순환전류값을 전송하도록 명령을 내려 트립신호 또는 테스트 신호를 받은 시점에서의 모든 순환전류값을 수집한다. 상기 마스터장치(30)는 수집된 순환전류 및 변전소내의 급전전압, 급전전류 등을 근거로 하여 고장형태가 전차선과 레일간의 고장인지 아니면 레일과 급전선간의 고장인지를 판단하고 폐루프 임피던스 추정에 의한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여 표시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장치(30)의 변성/변류부(30-2)는 상기 변전소내 변압기의 급전 전류, 급전 전압, 및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를 검출하게 되며, 시리얼신호 입출력부(30-3)는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로부터 출력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에 상응하는 신호를 각각 수신하거나 상기 신호처리부(30-4)에서 신호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로 각각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장치(30)의 신호처리부(30-4)는 상기 변성/변류부(30-2)에서 검출된 급전 전류, 급전 전압, 및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와 상기 디지털신호 입출력부(30-3)에서 각각 수신된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에 근거하여 열차의 운행상태를 파악하여 전기철도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판정하게 되고, 제어부(30-5)는 상기 신호처리부(30-4)에서 판정된 전기철도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조작표시부(30-6)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만약, 전기철도시스템의 변전소와 보조구분소, 보조구분소와 보조구분소, 또는 보조구분소와 구분소 사이에서 지락고장이 발생(S16)하게 되면,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전차선도체군의 한점 F와 레일도체군의 한점 O사이에 지락이 발생하면, 고장점 위치에서 부하전류의 10배 정도되는 고장전류가 발생되므로 그 고장전류에 의해 상기 보호계전기(40)는 차단기(50)를 차단시키기 위한 신호(트립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단기(50)는 상기 보호계전기(40)로부터 출력된 차단신호(트립신호)에 따라 상기 변전소내 급전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호계전기(40)는 상기 트립신호를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출력되게 된다(S18).
그러면, 상기 마스터장치(30)는 상기 보호계전기(40)로부터 출력된 트립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에게 현재의 순환전류값을 기억하도록 명령을 내린다(S20). 그리고, 그 마스터장치(30)는 내부적으로 계측된 순환전류, 급전전류, 급전전압값들도 기억한 후에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10, 20)에 기억된 순환전류값들을 전송하도록 요청한다(S22).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10)는 상기 마스터장치(30)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 요청에 따라 보조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I1, I2)를 상기 마스터장치(130)로 전송하고, 상기 주 슬레이브장치(20)는 상기 마스터장치(30)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 요청에 따라 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I3)를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전송하게 된다(S24).
즉,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10)의 디지털신호 입출력부(10-3)는 상기 마스터장치(30)로부터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 기억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2)에게로 보내고, 그 제어부(10-2)는 수신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 기억명령신호에 따라 변류부(10-1)를 제어하여 상기 보조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I1, I2)를 검출하게 하여 저장하며, 이후에 상기 마스터장치(30)로부터 순환전류 전송명령신호를 디지털신호 입출력부(10-3)에서 수신하여 제어부(10-2)에 보내면 제어부(10-2)에서는 저장된 순환전류(I1, I2)를 디지털신호 입출력부(10-3)를 통해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주 슬레이브장치(20)의 디지털신호 입출력부(20-3)는 상기 마 스터장치(30)로부터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 기억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2)에게로 보내고, 그 제어부(20-2)는 수신된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 기억명령신호에 따라 변류부(20-1)를 제어하여 상기 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I3)를 검출하게 하며, 그 변류부(20-1)에서는 지락고장 발생시의 상기 구분소의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I3)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0-2)에게로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변류부(20-1)에서 검출되어 전송되어 온 단권변압기(AT) 순환전류(I3)를 신호처리한 후 저장하며, 이후에 상기 마스터장치(30)로부터 순환전류 전송명령신호를 디지털신호 입출력부(20-3)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마스터장치(30)에게로 저장된 순환전류값을 전송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마스터장치(30)는 검출 및 입력된 각 단권변압기(AT)의 순환전류(I0, I1, I2, I3)와 그 순환전류(I0, I1, I2, I3)에 의해 형성되는 모든 폐루프의 임피던스(Z0, Z1, Z2, Z3)를 이용하여 하기의 식 3에 따라 고장점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S26).
(식 3)
P=(Z0*I0-Z1*I1)2+(Z0*I0-Z2*I2)2+(Z0*I0-Z3*I3)2+(Z1*I1-Z2*I2)2 +(Z1*I1-Z3*I3)2+(Z2*I2-Z3*I3)2
여기서, Z0 = L0(Zc+Zr-Zm0)+ZAT 이고, Z1 = L1(Zc+Zr-Zm1)+ZAT 이며, Z2 = L2(Zc+Zr-Zm2)+ZAT 이고, Z3 = L3(Zc+Zr-Zm3)+ZAT 이다. 상기 Zc는 전차선도체군의 단위길이당 임피던스이고, Zr은 레일도체군의 단위길이당 임피던스이며, Zm은 전차 선도체군과 레일도체군 사이의 상호 임피던스이고, ZAT는 단권변압기의 누설 임피던스이다. 그리고, L0, L1, L2, L3는 고장점 F와 각 단권변압기(AT)사이의 거리이다.
고장점 위치를 검출하게 되면 상기 마스터장치(30)는 그 고장점 위치에 변전소의 위치를 더하여 고장점 표정을 행한다(S28). 즉, 상기 마스터장치(30)는 그 고장점 위치에 변전소의 위치를 더하여 고장점 표정값으로 하고, 그 고장점 표정값은 조작 표시부(30-6)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S26의 고장점 위치를 찾는 동작에 대해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스터장치(30)는 상기 각각의 폐루프의 임피던스(Z0, Z1, Z2, Z3)를 구함에 있어서 L0, L1, L2, L3의 값을 알지 못하므로, 상기 마스터장치(30)는 변전소로부터 구분소까지 0.1km단위로 증가시키면서 Z0*I0, Z1*I1, Z2*I2, Z3*I3의 차의 제곱의 합(P; 상기의 식 3 참조)을 구한다(S26-1). 그리고 나서, 상기 마스터장치(30)는 그 구해진 각 지점의 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지점을 고장점 위치로 결정한다(S26-2). 상기 P의 값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고장점 위치로 결정하는 이유는 이상적인 경우 고장점의 위치에서 Z0*I0, Z1*I1, Z2*I2, Z3*I3의 값이 동일하며, 차는 제로(Zero)가 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마스터장치(30)에서 행해지는 임피던스 추정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결정 및 고장점 표정값 산출은 제어부(30-5)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30-4)에서 행하고, 그 신호 처리부(30-4)에서 출력되는 고장점 표정값은 조작 표시부(30-6)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변전소로부터 구분소까지 0.1km단위로 증가시키면서 P값을 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그 단위 거리를 0.01km 또는 1km 등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교류 전기철도의 급전계통에 지락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폐루프 임피던스 추정에 의해 고장점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출하게 되므로, 검출된 고장점 위치의 표정에 의해 고장제거와 복구에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열차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구분소에 설치된 보조 슬레이브장치와 구분소에 설치된 주 슬레이브장치 및 변전소에 설치된 마스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및 구분소에는 단권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철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및 구분소의 단권변압기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검출하는 순환전류 검출수단; 및
    급전계통에 지락에 의한 고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순환전류 검출수단에게 순환전류 검출을 명령하여 상기 순환전류 검출수단으로부터 순환전류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순환전류들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들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점 위치를 검출하는 고장점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점 위치 검출수단은, 상기 변전소에서 구분소까지 소정거리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각 폐루프의 구동전압간의 차의 제곱들의 합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각 지점에서의 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지점을 고장점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점 위치 검출수단은, 각 폐루프의 임피던스(Z)와 해당 폐루프의 순환전류(I)와의 곱에 의해 상기 각 폐루프의 구동전압을 구하고, 하기의 식에 의해 상기 각 폐루프의 임피던스(Z)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장치.
    Z = L(Zc+Zr-Zm)+ZAT
    여기서, 상기 Zc는 전차선도체군의 단위길이당 임피던스이고, Zr은 레일도체군의 단위길이당 임피던스이며, Zm은 전차선도체군과 레일도체군 사이의 상호 임피던스이고, ZAT는 단권변압기의 누설 임피던스이며, 상기 L은 고장점과 해당 폐루프의 단권변압기사이의 거리이다.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전류 검출수단은 상기 보조 슬레이브장치와 주 슬레이브장치 및 마스터장치에 각각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점 위치 검출수단은 상기 마스터장치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장치.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구분소에 설치된 보조 슬레이브장치와 구분소에 설치된 주 슬레이브장치 및 변전소에 설치된 마스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전소와 보조 구분소 및 구분소에는 단권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철도시스템에 있어서,
    급전계통에 지락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변전소의 단권변압기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에게로 해당하는 단권변압기를 순환하는 순환전류를 요청하는 제 1과정; 및
    상기 보조 및 주 슬레이브장치에서의 단권변압기 순환전류가 상기 마스터장치에게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마스터장치가, 상기 검출된 변전소의 단권변압기 순환전류와 상기 입력된 보조구분소 및 구분소의 단권변압기 순환전류 및 상기 순환전류들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들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장점 위치를 검출하는 제 2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상기 변전소에서 구분소까지 소정거리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각 폐루프의 구동전압간의 차의 제곱들의 합을 구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제 1단계에서 구해진 각 지점에서의 값들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지점을 고장점 위치로 결정하는 제 2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폐루프의 구동전압은 각 폐루프의 임피던스(Z)와 해당 폐루프의 순환전류(I)와의 곱에 의해 구해지고, 상기 각 폐루프의 임피던스(Z)는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
    Z = L(Zc+Zr-Zm)+ZAT
    여기서, 상기 Zc는 전차선도체군의 단위길이당 임피던스이고, Zr은 레일도체군의 단위길이당 임피던스이며, Zm은 전차선도체군과 레일도체군 사이의 상호 임피던스이고, ZAT는 단권변압기의 누설 임피던스이며, 상기 L은 고장점과 해당 폐루프의 단권변압기사이의 거리이다.
KR1020040067067A 2004-08-25 2004-08-25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및 장치 KR10057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067A KR100578451B1 (ko) 2004-08-25 2004-08-25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067A KR100578451B1 (ko) 2004-08-25 2004-08-25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97A KR20060018597A (ko) 2006-03-02
KR100578451B1 true KR100578451B1 (ko) 2006-05-10

Family

ID=3712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067A KR100578451B1 (ko) 2004-08-25 2004-08-25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6114A (zh) * 2013-01-23 2013-05-2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检修试验中心 一种直流融冰装置地线融冰模式下的故障测距方法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702B1 (ko) * 2006-09-21 2008-04-14 전명수 전차선로의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장점표정방법
KR100957812B1 (ko) * 2009-10-06 2010-05-13 주식회사 호크마이엔지 전차선로의 고장점 표정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09996B1 (ko) * 2010-05-11 2011-01-21 미래전기 주식회사 전차선 고장 점 위치를 측정하는 표정방법 및 그 장치
KR102397121B1 (ko) * 2020-04-22 2022-05-12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분기선 고장점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397120B1 (ko) * 2020-04-22 2022-05-12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복합 고장점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466196B1 (ko) * 2020-09-22 2022-11-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철도의 교류 급전계통에서 분기선로의 고장 위치 추정 방법
KR102400156B1 (ko) * 2021-02-04 2022-05-20 인텍전기전자(주) 다중 지점 설정과 선형보간법을 이용한 교류철도 고장점표정 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551994B1 (ko) * 2023-04-20 2023-07-06 문이연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누전 위치 확인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2892A (ja) * 1991-12-20 1993-07-13 Railway Technical Res Inst 電気鉄道直流並列き電回路の故障点標定方式
JPH07177654A (ja) * 1993-12-17 1995-07-14 Railway Technical Res Inst 直流き電回路接地事故検出方式
JPH10319082A (ja) 1997-05-19 1998-12-04 West Japan Railway Co 直流電鉄き電回路の故障点標定方法及び故障点標定システム
KR100384815B1 (en) 2002-11-08 2003-06-02 Krri Fault localization method for electric railroad system
KR100384816B1 (en) 2002-11-08 2003-06-02 Krri Fault localization apparatus for electric railroad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2892A (ja) * 1991-12-20 1993-07-13 Railway Technical Res Inst 電気鉄道直流並列き電回路の故障点標定方式
JPH07177654A (ja) * 1993-12-17 1995-07-14 Railway Technical Res Inst 直流き電回路接地事故検出方式
JPH10319082A (ja) 1997-05-19 1998-12-04 West Japan Railway Co 直流電鉄き電回路の故障点標定方法及び故障点標定システム
KR100384815B1 (en) 2002-11-08 2003-06-02 Krri Fault localization method for electric railroad system
KR100384816B1 (en) 2002-11-08 2003-06-02 Krri Fault localization apparatus for electric railroa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6114A (zh) * 2013-01-23 2013-05-2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检修试验中心 一种直流融冰装置地线融冰模式下的故障测距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97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1166B2 (en) Fault location using measurements from two ends of a line
EP17245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phase-to-earth fault
AU2015342634B2 (en) Distributed protection system for power supply at sections of electrified railway propulsion system
KR100709980B1 (ko)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영상전류 위상차와 크기 비교에 의한고장구간 검출방법 및 시스템
EP3506445B1 (en)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a feeder with high-ohmic earth fault in a distribution network
EP083342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arth-leakage state of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0578451B1 (ko) 전기철도시스템에서 전기량에 의한 고장점 위치 검출방법및 장치
EP1073911B1 (en) Fault location in a medium-voltage network
CN102253308B (zh) 依据负序电压确定长定子发生不对称短路故障的方法
MXPA01012753A (es) Metodo mejorado de conmutacion mediante reles protector de diferenciales de corriente en linea y rele para transformadores de tomas intermedias dentro de la zona.
CN104662761A (zh) 一种包括可控接地变压器的设备
JP4695789B2 (ja) き電回路用故障点標定装置
Platero et al. Ground fault location in 2× 25 kV high-speed train power systems by (auto) transformers currents ratio
AU20183057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faults along an energy supply chain for DC current systems
CN116599059B (zh) 多源化牵引供电系统故障区段判别与供电优化方法、装置
CN110579686B (zh) 轨道接触网的故障测试方法和轨道接触网的故障测试电路
KR102397120B1 (ko) 복합 고장점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Chen et al. Systematized short-circuit analysis of a 2× 25 kV electric traction network
RU2606204C2 (ru) Распознавание направл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и в сетях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RU1086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сстояния от источника питания до места обрыва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провода трехфаз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напряжением свыше 1000 в, расположенной на опорах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KR102212024B1 (ko) 고장점 표정 장치의 자동 절체기
Battistelli et al. Short circuit modelling and simulation of 2× 25 kV high speed railways
KR102397121B1 (ko) 분기선 고장점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RU2186404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удаленности однофазного замыкания в трехфаз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арианты)
Menezes et al. Dual-Layer Based Microgrid Protection Using Voltage Synchropha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