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055B1 -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055B1
KR100578055B1 KR1020030101365A KR20030101365A KR100578055B1 KR 100578055 B1 KR100578055 B1 KR 100578055B1 KR 1020030101365 A KR1020030101365 A KR 1020030101365A KR 20030101365 A KR20030101365 A KR 20030101365A KR 100578055 B1 KR100578055 B1 KR 10057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trunk lid
body panel
vertical rod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0848A (ko
Inventor
유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0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리드의 닫힘동작과 동시에 스트라이커가 차체패널 외부로 돌출되어 트렁크리드의 래치와 체결되고 트렁크리드가 열림동작과 동시에 스트라이커가 차체패널 안쪽으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라이커의 외관향상 및 부주의로 인한 스트라이커의 파손방지를 도모한 트렁크리드 잠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의 구성은, 스트라이커(10)는 차체 패널(5)에 형성된 삽입홈(1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차체패널에는 그 상단이 차체패널 외부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2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수직로드(2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0)와 수직로드(20) 사이에는 지지점(25)을 중심으로 스트라이커와 수직로드가 서로 시소운동할 수 있도록 수평로드(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래치

Description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Trunklid having Pop-up Type Striker}
도 1은 종래의 스트라이커가 장착된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스트라이커의 단면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로서, 트렁크리드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로서, 트렁크리드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스트라이커 2: 베이스
3, 12: 로킹부 4a, 4b: 장착홀
5: 차체패널 6: 트렁크리드
7, 30: 래치 11: 스트라이커 몸체
13: 삽입홈 14: 슬라이딩 홈
20: 수직로드 21: 수평로드
22: 힌지 23: 스프링
24: 지지대 25: 지지점
31: 트렁크리드 간섭부 40: 패드
본 발명은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렁크리드의 닫힘동작과 동시에 스트라이커가 차체패널 외부로 돌출되어 트렁크리드의 래치와 체결되고 트렁크리드가 열림동작과 동시에 스트라이커가 차체패널 안쪽으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라이커의 외관향상 및 부주의로 인한 스트라이커의 파손방지를 도모한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 트렁크에는 트렁크리드의 잠김 및 해제를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잠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패널(5)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1)와 이 스트라이커에 대응하여 트렁크리드(6)의 내측패널에 설치되며 스트라이커와 체결가능한 래치(7)로 구성된다. 그리고 두 개의 장착홀(4a, 4b)이 형성된 베이스(2)와 래치(7)에 직접 체결되는 로킹부(3)로 구성되는 스트라이커(1)는 장착홀을 통한 볼팅(볼팅과 더불어 베이스가 차체패널에 용접되기도 함)결합에 의해 차체패널(5)에 고정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도 2는 이러한 종래 스트라이커의 장착구조(도 1의 A-A)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로서, 트렁크리드(6)가 닫혀져 스트라이커(1)와 래치(7)가 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 특히 로킹부(3)는 차 체패널(5)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하물 이동시 수하물과의 간섭에 의해 베이스(2)의 용접부위가 파손되거나 스트라이커 차체패널(5)로부터 자체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렁크리드(6)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의 스트라이커(1)와 래치(7) 사이에는 일정정도의 이격공간이 존재하여, 차량운행시 트렁크리드(6)가 유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관향상 및 부주의로 인한 스트라이커의 파손방지를 위하여, 트렁크리드의 닫힘동작과 동시에 스트라이커가 차체패널 외부로 돌출되어 트렁크리드의 래치와 체결되며, 트렁크리드가 열림동작과 동시에 스트라이커가 차체패널 안쪽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한 내장형 혹은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운행시, 트렁크리드가 닫힌 상태에서 트렁크리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와 래치 사이에 긴장력이 존재하도록 한 트렁크리드 잠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는 차체 패널에 형성된 삽입홈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차체패널에는 그 상단이 차체패널 외부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수직로드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와 수직로드 사이에는 지지점을 중심으로 스트라이커와 수직로드가 서로 시소운동할 수 있도록 수평로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삽입홈에는, 삽입홈을 덮되 스트라이커 상승시 적어도 로킹부는 차체패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평로드의 일단은 스트라이커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수직로드의 하부측에 힌지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별도의 구분이 없는 한 동일한 명칭은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또한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의 단면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도 2의 절단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리드 잠금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로서, 스트라이커(10)가 장착되는 차체패널(5) 위에는 래치(30)가 장착되는 트렁크리드(6)가 열려져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트렁크리드(6)가 닫혀진 경우의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상태가 도 3에 대응하는 간략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트라이커(10)는, 스트라이커 몸체(11)와 이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래치(30)와의 직접적인 잠김 및 해제작동을 하게 되는 로킹부(12)로 구성되며, 트렁크리드의 래치(30)에 대응하는 위치의 차체패널(5) 안쪽으로 형성된 삽입홈(13)에 수용된다. 이때, 스트라이커(10)가 삽입홈(13) 사이에 는 스트라이커가 삽입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트라이커(10)는 삽입홈(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즉, 차체패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삽입홈(13) 상측에는 스트라이커(10)가 완전히 가려질 수 있도록 삽입홈을 덮는 패드(40)가 설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패드의 중심부에는 상하 승강운동하는 스트라이커(10)의 로킹부(12)가 차체패널(5)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트라이커(10)가 삽입홈(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승강운동(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패널(5)에 설치되는 승강운동수단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스트라이커(10)가 장착되는 삽입홈(13) 오른쪽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의 차체패널(5)에 승강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로드(20)는, 그 일단은 트렁크리드(6)와의 간섭(닫힘동작)에 의해 가압될(혹은 눌려질) 수 있도록 차체패널(5) 외부로 돌출되며 타단은 차체패널 내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트렁크리드(6)가 수직로드(20)의 일단을 가압함에 따라 수직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31의 트렁크리드 간섭부는 트렁크리드(6)가 닫히거나 열림에 따라 수직로드(20)의 일단과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부분으로, 잦은 간섭에 의해 트렁크리드 내측이 손상되지 않도록 각종의 패드가 덧대어질 수 있다.
수평로드(21)는 그 일단이 스트라이커 몸체(10)에 연결되며, 타단은 수직로드(20)의 타단과 연결되는데, 지지점(25)을 기준으로 양단이 시소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지지점(25)는 차체패널(5)에 고정되는 지지대(24)에 형성되며, 수직로드의 승강운동을 따라 수평로드는 지지점(25)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할 수 있다. 지지점(25)은 또한 수평로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힌지(22)는, 적어도 수평로드(21)가 수직로드(2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수직로드의 타단과 수평로드의 타단을 연결하며, 수직로드의 승강운동을 따라 함께 승강운동하며 수직로드의 운동력을 수평로드에 전달한다.
스프링(23)은, 일단이 차체패널(5)에 고정되며 타단이 수평로드(21)에 고정되어 있어, 수직로드(20)가 하강하거나 또는 하강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수직로드(혹은 수평로드의 타단)에 대하여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복원력은 트렁크리드(6)가 열림에 따라, 즉 트렁크리드 간섭부(31)와 수직로드(20) 일단 간의 간섭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수직로드(20)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점(25)을 기준으로 시소운동하는 수평로드(2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삽입홈(13) 안쪽에 안착(도 3의 상태)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트렁크리드(6)가 닫혀 있는 상태, 즉 트렁크리드 간섭부(31)가 수직로드(20)의 일단을 누르고 있는 상태(도 4의 상태)에서, 스프링(23)은 수직로드(또는 수평로드의 타단측)를 상방으로 당기는 힘(복원력)을 제공하고, 이는 수평로드의 일단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0)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잠김상태에서의 스트라이커(10)와 래치(30) 간에는 긴장력이 존재하여, 스트라이커 와 래치간의 이격공간으로 인한 트렁크리드(6)의 유동은 방지될 수 있다. 트렁크리드의 닫힘동작에 따라 수직로드 일단이 완전히 가압되면서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체결된 후, 트렁크리드 간섭부가 차체패널(5)로부터 미세간격 들여올려지는 구조로 되는 경우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수평로드(21) 일단에 연결되는 스트라이커 몸체(11) 외주면에는, 수평로드 일단이 스트라이커(1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14)이 형성된다. 즉, 도 3에와 같이 스트라이커가 삽입홈에 안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로드 일단의 위치가 정위치라 한다면, 도 4에서와 같이 스트라이커가 들어올려지기 위해서는 수평로드의 일단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되어야 한다. 지지점(25)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로드의 양단은 원호를 그리며 시소운동하기 때문이다. 이때, 수평로드(21)의 일단은 슬라이딩홈(14) 내측에서 슬라이딩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하고 있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트렁크리드를 닫는 동작에 의해 트렁크리드 간섭부(31)가 수직로드(20) 일단을 가압(혹은 간섭)하여 수직로드가 하강하도록 함에 따라, 힌지(22)에 의해 수직로드와 연결되는 수평로드(21)의 타단도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지지점(25) 반대측의 수평로드 일단은 상승하는 시소운동을 하게 되며, 정점 부근에서 스트라이커(10)와 래치(30)가 잠김작동하게 된다.
반대로, 스트라이커와 래치 간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며 트렁크리드(6)가 열리는 경우, 트렁크리드 간섭부(31)의 수직로드(20) 일단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서 수 직로드가 스프링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시소운동하는 수평로드(21) 타단의 스트라이커가 하강하며 삽입홈(13) 안쪽으로 안착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22)와 지지점(25) 그리고 스프링(23)은 수평로드(21)의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수직로드의 승강운동과 그에 따른 수평로드의 시소운동에 의해 수평로드의 일단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0)가 삽입홈(13)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스트라이커(10)와 래치(30) 간의 잠김 및 해제작동관계는 통상 공지기술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으로, 각 구성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례로,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이 차체패널과 수평로드 타단측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수직로드에 복원력을 제공한다는 측면을 고려한다면 수직로드 하방의 힌지와 차체패널 사이에 설치하여 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반발력이 수직로드에 가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홈의 형성방향, 위치, 수평로드 일단의 형상 등에도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하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는, 트렁크리드가 닫히는 경우에만 스트라이커가 차체패널 외부로 노출되며 트렁크리드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삽입홈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외관의 향상 및 부주의로 인한 스트라이커의 파손방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스프링은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와 래 치 사이에 긴장력을 제공하므로, 차량운행시 트렁크리드가 닫힌 상태에서 트렁크리드가 유동하지 않게 된다.

Claims (3)

  1. 자동차 트렁크리드(6)의 내측패널에 장착된 래치(30)와 이 래치에 대응하여 트렁크 차체패널(5)에 장착된 스트라이커(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에 있어서,
    스트라이커(10)는 차체 패널(5)에 형성된 삽입홈(1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차체패널에는 그 상단이 차체패널 외부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2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수직로드(2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0)와 수직로드(20) 사이에는 지지점(25)을 중심으로 스트라이커와 수직로드가 서로 시소운동할 수 있도록 수평로드(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홈(13)에는, 삽입홈을 덮되 스트라이커(10) 상승시 적어도 로킹부(12)는 차체패널(5)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평로드(21)의 일단은 스트라이커(1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수직로드(22)의 하부측에 힌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KR1020030101365A 2003-12-31 2003-12-31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KR10057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365A KR100578055B1 (ko) 2003-12-31 2003-12-31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365A KR100578055B1 (ko) 2003-12-31 2003-12-31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848A KR20050070848A (ko) 2005-07-07
KR100578055B1 true KR100578055B1 (ko) 2006-05-11

Family

ID=3726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365A KR100578055B1 (ko) 2003-12-31 2003-12-31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4570B1 (en) 2014-03-24 2015-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la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848A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33507A1 (en) Li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0578055B1 (ko) 상하이동형 스트라이커를 갖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KR100528515B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레귤레이터 어셈블리
JP4471287B2 (ja) グレーチング
JP2010221843A (ja) ボックス昇降装置
KR101886441B1 (ko) 자동차 업-다운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100552207B1 (ko) 자동차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KR200371342Y1 (ko) 중장비의 전면유리창용 록킹장치
KR100380374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200160498Y1 (ko) 차량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장치
JP2016101861A (ja) 箱型車両の外折れ式ドア構造物
KR920003800Y1 (ko) 매설형 리프트
JP2007126837A (ja) 建設機械の扉ロック装置
KR100552170B1 (ko) 유압을 이용한 화물차량의 게이트 고정장치
KR0143700B1 (ko) 차량의 후드 고정장치
KR100288634B1 (ko) 자동차용 가스 스프링의 안전장치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KR200191179Y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스트라이커 구조
KR20050113961A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의 결합구조물
KR100440861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상승 제어구조
KR20070045679A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060006462A (ko) 트렁크 리드의 래치 구조
KR100380357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20210149345A (ko)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조절장치
JP2006192047A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