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216B1 - 면역강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면역강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216B1
KR100574216B1 KR1019997010731A KR19997010731A KR100574216B1 KR 100574216 B1 KR100574216 B1 KR 100574216B1 KR 1019997010731 A KR1019997010731 A KR 1019997010731A KR 19997010731 A KR19997010731 A KR 19997010731A KR 100574216 B1 KR100574216 B1 KR 10057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
composition
immunopotentiating composition
immunopotentiating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769A (ko
Inventor
후지오까게이지
사노아끼히꼬
나가하라스훈지
브랜든말콤로이
나시앤드류도날드
로프트하우스샤리
Original Assignee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고오껜 가부시키가이샤
더 유니버시티 오브 멜버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고오껜 가부시키가이샤, 더 유니버시티 오브 멜버른 filed Critical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2Hollow drug-filled fibres, tubes of the core-shell type, coated fibres, coated rods, microtubules or nano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 항원으로부터 유래되는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생체적합적인 담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강화 조성물을 포유류 또는 조류에 투여함으로써 상기 포유류 또는 조류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생성된 항체를 회수하여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면역강화 조성물{IMMUNOPOTENTI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원으로부터 유래되는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면역강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강화 조성물은 일차적으로, 인간, 인간 이외의 포유류 및 조류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간 의학 또는 수의학 분야에서 백신 제제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강화제는 항체 제조의 목적으로 동물을 면역화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신들은 대략 약독화(생) 백신 및 불활성화(사) 백신의 2 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약독화 백신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면역 반응이 수득된다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독성 회복 및 이들의 역효과와 같은 불안 요소가 있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약독화 백신과 비교하여 불활성화 백신은 더 안전하지만, 이들의 단일 투여로는 충분한 면역 효과를 일으키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실제로, 불활성화 백신으로의 예방적 백신화에서는, 2 내지 3 주 간격으로 2 또는 3 번의 투여가 이루어져서 만족스러운 효과가 수득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분자 생물학의 방법학이 진보하여,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질병-특이적 항원을 밝히는 것, 및 밝혀진 항원과 비슷한 합성 항원(성분 백신)를 화학적 또는 DNA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렇게 합성된 항원은 순도, 안정성, 특이성 및 안전성에서 통상적인 백신성 항원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실질적인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이들의 항원성이 낮고, 이것이 해결하여야 할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낮은 항원성을 갖는 항원에 대한 항체를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의 출현이 인간 의학 및 수의학의 관점에서 진지하게 요구된다.
또한, 불활성화 백신 또는 성분 백신을 사용할 때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효과적인 정도의 항체 생성을 이루기 위해, 2 내지 3 주, 바람직하게는 4 주 이상의 간격으로 2 또는 3 번의 투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일 투여로 충분한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백신(단일 주사 백신)이 인간 의학 및 수의학에서 진지하게 요구된다. 수의학 분야에서, 이것의 주요한 장점으로는 1)시간 감소, 2) 비용 감소 및 3)개선된 컴플리언스(compliance)가 있다. 인간 의학에서도, 상기 언급한 세가지 장점이 중요하고, 그중에서도, 개선된 컴플리언스가, 간격을 지키면서 여러번 투여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개발 도상국에서 특히 중요하다.
불활성화 백신 및 성분 백신의 약한 항원성의 문제는 실험적인 수준에서 보강제를 사용하여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 해결법은 역효과와 같은 문제점들을 갖는다. 인공적인 물질을 사용하는 보강제 기술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한 방법에는 오일 또는 지질 입자의 표면에 항원을 분산시키는 것이 포함되고, 다른 하나에는 항원을 침전물 상에 흡착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미네랄 오일이 수의학 백신 또는 군용 인플루엔자 백신용으로 얼마간 사용되었었지만, 그러나, 심한 출혈 외상 또는 지속적인 육아종을 일으켰다. 그 이후로 관련 당국에 의해 인간에게 사용하기 위한 백신에서 이들을 공용하는 것이 금지되어왔다. 프로인트의 완전 보조액 및 불완전 보조액이 지난 40 년간 동물 실험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비록 이들이 만족스러운 정도로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지만, 이들은 주입 부위에서의 육아종 형성 및 흡착, 발열 및 기타 독성 효과를 일으키므로, 따라서, 인간 의학 또는 수의학에서 이들의 사용은 피해져 왔다.
현재, 명반,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인산화 알루미늄만이 인간에게 투여가 승인된 보강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백신화 부위에서 육아종 형성을 일으키고, 게다가, 이것의 효과는 불리하게 상황에 따라 심하게 변화한다. 예를 들어, 수산화 알루미늄은 박테리아성 톡소이드와는 충분한 보강 효과를 일으키지만, B형 간염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과는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 않았다.
인공적인 물질을 사용하는 상기 언급한 보강제 기술 이외에, 보강제로서, 본래 생체 내에 존재하고 면역활성화 활성을 갖는 사이토카인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실제로,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 생성이, 면역활성화 활성을 갖는 사이토카인(IL-1, IL-2, IFN- γ, IFN-α, GM-CSF, IL-12 등)의 사용에 의해 강화된다는 것이 보고 또는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발견은, 예를 들어, Rong Lin 등(Clinical Infection Diseases, 21, 1439-1449, 1995)에 의해 재검토되었다. 그러나, 용해된 상태에서 사이토카인이 보강제로 사용되면, 비록 상기 언급한 인공 보강제와 비교했을때 역효과가 드물고 덜 심각하지만, 만족스러운 항체 생성 효과를 이루기 위해 여러번 투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용해된 상태의 사이토카인 및 항원을 유기체에 접종했을 때, 접종 후 이들이 유기체 내에서 즉시 확산되어, 항원에 대해 특이적 면역 메카니즘을 활성화시킬 수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사이토카인으로의 전신성 면역활성화를 위해, 사이토카인이 다량으로 요구되고, 이러한 경우에, 심한 역효과가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사이토카인을 보강제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불활성화 백신 및 성분 백신이 갖는 약한 항원성의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으로, 담체로부터 항원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기술을 들 수 있다. 지속적인 항원 방출의 발상은, 명반으로 수득된 보강제 효과가, 항원의 명반 상의 비특이적 흡착 및 명반으로부터 이들의 지속적인 방출로 인한 것이라는 생각에서 유래한다. 지금까지 각종 담체의 사용이 시도되었지만(예를 들어, [Bongkee Sah et al., J.Pharm. Pharmacol., 48, 32-36, 1996]),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없다.
항원 투여부터 항체 생성까지의 시간 기간 또한 질병 예방 또는 치료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항체 생성을 위한 이 기간을 단축하는 것은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다.
전술한 것의 관점에서, 하기의 것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목적들이다;
(1) 항원, 또는 항원 및 면역활성화, 면역자극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물질이, 생체적합적인 물질을 함유하는 담체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면역강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2) 항원-유도 물질, 또는 항원-유도 물질 및 면역활성화, 면역자극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물질이, 생체적합적인 물질을 함유하는 담체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면역강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3) 상기 목표 (1) 또는 (2)를 달성하여 제공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항원으로부터 유래되는 면역반응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4) 상기 목표 (1) 또는 (2)를 달성하여 제공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항원으로부터 유래되는 항체 생성에 요구되는 기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5) 상기 목표 (1) 또는 (2)를 달성하여 제공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항원으로부터 유래되는 면역의 기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6) 상기 조성물의 주위를 면역 반응의 부위로 하여, 상기 목표 (1) 또는 (2)를 달성하여 제공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면역강화를 이루는 방법;
(7) 상기 목표 (1) 또는 (2)를 달성하여 제공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간에서의 사용 및 인간 이외의 포유류 및 조류에서의 사용용 백신을 제공하는 것;
(8) 상기 목표 (1) 또는 (2)를 달성하여 제공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간에서의 사용 및 인간 이외의 포유류 및 조류에서의 사용용 단일 주사 백신을 제공하는 것.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가들은 생체 적합적인 물질로부터 항원이 지속적으로 방출되게 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려는 시도로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그 결과, 생체 적합적인 물질 및 물질 상에서 운반되는 항원을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이 생물에 투여될 때, 항원으로부터 유래되는 면역 반응이 강화된다는 것을 예상치 못하게 발견하였다.
게다가, 본 발명가들은 항원과 함께 생체적합적인 물질을 함유하는 담체 상에 운반되면서 동시에 면역활성화, 면역자극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물질(이하에서 총괄적으로 "면역조절 물질"로 나타냄)을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을 생체에 투여한 결과, 면역 반응이 빨리 그리고 더욱 강화되어 생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ⅰ) 본 발명의 원리의 설명
전형적인 체액 면역 반응에서, 항원으로의 2차 자극 후의 항체 생성은, 항원으로의 1 차 자극 후의 항체 생성과 비교하여, 더 높은 항체 적정량으로 더 빨리 일어나고, 더 오랜 기간동안 지속된다. 항체 생성에 요구되는 기간의 차이는 대략, 1 차 항원성 자극에는 일련의 단계, 즉 (1) 항원 제공 세포에 의한 T 세포에 대한 항원 제공 및 T 세포의 활성화, (2) 활성화된 T 세포에 의한 B 세포의 활성화, (3) 수상돌기 세포에 의한 항원의 림프절로의 이동 및 (4) 림프절에서의 B 세포의 증식 및 이들의 항체 형성 세포로의 분화가 뒤따르는 반면, 2 차 자극 시에는 이미 충분한 수의 항체 형성 세포들이 이용가능하기 때문이다. 항체 적정량 수준 및 높은 항체 적정량에서의 차이는, 통상적인 용액 형태를 사용하는 면역학적 자극에서, 1 차 면역학적 자극으로 투여된 항원은 신체에 확산되고, 분해되고, 신진대사되어 제거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항체 생성을 위해 항체 형성 세포가 준비되어 있을 때는 대부분의 항원이 신체에서 사라진다; 따라서, 항원이 항체 형성 세포를 다시 자극하지 않는다. 따라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중요한, 더 오랜 기간 동안의 더 높은 항체 적정량를 이루기 위해, 1 차 항원성 자극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항체 형성 세포가 항원에 의해 다시 자극될 필요가 있다.
반면에, 더욱 빠른 항체 생성 또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중요하다. 더욱 빠른 항체 생성을 위해, 1 차 항원성 자극에 의해 항체 형성 세포의 효과적인 생성을 일으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효과적인 항체 형성 세포의 생성을 위해, (1)항원과 항원 제공 세포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키는 것(항원 제공 세포가 항원 투여 부위에 축적되도록 함) 및 (2) B 세포의 활성화 및 이들의 림프절에서 항체 형성 세포로의 분화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항원이 생체 적합적인 물질을 함유하는 담체 상에서 안전하게 운반되어 이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신체 내에서 항원의 양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항원이 생성된 항체 형성 세포들을 다시 자극하도록 하여, 더 오랜 기간동안의 더 높은 항체 적정량을 실현하였다. 특히, 항원 농도가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부위 또는 그 주위에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된다는 것은 쉽게 평가할 수 있는 동안, 이 국부적인 높은 항원 농도 상태는 평형 반응인 항원 및 항체 형성 세포간의 반응을 촉진하고, 동시에 투여 부위 또는 그 주위에서의 면역적격 세포(immunocompetent cell)의 축적을 일으킨다. 따라서, 국부적인 항원 농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원리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원 및 면역조절 물질(예를 들어 사이토카인)이 생체적합적인 물질을 함유하는 담체 상에 동시에 운반되도록 하고, 이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1) 항원 투여 부위 또는 그 주위에서의 면역적격 세포의 국부적인 축적, 및 이어지는 T 세포로의 항원 제공 활성화를 촉진하고, (2) 면역강화 조성물의 투여 부위에 있는 림프절(이 림프절로 수상돌기 세포들이 항원을 운반하고, 여기에서 항체 형성 세포들이 생성된다)에 사이토카인을 선택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입하여, 상기 림프절에서의 B 세포의 활성화 및 항체 형성 세포로의 분화를 강화하여, 더 빠르고 더 효과적인 항체 형성을 실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면역강화 조성물의 특징은, 항원, 또는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용액 형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되는 전신성 면역활성화 메카니즘과 달리, 면역강화의 영역이 항원, 또는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지속적인 방출에 의해 조성물의 주위에서 형성된다는 것에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이후부터 총체적으로 "항원성 물질"로 나타냄), 및 존재시, 면역조절 물질은 지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2) 항원성 물질, 및 존재시, 면역조절 물질의 농도가 투여 부위에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생체 유기체 내에서, 면역강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담체 상에서 운반되거나 지지되는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안정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물질(들)이 상기 유기체 내에서 지속적으로 방출되게 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면역강화 조성물이 생체 유기체에 투여되기 때문에, 담체가 양호한 생체 적합성을 갖는 물질이어야 하는 것이 당연히 요구된다. 따라서, 약학적인 관점에서 부과되는 상기 요구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생체 적합적인 물질이 담체로서 사용되면, 사용된 생체적합적 물질과 상관 없이, 그리고 본 발명의 원리에 모순되지 않으면서, 생성된 면역강화 조성물을 사용하여 면역강화 또는 면역보강 효과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런한 근본적인 특징들은 체액 면역에 관해서뿐만 아니라, 점막 면역 및 세포-매개 면역에 관해서도, 각각의 경우에 연속적인 면역적격 세포들의 항원성 자극 및 T 세포 및 B 세포 활성화의 양성 가속화의 결과로 면역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상술될 수 있다.
ⅱ) 본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서 생기는 효과가 하기에 언급된다.
a) 항원, 또는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지속적인 방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은 항원(아비딘) 및 사이토카인(IL-1β)를 7 일 이상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출하였다.
b) 항체 생성의 강화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의 항체 생성 강화 효과는 마우스 및 양에서의 면역학적 자극 실험에 의해서 증명되었다. 따라서, 아비딘을 다양한 제형으로 마우스에 투여하고, 투여 후 7, 14, 21, 35 및 83일에 혈액 내 항-아비딘 적정량을 ELISA 기술로 결정하였다(도 2). 통상적인 방식, 즉 인산염 완충액 내의 아비딘 용액 형태로 100 ㎍의 아비딘을 마우스에 투여한 경우, 동일한 양의 아비딘을 지니는 면역강화 조성물(실시예 7에서 제조)을 투여한 경우, 및 동일한 양의 아비딘을 지니는 면역강화 조성물(실시예 8에서 제조)을 IL-1β와 동시에 투여한 경우를 서로 비교하였다. 투여 35 일 후에, 아비딘-함유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혈액 내 항체 적정량은 아비딘 용액이 투여된 마우스에서 수득된 항체 적정량과 비교했을 때 약 25 배 더 높았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강화 조성물 형태 내의 항원을 사용한 결과,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 생성이 강화되었음을 가리킨다. 또한, 아비딘 및 IL-1β을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에서는, 항체 적정량이 아비딘 용액의 투여에서 얻어진 항체 적정량보다 약 450 배 높았다. 이 결과는 항원 및 면역활성화 활성을 갖는 사이토카인을 동시에 함유하는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 생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항원 및 면역활성화 사이토카인을 동시에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의 항체 생성 효과는 양에서의 면역자극 실험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된다(도 3). 아비딘을 다양한 제형으로 양에 투여하고, 투여 후 7, 14, 21, 및 35일에 혈액 내 항-아비딘 적정량을 ELISA 기술로 결정하였다. 아비딘을 통상적인 용액 형태로 투여하였을 때, 100 ㎍의 용량에서도 항-아비딘 항체 생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마우스와 양 사이의 항체 생성의 이러한 차이는 아마 체중의 차이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100 ㎍의 아비딘이 양에서 항체 생성을 일으킬만큼 충분한 항원성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아비딘 및 IL-1β을 동시에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실시예 8 에서 제조)을 투여했을 때는, 높은 수준의 항체 생성이 투여 14 일 후에 증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이, 항체 생성을 일으키기에 불충분한 항원성만을 갖는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 생성에 강화 효과를 갖는 것을 명백히 가리킨다. 반면에, 통상적인 용액 형태로 아비딘 및 IL-1β가 동시에 투여된 때는, 항체 생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면역강화 조성물이 일으키는 항체 생성 강화 효과가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지속적인 방출에 의한 것임을 가리킨다. 상기 발견은, 충분한 항체 적정량을 이루기 위해 여러번의 투여가 요구되는 통상적인 투여 방법에 반해,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은 한번의 투여만으로로 충분한 항체 적정량을 제공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c) 항체 생성까지의 시간 단축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의 중요한 효과 중의 하나인, 항체 생성까지의 시간 단축을, 통상적인 방식의 항원 용액의 투여가 항체 생성을 일으키지 못한, 양을 사용한 면역자극 실험에서보다는, 통상적인 방식의 항원 용액의 투여에서도 특정한 정도의 항체 생성이 관찰된, 마우스를 사용한 면역자극 실험에서 직접 증명하였다. 도 2에서의 그래프 표시에서 명확하듯이, 아비딘을 통상적인 방식의 용액 형태로 투여했을 때는,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이 투여 14일 후부터 증가한 반면, 면역강화 조성물(아비딘만, 또는 아비딘과 IL-1β를 함유)를 투여했을 때는, 항체의 양이 투여 7일 후부터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어, 항체 생성까지의 시간이 약 1 주 짧아졌 다. 용액 형태의 아비딘이 투여된 마우스에서의 항체 적정량이, 아비딘만을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의 투여 후 14번째 일에 수득된 것과 동일한 항체 적정량에 도달하는데는 투여 후 83 일이 걸렸다. 아비딘 용액으로는, 아비딘 및 IL-1β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의 투여 후 14 번째 일에 수득된 항체 적정량이, 투여 후 83 번째 일에도 달성될 수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면역강화 조성물이 항체 생성에 요구되는 기간을 69일 이상 단축했다고 말할 수 있다.
d) 면역강화 조성물 투여 부위의 주변에서의 면역 반응
"본 발명의 원리의 설명" 부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투여 부위의 주변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면역 반응이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로 수득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면역자극 실험에 사용된 양의 투여 부위에서의 조직학적 그림(도 4, 5)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조직의 현미경 사진은 면역강화 조성물 주위에서 면역적격 세포들의 침윤을 보여준다. 여기서 소위 면역적격 세포라고 불리는 세포에는 호중구, CD4-양성 T 세포, γδTCR-양성 T 세포, MHC Ⅱ-양성 세포, 대식세포 등이 있다.
아비딘 및/또는 IL-1β가 용액 형태로 투여되었을 때에는, 면역적격 세포들의 이같은 축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아마 접종 후, 용액 형태 내의 아비딘 및 IL-1β이 신체 내에서의 즉각적으로 확산된 결과, 마샬(marshal)면역적격 세포들을 접종 부위로 보내는 것이 실패했기 때문인 것 같다. 면역적격 세포들의 축적은 IL-1β을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러한 발견들은, 면역강화 조성물로부터의 지속적인 방출의 결과로서 항원, 또는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높은 농도의 상태가 면역강화 조성물의 주위에서 초래된 결과, 상기 조성물 주위에 면역적격 세포들이 축적되어 항체 생성이 강화된다는 착상을 뒷받침한다.
반면에, 면역적격 세포들의 축적은 일종의 염증 반응이다. 그러나, 환기된 염증 반응에는 부종이 수반되지 않고, 스스로 중단된다.
ⅲ) 면역강화 조성물
여기서 사용되는 "면역강화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대체적으로, 생체적합적 물질인 담체, 및 상기 담체 상에서 운반되는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 및 원하는 경우, 추가로 하기에 기술되는 면역조절 물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또는 조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에 의해서 강화되는 "면역 반응"은 상기 조성물 내에 함유된 항원, 또는 여기에 함유된 유도인자에 의해 유도된 항원에 특이적 면역 반응이다. 활성화되는 면역 반응은 체액 면역, 점막 면역 또는 세포성 면역,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항원"이라는 용어는, 항원으로부터 유래되는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한, 어떠한 특정한 종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인간 또는 인간 이외의 포유류 또는 조류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항체가 생성되는 항원들 중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여기에는, 예를 들어, ["Vaccine Handbook"(edi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lumni Association, published by Maruzen Co.), "Immunizing Agents" in Remin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4th edition, 1990, Mack Publishing Co., Section 75, pages 1426- 1441 or Physician's Desk Reference to drugs approved by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46th edition, pages 208-209, 1992]에 기재된 톡소이드, 백신 및 이들의 생백신이 있지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여기에는, 하기의 것들도 있지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1) 예를 들어 유전자 재조합(독성- 또는 병원성-관련 유전자의 변형), 연속적인 계대 배양(자가변형의 결과로 약화 또는 비병원성의 종이 나타남), 포르말린 처리, β-프로피오락톤 처리, 방사선에의 노출, 초음파처리, 효소 처리, 가열 등에 의해 약독화되었거나 비독성화 또는 비병원성화된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암세포 등.
(2) 예를 들어 화학적 또는 효소성 분해, 물리적 파괴, 컬럼 정제, 추출 또는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암세포 등으로부터 수득된 막 표면 단백질 및 핵 단백질, 프로테오글리칸, 폴리펩티드, 펩티드, 막성분 등과 같은 단백질
(3)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암세포계 등에 대해 특이적 면역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상응하는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암세포 계 등으로부터 절단하고, 상기 유전자를 확인하고, 이것을 적당한 벡터 예컨대 플라스미드에 삽입하고, 유전자를 대장균, 효모 또는 동물 세포에서 발현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서브유닛 백신, 상응하는 항원에 대해 특이 항원성이 비교할만 하거나 더 우수하도록 배열된 합성 펩티드 등. 여기서 나타난 암세포에 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에는, 국한되지는 않지만, 소위 암세포 역행 항원 예컨대 MAGE-1, MAGE-3 및 BAGE, 조직-특이성 항원 예컨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Mart-1, gp100 및 gp75, 및 추가로, p15, Mucl, CEA, HPV E6, E7, HPR2/neu 등이 있다.
"항원"에는 하기에 언급된 것과 같은 질병의 발증과 관련된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 콜레라, 백일해, 페스트, 장티푸스, 수막염, 폐렴, 나병, 임질, 이질, 소아마비, 그람음성 패혈증, 콜리바실레이아 (colibacillemia), 광견병, 디프테리아, 보툴리누스중독증, 파상풍, 회백수염, 인플루엔자, 일본 뇌염, 풍진, 홍역, 황열병, 이하선염, 간염 A, 간염 B, 간염 C, 수두/대상포진, 말라리아, 결핵, 칸디다증, 충치, 후천성면역결핍증, 암(종양), 마티티스 (matitis), 탄저병, 브루셀라병, 응유양 림프절염, 장성독혈증, 장염, 흑색병, 악성 수종, 기종저, 렙토스피라병, 구순개선증, 비브리오증, 단독, 선역, 보르데텔라 기관지염, 디스템퍼, 범백혈구감소증, 비기관염, 바이러스성 설사 및 피멜리아(pimelea) 중독.
항원에는 추가로, 후술된 것과 같은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세균 또는 기생충의 감염의 예방, 관련 질병의 발증예방 및 이러한 질병의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코스 에피더미디스 (Staphylococcus epidermidis), 살모넬라 (salmonellae), 메닌고코시 B 군 (group B meningococci), 스트렙토코시 B군 (group B streptococci), 아데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RS 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I 및 II, 단순포진 I 및 II, CMV, EBV,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Chlamydia trachomatis), 파르보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칼리시바이러스.
또한 "항원"에는 동물의 건강을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동물의 생산에 사용되는 항원도 포함된다. 예컨대, 이 항원은 문헌 ["Vaccines in Agriculture, Immunological Applications to Animal Health and Production" (edited by P.R.Wood et al., CSIRO, 71-160, 1994)] 에 기재되어 있다. 이 항원에는 후술되는 것과 같은 동물생산에 사용되는 항원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 번식용 항원 ;인히빈 관련 펩티드 및 방출(releasing) 호르몬, 예컨대 루테이니싱 호르몬 방출 호르몬,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등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 2) 동물의 성장 및 신진대사 조절용 항원; 성장호르몬 관련 인자,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 성장 호르몬, 스테로이드 호르몬,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지방세포의 플라즈마막 항원, 지방 지질, 코르티솔, 아데노코르티코트로픽 호르몬, 아데노코르티코트로픽 호르몬 수용체,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아데노히포피실 호르몬, 예컨대, 프로락틴, ACTH, STH, TSH, LH, FSH, 등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항원; 3) 환경조절용 항원 ; 식물관련 독소, 저분자량 천연독제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
또한, 용어 "항원" 은 항원에 대한 특이적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면 임의 특정종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또한 항원에 대한 비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항원에 대한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에는 스타필로코칼 엔테로톡신, 독소 충격 증후군 독소-1, 엑소폴리아티브 더마티티스 독소, CAP(세포막관련 단백질) 및 SPM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겐-마이토젠), 예컨대, 문헌 [Miyagiken Ishikai Kaiho, Vol. 50 133-137, 1997] 에 기술되어 있는 T-12 및 NY-5, 등과 같은 소위 초항원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항원-유도 물질" 은 생체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항원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이에는 특히, 관련 항원이 생체내에서 생산될 수 있도록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세균, 기생충, 독소, 종양세포등에 대한 특이적 면역성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에 대한 유전자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함유하는 플라즈마 및 바이러스가 포함된다.
삽입될 핵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항원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코딩하는 핵산, 예컨대, 다음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 인플루엔자 HA 또는 NA, 또는 NP 단백질, C형 간염바이러스 E2 또는 NS 1 단백질, B 형 간염바이러스 HB 항원 단백질, A 형 간염바이러스 캡시드 단백질 VP1 또는 VP3, 캡시도이드 단백질, 덴규 바이러스 Egp 단백질, RS 바이러스 F 또는 G 단백질, 광견병 바이러스 G 또는 N 구조 단백질, 헤르페스 바이러스 gD 단백질, 일본 뇌염 바이러스 E1 또는 프리(pre)-M 단백질, 로타바이러스 코트 단백질 VP7 또는 코트 단백질 VP4,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gp120 또는 gp160 단백질, 레이쉬매니아(Leishmania) 주표면 항원 단백질, 말라리아 서컴 스포로조이트 주 표면 항원 단백질, 톡소플라즈마 54-kd 또는 CS 단백질, 충치유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 의 세포 표면 단백질 PAc, MAGE-1, MAGE-3 및 BAGE 와 같은 종양퇴행 항원, 티로시나아제, Mart-1, gp100 및 gp75 와 같은 조직특이적 항원, p15, Muc1, CEA, HPV, E6, E7, HPR2/neu 등을 코딩하는 핵산, 및 문헌 ["Immunization with DNA";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vol. 176, 1994, p 145-152] 에 기재되어 있는 핵산.
이러한 핵산이 삽입되는 플라스미드 또는 바이러스는 이들이 비병원성인한 임의의 특정 종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바이러스로서는, 유전자 치료에서 벡터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러스, 예컨대,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관련 바이러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HIV 바이러스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언급할 수 있다.
항원성 물질은 화학, 재조합 DNA, 세포 배양 또는 발효기술을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제조방법은 임의의 특정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갖기 때문에, 재조합 DNA 기술로 수득되어, 항원성이 낮고, 일반적으로, 통상적 방법에 의한 투여(예컨대, 용액 또는 현탁액의 상태에서의 비경구투여) 후에는 효과적인 방식으로 거의 제조될 수 없는 항원이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
특이적 면역성을 유도하는 항원성 물질은, 임의의 개질없이, 면역강화 조성물에 그대로 혼입되거나, 추가로 이의 항원성 및/또는 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1) 항원보다 큰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예컨대, β-갈락토시다아제 또는 코어 단백질에 공유 또는 비공유결합되거나, (2) 적당한 당(탄수화물) 사 슬로 보충되거나, (3) 리포좀에 포함되거나, (4) 바이러스-리포좀 막융합형 리포좀에 포함되거나 또는 (5) B30MDP [6-O-(2-테트라데실 헥사데카노일)-N-아세틸무라밀 -L-알라닐-D-이소글루타민] 을 이용하여 수득된 바이로좀에 함유될 수 있다.
"면역조절 물질 (면역활성화, 면역자극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물질)" 은 임의의 특정 종에 국한되지 않으나, 특히,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성장인자, 보조 펩티드 및 DNA 서열, 명반, 프로인트 완전 보조액, 프로인트 불완전 보조액, 이스컴, 사포닌, 헥사데실아민,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 애브리딘(Abridin), 세포벽 골격 성분, 콜레라 독소, 리포폴리사카리드 내독소, 사이토카인-함유 리포좀 및 월터 리드 리포좀-함유 리포좀, 1,25-디히드록시바이타민 D3, 및 카르복실비닐 중합체, 알기닌 및 염화나트륨 유래의 겔화물을 들 수 있다. "사이토카인" 은 면역활성화 활성을 갖는한 임의의 특정종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에는 특히, IFN-α, IFN-β, IFN-γ, IL-1α, IL-1β,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12, TNF-α, TNF-β및 GM-CSF 가 포함된다. 예컨대, 면역강화 조성물 투여 부위 주위에 면역적격 세포의 축적, 및 항체 생성의 후속향상이 요구되는 경우, IL-1β및 IL-2 가 특히 바람직하다.
관심을 끄는 특정한 보강제에는, 아드주 포스(Adju-Phos), 알갈 글루칸(Algal Glucan), 알가뮬린(Algammulin), 알히드로겔(Alhydrogel), 항원 제형(Antigen Formulation), 아브리딘(Avridine), 배이 R1005(Bay R1005), 칼시트리올(Calcitriol), 인산 칼슘(Calcium Phosphate Gel), 콜레라 홀로톡신(Cholera Holotoxin;CT), 콜레라 톡신 B 서브유닛(Cholera Toxin B Subunit;CTB), CRL 1005, DDA, DHEA, DMPC, DMPG, DOC/명반 복합체, 감마 인슐린(Gamma Inulin), 저르부 보강제(Gerbu Adjuvant), GMDP, 이미퀴모드(Imiquimod), 임테르(ImmTher),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 ISCOM(s), 이스코프렙 7.0.3(Iscoprep 7.0.3), 록소리빈(Loxoribine), LT-OA 또는 LT 구강 보강제, MF59, 몬타니드 ISA51(MONTANIDE ISA51), 몬타니드 ISA 720(MONTANIDE ISA 720), MPL, MTP-PE, MTP-PE 리포좀, 뮤라메티드(Murametide), 뮤라팔미틴(Murapalmitine), D-뮤라팔미틴, NAGO,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포, 플레우란(Pleuran), PLGA, PGA 및 PLA, 플루로닉 L121(Pluronic L121), PMMA, PODDS, 폴리 라(Poly Ra); 폴리 rU(Poly rU),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 폴리수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단백질 코킬레이트(Protein Cochleates), QS-21, 퀼 A(Quil A), 리히드라겔 HPA(Rehydragel HPA), 리히드라겔 LV(Rehydragel LV), S-28463, SAF-1, 스크라보 펩티드(Sclavo Peptide), 센다이 프로테오리포좀(Sendai Proteoliposomes), 센다이 함유 지질 메트리스(Sendai-Containing Lipid Matrices), 스팬 85(Span 85), 스페콜(Specol), 스쿠알란, 스쿠알렌, 스테릴 티로신, 테라미드(Theramide), 트레오닐-MDP(Threonyl-MDP), Ty 입자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군이 포함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내 함유된 면역조절 물질의 양 및 면역유도 항원성 물질의 양은 조성물에 함유된 생체적합적 물질 및 첨가제에 대한 혼합비율 및 조성물의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투여되는 항원성 물질의 투여양은 통상적인 투여 방법(예, 용액 또 는 현탁액 형태의 비경구 투여)에 사용되는 것과 대략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면역강화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통상의 투여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적은 양으로도 면역성이 충분히 유도될 수 있고, 투여량은 항원성 물질,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 및/또는 항원성 물질과 동시에 투여되는 면역조절 물질, 및 이의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의 형태 또는 모양은, 예컨대, 용액형, 현탁액형, 겔형, 필름형, 스폰지형, 막대 또는 바형 또는 입자형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형태를 선택하여 면역반응을 좀더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막대형 형태가 바람직하다. EP 659,406 에 기재된 것과 같은 코팅되었거나 피복된 막대형 제제가 좀더 특히 바람직하다.
예컨대, 막대형 형태는 항원성 물질 및, 존재하는 경우, 면역조절 물질을 연장된 기간에 걸쳐 방출할 수 있는 반면, 입자형 조성물은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적격 세포에 의해 쉽게 포식될 수 있다. 입자 또는 미립자의 경우에는, 이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100 ㎛, 좀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이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적합적 담체는, 항원성 물질이 담체 내에서 분산되거나 캡슐화된 것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생체적합적 담체는 항원성 물질의 지연된 및/또는 지속적인 방출을 제공할 수 있다.
생체적합적 담체는 임의의 적합한 생체적합적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생체적합적 물질" 로서는 양호한 생체적합성을 갖고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안정하게 지속시키거나 또는 이들을 생체내에서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생체적합적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콜라겐, 젤라틴, 피브린, 알부민, 히알루론산, 헤파린,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키틴, 키토산, 알긴산, 펙틴, 아가로오스, 아라비아 고무; 글리콜산, 락트산 또는 아미노산의 중합체 및 이들의 둘이상의 공중합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이러한 생체적합적 물질의 둘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생체적합적 물질은 면역강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변성 및/또는 불활성시키지 않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선택된다. 이는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생분해성 (생체내 분해가능한) 또는 비생분해성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적 물질로는, 콜라겐을 들 수 있다. 또한 콜라겐을 하나 이상의 다른 생체적합적 물질과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한 어떠한 콜라겐도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동물- 또는 식물 유래 산가용성 콜라겐, 염가용성 콜라겐, 및 알칼리가용성 콜라겐,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아테로콜라겐, 측쇄개질 콜라겐 및 가교된 콜라겐, 및 유전공학적으로 조작된 콜라겐, 바람직하게는 아테로콜라겐, 측쇄개질 콜라겐 및 가교된 콜라겐을 사용할 수 있다. 측쇄개질 콜라겐으로는, 예를 들어, 숙시닐화, 메틸화 또는 미리스틸화 콜라겐을 들 수 있다. 가교된 콜라겐으로는, 예를 들어 글루타르알데히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에폭시 화합물- 처리된 콜라겐을 들 수 있다 (Fragrance Journal, 1989 (12), 104-109; Japanese Patent Publication (고코쿠) 07-59522).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특히 바람직한 비생분해성 생체적합적 물질로서 언급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생체적합적 물질을 이 폴리디메틸실록산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임의의 특정 종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성형성의 용이함 및 기타의 관점으로부터, 실라스틱(Silastic; 등록상표) 의약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및 다우 코닝(DOW Corning; 등록상표)MDX-4-4210 의약등급 엘라스토머와 같은 실리콘이 특히 바람직하다.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의 안정화 및/또는 이의 방출 조절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약학적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약학적 첨가제에는 알부민, 글리신, 글리신이외의 아미노산, 폴리아미노산, 젤라틴,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염화나트륨, 만난, 글루코만난, 타닌산, 시트르산나트륨, 만니톨등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생체적합적 물질 또는 첨가제를 콜라겐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콜라겐의 비율은 적당히는 10w/w% 이상, 바람직하게는 30w/w% 이상의 범위, 좀더 바람직하게는 70w/w%이상의 범위이다. 하나 이상의 다른 생체적합적 물질 또는 첨가제를 폴리디메틸실록산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비율은 적당히는 10w/w% 이상, 바람직하게는 50w/w% 이상의 범위, 좀더 바람직하게는 70w/w% 이상의 범위이다.
생체적합적 담체로서, 막대 또는 바 형, 바람직하게는 피복막대형 형태의 콜라겐기재 또는 실리콘기재의 생체적합적 담체와 활성화제 또는 면역강화제가 배합된 배합물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면으로, 하기의 것들을 함유하는 고체 단위 제형의 면역강화 제품이 제공된다 :
실리콘기재 또는 콜라겐기재 생체적합적 물질로부터 형성된 생체적합적 담체; 항원성 물질 및 그안에 함유된 면역조절 물질.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적 담체는 막대형, 좀더 바람직하게는 피복된 막대형 제품의 형태이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막대형 생체적합적 담체는 실리콘기재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자는, 상기 형태에서, 항원성 물질은 실온에서 안정하여 냉보관이 필요치 않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면역조절제가 면역강화 조성물에 직접 도입될 수 있다; 즉, 용매가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이에는 비경구투여, 경구투여, 비강 및/또는 폐로의 투여, 압축공기를 이용한 주사 및 절개부위에서의 포매(embeding) 또는 보존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투여 방법은 면역 반응이 좀더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면역강화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막대 또는 바형 조성물의 경우에는, 비경구투여 또는 절개부위에서의 보존이 바람직하나, 입자의 경우에서는, 보존을 위한 절개부 위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거나, 또는 일본 특허공보 (고코쿠) 03-72046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사용 용매내에 입자를 현탁시켜 제조한 현탁액의 형태로 비경구투여하거나, 또는 문헌 [Proc. Natl.Acad.Sci.USA, 93, 6291-6296 (1996)] 에 기재된 파워건 또는 [Helios Gene Gun System(Bio-Rad)]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로 주사 (shooting) 투여할 수 있다.
비록 주사용 용매를 생체적합적 물질,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야 하나, 용어 "주사용 용매" 는 1) 입자가 용매에 분산될 수 있고, 2) 입자가 용매에 분산되었을 때 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3)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물질이 입자가 용매에 분산되었을 때 입자내 유지될 수 있고, 4)용매가 비독성이며, 5) 입자가 분산된 용매가 비독성인 한, 임의의 특정 종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여기에서 언급된 주사용 용매에는 증류수, 생리식염수, 인산염 완충용액, 대두유, 참깨유, 땅콩유, 면실유, MCT(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올리브유, 옥수수유, 피마자유, 실리콘유, 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PG (프로필렌 글리콜), 및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지방산(예컨대 DOTMA, DOPE, DOGS 등)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생분해성 용액, 현탁액 및 함수 겔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예로서 다음을 들 수 있다 :
(1) 분말, 용액, 현탁액 또는 겔 형태의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용액 또는 겔 형태의 담체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 현탁액 또는 겔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분말 형태의 담체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 현탁액 또는 겔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스폰지 형태의 담체에 첨가한 후 반죽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그러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생분해성 고체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후지오까 등의 방법 [일본특허공보(고코쿠) 07-59522] 이 포함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의 방법으로서, 다음을 언급할 수 있다 :
(1) 분말, 용액, 현탁액 또는 겔 형태의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용액- 또는 겔 형태의 담체와 혼합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분말, 용액, 현탁액 또는 겔 형태의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분말 형태의 담체와 혼합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 현탁액 또는 겔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스폰지형태의 담체에 첨가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 현 탁액 또는 겔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스폰지형태의 담체에 첨가한 후, 직접 건조시키거나 필요에 따라 물등을 첨가한 후 반죽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방법 (1)-(4) 에서 수득한 고체을 분쇄한후 압축성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분말 형태의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분말 형태의 담체와 혼합한 후 압축성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생분해성 입자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특히 다음의 것들이 포함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1)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 및 담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함께 분무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 및 담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함께 동결건조시킨 후, 수득된 스폰지형 동결건조물을 분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및
(3)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 및 담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함께 담체가 불용성인 교반된 용액에 적가한 후, 수득된 입자를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건조방법, 건조단계에서의 온도 및 습도, 혼합방법, 혼합단계에서의 온도 및 습도, 압축성형방법, 압축성형 단계에서의 온도, 습도 및 성형압력, 담체 용액 및 활성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 용액의 점도, 및 담체-항원성 물질 혼합 용액 및 항원성 물질-면역조절 물질 혼합 용액의 점도 및 pH 는 통상의 방법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비생분해성 고체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다음의 것들이 포함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1) 분말, 용액, 현탁액 또는 겔 형태의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된 담체 단량체를 혼합하고, 경화제를 첨가한 후, 임의로 선택한 금형에서 충진 또는 압출로 성형시킨 후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용액, 현탁액 또는 겔 형태의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분말형 담체를 혼합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분말, 용액, 현탁액 또는 겔 형태의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분말형 담체를 혼합하고, 1) 혼합물을 임의로 선택한 금형에 충진시킨 후 압축성형하거나, 또는 2) 노즐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압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용액, 현탁액 또는 겔 형태의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스폰지형 담체를 혼합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분말, 용액, 현탁액 또는 겔 형태의 활성 물질, 또는 활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스폰지형 담체를 혼합한 후, 1) 혼합물을 임의로 선택한 금형에 충진시킨 후 압축성형하거나, 또는 2) 노즐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압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함유하는 막대 또는 바형 내층을 상기 방법 (1),(3) 및 (5) 로 성형시킨 후, 내층을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이 없는 외층 물질로 피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및
(7) 특히 노즐을 이용하여 공압출로 내층과 외층을 동시에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건조방법, 건조단계에서의 온도 및 습도, 혼합방법, 혼합단계에서의 온도 및 습도, 압축성형방법, 압축성형 단계에서의 온도, 습도 및 성형압력, 담체 용액 및 항원성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 용액의 점도, 및 담체-항원성 물질 혼합 용액 및 항원성 물질-면역조절 물질 혼합 용액의 점도 및 pH 는 통상의 방법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강화 물질을 이용한 방법에는 예컨대, (1) 질병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인간에서 사용,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 및 조류에서 사용하기 위한 백신 제제로서의 사용, 및 (2) 항체 제조의 목적으로 동물에 투여되는 면역화 제제로서의 사용이 포함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면으로서, 질병 또는 기타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적 처리를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에는 생체적합적 담체; 및 상기에 함 유된 항원성 물질, 또는 항원성 물질 및 면역조절 물질을 포함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을 제공하고; 유효량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용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의 투여 부위는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인 백신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조성물은 피하, 근내 또는 유사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발명의 원리의 설명"부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강화 조성물은 투여 부위에 있는 또는 그 투여 부위의 주변의 림프절에서 면역반응을 특이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성물은 필요한 목표 기관에 직접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종양유래 항원 및 사이토카인을 운반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을 종양 세포 부위 또는 종양 세포가 수술로 제거된 부위에 직접 투여하여,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면역강화 조성물의 종양부위에의 직접적인 국부 투여가, 종양부위를 관할하는 림프절을 통해 종양세포가 전신림프계로 전이하는 것에 억제효과를 일으키는 것이 예기된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상술한 본 발명의 대요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 시험예 1 및 시험예 2 기재의 면역강화 조성물로부터 아비딘 및 IL-1β의 누적 방출의 시간경과.
도 2 : 마우스에서의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의 시간경과.
도 3 : 양에서의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의 시간경과.
도 4 : 시험예 7 에서 제조한 면역강화 조성물의 투여 부위의 조직학적 현미경사진 (CD45, x300).
도 5 : 시험예 8 에서 제조한 면역강화 조성물의 투여 부위의 조직학적 현미경사진 (CD45, x300).
도 6 : 시험예 5 에 정해진 면역강화 조성물로부터 아비딘의 누적 방출의 시간경과.
도 7 : 시험예 6 에 정해진 면역강화 조성물로부터 아비딘 및 IL-1β의 누가적 방출의 시간경과.
도 8 : 시험예 7 에서 측정된 마우스에서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의 시간 경과.
도 9 : 시험예 8 에서 측정된 마우스에서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의 시간 경과.
도 10 : 시험예 9 에서 실리콘의 단독 투여후 양의 백혈구 세포 총수 및 체온의 시간경과.
도 11 : 시험예 9 에서 IL-1β를 함유하는 실리콘 기재 면역강화 조성물의 투여후 양의 백혈구 세포 총수 및 체온의 시간경과.
도 12 : 시험예 9 에서 IL-1β 및 아비딘을 함유하는 실리콘 기재 면역강화 조성물의 투여후 양의 백혈구 세포 총수 및 체온의 시간경과.
(1) 면역강화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5.0 mg/ml 의 아비딘 (Boehringer Mannheim GmbH, Germany) 을 함유하는 수용액 (10ml) 및 100 mg/ml 의 글리신 (Nakalai Tesque, Inc., Japan) 을 함유하는 3 ml 의 수용액을 134 g 의 아텔로콜라겐 용액 (Koken Co., Ltd., Japan; 아텔로콜라겐 함량 : 2%) 와 혼합하여 용액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
5.0 mg/ml 의 양 IL-1β(A.E.Andrews 등에 의해 제조됨, [Vaccine, 12, 14-22, 1994])을 함유하는 수용액 (1.7ml), 5.0 mg/ml 의 아비딘을 함유하는 8.6 ml 의 수용액 및 100 mg/ml 의 글리신을 함유하는 1.5ml 의 수용액을 142 g 의 2% 아텔로콜라겐 용액과 혼합하여 용액 형태로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용액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동결건조시켜 스폰지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4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용액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동결건조시켜 스폰지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5
7 g 의 증류수를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스폰지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방치한 후 반죽하여 겔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 득한다.
실시예 6
7 g 의 증류수를 실시예 4 에서 제조한 스폰지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방치한 후 반죽하여 겔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7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젤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압출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막대형태 면역강화 조성물을 막대 형태로 수득한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젤 형태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압출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막대형태 면역강화 조성물을 막대 형태로 수득한다.
실시예 9
1 ㎎/㎖ 아비딘 수용액 (11.1 g) 및 81 ㎎/㎖ 인간 혈청 알부민 (HSA) 수용액 12.2 g을 함께 혼합하고, 혼합물을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물을 분쇄하고 체질하여 입자 크기 20 ㎛ 이하의 분말을 수득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0.7 g 및 파트 B 0.7 g을 함께 혼합한다. 혼합 후, 혼합물을 재빨리 상기 분말 0.6 g 과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을 가압하에 지름 1.9 ㎜의 구멍을 통해 압출하고, 실온에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0
1 ㎎/㎖ 아비딘 수용액 (11.1 g), 2 ㎎/㎖ IL-1β수용액 61 ㎕ 및 81 ㎎/㎖ 인간 혈청 알부민 (HSA) 수용액 12.2 g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물을 분쇄하고 체질하여 입자 크기 20 ㎛ 이하의 분말을 수득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0.7 g 및 파트 B 0.7 g을 함께 혼합한다. 혼합 후, 혼합물을 재빨리 상기 분말 0.6 g 과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을 가압하에 지름 1.9 ㎜의 구멍을 통해 압출하고, 실온에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1
실시예 9의 경화 생성물을 톨루엔 내 10 %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및 파트 B의 1:1 혼합물) 분산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경화 생성물에 외층 (두께: 0.2 ㎜)을 형성시킨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의 경화 생성물을 톨루엔 내 10 %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및 파트 B의 1:1 혼합물) 분산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경화 생성물에 외층 (두께: 0.2 ㎜)을 형성시킨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3
1 ㎎/㎖ 아비딘 수용액 (11.1 g) 및 81 ㎎/㎖ HSA 수용액 12.2 g을 함께 혼 합하고, 혼합물을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물을 분쇄하고 체질하여 입자 크기 20 ㎛ 이하의 분말을 수득한다. 한편, 신-엣수 실리콘(Shin-Etsu Silicone; 등록상표, Shin-Etsu Chemical Co., Ltd., 일본) KE68 (주재료) 1.372 g 및 신-엣수 실리콘 (등록상표, Shin-Etsu Chemical Co., Ltd., 일본) Cat-RC (경화제) 28 ㎎을 함께 혼합한다. 혼합 후, 혼합물을 재빨리 상기 분말 0.6 g 과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을 가압하에 지름 1.9 ㎜의 구멍을 통해 압출하고, 실온에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4
1 ㎎/㎖ 아비딘 수용액 (11.1 g), 2 ㎎/㎖ IL-1β수용액 61 ㎖ 및 81 ㎎/㎖ 인간 혈청 알부민 (HSA) 수용액 12.2 g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물을 분쇄하고 체질하여 입자 크기 20 ㎛ 이하의 분말을 수득한다. 한편, 신-엣수 실리콘 KE68 (주재료) 1.372 g 및 신-엣수 실리콘 Cat-RC (경화제) 28 ㎎을 함께 혼합한다. 혼합 후, 혼합물을 재빨리 상기 분말 0.6 g 과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을 가압하에 지름 1.9 ㎜의 구멍을 통해 압출하고, 실온에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5
실시예 13의 경화 생성물을 톨루엔 내 10 % 신-엣수 실리콘 (KE-68 와 Cat-RC의 98:2 혼합물) 분산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경화 생성물에 외층 (두께: 0.2 ㎜)을 형성시킨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의 경화 생성물을 톨루엔 내 10 % 신-엣수 실리콘 (KE-68 및 Cat-RC의 98:2 혼합물) 분산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경화 생성물에 외층 (두께: 0.2 ㎜)을 형성시킨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7
5 ㎎/㎖의 아비딘을 함유하는 수용액 (0.578 g), 100 ㎎/㎖ 의 시트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13.0 g) 및 100 ㎎/㎖의 만니톨을 함유하는 수용액 (13.0 g)을 혼합하고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1.05 g을 파트 B 1.05 g 과 혼합한다. 혼합 후, 혼합물을 재빨리 상기 분말 0.90 g 과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을 시린지에 충전하고, 가압하에 지름 1.6 ㎜의 구멍을 통해 압출한 후, 경화되도록 25 ℃에서 3일간 방치한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8
5 ㎎/㎖의 아비딘을 함유하는 수용액 (2.89 g), 100 ㎎/㎖ 의 시트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6.42 g) 및 100 ㎎/㎖의 만니톨을 함유하는 수용액 (6.42 g)을 혼합하고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0.93 g을 파트 B 0.93 g 과 혼합한다. 혼합 후, 혼합물을 재빨리 상기 분말 0.80 g 과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을 시린지에 충전하고, 가압하에 지름 1.6 ㎜의 구멍을 통해 압출한 후, 25 ℃에서 3일간 방치하여 경화시킨 다. 막대를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9
실시예 1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비딘, 시트르산나트륨, 만니톨 및 실라스틱의 반죽 혼합물을 시린지에 충전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50 g을 파트 B 50 g 과 혼합하고, 이를 또 다른 시린지에 충전한다. 충전물을 가압하에,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노즐 (최대 바깥지름: 1.9 ㎜)을 통해 압출함으로써, 약물을 함유하는 실라스틱은 내부를 형성하고, 약물이 없는 실라스틱은 외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 성형물을 37 ℃에서 5일간 방치하여 경화시킨 후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0
5 ㎎/㎖의 아비딘을 함유하는 수용액 (0.30 g), 100 ㎎/㎖의 시트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4.34 g) 및 100 ㎎/㎖의 만니톨을 함유하는 수용액 (8.67 g)을 혼합하고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0.93 g을 파트 B 0.93 g 과 혼합한다. 혼합 후, 혼합물을 재빨리 상기 분말 0.80 g 과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을 시린지에 충전하고, 가압하에 1.6 ㎜ 구멍을 통해 압출한 후, 25 ℃에서 3일간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성형물을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1
실시예 2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비딘, 시트르산나트륨, 만니톨 및 실라스틱의 반죽 혼합물을 시린지에 충전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50 g을 파트 B 50 g 과 혼합하고, 이를 또 다른 시린지에 충전한다. 충전물을 가압하에,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노즐 (외부의 안지름: 1.9 ㎜, 내부의 안지름: 1.6 ㎜)을 통해 압출함으로써, 약물을 함유하는 실라스틱은 내부를 형성하고, 약물이 없는 실라스틱은 외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 성형물을 25 ℃에서 5일간 방치하여 경화시킨 후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2
5 ㎎/㎖의 아비딘을 함유하는 수용액 (0.45 g), 2 ㎎/㎖의 IL-1β를 함유하는 수용액 (3.15 g), 250 ㎎/㎖의 시트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1.92 g) 및 150 ㎎/㎖의 만니톨을 함유하는 수용액 (6.19 g)을 혼합하고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1.05 g을 파트 B 1.05 g 과 혼합한다. 혼합 후, 혼합물을 재빨리 상기 분말 0.90 g 과 반죽한다. 반죽된 혼합물을 시린지에 충전하고, 가압하에 1.6 ㎜ 구멍을 통해 압출한 후, 25 ℃에서 5일간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이 성형물을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3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비딘, IL-1β, 시트르산나트륨, 만니톨 및 실라스틱의 반죽 혼합물을 시린지에 충전한다. 한편, 실라스틱(등록상표, Dow Corning Co., 미국) 의약 등급 ETR 엘라스토머 Q7-4750 파트 A 50 g을 파트 B 50 g 과 혼합하고, 이를 또 다른 시린지에 충전한다. 충전물을 가압하에,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노즐 (외부의 안지름: 1.9 ㎜, 내부의 안지름: 1.6 ㎜)을 통해 압출함으로써, 약물을 함유하는 실라스틱은 내부를 형성하고, 약물이 없는 실라스틱은 외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 성형물을 25 ℃에서 3일간 방치하여 경화시킨 후 절단하여 면역강화 조성물을 수득한다.
(2) 방출 시험
시험예 1
실시예 7에서 제조한 면역강화 조성물 (10 ㎎) 을, 0.5% 소 혈청 알부민 및 0.01% 소듐 아지드를 함유하는 인산염 완충액 (pH 7.4) 5 ㎖에 넣고, 방출되는 아비딘을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에 의해 검사하고, 누적 방출량을 측정한다. 이렇게 수득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면역강화 조성물은 7일 이상에 걸쳐 지속적으로 아비딘을 방출한다.
시험예 2
실시예 8에서 제조한 면역강화 조성물 (10 ㎎) 을, 0.5% 소 혈청 알부민 및 0.01% 소듐 아지드를 함유하는인산염 완충액 (pH 7.4) 5 ㎖에 넣고, 방출되는 아비딘 및 IL-1β를 ELISA에 의해 검사하고, 누적 방출량을 측정한다. 수득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면역강화 조성물은 7일 이상에 걸쳐 지속적으로 아비딘 및 IL-1β를 방출한다.
(3) 항체 생산 실험
시험예 3
2군(각 군당 5마리)의 암컷 Balb/C 마우스에게, 아비딘 100 ㎍을 함유하는 실시예 7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 또는 아비딘 100 ㎍ 및 IL-1β 20 ㎍을 함유하는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을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7, 14, 21, 35 및 83 일에 마우스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각 군에서 5마리의 마우스로부터 동일량의 혈청을 채취하고,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를 ELISA에 의해 검사한다. 결과를 50% 중간점 적정량으로서 표현하여, 조성물의 면역강화 효과를 표시한다 (도 2). 투여 35 일 후에, 실시예 7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혈액에서의 항체 적정량은, 대조예 1에서 수득된 항체 적정량보다 약 25배 더 높았다. 또한,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혈액에서의 항체 적정량은, 대조예 1에서 수득된 항체 적정량보다 약 450배 높았다.
대조예 1
5마리의 암컷 Balb/C 마우스에 PBS 내의 가용성 아비딘 100 ㎍을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7, 14, 21, 35 및 83 일에 마우스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5마리의 마우스로부터 동일량의 혈청을 풀링(pooling)하고,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를 ELISA에 의해 검사한다. 결과를 50% 중간점 적정량으로서 표현하여, 조성물의 면역강화 효과를 표시한다 (도 2).
시험예 4
5마리의 혼성(混性) 메리노양에게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을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7, 14, 21, 및 35 일에 양으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5마리의 양으로부터 동일량의 혈청을 풀링하고,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를 ELISA에 의해 검사한다. 결과를 50% 중간점 적정량으로서 표현하여, 조성물의 면역강화 효과를 표시한다 (도 3). 투여후 14일에 높은 수준의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 생산이 확립되었다.
대조예 2
5마리의 혼성 메리노양에게, PBS 내 가용성 아비딘 100 ㎍을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7, 14, 21 및 35 일에 양으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5마리의 양으로부터 동일량의 혈청을 풀링하고,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를 ELISA에 의해 검사한다. 결과를 50% 중간점 적정량으로서 표현하여, 조성물의 면역강화 효과를 표시한다 (도 3). 투여후 35일간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 생산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예 3
5마리의 혼성 메리노양에게, PBS 내 가용성 아비딘 100 ㎍ 및 IL-1β20 ㎍을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7, 14, 21 및 35 일에 양으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5마리의 양으로부터 동일량의 혈청을 풀링하고,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를 ELISA에 의해 검사한다. 결과를 50% 중간점 적정량으로서 표현하여, 조성물의 면역강화 효과를 표시한다 (도 3). 투여후 35일간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 생산은 관찰되지 않았다.
(4) 조직 분석
양에게 왼쪽 옆구리의 세 개의 다른 부위에서 실시예 7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 또는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을 피하투여한다. 투여후 72 시간에 동물들을 희생시키고 분석을 위해 피부 조직을 떼어낸다. 동결 구획상에서 세포 표면 CD45 발현의 분석을 위해 조직을 OCT에 끼워넣는다. 조직의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면역강화 조성물에 의해 유도된 백혈구의 침윤이 확인되었다 (도 4 및 5).
시험예 5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아비딘 함량 10 ㎍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된 면역강화 조성물, 및 실시예 18 및 19에서 제조된, 각각 아비딘 함량 100 ㎍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된 면역강화 조성물을 각각, Tween20 0.3% 및 소듐 아지드 0.01%를 함유하는인산염 완충액 (pH 7.4) 2 ㎖에 넣어 방치한다. 방출되는 아비딘을 ELISA에 의해 검사하고, 누적 방출량을 측정한다. 수득된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아비딘의 방출 키네틱(kinetic)은 조성물의 형태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었다. 즉, 매트릭스형태의 조성물 (실시예 17 및 18) 은 대략 1차 방출 패턴을 나타내는 반면, 피복된 막대형태의 조성물 (실시예 19) 은 대략 0차 방출 패턴을 나타내었다. 이들 조성물은 30일 이상에 걸쳐 지속적으로 아비딘을 방출한다.
시험예 6
실시예 20 및 21에서 제조된, 각각 아비딘 함량 5 ㎍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된 면역강화 조성물, 및 실시예 22 및 23에서 제조된, 각각 아비딘 함량 5 ㎍, 및 IL-1β 함량 5 ㎍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된 면역강화 조성물을 각각, Tween20 0.3% 및 소듐 아지드 0.01%를 함유하는인산염 완충액 (pH 7.4) 2 ㎖에 넣어 방치한다. 방출되는 아비딘 및 IL-1β를 ELISA에 의해 검사하고, 누적 방출량을 측정한다. 수득된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시험예 5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비딘 및 IL-1β의 방출 키네틱은 조성물의 형태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었다. 이들 조성물은 15일 이상에 걸쳐 지속적으로 아비딘 및 IL-1β를 방출한다.
시험예 7
3군의 Balb/C 마우스 (1군당 수컷 6마리)에게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 (아비딘 10 ㎍ 함유),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 (아비딘 100 ㎍ 함유), 및 실시예 19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 (아비딘 100 ㎍ 함유)을 각각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14, 28 및 42 일에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각 채취시, 각 군에서 6마리의 마우스로부터 혈청 분취량을 풀링하고, ELISA에 의해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에 대해 검사한다. 각 항체 적정량은 50% 중간점 적정량으로 표현한다. 이렇게 수득된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투여후 14일에,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혈액 항체 적정량은, 아비딘의 양이 대조예 4의 조성물의 양의 겨우 1/10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조예 4의 항체 적정량보다 약 180배 높은 농도에 달했다. 투여후 14일에 실시예 18 및 19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혈액 항체 적정량은, 대조예 4의 항체 적정량보다 약 250배 및 약 190배 높은 농도에 달했다. 실시예 17, 18 및 19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에서 혈액 항체 적정량은 투여후 6 주에 걸쳐 대조예 4의 것보다 높았다.
대조예 4
Balb/C 마우스 (수컷 6마리)에게 아비딘 100 ㎍을 함유하는PBS 용액을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14, 28 및 42 일에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각 채취시, 각 군에서 6마리의 마우스로부터 혈청 분취량을 풀링하고, ELISA에 의해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에 대해 검사한다. 각 항체 적정량은 50% 중간점 적정량으로 표현한다. 이렇게 수득된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시험예 8
4군의 Balb/C 마우스 (1군당 수컷 6마리)에게 실시예 20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 (아비딘 5 ㎍ 함유),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조성물 (아비딘 5 ㎍ 함유),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조성물 (아비딘 5 ㎍ 및 IL-1β 5 ㎍ 함유), 및 실시예 23에서 제조된 조성물 (아비딘 5 ㎍ 및 IL-1β 5 ㎍ 함유)을 각각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14, 28 및 42 일에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각 채취시, 각 군에서 6마리의 마우스로부터 혈청 분취량을 풀링하고, ELISA에 의해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에 대해 검사한다. 각 항체 적정량은 50% 중간점 적정량으로 표현한다. 이렇게 수득된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21, 22 및 23에서 제조된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에서, 투여후 14 일부터 혈액중에서 항-아비딘 항체가 검출되었으나, 대조예 5에서 동일량의 아비딘이 투여된 마우스에서는 혈액 항체 적정량이 시험 기간 내내 검출 한계 미만이었다. 실시예 20, 22 및 23의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에서 혈액 항체 적정량은 투여후 28일까지 대조예 6의 것보다 높았고, 실시예 22 및 23의 면역강화 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에서 혈액 항체 적정량 은 시험 기간 내내 대조예 5의 것보다 훨씬 높았다.
대조예 5
Balb/C 마우스 (수컷 6마리)에게 아비딘 5 ㎍을 함유하는PBS 용액을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14, 28 및 42 일에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각 채취시, 각 군에서 6마리의 마우스로부터 혈청 분취량을 풀링하고, ELISA에 의해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에 대해 검사한다. 각 항체 적정량은 50% 중간점 적정량으로 표현한다. 이렇게 수득된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대조예 6
Balb/C 마우스 (수컷 6마리)에게, 아비딘 5 ㎍ 및 명반(alum) 0.26 (중량)%를 함유하는PBS 용액을 피하 투여한다. 투여후 14, 28 및 42 일에 혈액 시료를 채취한다. 각 채취시, 각 군에서 6마리의 마우스로부터 혈청 분취량을 풀링하고, ELISA에 의해 항-아비딘 항체 적정량에 대해 검사한다. 각 항체 적정량은 50% 중간점 적정량으로 표현한다. 이렇게 수득된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이하, "면역강화 조성물" 은 IC 로 약기한다.
시험예 9
상기 실시예 20 및 2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리콘 기재의 IC를 제조한다. 실리콘 기재의 IC 는 하기 표에서 "매트릭스" 로 나타낸다. 각 조성물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 21 및 2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코팅된 실리콘 기재의 IC를 제조한다. 코팅된 실리콘 기재의 IC 는 하기 표에서 "피복된 막대" 로 나타낸다. 각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1999015232609-pct00054
상기 시험에서, 실리콘 기재의 면역강화 조성물 또는 대조 조성물 (군 10, 11, 12)을 피하 경로에 의해 주입하고, 28일후 PBS 내 아비딘 100 ㎍으로 2차 면역화를 수행한다.
실리콘 기재 면역강화 조성물의 효능
양들을 각 군당 7마리씩 12군으로 나눈다.
각각에게 표 1에 따른 조성물을 피하 투여한다. 28일후 아비딘 100 ㎍ 으로 2차 면역화를 수행한다. 수득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1999015232609-pct00055
방출되는 항-아비딘 특이적 항체를, 각 군으로부터 풀링된 혈청으로부터 수행된 적정량으로 ELISA에 의해 측정한다.
IL-1β 보강제가 없을 때, 매트릭스 실리콘 IC는 염수 내에서 공급된 항원보다 우수하지만 (시험된 모든 투여량에서), 명반 내에서 공급된 항원보다 효과가 낮다.
실리콘 및 염수 조성물 모두에서, 보강제로서 IL-1β를 첨가함으로써 항원 반응은 강화된다. IL-1β가 첨가된 여러 실리콘 IC는 명반 조성물 중의 아비딘보다 우수한 반응을 유도한다.
매트릭스 실리콘 IC에 있어서, 항원 투여량이 낮을수록 높은 항체 반응의 유도에 효과적인 경향이 있다.
피복된 막대 IC는 매트릭스 IC보다 항체 적정량 및 반응 지속성이 우수하다.
실리콘 IC의 생체적합성
양들을 각 군당 7마리씩 8군으로 나눈다.
각각에게 표 3에 따른 실리콘 IC를 피하 투여한다.
Figure 112003013935840-pct00063
백혈구 수 및 체온에 대해 각 군당 2마리의 양을 조사한다.
조직검사를 위해 다음 시기에 이식 부위의 조직을 채취한다:
이식후 2일 (2마리)
이식후 4주 (2마리)
이식후 8주 (2마리)
이식후 2일에, 모든 IC의 부위에서 가벼운 부종이 관찰되었다. 이는 IL-1β가 첨가된 IC에서 보다 뚜렷하다.
이식후 4주 및 8주에, IC 부위를 둘러싼 조직은 정상적으로 보였다. IC는 캡슐화되지 않았고 조직에 부착되지 않았지만,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 거부 조직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신 효과
체온 및 백혈구 수의 측정을 수행한다.
수득된 결과는, 실리콘 IC 단독에 대해 도 10a 및 b에, IL-1β만 혼입된 IC에 대해 도 11a 및 b에, 그리고, 아비딘 및 IL-1β가 첨가된 IC에 대해서는 도 12a 및 b에 나타낸다.
IL-1β가 혼입되지 않은 모든 종류의 실리콘 이식물은 체온 및 백혈구 수에 어떠한 역효과도 유도하지 않았다.
IL-1β만이 혼입된 실리콘 IC를 투여하였을 때, 양에서 일시적인 체온 상승이 관찰되었고, 이는 염수 내의 IL-1β를 주사하였을 때 관찰되는 결과보다 심하지 않은 것이다. 이들 양에서 평균 체온 상승은 1℃이었고, 24시간후 정상 체온이 관찰되었다. 또한, 백혈구 수는 정상 수준보다 4배까지 증가되었지만, 24시간후 정상 수준이 다시 관찰되었다.
실리콘 IC 내 아비딘의 존재로, IC로부터 방출된 IL-1β와 관련되어, 백혈구 수 (WBC) 및 체온 변화의 정도 및 지속성 모두가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리콘 IC는 체온 및 백혈구 수의 장기간 이상을 유도하지 않으며, 관찰된 일시적인 변동은 경미한 것으로, 실리콘 IC 자체의 어떤 활성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IC에 IL-1β가 포함된 것과 관련된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투여 부위의 면역조직 검사
상이한 종류의 실리콘 IC에 대한 결과는 동일하였으며; 상이한 반응은 단지 IC 내 IL-1β의 혼입여부에 따른 것이었다.
1. IL-1β이 혼입된 IC
제2일
IL-1β을 함유하는IC가 투여된 모든 동물에서, 투여 부위 및 이를 둘러싼 조직에 세포(대부분 호중구)의 대량 유입이 있었다.
T 및 B 세포 마커(marker)에 대해 염색되는 세포는 주로 표피에 존재하며, 단지 일부가 피부의 하층에 산재해있다.
제4주
이러한 부위에서 관찰된 면역 세포는 주로 호중구이다. 제2일에 관찰된 수준에 대한 MHC Class I 및 II 양성 세포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소량의 CD4, CD8, γδ 및 CD1 양성 세포가 IC 를 둘러싼 층에 나타났으며, 조직의 나머지 부분에 산재해있었다. 몇몇 CD45R 양성 세포 또한, 피부에 산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8주
세포는 이제, 주로 IC를 둘러싼 층이며, 조직은 더욱 정상적인 외관을 가진 다.
LCA에 대해 양성인 세포가 IC를 둘러싸고 있으며, 어떤 림프구 마커로도 염색되지 않는 세포층 또한 뚜렷하였다. 이들 세포는 섬유아세포인 것으로 추측된다. 마쏜 트리크롬(Masson's trichrome)으로 염색된 파라핀 구획은 진하게 염색되는 콜라겐의 박층을 나타내고, 이는 IC의 캡슐화의 시작을 표시한다. MHC Class I 및 II 양성 세포 또한, IC 주위의 LCA-양성 층에서 나타나지만, 제4주에처럼 조직 전반에 걸쳐 나타나지 않는다. 단지 CD4, 더 적은 CD8, γδ, CD1 및 CD45R 에 대해 양성인 것만 산재해 있다.
2. IL-1β가 없는 IC
제2일
IL-1β을 함유하지 않은 IC가 투여된 동물로부터 떼어낸 조직은 모두 정상 피부의 외관을 가졌다. 세포 유입 또는 부종은 뚜렷하지 않았다. 표피의 세포에서 극소의 림프구 표면 마커 염색이 나타났다.
제4주
섬유아세포가 투여 부위의 둘레에 뚜렷이 관찰되며, 또한 피복된 막대형 IC는, IC가 열린 끝부분에서 LCA 양성 세포를 나타낸다. 이들 세포는 주로, MHC Class I 양성이며, 소량의 Class II 및 CD4 양성이 포함된다.
제8주
IC를 둘레에 약간의 섬유아세포가 존재하며, 어떤 림프구 표면 마커로도 염색된 세포가 거의 없다.
이러한 결과는 실리콘 IC가 양에 피하 투여 후에 양호하게 수용되는 것을 나타내며, 투여량을 제한해야 할 만큼의 부작용은 투여 8주 후에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예 10
실시예 7 및 8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 콜라겐 기재의 IC를 사용하여 시험예 9를 반복한다. IC의 조성은 하기 표 4에 나타내며, 수득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1999015232609-pct00029
Figure 111999015232609-pct00057
이러한 결과는 콜라겐 IC에 IL-1β를 함유시키는 것이 아비딘에 대한 항체 반응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확증한다.
IL-1β의 최적 투여량을 통게학적으로 입증할 수는 없지만, 그러나, 두 개의 IL-1β의 최대 투여량이 투여되었을 때 최대의 반응이 기록되었다.
콜라겐 IC에서 달성된 결과를 명반 및 PBS와 비교하였다(표 6 참조).
Figure 111999015232609-pct00031
표시된 투여 및 2 차 투여를 PBS 내 100 ㎍의 아비딘으로 한 이외에는, 피하 경로가 사용되었다. 2 차 면역화 28 일 후에, PBS 내 아비딘 1 ㎍을 양의 내부 대퇴의 양모가 없는 부분에 피내 주사함으로써 지연된 형태의 과민성 반응을 시험하였다. 이 부위를 주사 24 및 48 일 후에 부종과 홍반에 대해 시험하였다.
수득된 결과를 표 7 및 8에 나타낸다.
Figure 111999015232609-pct00058
Figure 111999015232609-pct00059
Figure 111999015232609-pct00034
Figure 111999015232609-pct00035
콜라겐 IC는 어떠한 강한 지연된 형태의 과민성 반응도 이끌어내지 않았다.
부드러운(mild) DTH 반응을 액체 조성물로 면역화된 양에 대해 기록하였다.
어떠한 동물에서도 즉각적인 과민성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예 11
단일 투여 면역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표 9에 명기된 IC를 사용하여 실시예 9 및 10을 반복하였다. 수득된 결과를 표 10 및 1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3013935840-pct00064
Figure 112003013935840-pct00065
Figure 112003013935840-pct00066
Figure 111999015232609-pct00040
Figure 111999015232609-pct00016
콜라겐 및 실리콘 IC는 어떠한 강한 지연된 형태의 과민성 반응도 이끌어내지 않았다.
부드러운(mild) DTH 반응을 액체 조성물로 면역화된 양에 대해 기록하였다.
어떠한 동물에서도 즉각적인 과민성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피복된 막대 실리콘 IC가, 가장 높은 적정량 및 가장 지속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가장 효과적인 단일 투여 면역화용 제형이었다.
면역화용 피복된 막대 IC의 효과적인 사용은 IL-1β의 함유에 의존하였다.
피복된 막대 IC는 본질적으로 지연된 형태의 과민성 반응을 유도하지 않았다.
효과적인 기억 반응이, IL-1β가 혼입된 IC가 투여된 동물에서 유도되었다. 이것은 1차 면역화에 대한 적정량이 감소한 후, 69일에 2 차 면역화가 제공된 후의 반응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이 혈청 시료 상에서 동기준표본 분석 또한 실행하였다. 결과는, 높은 수준의 IgG가 모든 군에서 실험 중에 걸쳐 존재한 반면, IgM은 14일 시간 포인트에서만 낮은 수준으로 검출가능했다. 이것은 오직 항원의 단일 투여 후에 동기준표본 교환이 효과적으로 일어났음을 가리킨다.
시험예 12
표 12에 명시된 대로, 모델 아비딘 항원 대신에 질병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일련의 항원을 사용하여 시험예 11을 반복하였다.
Figure 111999015232609-pct00041
Figure 111999015232609-pct00042
수득된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피복된 막대 IC는 테스트된 두 항원에 대해 통상적인 명반 백신 및 명반/IL-1β조합물보다 명확히 우수하다. 콜라겐 IC는 명반 제형과 크게 다르지 않은 적정량을 유도하였지만, 더 오랜 시간 포인트에서는, 노비 톡소이드, C가 있는 피복된 막대 IC,는 명반 제형보다 2 배 이상 높은 적정량을 유도하였다.
시험예 13
실리콘 기재 IC를 사용하여 투여량 반응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IC의 조성 및 구조를 하기 표 14에 나타낸다. 격주 기준으로 항체 적정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Figure 111999015232609-pct00043
Figure 111999015232609-pct00044
이러한 결과들은 피복된 막대 IC에 반응하여 생기는 항체의 높은 적정량 및 지속성을 증명한다. 가장 지속적인 반응은 가장 높은 투여량의 IL-1β 및 항원의 존재에서 나타났다. 70 일 시간 포인트에서, IL-1β가 혼입된 피복된 막대 실 리콘 IC은 액체 제형의 아비딘보다 명확히 우수했다(대략 5 배의 적정량).
콜라겐 및 실리콘 IC는 백신 부형제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항원의 면역성이 얻어지고, 사이토카인 보강제의 생물학적 활성이 보존되었다.
콜라겐 IC 및 실리콘 매트릭스 IC는 본질적인 보강제 활성을 나타낸다.
L-1β가 적합한 수준으로 IC 에 혼입될 때, 항체 반응이 명반 보강제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을 능가하였다.
보강제로서 IL-1β가 혼입된 피복된 막대 실리콘 IC는 테스트한 임의의 다른 조성물(액체 또는 IC)보다 상당히 더 높은 항체 반응을 유도하였다. 또한, 항체 반응이 다른 조성물보다 더 오랜 기간동안 지속되었다.
안전한 백신 부형제로서 IC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전신성 또는 조직의 역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요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한, 다양한 다른 변형 및/또는 변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5)

  1.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 및 콜라겐 또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함유하는 담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약학적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이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및 암 세포로 구성되는 군의 한 원에 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면역강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이 화학 기술, DNA 재조합 기술, 세포 배양 기술 또는 발효 기술을 사용하여 수득된 물질인 면역강화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및 암 세포로 구성되는 군의 한 원으로부터, 약독화, 비독성화 또는 이들을 비병원성이게 해서, 항원이 유래되는 면역강화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이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및 암 세포로 구성되는 군의 한 원으로부터 수득되는 물질인 면역강화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항원-유도 물질이,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및 암 세포로 구성되는 군의 한 원에 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을 코딩하는 핵산(유전자 서열)이 혼입되어 상기 항원이 생체 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바이러스 또는 플라스미드인 면역강화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용액, 현탁액, 겔, 필름, 스폰지, 막대 또는 바, 또는 미세 입자인 면역강화 조성물.
  9.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 면역활성화, 면역자극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물질, 및 콜라겐 또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함유하는 담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면역활성화, 면역자극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물질이 사이토카인인 면역강화 조성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약학적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이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및 암 세포로 구성되는 군의 한 원에 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면역강화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이 화학 기술, DNA 재조합 기술, 세포 배양 기술 또는 발효 기술을 사용하여 수득된 물질인 면역강화 조성물.
  14. 제 12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및 암 세포로 구성되는 군의 한 원으로부터, 약독화, 비독성화 또는 이들을 비병원성이게 해서, 항원이 유래되는 면역강화 조성물.
  15. 제 12 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이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및 암 세포로 구성되는 군의 한 원으로부터 수득되는 물질인 면역강화 조성물.
  16. 제 12 항에 있어서, 항원-유도 물질이,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기생충, 독소 및 암 세포로 구성되는 군의 한 원에 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을 코딩하는 핵산(유전자 서열)이 혼입되어 상기 항원이 생체 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바이러스 또는 플라스미드인 면역강화 조성물.
  17.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용액, 현탁액, 겔, 필름, 스폰지, 막대 또는 바, 또는 미세 입자인 면역강화 조성물.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항원이 초항원인 면역강화 조성물.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항원-유도 물질이, 초항원을 코딩하는 핵산(유전자 서열)이 혼입되어 상기 초항원이 생체 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바이러스 또는 플라스미드인 면역강화 조성물.
  20.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항원이 초항원인 면역강화 조성물.
  2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항원-유도 물질이, 초항원을 코딩하는 핵산(유전자 서열)이 혼입되어 상기 초항원이 생체 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바이러스 또는 플라스미드인 면역강화 조성물.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바 또는 막대와 같은 모양인 면역강화 조성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었거나 피복된 막대와 같은 모양인 면역강화 조성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담체가 폴리디메틸실록산인 면역강화 조성물.
  25. 제 22 항에 있어서, 사용시 변형된 방출 프로필을 나타내는 면역강화 조성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사용시 서방성 프로필을 나타내는 면역강화 조성물.
  27. 제 9 항에 있어서, 면역활성화, 면역자극 또는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물질이,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성장인자, 보강 펩티드 및 DNA 서열, 명반, 프로인트 완전 보조액, 프로인트 불완전 보조액, 이스콤, 사포닌, 헥사데실아민, 브롬화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 애브리딘(Abridin), 세포벽 골격 성분, 콜레라 독소, 리포폴리사카리드 내독소 및 리포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강제인 면역강화 조성물.
  28. 제 10 항에 있어서, 사이토카인이 용매의 부재 하에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면역강화 조성물.
  2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면역강화 조성물을 인간 이외의 포유류 또는 조류에 투여하여, 상기 포유류 또는 조류에서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생성된 항체를 회수하는 것을 함유하는 항체 제조 방법.
  30. 질병 또는 다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처리를 위한 방법으로, 콜라겐 또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항원 또는 항원-유도 물질을 함유하는 면역강화 조성물을 제공하고, 유효량의 면역강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수용자에게 투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면역강화 조성물이 추가로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수용자가 인간 이외의 포유류 또는 조류인 방법.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19997010731A 1997-05-19 1998-05-18 면역강화 조성물 KR100574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5920 1997-05-19
JP14592097 1997-05-19
JP14246197 1997-05-30
JP97-142461 1997-05-30
JP97-316285 1997-10-30
JP31628597 1997-10-30
PCT/JP1998/002172 WO1998052605A1 (en) 1997-05-19 1998-05-18 Immunopotentiating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769A KR20010012769A (ko) 2001-02-26
KR100574216B1 true KR100574216B1 (ko) 2006-04-27

Family

ID=2731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731A KR100574216B1 (ko) 1997-05-19 1998-05-18 면역강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10217366A1 (ko)
EP (1) EP0983088B1 (ko)
KR (1) KR100574216B1 (ko)
CN (1) CN1150033C (ko)
AT (1) ATE343396T1 (ko)
AU (1) AU740133B2 (ko)
BR (1) BR9809656A (ko)
CA (1) CA2290696C (ko)
DE (1) DE69836268T2 (ko)
NZ (1) NZ500967A (ko)
TW (1) TW586934B (ko)
WO (1) WO19980526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66B1 (ko) * 2013-08-08 2015-05-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455A (en) 1988-09-28 1991-10-08 Brigham And Women's Hospital Capsular polysaccharide adhesin antigen, preparation, purification and use
US7252828B2 (en) 1998-07-15 2007-08-07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Polysaccharide vaccine for staphylococcal infections
AUPP646798A0 (en) * 1998-10-12 1998-11-05 Csl Limited Fibrin glue as a biological adjuvant
WO2000050584A2 (en) * 1999-02-24 2000-08-31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in vivo gene delivery/expression
ATE350077T1 (de) 2000-04-11 2007-01-15 Polyzenix Gmbh Verwendung von folien aus poly-tri-fluor- ethoxypolyphosphazenen zur umhüllung von medizinischen vorrichtungen
JP2002003396A (ja) 2000-06-20 2002-01-09 Adaputogen Seiyaku Kk 免疫増強剤及びその製造方法
DE10100961B4 (de) 2001-01-11 2005-08-04 Polyzenix Gmbh Körperverträglicher Werkstoff und mit diesem Werkstoff beschichtetes Substrat für die Züchtung von Zellen und künstlichen aus Zellen aufgebauten oder gewachsenen organischen Implantaten
WO2003015719A1 (de) 2001-08-17 2003-02-27 Polyzenix Gmbh Vorrichtung auf basis von nitinol mit polyphosphazenüberzug
US9080146B2 (en) 2001-01-11 2015-07-14 Celonova Biosciences, Inc. Substrates containing polyphosphazene as matrices and substrates containing polyphosphazene with a micro-structured surface
US20050129776A1 (en) 2002-05-03 2005-06-16 Inserm Microparticles supporting cells and active substances
WO2004043405A2 (en) 2002-11-12 2004-05-27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Polysaccharide vaccine for staphylococcal infections
US7723087B2 (en) 2002-11-12 2010-05-25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Nucleic acid molecules for enhanced production of a bacterial polysacchari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03901008A0 (en) * 2003-03-04 2003-03-20 Anadis Lt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acterial infections
SI1745075T1 (sl) 2004-04-21 2013-07-31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Poli-N-acetilglukozamin (PNAG/dPNAG) vezavni peptidi in postopki za njihovo uporabo
CN101072580B (zh) 2004-10-06 2012-08-22 农业生物技术有限公司 抗体制备方法
US9107850B2 (en) 2004-10-25 2015-08-18 Celonova Biosciences, Inc. Color-coded and sized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for therapeutic and/or diagnostic applic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US20210299056A9 (en) 2004-10-25 2021-09-30 Varian Medical Systems, Inc. Color-Coded Polymeric Particles of Predetermined Size for Therapeutic and/or Diagnostic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US9114162B2 (en) 2004-10-25 2015-08-25 Celonova Biosciences, Inc.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for enhanced imaging in clin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ES2378905T3 (es) 2006-10-10 2012-04-19 Celonova Biosciences, Inc. Válvula cardiaca bioprotésica con polifosfaceno
DK2121048T3 (en) 2007-02-19 2015-11-23 Marinepolymer Tech Inc Hemostatic compositions and therapeutic regimens
KR20110031393A (ko) 2008-07-21 2011-03-25 더 브리검 앤드 우먼즈 하스피털, 인크. 합성 베타-1,6 글루코사민 올리고당에 관한 방법 및 조성물
CA2764424C (en) * 2009-06-04 2019-12-3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Vaccine for mycoplasma infection
CN101690810B (zh) * 2009-10-21 2011-08-17 辽宁益康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鸡新城疫、传染性支气管炎、减蛋综合征、禽流感四联灭活疫苗佐剂及其制备方法
KR101647299B1 (ko) * 2015-04-10 2016-08-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암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9003A (en) * 1966-04-01 1969-09-23 Haver Lockhart Lab Inc Injectable reconstituted collagen fluid adjuvant for vaccines and other drugs
JPS5540568B2 (ko) * 1972-10-05 1980-10-18
US3958025A (en) * 1972-10-06 1976-05-18 Livingston Virginia W C Abscisic acid tablets and process
US4488911A (en) * 1975-10-22 1984-12-18 Luck Edward E Non-antigenic collagen and articles of manufacture
US4277249A (en) * 1979-10-15 1981-07-07 Nichols Institute Mammalian Somatomedin measurement
US4423895A (en) * 1981-04-22 1984-01-03 Mosley Jr Thomas C Dead-bolt-type locking means, and an assembly thereof
FR2516927B1 (fr) * 1981-11-26 1986-05-23 Merieux Fond Procede de preparation industrielle de materiaux collageniques a partir de tissus placentaires humains, materiaux collageniques humains obtenus, leur application comme biomateriaux
US5833975A (en) * 1989-03-08 1998-11-10 Virogenetics Corporation Canarypox virus expressing cytokine and/or tumor-associated antigen DNA sequence
JPS59164723A (ja) * 1983-03-10 1984-09-17 Koken:Kk 再生コラーゲンフイブリルを含有する基質及びその製造方法
DE3331627A1 (de) * 1983-09-01 1985-03-21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3400 Göttingen Verfahren zur immunologischen bestimmung fuer proteine in koerperfluessigkeiten, unter verwendung monovalenter antikoerperfragmente
US4855134A (en) * 1983-10-14 1989-08-08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US5385738A (en) * 1983-10-14 1995-01-31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td. Sustained-release injection
US4774091A (en) * 1983-10-14 1988-09-27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td. Long-term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CA1341617C (en) * 1984-06-08 2011-06-28 Henry George Burger Inhibin isolated from ovarian follicular fluid
US5288497A (en) * 1985-05-01 1994-02-22 The University Of Utah Compositions of oral dissolvable medicaments
NZ217844A (en) * 1985-10-11 1989-10-27 Sumitomo Pharma A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ilicone elastomer and an albumin
ES2054613T3 (es) * 1985-12-27 1994-08-16 Sumitomo Pharma Un metodo para preparar una formulacion de liberacion mantenida.
JPH0778017B2 (ja) * 1985-12-28 1995-08-23 住友製薬株式会社 パルス的かつ持続放出性製剤
US4959217A (en) * 1986-05-22 1990-09-25 Syntex (U.S.A.) Inc. Delayed/sustained release of macromolecules
ES2053019T3 (es) * 1986-07-30 1994-07-16 Sumitomo Pharma Instrumento de administracion de preparados solidos.
US5089423A (en) * 1987-05-06 1992-02-18 Cyberfluor Inc. Immunoassay methods and reagent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latter
JPH0720483B2 (ja) * 1987-05-29 1995-03-08 住友製薬株式会社 高粘度糊状組成物成形体の乾燥法
US4894231A (en) * 1987-07-28 1990-01-16 Biomeasure, Inc. Therapeutic agent delivery system
US5236704A (en) * 1988-01-28 1993-08-17 Sumitomo Pharmaceuticals Co., Ltd.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US5196192A (en) * 1988-05-31 1993-03-23 Biotechnology Australia Pty. Ltd. Actions of hormones
US5135915A (en) * 1988-10-14 1992-08-04 Genentech, Inc. Method for the treatment of grafts prior to transplantation using TGF-.beta.
US5306500A (en) * 1988-11-21 1994-04-26 Collagen Corporation Method of augmenting tissue with collagen-polymer conjugates
US5244672A (en) * 1988-12-02 1993-09-14 Coletica Composition containing liposomes stabilized by a stabilizing support based on atelocollagen and glycosaminoglycans
US5395620A (en) * 1989-01-31 1995-03-07 Coletica Biodegradable microcapsules having walls composed of crosslinked atelocollagen and polyholoside
KR0185973B1 (ko) * 1989-06-20 1999-05-01 게리 디. 스트리트 남미의 거머리인 헤멘테리아 길리아니로부터의 항전이 물질 길란텐
DK0482076T3 (da) * 1989-07-14 1995-07-17 American Cyanamid Co Stabile vaccinepræparater indeholdende interleukiner
US6126945A (en) * 1989-10-03 2000-10-03 Pharmacia Ab Tumor killing effects of enterotoxins, superantigens, and related compounds
JP2546447Y2 (ja) * 1989-10-23 1997-09-03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在継手
FR2659554B1 (fr) * 1990-03-16 1994-09-30 Oreal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cosmetique et/ou pharmaceutique des couches superieures de l'epiderme par application topique sur la peau et procede de preparation correspondant.
IT1248934B (it) * 1990-06-01 1995-02-11 Fidia Spa Membrane forate biocompatibili,processi per la loro preparazione,loro impiego come supporto per la crescita in vitro di cellule epiteliali, pelli artificiali cosi' ottenute e loro impiego nei trapianti di pelle
US5612198A (en) * 1990-09-04 1997-03-18 The Salk Institute Produc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n methylotrophic yeast cells
US5216004A (en) * 1990-09-13 1993-06-01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Of North California Method for preventing malaria
US5187151A (en) * 1991-02-12 1993-02-16 Genentech, Inc. Use of binding protein with igf-i as an anabolic growth promoting agent
EP0578823B1 (en) * 1991-04-08 2002-01-23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Porous solid preparation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protein substance
US5314874A (en) * 1991-04-19 1994-05-24 Koken Co., Ltd. Intracorporeally injectable composition for implanting highly concentrated cross-linked atelocollagen
US5563124A (en) * 1991-04-22 1996-10-08 Intermedics Orthopedics/ Denver, Inc. Osteogenic product and process
CA2089487A1 (en) * 1991-06-14 1992-12-15 Suk-Zu Song Collagen film drug delivery for proteins
US5648208A (en) * 1991-08-01 1997-07-15 Coletica Use of a collagen as solid binding substrate for a ligand capable of reacting specifically with an element to be detected in a biological medium, reactant and implementation
US5679348A (en) * 1992-02-03 1997-10-21 Cedars-Sinai Medical Center Immunotherapy for recurrent HSV infections
US5428011A (en) * 1992-06-16 1995-06-27 Procyon Biopharma, Inc. Pharmaceutical preparations for inhibiting tumours associated with prostate adenocarcinoma
AU4543193A (en) * 1992-06-22 1994-01-24 Henry E. Young Scar inhibitory factor and use thereof
US5338836A (en) * 1992-07-29 1994-08-16 American Cyanamid Company Biologically active porcine somatotropin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R2703927B1 (fr) * 1993-04-13 1995-07-13 Coletica Utilisation d'une réaction de transacylation entre un polysaccharide estérifié et une polyamine pour former en milieu aqueux une membrane au moins en surface de particules gélifiées.
US5824651A (en) * 1993-05-10 1998-10-20 Universite De Montreal Process for modification of implant surface with bioactive conjugates for improved integration
US6030615A (en) * 1993-05-17 2000-02-29 The Picower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Combination method f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cytokine-mediated toxicity
GB9310781D0 (en) * 1993-05-25 1993-07-14 Davis Stanley S Preparation of microparticles
JPH0767895A (ja) * 1993-06-25 1995-03-14 Sumitomo Electric Ind Ltd 抗菌性人工血管及び抗菌性手術用縫合糸
CA2163860A1 (en) * 1993-06-30 1995-01-12 Chung C. Hsu Method for preparing liposomes
US5469559A (en) * 1993-07-06 1995-11-21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ing a selected portion of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WO1995015768A1 (de) * 1993-12-09 1995-06-15 Heinrich Exner Adjuvans für antigen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3720386B2 (ja) * 1993-12-27 2005-11-24 住友製薬株式会社 薬物放出制御製剤
CA2140053C (en) * 1994-02-09 2000-04-04 Joel S. Rosenblatt Collagen-based injectable drug delivery system and its use
US5942496A (en) * 1994-02-18 1999-08-24 The Regent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ultiple gene transfer into bone cells
US20030171283A1 (en) * 1994-02-28 2003-09-11 Satterlee Daniel G. Inhib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enhancing production performance
US5961979A (en) * 1994-03-16 1999-10-05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Stress protein-peptide complexes as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vaccines against intracellular pathogens
US5466233A (en) * 1994-04-25 1995-11-14 Escalon Ophthalmics, Inc. Tack for intraocular drug delivery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moving same
DE4414755C2 (de) * 1994-04-27 2000-11-16 Lohmann Therapie Syst Lts Kollagenzubereitung zur gesteuerten Abgabe von Wirkstoffen, Verfahren und Verwendung
AUPM543894A0 (en) * 1994-05-04 1994-05-26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n adjuvant
US5571531A (en) * 1994-05-18 1996-11-05 Mcmaster University Microparticle delivery system with a functionalized silicone bonded to the matrix
US5705399A (en) * 1994-05-20 1998-01-06 The Cooper Union For Advancement Of Science And Art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predetermined chemical species in solution
US5681568A (en) * 1994-08-19 1997-10-28 Cambridge Neuroscience, Inc. Device for delivery of substan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5679654A (en) * 1994-09-02 1997-10-21 Brigham & Women's Hospital, Inc. Capsular polysaccharide immunomodulator
US5837533A (en) * 1994-09-28 1998-11-17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Complexes comprising a nucleic acid bound to a cationic polyamine having an endosome disruption agent
PT784483E (pt) * 1994-10-03 2001-05-31 Us Gov Health & Human Serv Composicao que compreende um virus recombinante que exprime um antigenio e um virus recombinante que exprime uma molecula imunoestimuladora
US5916790A (en) * 1995-03-03 1999-06-29 Metabolex, Inc. Encapsul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0201352B1 (ko) * 1995-03-16 1999-06-15 성재갑 단일주사 백신 제형
US5750146A (en) * 1995-04-28 1998-05-12 Matrix Pharmaceutical, Inc. Translucent collagen formulations with a cytotoxic drug
US5677284A (en) * 1995-06-06 1997-10-14 Regen Biologics, Inc. Charged collagen particle-based delivery matrix
CA2178541C (en) * 1995-06-07 2009-11-24 Neal E. Fearnot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6998268B2 (en) * 1995-07-03 2006-02-14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Gene preparations
US5827937A (en) * 1995-07-17 1998-10-27 Q Med Ab Polysaccharide gel composition
US6254872B1 (en) * 1995-08-25 2001-07-03 University Of Florida Multi-subtype FIV vaccines
US5665391A (en) * 1995-10-12 1997-09-09 Spectral Diagnostics Inc. Cultured, full-thickness integument substitutes based on three-dimensional matrix membranes
US5965125A (en) * 1995-10-25 1999-10-12 Transkaryotic Therapies, Inc. Hybrid matrix implants and explants
US5888497A (en) * 1996-04-03 1999-03-30 The Rogosin Institute Agarose coated agarose beads containing cancer cells that produce material which suppresses cancer cell proliferation
CA2217134A1 (en) * 1996-10-09 1998-04-09 Sumitomo Pharmaceuticals Co., Ltd.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JPH10139670A (ja) * 1996-11-11 1998-05-26 Terukuni Yakida インターロイキン12誘導物質及び医薬組成物
AU6021598A (en) * 1997-01-09 1998-08-03 Cohes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swellable uniformly shaped devices from polymeric materials
US6143276A (en) * 1997-03-21 2000-11-07 Imarx Pharmaceutical Corp. Methods for delivering bioactive agents to regions of elevated temperatures
US6572860B1 (en) * 1997-09-30 2003-06-03 Cel-Sci Corporation Immunogenic conjugated polypeptide for treatment of herpes simplex virus
US5935577A (en) * 1998-01-23 1999-08-10 Autoimmune Inc.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 using tolerization in combination with methotrexate
WO1999061063A1 (fr) * 1998-05-22 1999-12-02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Preparations geniques stables
US6756048B1 (en) * 1998-09-10 2004-06-29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Long time drug-sustained release preparation
US6692752B1 (en) * 1999-09-08 2004-02-17 Smithkline Beecham Biologicals S.A. Methods of treating human females susceptible to HSV infection
US6544785B1 (en) * 1998-09-14 2003-04-08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New York University Helper-free rescue of recombinant negative strand RNA viruses
US6689153B1 (en) * 1999-04-16 2004-02-10 Orthopaedic Biosystems Ltd,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oated anchoring device and/or suture
US6486134B2 (en) * 1999-09-17 2002-11-26 Leadergene Limited Gene treatment to enhance feed efficiency and growth rate of livestock
US6551598B2 (en) * 2000-01-21 2003-04-22 Merial Vaccination against canine herpesvirosis and vaccines therefor
JP5118285B2 (ja) * 2000-06-20 2013-01-16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オリゴヌクレオチド導入製剤
ATE404140T1 (de) * 2000-08-30 2008-08-15 Univ Johns Hopkins Vorrichtung zur intraokularen wirkstoffverabreichung
AU784975B2 (en) * 2000-10-11 2006-08-1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DNA-binding protein YB-1-containing collagen accumulation inhibitors
US20040234572A1 (en) * 2001-09-11 2004-11-25 Martinod Serge R. Preparation of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20050129728A1 (en) * 2001-09-11 2005-06-16 Martinod Serge R.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UPR951501A0 (en) * 2001-12-14 2002-01-24 Smart Drug Systems Inc Modified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system
NZ534317A (en) * 2002-01-24 2006-06-30 Smart Drug Systems Inc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rried in or on silicone support material
US20060258602A1 (en) * 2002-09-20 2006-11-16 Yukio Ando Site-specific gene conversion promoter and gene therapeut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66B1 (ko) * 2013-08-08 2015-05-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38598A (en) 1998-12-11
WO1998052605A1 (en) 1998-11-26
KR20010012769A (ko) 2001-02-26
CA2290696C (en) 2010-09-14
ATE343396T1 (de) 2006-11-15
DE69836268T2 (de) 2007-05-31
EP0983088A1 (en) 2000-03-08
TW586934B (en) 2004-05-11
BR9809656A (pt) 2000-07-11
CN1263470A (zh) 2000-08-16
US20110217366A1 (en) 2011-09-08
CA2290696A1 (en) 1998-11-26
DE69836268D1 (de) 2006-12-07
EP0983088B1 (en) 2006-10-25
CN1150033C (zh) 2004-05-19
AU740133B2 (en) 2001-11-01
NZ500967A (en)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216B1 (ko) 면역강화 조성물
US9750797B2 (en) Sustained release vaccine composition
Vogel et al. A compendium of vaccine adjuvants and excipients
CA2194448C (en) Method of priming an immune response in a one-day old animal
TWI260988B (en) Lipophilic-coated microparticles containing a protein drug or antigen and formulation comprising same
JPH08510751A (ja) 癌及び過増殖性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H11500443A (ja) コクリエート送達ビヒクル
JPH09504523A (ja) アジュバントのマイクロカプセル化方法および組成物
CN108324938B (zh) 一种颗粒型佐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640414B2 (en) Vaccines
Malek-Khatabi et al. Long-term vaccine delivery and immunological responses using biodegradable polymer-based carriers
KR101136107B1 (ko) 알킬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된 백신 조성물
JP4402752B2 (ja) 免疫増強製剤
US20050244447A1 (en) Novel drug dosing regimen
MXPA99010730A (es) Composicion inmunopotenciadora
WO2011138050A1 (en) Method for vaccination
AU2005253646B2 (en) Sustained release vaccine composition
Dobakhti et al. Immune response following oral immunization with BCG encapsulated in alginate microspheres
Bowersock et al. Controlled release vaccines in veterinary medicine
AU753008B2 (en) Cochleate delivery vehicles
Suckow et al. Extracellular Matrix Adjuvant for Vaccines
Pendse Skin response to immunogenic and non immunogenic material as applied to vaccine delivery and reconstructive surgery
Rehal Poly-(ϵcaprolactone) nano-and microparticles as vaccine deliver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