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547B1 - 카드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547B1
KR100573547B1 KR1020040022544A KR20040022544A KR100573547B1 KR 100573547 B1 KR100573547 B1 KR 100573547B1 KR 1020040022544 A KR1020040022544 A KR 1020040022544A KR 20040022544 A KR20040022544 A KR 20040022544A KR 100573547 B1 KR100573547 B1 KR 10057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ider
contact member
fixed contact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0419A (ko
Inventor
가와하따다까시
무라야마다께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17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08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18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19274A/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06K13/085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a notch in the card and a complementary locking means in the card reading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rrect insertion of the card, e.g. end detection switches notifying that the card has been inserted completely and correct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94Coupling devices with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f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comprising a separated limit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종방향 치수 및 횡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절결부 (2) 를 갖는 카드 (1) 가 삽입되는 삽입부 (40) 와, 이 삽입부 (40) 에 삽입된 카드 (1) 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 (21) 를 구비하고, 검출 스위치 (21) 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카드 (1) 의 절결부 (2)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검출 스위치 (21) 를 배치하였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 장치 {CONNECTOR DEVICE FOR CARD}
도 1 은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카드 삽입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 는 카드의 삽입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 는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카드 삽입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 는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2b 는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a 의 A-A 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로의 카드 장착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 는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 는 우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a 의 B-B 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카드 취출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a 는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 는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의 인서트 성형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카드 2 : 절결부
3 : 오목부 4 : 단자 부재
4a : 단자 5 : 하우징
6 : 커버 부재 7 : 탄성부
8 : 슬라이더 9 : 전단 (前端) 부
10 : 걸어맞춤부 11 : 돌출부
12 : 슬라이딩 돌출부 13 : 탄성지지 부재
14 : 슬라이딩 부재 15 : 핀
16 : 가압 부재 17 : 하트형 캠홈
18 : 왕로 (往路) 19 : 복로 (復路)
20 : 로크부 21 : 검출 스위치
22 : 제 1 고정 접점 부재 23 : 제 2 고정 접점 부재
24 : 비틀림 코일 스프링 (가동 접점 부재) 25 : 축부
26 : 스프링 받이 27 : 액츄에이터
28 : 상승편 29 : 단자
30 : 개구부 31 : 벽부
40 : 삽입부 41 : 슬라이더 수용부
42 : 절결부 43 : 외측벽부
본 발명은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가 삽입됨과 동시에,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기술로서, 카드 인식 스위치, 즉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장치의 안쪽 위치에 구비한 것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종래 카드의 삽입부의 측방에 전술한 카드 인식 스위치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것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5424호 (단락번호 0019, 0022, 0035 내지 0038, 도 2, 4)
전술한 특허문헌 1 에 나타난 종래기술은, 장치의 안쪽 위치에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장치의 종방향 치수가 커져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드의 삽입부의 측방에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종래기술은, 장치의 횡폭 치수가 커지고 이 점에서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서의 실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장치의 종방향 치수 및 횡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결부를 갖는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이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카드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상기 카드의 상기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검출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삽입되는 카드에는 삽입되었을 때에 장치의 안쪽에 위치하는 단부, 즉 전단부의 부근에 절결부를 갖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카드의 절결부를 검출 스위치의 배치 공간으로서 착안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검출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카드의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위치하도록 검출 스위치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검출 스위치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그 절약한 만큼 장치의 종방향 치수 및 횡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 부재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은, 가동 접점 부재를 판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제작비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항상 도통하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선택 적으로 도통하는 제 2 고정 접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제 2 고정 접점 부재는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인서트 성형 전에는 일체 부재로 이루어지고, 인서트 성형 후에 절단 형성되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제 2 고정 접점 부재에 도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는 도통하지 않고,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다. 또한,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제 2 고정 접점 부재에 도통한다. 따라서,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가 도통하고,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된 것이 검출된다.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된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카드의 착탈 조작에 따라서 회전운동하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휨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은, 예컨대 카드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 부근까지 압입되면, 이에 수반하여 액츄에이터가 회전운동하기 시작하고, 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휜다. 다시, 카드가 압입되고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도달하면, 액츄에이터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제 2 고정 접점 부재에 도통한다. 따라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가 도통하고,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된 것이 검출된다. 이렇게, 액츄에이터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제 2 고정 접점 부재의 도통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접점 부재에 항상 도통하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상승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전체의 두께 치수에 상응한 상승편을 구비함으로써, 제 1 고정 접점 부재, 제 2 고정 접점 부재를 형상이 단순한 평판형 부재로 할 수 있고, 이들의 제 1 고정 접점 부재, 제 2 고정 접점 부재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드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카드를 배출시키는 배출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카드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카드를 밀어내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배출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배치되고,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도록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 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더의 돌출부가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면서 슬라이더는 돌출부의 오목부로부터의 이탈이 규제되기 때문에, 카드를 장착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더의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와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력은 커버 부재에 형성한 탄성부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측방에 상기 슬라이더를 수용하는 슬라이더 수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슬라이더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측벽부에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탄성부의 가압을 가능하게 하는 절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 수용부의 외측벽부에 구비되는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을 통하여 탄성부의 탄성력을 확실하게 슬라이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돌출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의 상기 외측벽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슬라이딩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 방향으로의 카드의 이동에 수반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시에는, 이 슬라이더에 구비된 슬라이딩 돌출부가 슬라이더 수용부의 외측벽부를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원활한 슬라이더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카드를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까지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드가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 있을 때에는 탄성부에 의해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돌출부가 가압되는 경향이 된다. 이로써, 카드에 인발력이 부여되지 않는 동안은 탄성부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더의 돌출부를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출 수 있고, 이 커넥터 장치로부터의 진동 등에 의한 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덮는 금속제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 세워 형성되는 외팔보형상의 잘라 일으켜 세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은 이 탄성부가 커버 부재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즉,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카드를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커버 부재의 제작시에 탄성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제작 공정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카드 삽입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 는 카드의 삽입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 는 좌측면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 가능한 카드]
본 실시형태에 활용되는 카드는, 예컨대 소형 메모리 카드로 이루어지는 카드 (1) 로,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부 (9) 의 우측 모서리에 절결부 (2) 를 가지고, 좌측 가장자리부에 오목부 (3) 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시 생략하였지만, 이 카드 (1) 에는 신호의 송수신시에 사용되는 접촉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
본 실시형태는 도 1a,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1) 의 접촉 부재에 접촉 가능한 단자 부재 (4) 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된 하우징 (5) 과, 이 하우징 (5) 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 부재 (6)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하우징 (5) 과 커버 부재 (6) 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부는 카드 (1) 의 삽입부 (40) 를 형성하고 있다.
커버 부재 (6) 는 좌측면에 탄성부 (7) 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탄성부 (7) 는 예컨대, 커버 부재 (6) 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 세워 형성되는 외팔보 형상의 잘라 일으켜 세움편으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삽입부 (40) 의 예컨대 좌측방 위치에 삽입부 (40) 에 삽입된 카드 (1) 를 배출시키는 배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 기구는 카드 (1) 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카드 (1) 를 밀어내기 위해 구비된 슬라이더 (8) 와, 이 슬라이더 (8) 를 배출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 부재 (13) 와, 슬라이딩 부재 (14) 와 가압부재 (16) 와 하드형 캠홈 (17) 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 (8) 는 카드 (1) 의 전단부 (9) 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 (10) 와, 카드 (1) 의 오목부 (3) 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출부 (11) 와, 이 돌출부 (11) 에 대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돌출부 (12) 를 가진다.
이 슬라이더 (8) 는 삽입부 (40) 의 좌측방 위치에 형성된 슬라이더 수용부 (41) 내에 수용시키고, 카드 (1) 의 접촉 부재와 단자 부재 (4) 가 접촉 상태가 되는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있어서는 돌출부 (11) 가 오목부 (3) 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 슬라이더 (8) 는 카드 (1) 의 빼냄이 가능해지는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 있어서는 돌출부 (11) 가 오목부 (3) 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한편, 도 1 은 카드 (1) 의 삽입시를 나타내고 있지만, 카드 (1) 가 소정의 배출 위치까지 복귀된 상태도 이 도 1 과 동등한 상태가 된다.
슬라이더 수용부 (41) 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외측벽부 (43) 는 카드 (1) 의 소정의 배출 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더 (8) 에 대한 전술한 탄성부 (7) 의 가압을 가능하게 하는 절결부 (42)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슬라이더 (8) 의 슬라이딩 돌출부 (12) 는 슬라이더 수용부 (41) 의 외측벽부 (43) 를 슬라이딩 가능하고,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서는 탄성부 (7) 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전술한 탄성부 (7) 는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더 (8) 의 돌출부 (11) 를 카드 (1) 의 오목부 (3) 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돌출부 (12) 를 통하여 슬라이더 (8) 를 탄성지지한다.
전술한 슬라이딩 부재 (14) 는 일단을 슬라이더 (8)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고, 타단에 도 1a 의 이면을 향하여 신장하는 핀 (15)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딩 부재 (14) 의 핀 (15) 은 하트형 캠홈 (17) 에 걸어맞추고 있다. 이 하트형 캠홈 (17) 은 왕로 (18) 와, 복로 (19) 와, 이들 왕로 (18) 와 복로 (19) 의 경계에 구비되고, 슬라이딩 부재 (14) 의 핀 (15) 을 거는 로크부 (20) 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가압 부재 (16) 는 슬라이더 (8) 에 연결되고, 슬라이딩 부재 (14) 를 도 1a 의 이면을 향하여 가압한다. 즉, 슬라이딩 부재 (14) 의 핀 (15) 이 하트형 캠홈 (17) 위를 슬라이딩하도록, 슬라이딩 부재 (14) 에 가압력을 부여한다.
도 2 는 도 1 과 동등한 도면으로, 도 2a 는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2b 는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a 의 A-A 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로의 카드 장착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 는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 는 우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a 의 B-B 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카드 취출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 는 커 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 는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의 인서트 성형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검출 스위치의 구성]
도 2 내지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카드 (1) 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 (21) 를 구비하고 있다.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스위치 (21) 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카드 (1) 의 절결부 (2)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검출 스위치 (21) 는 가동 접점 부재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과 항상 도통하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과 선택적으로 도통하는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는 삽입부 (40) 를 형성하는 하우징 (5) 의 인서트 성형 전에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인서트 성형 후에 이들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는 절단 형성되는 개구부 (30) 를 사이에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은 축부 (25) 에 걸려 부착되고, 그 하단부분을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에 예컨대, 일체 형성된 스프링 베어링 (26) 에 걸고 있다. 즉,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은 항상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에 도통되어 있다. 또한,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상단 부분은 축부 (25)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려 부착된 액츄에이터 (27) 에 걸려 있다.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은 액츄에이터 (27) 의 회전운동에 의해 휘어지고, 그 상단 부분이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5 등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에, 예컨대 일체 형성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상단 부분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상승편 (28) 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상단 부분이 상승편 (28) 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5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상단 부분이 상승편 (28) 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카드의 삽입]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삽입구로부터 카드 (1) 가 삽입되면, 슬라이더 (8) 의 돌출부 (11) 가 카드 (1) 의 좌측 가장자리부의 오목부 (3) 에 걸어맞춰진다. 이 때, 카드 (1) 의 전단부 (9) 가 돌출부 (11) 의 앞쪽에 위치하는 테이퍼 부분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슬라이더 (8) 는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 이 슬라이더 (8) 의 슬라이딩 돌출부 (11) 가 탄성부 (8) 에 탄성지지되는 경향이 된다. 이로써, 슬라이더 (8) 의 요동이 규제되고, 그 후의 카드 (1) 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더 (8) 의 돌출부 (11) 가 카드 (1) 의 오목부 (3) 에 끼어들어간다.
계속해서, 카드 (1) 가 압입되면, 카드 (1) 의 전단부 (9) 가 슬라이더 (8) 의 걸어맞춤부 (10) 에 걸어맞추고 슬라이더 (8) 가 탄성지지 부재 (13)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카드 (1) 와 함께 장치 안쪽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 슬라이더 (8) 의 이동과 일체적으로, 가압 부재 (16) 로 가압된 슬라이딩 부재 (14) 가 이동하고, 이 슬라이딩 부재 (14) 의 핀 (15) 이 하트형 캠홈 (17) 상의 왕로 (18) 를 슬라이딩한다.
카드 (1) 의 전단부 (9) 가 도 4a 에 나타낸 장치의 벽부 (31) 에 닿기까지 압입되고, 여기에서 카드 (1) 에 가해지고 있던 압입력이 제거되면, 카드 (1) 는 탄성지지 부재 (13)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조금 되밀려지고, 슬라이딩 부재 (14) 의 핀 (15) 이 하트형 캠홈 (17) 의 로크부 (20) 에 걸어맞춰진다. 즉, 슬라이더 (8) 가 카드 (1) 의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로크되고, 도 4a, 도 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1) 는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유지된다.
이 사이에, 카드 (1) 의 전단부 (9) 에 의해 검출 스위치 (21) 부분에 구비된 액츄에이터 (27) 가 회전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이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편 (28) 에 접촉한다. 액츄에이터 (27)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휨 변형에 의해,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27)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일부가 카드 (1) 의 절결부 (2)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이 상승편 (28) 에 접촉함으로써,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을 통하여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가 도통하고, 제 1 고 정 접점 부재 (22) 에 접속되는 단자 (29)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에 접속되는 단자 (4a) 를 통하여 신호가 출력된다. 즉, 검출 스위치 (21) 는 ON 이 되고, 카드 (1) 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것이 검출된다.
이렇게 카드 (1) 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되면, 카드 (1) 의 도시하지 않은 접촉 부재와, 본 실시형태의 단자 부재 (4) 가 접촉하고, 카드 (1) 에 대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렇게 카드 (1) 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8) 의 슬라이딩 돌출부 (12) 가 본 실시형태의 강체를 형성하는 외측벽부 (43) 에 닿게 되고, 카드 (1) 의 오목부 (3) 로부터 돌출부 (11) 가 이탈하는 방향의 슬라이더 (8) 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따라서, 카드 (1) 는 빼냄 불능으로 강고하게 유지된다.
[카드의 배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 (1) 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카드 (1) 가 일단 장치 안쪽으로 압입된다. 이로써, 슬라이딩 부재 (14) 의 핀 (15) 과 하트형 캠홈 (17) 의 로크부 (20) 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탄성지지 부재 (13) 의 힘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 (14) 의 핀 (15) 이 하트형 캠홈 (17) 의 복로 (19) 상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8) 의 걸어맞춤부 (10) 에 의해 카드 (1) 가 배출 방향으로 밀려나고, 카드 (1) 는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까지 복귀된다.
이 사이에, 카드 (1) 의 배출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검출 스위치 (21) 부분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 (27) 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힘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이 상승편 (28) 으로부터 떨어진다.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과 상승편 (28) 의 접촉이 해제되고,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사이의 전기 접속이 차단되며, 검출 스위치 (21) 는 OFF 가 된다. 이로써, 카드 (1) 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인 것이 검출된다.
[카드의 드로잉]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까지 배출된 카드 (1) 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으로 드로잉되고자 할 때에는, 카드 (1) 의 오목부 (3) 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슬라이더 (8) 의 돌출부 (11) 가 동 도 6a 의 좌방향으로 밀려 슬라이더 (8) 가 요동한다. 이 때, 슬라이더 (8) 의 슬라이딩 돌출부 (12) 가 커버 부재 (6) 의 탄성부 (7)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절결부 (42) 로부터 약간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즉,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서의 카드 (1) 의 드로잉시에, 슬라이더 (8) 의 돌출부 (11) 가 카드 (1) 의 오목부 (3) 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드 (1) 가 빼내어지면, 커버 부재 (6) 의 탄성부 (7)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딩 돌출부 (12) 가 슬라이더 수용부 (41) 방향으로 되밀려지고, 슬라이더 (8) 는 슬라이더 수용부 (41) 내에 복귀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렇게 구성한 본 실시형태는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 (1) 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더 (8) 의 돌출부 (11) 가 카드 (1) 의 오목부 (3) 에 걸어맞춰지면서 슬라이더 (8) 는 돌출부 (11) 가 오목부 (3) 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카드 (1) 를 장착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잘못하여 카드 (1) 가 빼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11) 는 슬라이더 (8) 에 구비되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제작비를 저렴하게 하는 데에 공헌한다.
또한, 슬라이더 (8) 의 돌출부 (11) 를 카드 (1) 의 오목부 (3) 와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력은 커버 부재 (6) 에 형성한 탄성부 (7) 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이 탄성부 (7) 는 커버 부재 (6) 에 구비되고, 커버 부재 (6) 의 제작시에 동시에 제작할 수 있으며,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즉, 부품 점수를 증가하지 않고, 카드 (1) 를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로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작비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 수용부 (41) 의 외측벽부 (43) 에 구비되는 절결부 (42) 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을 통하여, 탄성부 (7) 의 탄성지지력을 확실하게 슬라이더 (8) 에 전달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 방향으로의 카드 (1) 의 이동에 수반하는 슬라이더 (8) 의 이동시에는, 이 슬라이더 (8) 에 구비된 슬라이딩 돌출부 (12) 가 슬라이더 수용부 (41) 의 외측벽부 (43) 를 구동하기 때문에, 원활한 슬라이더 (8) 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카드 (1) 를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까지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우수한 카드 (1) 의 착탈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카드 (1) 가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 있을 때에는 탄성부 (7) 에 의해 슬라이더 (8) 의 슬라이딩 돌출부 (12) 가 가압되는 경향이 된다. 이로써, 카드 (1) 에 인발력이 부여되지 않는 동안은 탄성부 (7)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슬라이더 (8) 의 돌출부 (11) 를 카드 (1) 의 오목부 (3) 에 걸어맞출 수 있고, 진동 등에 의한 카드 (1) 의 삽입부 (40) 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검출 스위치 (21) 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상태로서, 카드 (1) 의 절결부 (2)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검출 스위치 (21) 를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검출 스위치 (21) 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그 절약한 만큼 장치의 종방향 치수 및 횡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21) 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 부재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은 일반적으로 판스프링에 비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장치의 제작비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휨 변형을 통하여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카드 (1) 가 장착된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고, 우수한 검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27) 를 구비하고, 이 액츄에이터 (27) 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과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의 도통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 (27) 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을 확실하게 휨 변형시킬 수 있어 검출 정밀도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 의 전체의 두께 치수에 상응한 상승편 (28) 을 구비함으로써,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를 형상이 단순한 평판형 부재로 할 수 있고, 이들 제 1 고정 접점 부재 (22),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의 제작이 용이해져 제작비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종방향 치수 및 횡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종래는 곤란했던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9)

  1. 절결부를 갖는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이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카드가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장착된 상기 카드의 상기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검출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 부재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항상 도통하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선택적으로 도통하는 제 2 고정 접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제 2 고정 접점 부재는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인서트 성형 전에는 일체 부재로 이루어지고, 인서트 성형 후에 절단 형성되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카드의 착탈 조작에 따라서 회전운동하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휨 변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접점 부재에 항상 도통하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상승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카드를 배출시키는 배출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카드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카드를 밀어내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배출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카드의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카드 장착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배치되고,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도록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카드의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측방에 상기 슬라이더를 수용하는 슬라이더 수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슬라이더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측벽부에,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탄성부의 가압을 가능하게 하는 절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돌출부와 반대측의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의 상기 외측벽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소정의 카드 배출 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슬라이딩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덮는 금속제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 세워 형성되는 외팔보 형상의 잘라 일으켜 세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20040022544A 2003-04-16 2004-04-01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0573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1801 2003-04-16
JPJP-P-2003-00111779 2003-04-16
JP2003111779A JP3920807B2 (ja) 2003-04-16 2003-04-16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111801A JP2004319274A (ja) 2003-04-16 2003-04-16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419A KR20040090419A (ko) 2004-10-22
KR100573547B1 true KR100573547B1 (ko) 2006-04-24

Family

ID=3316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544A KR100573547B1 (ko) 2003-04-16 2004-04-01 카드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90198B2 (ko)
KR (1) KR100573547B1 (ko)
CN (1) CN1297040C (ko)
TW (1) TWI2482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37003Y (zh) * 2004-10-27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39497B2 (ja) * 2005-08-30 2010-09-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保持構造
KR100717741B1 (ko) * 2006-03-31 2007-05-1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용 스위치단자 구조
US8226443B2 (en) * 2007-04-20 2012-07-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connect detection system
CN101783453B (zh) * 2009-01-19 2012-11-28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卡用连接器装置
JP4859954B2 (ja) * 2009-06-10 2012-01-25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11054460A (ja) * 2009-09-03 2011-03-17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4866459B2 (ja) * 2009-12-08 2012-02-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JP5024687B2 (ja) * 2010-04-20 2012-09-12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CN102403587A (zh) * 2010-09-08 2012-04-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DE102011112219A1 (de) * 2011-09-02 2013-03-0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artenkontaktiervorrichtung
KR101327302B1 (ko) * 2012-04-30 2013-11-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듀얼 메모리카드 소켓 및 그 제조방법
US9025335B2 (en) * 2012-04-30 2015-05-0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moving a card reader
US8961206B1 (en) * 2013-09-06 2015-02-24 Sonetek Technology Corp. Mini USB connector with card plug-in function
JP2015109231A (ja) * 2013-12-05 2015-06-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6720203B2 (ja) * 2015-02-27 2020-07-08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取り付け安全特徴を有するアクセサリ装置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788A (ja) 1999-11-16 2001-05-2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のカード認識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5625B2 (ja) * 1999-11-05 2005-04-06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のスイッチ構造
JP3581063B2 (ja) * 1999-11-05 2004-10-27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のスイッチ構造
JP3683784B2 (ja) * 2000-07-10 2005-08-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CN2462593Y (zh) * 2000-12-19 2001-11-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6425775B1 (en) 2001-03-16 2002-07-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mart card connector
FR2824189B1 (fr) * 2001-04-27 2004-10-22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notamment a grande capacite de stockage, comportant des moyens d'ejection automatique de la carte
JP2003045560A (ja) * 2001-08-02 2003-02-14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CN2501207Y (zh) * 2001-08-04 2002-07-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3948918B2 (ja) * 2001-08-31 2007-07-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00591B2 (ja) * 2001-09-07 2006-07-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CN2529408Y (zh) * 2002-01-16 2003-01-01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788A (ja) 1999-11-16 2001-05-2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のカード認識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7040C (zh) 2007-01-24
TWI248239B (en) 2006-01-21
US20040209506A1 (en) 2004-10-21
TW200503347A (en) 2005-01-16
CN1538576A (zh) 2004-10-20
KR20040090419A (ko) 2004-10-22
US6890198B2 (en)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547B1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JP4385047B2 (ja)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EP1557781B1 (en) A car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act used therein
US7220138B2 (en) Card connector
US7575452B2 (en) Slider unit and card connector
US20040043664A1 (en) Card connector
WO2004105190A1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7234472A (ja) カードコネクタ
US6934159B2 (en) Card connector
US20050282440A1 (en) Card connector
JP461913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CN107636912B (zh) 卡连接器
US9106028B2 (en) Connector for a memory card
US751723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O2005093910A1 (ja) スライダーユニット及びカードコネクタ
KR20080082514A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0607891B1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JP392080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859954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3836979B2 (ja) カード排出装置
KR100729189B1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JP2006172746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およびカード
KR101076652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JP4502699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5811926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