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002B1 -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002B1
KR100573002B1 KR1019990059469A KR19990059469A KR100573002B1 KR 100573002 B1 KR100573002 B1 KR 100573002B1 KR 1019990059469 A KR1019990059469 A KR 1019990059469A KR 19990059469 A KR19990059469 A KR 19990059469A KR 100573002 B1 KR100573002 B1 KR 100573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detector
sensing unit
mod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978A (ko
Inventor
송준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1999005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0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01Concealed systems, e.g. disguised alarm systems to make covert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감지기 전원공급 방식을 24시간계와 비24시간계로 구분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는 동작모드가 경계 및 점검, 해제모드 등으로 구분되는 각각의 감지기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는 제1, 제2감지부와; 상기 제1, 제2감지부의 동작모드를 경계 및 점검, 해제모드 등으로 구분하며,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현재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계 및 해제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경계모드시 제어부에 알람이 발생하면 그 내용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중앙관제소와;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현재시간 데이터를 비교 인자로 하여 그 인자값이 특정조건에 일치할 때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가운데 어느 하나의 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한다.
감지기, 제1감지부, 제2감지부

Description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POWER SUPPLY CONTROLED FOR SECURITY SEN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에서 일정관리 기능이 없는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에서 일정관리 기능이 내장된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경비용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지기 전원공급 방식을 24시간계와 비24시간계로 구분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는 주장치라하여 감지부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감지기와 각각 결선된다. 상기 다수개의 감지기와 제어부간에는 각각의 감지기당 4선으로 결선하게 된다. 그중 2선은 전원선으로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며, 나머지 2선은 감지기의 알람 출력단자로서 제어부에 그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에 결선되는 감지기수는 n개이며 각각의 감지기에는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각 감지기의 알람출력은 제어부의 B/M 단자에 결선된다. 상기 각각의 감지기는 그 종류에 따라 전원공급이 반드시 필요한 감지기와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감지기로 구분되는데 후자의 경우는 전원선을 결선하지 않고 단지 알람 출력단자만을 결선하면 된다.
전원공급 방식의 대표적인 감지기로는 적외선, 열선, 가스, 화재 감지기 등이 속하며, 무전원 방식의 대표적인 감지기로는 진동, 유리 감지기가 있다.
상기 각각의 감지기는 그 동작특성에 따라 이상조건이 발생되면 알람출력을 발생하는데 그 출력은 단락 또는 단선과 같은 기계적 스위치접점이다. 즉, 정상상태에서는 단락 또는 단선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상조건이 발생하면 초기상태와 반대접점인 단선 또는 단락의 접점상태를 유지한다. 알람출력의 접점특성을 이용하여 그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부는 해당 감지기의 정상상태 및 이상상태를 구분하고, 이상상태시에는 관제센터로 이상발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제어부는 3가지의 동작모드가 있는데, 우선 경계를 수행하는 세트경계모드와 경계를 수행하지 않는 해제모드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기 및 각각의 감지기 이상여부를 체크하는 순회모드가 있다. 상기 각각의 감지기 전원은 모드에 상관없이 항상 공급되며, 세트모드에서만 이상발생시 이상발보 신호를 중앙관제소(관제센터)로 전송한다. 즉, 해제 또는 순회모드에서는 각각의 감지기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중앙관제소로 이상발보를 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시스템은 제어부의 동작모드에 상관없이 항상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열선 또는 적외선 감지기를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감지기 특성상 전류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기기의 전원 소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정전시에 제어부는 백업용 배터리로 기기를 구동하게 되는데 소비전류가 클수록 백업용 배터리의 동작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즉, 전원공급 감지기수가 많을수록 백업용 배터리의 안정적인 전원공급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해제모드중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비경계 모드에서도 모든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백업용 배터리의 동작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특히 정전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기존 시스템은 안정적인 전원공급 유지시간이 짧아진다. 즉, 장시간 정전중 기기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백업용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설정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기기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둘째 열선 감지기의 경우에는 감지기 특성상 물체 감지기 동작 LED가 점등되 는데 바로 이러한 특성이 범죄에 이용되곤 한다. 일반적으로 열선 감지기는 렌즈의 물리적 구조로 인하여 비감지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영역에서는 LED가 점등되지 않으므로 비감지 영역을 파악하여 범죄수단에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즉, 해제모드에서도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 감지기가 동작하므로 열선감지기의 경우 동작 LED에 의한 비감지 및 감지영역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류 소비량을 감소시켜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감지영역 및 비감지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파악되지 않도록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에 있어서, 동작모드가 경계 및 점검, 해제모드 등으로 구분되는 각각의 감지기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는 제1, 제2감지부와; 상기 제1, 제2감지부의 동작모드를 경계 및 점검, 해제모드 등으로 구분하며,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현재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계 및 해제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경계모드시 제어부에 알람이 발생하면 그 내용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중앙관제소와; 상기 제1감지 부와 제2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현재시간 데이터를 비교 인자로 하여 그 인자값이 특정조건에 일치할 때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가운데 어느 하나의 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기 전원공급 방식을 24시간계와 비24시간계로 구분하고 비24시간계의 경우 경계(세트) 및 점검(순회)모드시에는 감지기의 전원을 공급하고 그 외의 동작모드에서는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감지기의 전원공급 단자는 제1감지부(24)(24시간계)와 제2감지부(26)(비24시간계)로 구분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제1감지부(24)에는 n개의 감지기가 결선되며, 제2감지부(26)에는 m개의 감지기가 역시 결선된다. 상기 제1감지부(24)에는 항상 n개의 감지기에 전원이 공급되는데 가스, 화재 감지기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특수한 목적상 24시간 감시가 필요한 감지기의 경우에도 24시간계 전원단자를 연결한다.
제2감지부(26)에는 24시간 감시가 필요하지 않은 감지기의 전원을 공급하는데 경계(세트)모드 및 점검(순회)모드에만 m개의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해제모드시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와 각 감지기간에는 총4선이 연결되는데 이중 2선은 전원선이며, 나머지 2선은 감지기 알람 출력단자이다. 각 감지기의 전원선은 24시간계 및 비24시간계로 구분하여 제어부(22)의 전원단자를 공유하도록 하며, 각 감지기의 알람 출력선은 제어부(22)의 B/M 단자에 결선된다. 단 무전원 감지기의 경우에는 전원선 결선은 필요 없으며 단지 감지기 출력 단자만을 결선한다.
제어부(22)와 중앙관제소(20)간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경계(세트)모드시 제어부(22)에 알람이 발생하면 그 내용을 중앙관제소(20)로 전송하여 중앙관제소(20)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22)의 감지기 전원공급에 있어서 24시간계와 비24시간계로 구분하고 비24시간계의 경우 제어부(22)의 설정모드에 따라 감지기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즉, 경비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제어부(22)는 특정모드에서만 감지기 의 알람출력을 감시하고, 감지시에는 중앙관제소(20)로 이상 발보를 실행하도록 동작 알고리즘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루 24시간중 12시간은 해제(비경계)모드이고 나머지 12시간은 경계(세트)모드로 나누어진다. 그러므로 24시간 감시가 불필요한 감지기의 경우는 경계 및 점검모드에서만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외의 모드에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24시간 감시가 필요한 감지기와 24시간 감시가 불필요한 감지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우선, 가스 또는 화재 감지기는 반드시 24시간 감시가 필요하므로 24시간계 전원단자와 결선하여 제어부(22)가 모드와 상관없이 24시간 감시하도록 한다. 또한 24시간 감시가 반드시 필요한 곳에 설치된 감지기 역시 24시간계 전원단자를 공급하여 설정모드와 상관없이 24시간 감시하도록 한다.
다음, 비24시간의 경우에는 결선된 감지기의 전원을 설정모드에 따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계(세트) 및 점검(순회)모드시에는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알람출력을 항상 감지하도록 하며, 해제(비경계)모드에서는 감지기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감시를 하지 않는다.
열선 감지기의 경우에는 전기적 특성상 전원공급후 정상적인 동작이 될 때까지 일정시간 셋업타임이 필요한데 이러한 특성은 셋업타임동안 무감지의 원인이 되므로 범죄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22)의 경우에는 위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기를 자동적으로 해제 또는 경계(세트)모드로 설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현재시간 데이터를 이용해 경계모드 이행시간 바로 전, 즉 감지기 셋업타임 을 충분히 감안한 시간 이전에 감지기 전원을 공급시킨다면 실제 경계모드 진입시에는 감지기의 동작은 이미 셋업타임 이후이므로 안정적인 알람출력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의 경계모드 시간은 21:00부터 09:00이고 비24시간계에 결선된 열선 감지기의 셋업타임이 40초라면 제어부(22)는 20:59에 비24시간계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면 세트모드가 시작되는 21:00부터는 정상적인 감지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09:00부터는 비24시간계 감지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기기 동작을 제어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고리즘은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22) 및 그렇지 않은 제어부에 적용될 수 있는데 전자는 기기의 현재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24시간계의 감지기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며, 후자는 설정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24시간계 감지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에서 일정관리 기능이 없는 제어부(22)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동작은 제어부(22)의 CPU가 비24시간계 전원공급을 제어하므로서 이루어짐에 유의해야 한다.
먼저, 현재 동작모드(M)의 값은 경계모드(AM; Alarm Mode) 또는 점검모드(EM; Examine Mode), 해제모드(CM; Cancel Mode)중 한가지 값을 갖는데, 제어부(22)는 도 3의 (101)과정에서 감지기의 동작모드 입력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2)는 (101)과정에서 감지기의 동작모드가 입력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102)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2)는 (102)과정에서 감지기의 현재 동작모드(M)값이 경계모드(AM)또는 점검모드(EM)상태라고 판단되면 (103)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감지부(26)에 연결된 각각의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2)는 (102)과정에서 감지기의 현재 동작모드(M)값이 경계모드(AM)또는 점검모드(EM)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104)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감지부(26)에 연결된 각각의 감지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에서 일정관리 기능이 내장된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동작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부의 CPU가 비24시간계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의 CPU에는 제1실시예와는 구별되도록 일정관리 기능이 내장되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 동작모드(M)외에 현재시간 관련 정보 데이터를 갖는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현재 동작시간(RT; Real Time) 및 감지기 셋업타임(ST; Setup Time), 경계모드 시작시간(AT; Alarm Time), 해제모드 시작시간(CT; Cancel Time)등의 데이터를 CPU는 항상 저장하고 있다.
먼저, 현재 동작모드(M)의 값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계모드(AM; Alarm Mode) 또는 점검모드(EM; Examine Mode), 해제모드(CM; Cancel Mode)중 한가지 값 을 갖는데, 제어부는 도 4의 (201)과정에서 감지기의 동작모드 입력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CPU에 저장된 현재 동작시간(RT; Real Time) 및 감지기 셋업타임(ST; Setup Time), 경계모드 시작시간(AT; Alarm Time), 해제모드 시작시간(CT; Cancel Time)등의 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201)과정에서 감지기의 동작모드 및 각종 시간데이터가 입력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202)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202)과정에서 감지기의 현재 동작모드(M)값이 경계모드(AM)또는 점검모드(EM)상태라고 판단되면 (203)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감지부(26)에 연결된 각각의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202)과정에서 감지기의 현재 동작모드(M)값이 경계모드(AM)또는 점검모드(EM)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204)과정으로 진행하여 감지기의 현재 동작시간에 따른 제2감지부(26) 전원공급 조건을 비교한다. 즉, 감지기의 현재동작시간이 경계모드 시작시간에서 감지기 셋업시간을 제외한 시각부터 해제모드 시작시간전 까지의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203)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감지부(26)에 연결된 각각의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기의 현재동작시간이 경계모드 시작시간에서 감지기 셋업시간을 제외한 시각부터 해제모드 시작시간전 까지의 범위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205)과정으로 진행하여 제2감지부(26)에 연결된 각각의 감지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202)과정에서 제2감지부(26)의 각 감지기의 현재 동작모드(M)값이 경계모드(AM) 또는 점검모드(EM)이거나 (204)과정에서 각 감지기의 현재 동작시간(RT)값이 경계모드 시작시간-감지기 셋업시간(AT-ST)값과 해제모드 시작시간(CT)값 사이일 때에만 제2감지부(26)의 각 감지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202)과정과 (204)과정 이외의 조건일 경우에는 제2감지부(26)의 각 감지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2감지부(26)의 전원공급시작 조건을 경계모드 시작시간(AT)이 아닌 경계모드 시작시간-감지기 셋업시간(AT-ST)부터 각 감지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특정 감지기의 안정화 시간을 고려하였으며, 실제 경계모드 진입시 감지기의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셋업타임 특성을 지닌 감지기의 예를 들면, 열선 감지기가 있으며 그 시간은 대략 30초에서 1분 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4시간 감시가 불필요한 감지기에 있어서 일반적인 제어부 또는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의 경우, 설정모드 또는 현재시간 데이터를 비교 인자로 하고 그 값이 특정조건에 일치하면 감지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임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은 감지부의 해제모드에서는 기존 기기 대비 전류소비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고, 특히 해제모드중 정전이 발생할 경우 24시간 전원이 공급되는 제1감지부 이외의 제2감지부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므로 전류소비량을 줄여 백업용 배터리의 동작시간을 상당히 연장시킬 수 있으며, 비24시간계 열선감지기의 경우 해제모드시에는 감지기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감지기 동작 LED가 항상 소등되어 범죄의 목적, 즉 감지기의 감지 및 비감지영역을 파악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에 있어서,
    동작모드가 경계 및 점검, 해제모드 등으로 구분되는 각각의 감지기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는 제1, 제2감지부와;
    상기 제1, 제2감지부의 동작모드를 경계 및 점검, 해제모드 등으로 구분하며,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현재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계 및 해제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경계모드시 제어부에 알람이 발생하면 그 내용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중앙관제소와;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현재시간 데이터를 비교 인자로 하여 그 인자값이 특정조건에 일치할 때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가운데 어느 하나의 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제1, 제2감지부의 설정모드를 비교 인자로 하여 그 인자값이 특정조건에 일치할 때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가운데 어느 하나의 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는 24시간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감지부이며, 상기 제2감지부는 비24시간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감지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현재시간이 비교 인자값인 경우 특정 감지기의 안정화시간을 고려하여 경계모드 시작시간에서 감지기 셋업시간을 제외한 시각부터 해제모드 시작시간까지 제2감지부로 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용 감시장치의 특정조건이 경계 및 점검모드일 경우 제2감지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용 감시장치의 특정조건이 해제모드 또는 해제모드일 경우 제2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 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7. 24시간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1감지부와, 비24시간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2감지부를 갖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감지부의 동작모드를 경계 및 점검, 해제모드 등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2감지부의 동작모드가 해제모드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가운데 상기 제2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방법.
  8. 24시간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1감지부와, 비24시간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2감지부를 갖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감지부의 동작모드를 경계 및 점검, 해제모드 등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현재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계 및 해제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경계모드시 발생되는 알람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현재시간 데이터를 비교 인자로 하여 그 인자값이 특정조건에 일치할 때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가운데 상기 제2감지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감지부의 동작모드가 경계모드 또는 점검모드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가운데 상기 제2감지부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과정을 더 부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현재시간이 비교 인자값인 경우 특정 감지기의 안정화시간을 고려하여 경계모드 시작시간에서 감지기 셋업시간을 제외한 시각부터 해제모드 시작시간까지 제2감지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더 부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방법.
KR1019990059469A 1999-12-20 1999-12-20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73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469A KR100573002B1 (ko) 1999-12-20 1999-12-20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469A KR100573002B1 (ko) 1999-12-20 1999-12-20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78A KR20010064978A (ko) 2001-07-11
KR100573002B1 true KR100573002B1 (ko) 2006-04-24

Family

ID=1962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469A KR100573002B1 (ko) 1999-12-20 1999-12-20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743B1 (ko) * 2019-06-18 2020-12-22 주식회사 호서텔넷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카메라,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086A (ko) * 1995-09-01 1997-04-28 김동용 경비 시스템의 경비신호 송출방법
JPH1091883A (ja) * 1996-09-17 1998-04-10 Aiphone Co Ltd 住戸セキュリティ装置
JPH10134279A (ja) * 1996-10-31 1998-05-22 Aiphone Co Ltd 住戸セキュリティ装置
KR19980038289A (ko) * 1996-11-25 1998-08-05 배순훈 방범시스템의 음향 겸용 음성 출력방법 및 그 장치
JPH10214391A (ja) * 1997-01-30 1998-08-11 Nec Eng Ltd 警報監視システム、警報監視方法及び警報監視装置
KR19980046501A (ko) * 1996-12-12 1998-09-15 박정옥 보안장치의 전원공급 안정화회로
JPH11161879A (ja) * 1997-11-28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警報監視統合盤副受信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集合住宅監視通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086A (ko) * 1995-09-01 1997-04-28 김동용 경비 시스템의 경비신호 송출방법
JPH1091883A (ja) * 1996-09-17 1998-04-10 Aiphone Co Ltd 住戸セキュリティ装置
JPH10134279A (ja) * 1996-10-31 1998-05-22 Aiphone Co Ltd 住戸セキュリティ装置
KR19980038289A (ko) * 1996-11-25 1998-08-05 배순훈 방범시스템의 음향 겸용 음성 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46501A (ko) * 1996-12-12 1998-09-15 박정옥 보안장치의 전원공급 안정화회로
JPH10214391A (ja) * 1997-01-30 1998-08-11 Nec Eng Ltd 警報監視システム、警報監視方法及び警報監視装置
JPH11161879A (ja) * 1997-11-28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警報監視統合盤副受信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集合住宅監視通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78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002B1 (ko) 경비용 감시장치의 감지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JPH10107341A (ja) レーザ装置
KR102252533B1 (ko) 로라 통신망을 이용한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장치
CN211150066U (zh) 一种led显示屏监测电路
KR20220160427A (ko) 무선 전원 모니터링 시스템
CN113763662A (zh) 一种电气火灾监控系统
CN110806537A (zh) 一种空气开关的状态监测方法及系统
US3766537A (en) A.c. powered surveillance system
KR101779117B1 (ko) 원격 감시 및 제어용 인터페이스 장치
JP3286108B2 (ja) 監視制御装置
KR101548978B1 (ko) 변전 설비 원격 감시 시스템
KR200237218Y1 (ko) 원격감시기능을 가진 지락 검출기
KR100855234B1 (ko) 전력선 통신방식의 센서, 그 센서를 구비한 경비시스템 및그 센서 등록방법
US20240171274A1 (en)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JPH09102089A (ja) 電源装置
JP2000048287A (ja) 侵入検知センサ装置
JPH1052053A (ja) 計算機用電源装置
AU2003204675B2 (en) Monitored alarm circuit with reduced quiescent drain
KR20240069920A (ko) 화재 예방 기능을 갖춘 스마트 전력 제어기 및 시스템
CN115543455A (zh) 一种服务器空闲设备休眠装置及休眠方法
JP2000339558A (ja) 防災監視装置
JPH09233736A (ja) 配電線開閉器用の子局装置
CN113064358A (zh) 一种电源分配感知系统及方法
JPH10240302A (ja) 恒温庫における温度電源監視装置
JPS61296277A (ja) ホ−ムバス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タフエ−ス回路の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