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947B1 -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947B1
KR100571947B1 KR1020030031488A KR20030031488A KR100571947B1 KR 100571947 B1 KR100571947 B1 KR 100571947B1 KR 1020030031488 A KR1020030031488 A KR 1020030031488A KR 20030031488 A KR20030031488 A KR 20030031488A KR 100571947 B1 KR100571947 B1 KR 10057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base
socket
ba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523A (ko
Inventor
구로다게이지
미야모또다이찌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8Covers for saddles or other seats; Paddings
    • B62J1/22Covers with built-in pad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2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a central cavity or de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화 및 박형화를 유지하면서, 억지 끼워 맞춤과 역 끼워 맞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용에 적합한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방면이 개구된 편평한 상자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베이스 하우징(2)에 복수의 핀 콘택트(3)가 나란히 수용되어 있는 베이스 커넥터(1)와, 복수의 전선(31)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32)를 개별적으로 이격하여 수용하는 복수의 통형 하우징부(24)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소켓 하우징(22)을 갖는 소켓 커넥터(21)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하우징(2)의 하부벽(6) 내면에, 통형 하우징부(24) 사이의 공간부(26)에 결합하는 돌조 부재(9)가 개구부(4)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의 개구부의 상부벽 단부 모서리에 따라 절결부(10)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10)를 통해 베이스 하우징(2)의 상방으로부터 돌조 부재(9)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베이스 커넥터, 소켓 하우징, 베이스 하우징, 소켓 커넥터, 돌조 부재

Description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도1은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베이스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상기 베이스 커넥터의 평면도.
도3은 상기 베이스 커넥터의 정면도.
도4는 도3의 4-4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3의 5-5선에 따른 단면도.
도6은 도3의 6-6선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의 사시도.
도8은 상기 소켓 커넥터의 정면도.
도9는 상기 소켓 커넥터의 종단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의 사용예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
도11은 도10의 11-11선에 따른 단면도.
도12는 상기 커넥터의 역 끼워 맞춤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
도14는 도13의 14-14선에 따른 단면도.
도15는 종래예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커넥터
2 : 베이스 하우징
3 : 핀 콘택트
4 : 개구부
6 : 하부벽
7 : 상부벽
9 : 돌조 부재
10 : 절결부
21 : 소켓 커넥터
22 : 소켓 하우징
23 : 하우징 본체
24 : 통형 하우징부
25 : 연결벽
26 : 공간부(오목홈)
29 : 결합 구멍
31 : 전선
32 : 소켓 콘택트
33 : 랜스
35 : 프린트 배선판
본 발명은 소형화 및 박형화에 대응한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 컴퓨터 등의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백 라이트의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기판(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고전압용에 적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인버터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소형화와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이 개구된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하우징(42)에 복수의 핀 콘택트(43)가 나란히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그 리드부(44)가 후방벽을 관통하여 돌출하고, 인버터 기판(45)에 표면 실장되는 베이스커넥터(41)와, 복수의 전선(53)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54)가 개별적으로 이격하여 수용되는 소켓 하우징(52)을 갖는 소켓 커넥터(51)로 이루어지고, 인버터 기판(45)에 장착한 베이스 커넥터(41)에 소켓 커넥터(51)를 삽탈 가능하게 끼워 맞춤 접속하도록 한 고전압용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는 베이스 커넥터(41)와 소켓 커넥터(51)가 모두 박형으로 높이가 매우 낮으므로, 소켓 커넥터(51)를 베이스 커넥터(41)에 끼워 맞추어 접속할 때에, 억지 끼워 맞춤이 되기 쉬워, 이로 인해 베이스 커넥터(41)의 핀 콘택트(43)가 변형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켓 커넥터(51)를 역 끼워 맞춤한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커넥터(41)에 대해 소켓 커넥터(51)가 절반 끼워 맞춤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주의하지 않고 그대로 통전하면, 핀 콘택트(43)와 소켓 콘택트(54)의 간격(공간 거리)이 작기 때문에, 스파크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소형화 및 박형화를 유지하면서, 억지 끼워 맞춤과 역 끼워 맞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용에 적합한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방면이 개구된 편평한 상자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베이스 하우징에 복수의 핀 콘택트가 나란히 수용되어 있는 베이스 커넥터와, 복수의 전선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를 개별적으로 이격하여 수용하는 복수의 통형 하우징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소켓 하우징을 갖는 소켓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벽 내면에, 상기 통형 하우징부 사이의 공간부에 결합하는 돌조 부재가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끼워 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상부벽 단부 모서리에 따라 절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상기 돌조 부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베이스 커넥터(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커넥터(1)는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하우징(2)에,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굽힘 가공하여 형성한 복수의 핀 콘택트(3)가 나란히 수용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은 전방면에 개구부(4)를 갖고, 두꺼운 양 측벽(5, 5)과 얇은 하부벽(6) 및 상부벽(7)과 두꺼운 후방벽(8)(도6 참조)에 의해, 전체 높이가 2.0 ㎜ 내지 3.0 ㎜의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벽(6)의 내면에는 핀 콘택트(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후방벽(8)으로부터 개구부(4)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돌조 부재(9)가 나란히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4)의 상부벽(7) 단부 모서리에 따라서 절결부(10)가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 하우징(2)의 상방으로부터 절결부(10)를 통해 돌조 부재(9)의 선단부 부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돌조 부재(9)는, 후술하는 소켓 커넥터(21)의 소켓 하우징(22)과 결합하기 위해 소정의 피치로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돌조 부재(9)에 의해 두껍게 형성한 하부벽(6)이 보강된다. 또한, 후방벽(8)에는 복수의 핀 콘택트(3)의 부착 구멍(11)(도3 및 도4 참조)이 소정의 피치로 마련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7개의 부착 구멍(11)이 마련되고, 그 중 4개의 부착 구멍(11)에 핀 콘택트(3)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핀 콘택트(3)의 증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핀 콘택트(3)는 접촉부(12)와 상기 접촉부(12)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L 자형으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리드부(13)로 이루어지고, 접촉부(12)를 베이스 하우징(2) 후방벽(8)의 후방으로부터 부착 구멍(11)에 삽입하여 개구부(4)를 향해 연장 시키고, 또한 베이스 하우징(2) 내에 소정의 피치로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리드부(13)가 베이스 하우징(2) 하부벽(6)의 바닥면에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2)의 양 측벽(5, 5)에는 각각 보강 금구(14, 14)가 개구부(4)에 인접한 부위에 끼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벽(7)의 양단부 부분에 후술하는 소켓 하우징(22)에 설치한 계지 돌기(30, 30)와 결합하는 결합 구멍(15, 15)이 마련되어 있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2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소켓 커넥터(21)는 복수의 전선(31)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32)를 개별적으로 이격하여 수용하는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4개)의 통형 하우징부(24)가 핀 콘택트(3)의 피치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소켓 하우징(22)을 갖고 있다. 각 통형 하우징(24)은 하우징 본체(23)에 기단부 부분이 연속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 통형 하우징부(24)의 상단부가 얇은 연결벽(25)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 통형 하우징부(24) 사이에 오목홈형의 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6)에 전술한 베이스 하우징(2)의 돌조 부재(9)가 결합한다. 또한, 각 통형 하우징부(24) 선단부에는 핀 콘택트(3)의 접촉부(12)가 삽입되는 개구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전선(31) 단부에 압착 접속되는 소켓 콘택트(32)는 도전성 금속 박판을 펀칭 굽힘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다. 상기 소켓 콘택트(32)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2)의 하우징 본체(23)로부터 각 통형 하우징부(24)에 각각 설치된 콘택트 수용부(28)에 삽입하여 수용되고, 소켓 콘택트(32)에 설치한 랜스(33)가 통형 하우징부(24)의 상벽부에 마련한 결합 구멍(29)에 계지되어 발출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양단부에 위치하는 통형 하우징부(24, 24)의 상벽부에는 베이스 하우징(2)의 상부벽(7) 양단부에 마련한 결합 구멍(15, 15)에 결합하는 계지 돌기(30, 3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10 및 도11은 상술한 베이스 커넥터(1)와 소켓 커넥터(21)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 커넥터(1)는, 각 핀 콘택트(3)의 리드부(13)가 프린트 배선판(35)의 회로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납땜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양 보강 금구(14, 14)를 프린트 배선판(35)에 납땜하여 프린트 배선판(35)에 표면 실장된다. 한편, 복수의 전선(31) 단부에 접속한 소켓 커넥터(21)는 소켓 하우징(22)의 통형 하우징부(24)를 베이스 하우징(2)의 개구부(4)로부터 삽입하여, 베이스 커넥터(1)에 끼워 맞춤 접속된다. 이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 베이스 하우징(2)의 상방으로부터 상부벽(7)의 단부 모서리에 설치한 절결부(10)를 통해 눈으로 확인되는 각 돌조 부재(9)에 통형 하우징부(24) 사이의 공간부(26)가 결합하도록 위치 결정하여, 상기 돌조 부재(9)에 의해 위치 결정 안내하여 소켓 하우징(22)을 베이스 하우징(2)에 끼워 맞춤시키면, 억지 끼워 맞춤이 방지되어, 소켓 하우징(22)이 베이스 하우징(2)에 대해 정확한 자세로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소켓 하우징(22)이 베이스 하우징(2)에 대해 소정의 끼워 맞춤 위치까지 삽입되면, 베이스 커넥터(2)의 각 핀 콘택트(3)의 접촉부(12)가 상대적으로 전진하고, 개구부(27)를 통해 통형 하우징부(24) 내로 진입하여, 소켓 콘택트(32)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시에, 소켓 하우징(22)의 계지 돌기(30, 30)가 베이스 하우징(2)의 결합 구멍(15, 15)에 결합하여 로크되는 동시 에, 결합시의 클릭감에 의해 베이스 커넥터(1)에 대한 소켓 커넥터(21)의 끼워 맞춤 접속이 확인된다. 이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 있어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통형 하우징부(24)의 결합 구멍(29)으로부터 노출되는 소켓 콘택트(32)의 랜스(33)가 베이스 하우징(2)의 상부벽(7)으로 덮이므로, 랜스(33)에 의한 단락 사고 등이 유효하게 방지되어, 고전압용 커넥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한편,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실수로 베이스 커넥터(1)에 대해 소켓 커넥터(21)를 역방향으로 끼워 맞춘 경우, 각 통형 하우징부(24)의 연결벽(25)이 베이스 하우징(2)의 돌조 부재(9)에 접촉하여 삽입이 저지되므로, 역 끼워 맞춤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13 및 도14는 소켓 콘택트(32)의 랜스(33)가 통형 하우징부(24)의 하부벽부에 마련한 결합 구멍(29)(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하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랜스(33)를 통형 하우징부(24)의 하부벽측으로 노출시키면, 각 랜스(33)는 연결벽(25)에 의해 덮이는 동시에, 인접하는 랜스(33)와는 돌조 부재(9)에 의해 차단되므로 연면 거리가 커지고, 고전압용 커넥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효과적이다. 이 경우, 돌조 부재(9)를 높게 형성함으로써, 랜스(33) 사이의 연면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어 한층 더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소형화 및 박형화를 유지하면서, 억지 끼워 맞춤과 역 끼워 맞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접속시에, 소켓 콘택트의 랜스가 베이스 하우징에 의해 덮여 외부로 노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고전압용 커넥터에 적합하다.

Claims (5)

  1. 전방면이 개구된 편평한 상자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베이스 하우징에 복수의 핀 콘택트가 나란히 수용되어 있는 베이스 커넥터와,
    복수의 전선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를 개별적으로 이격하여 수용하는 복수의 통형 하우징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소켓 하우징을 갖는 소켓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벽 내면에, 상기 통형 하우징부 사이의 공간부에 결합하는 돌조 부재가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상부벽 단부 모서리에 따라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상기 돌조 부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하우징부의 상단부가 얇은 연결벽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가 오목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의 랜스가 상기 통형 하우징부에 설치한 결합 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부벽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벽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의 랜스가 상기 통형 하우징부에 설치한 결합 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벽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하부벽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KR1020030031488A 2002-05-20 2003-05-19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KR100571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4515 2002-05-20
JP2002144515A JP3819321B2 (ja) 2002-05-20 2002-05-20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309A Division KR100580426B1 (ko) 2002-05-20 2006-02-09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523A KR20030090523A (ko) 2003-11-28
KR100571947B1 true KR100571947B1 (ko) 2006-04-18

Family

ID=295450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488A KR100571947B1 (ko) 2002-05-20 2003-05-19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KR1020060012309A KR100580426B1 (ko) 2002-05-20 2006-02-09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309A KR100580426B1 (ko) 2002-05-20 2006-02-09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19321B2 (ko)
KR (2) KR100571947B1 (ko)
CN (1) CN1234197C (ko)
TW (1) TWI2532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922A (ja) * 2006-03-30 2007-10-11 Jst Mfg Co Ltd 検査用コネクタ
US8960935B2 (en) 2007-01-31 2015-02-24 L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2610944B (zh) * 2012-04-06 2015-07-22 昆山道润电子有限公司 公针的加工装置与制造方法
JP6174360B2 (ja) 2013-04-17 2017-08-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7462443B2 (ja) 2020-03-18 2024-04-05 富士電機メーター株式会社 電力量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19321B2 (ja) 2006-09-06
TW200408170A (en) 2004-05-16
KR20060027836A (ko) 2006-03-28
KR20030090523A (ko) 2003-11-28
JP2003338342A (ja) 2003-11-28
TWI253215B (en) 2006-04-11
CN1234197C (zh) 2005-12-28
KR100580426B1 (ko) 2006-05-16
CN1459889A (zh)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6617B1 (en) High voltage connector
JP3262726B2 (ja) コネクタ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JPH06208874A (ja) カードリーダ用電気コネクタ
US2005004292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ielding plates
KR19990036797A (ko) 금속 쉘에 의해 형성된 결합 부분을 가지는 전기 접속기
KR100659637B1 (ko) 고전압용 커넥터
KR100580426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KR100794082B1 (ko)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JP2007157657A (ja) コネクタ
JP4331990B2 (ja)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354866B2 (ja) ドッキングコネクタ
KR100810403B1 (ko) 단락 커넥터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JP5437912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EP4235975A1 (en)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JP321938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7250282A (ja) 表面実装型レセプタクル
JP2847033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H111664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