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786B1 - 복합기기의 제어기 - Google Patents

복합기기의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786B1
KR100570786B1 KR1020030050084A KR20030050084A KR100570786B1 KR 100570786 B1 KR100570786 B1 KR 100570786B1 KR 1020030050084 A KR1020030050084 A KR 1020030050084A KR 20030050084 A KR20030050084 A KR 20030050084A KR 100570786 B1 KR100570786 B1 KR 10057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cket
data
image processing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525A (ko
Inventor
다테아쓰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 H04N1/3251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04N1/32529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6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e.g. a microprocessor
    • H04N1/32593Using a plurality of controllers, e.g. for controlling different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6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e.g. a microprocessor
    • H04N1/32598Bus based systems
    • H04N1/32603Multi-b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6Imag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처리부는, 스캐너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패킷을 화상 링 인터페이스2로 전송하는 화상 링 인터페이스4와, 프린터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시스템 제어부는, 화상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RAM에 저장하여, 그 RAM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판독하는 RAM 제어기와, 데이터 패킷을 화상 링 인터페이스3으로 전송하는 화상 링 인터페이스1을 구비하여, 화상처리부로부터 시스템 제어부로 및 그 반대방향으로, 서로 다른 화상 링을 사용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Figure 112003026625255-pat00001
화상처리장치,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화상 링 인터페이스, 프린터, 시스템 제어부

Description

복합기기의 제어기{CONTROLLER OF MULTI FUNCTION DEVICE}
도 1은 실시예의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는 본 시스템의 실사용 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상기 도 2a에 연결된 본 시스템의 실사용 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시스템 제어기의 전체 블록도,
도 4는 이미지 패킷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코맨드 패킷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인터럽트 패킷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패킷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0 : 제어 유니트 2007 : 시스템 버스 브릿지
2008 : 화상 링 2129 : IO 버스
2149 : 화상처리부 2150 : 시스템 제어부
본 발명은, CPU, 메모리, 컴퓨터 접속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린터 인터페이스, 스캐너 인터페이스, 각 종 정지 화상처리부 등을 갖고, 스캐닝, 프린팅, 화상 데이터의 네트워크 전송, 화상의 축적 등을 행하는, 복합기기의 제어기로서 기능하는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45225호 공보에 기재된 것처럼, 단일 반도체 기판 상에 구성된 복합기기의 제어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PCI 버스로 대표되는 단일의 공유 버스에 복수의 화상처리부를 접속한 복합기기의 제어기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단일 반도체 기판 상에 구성된 복합기기의 제어기에서는, 처리능력이 부족한 경우에, 구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일의 공유버스에 복수의 화상처리부를 접속한 복합기기의 제어기에는, 화상데이터가 공유버스를 통과하는 구성으로 되고, 단일의 버스가 시스템의 성능을 제한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성 부품수가 많아져, 기기의 가격이 높아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구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값싼 복합기기의 제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국면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는, 화상처리부와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부는, 화상입력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화상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데이터 패킷 생성수단과,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1 패킷전송수단과, 화상출력기기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화상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화상처리부로 전송하는 제 2 패킷전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패킷전송수단이,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화상처리부 사이를 서로 다른 접속경로를 사용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내용과 아울러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그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속속들이 나타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를 판단하는데 상기 설명을 따르는 청구범위를 참조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장치 및 그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장치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 의한 제어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어 유니트(20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150)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며, 화상처리부(2149)는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시스템 제어부(2150)와 화상처리부(2149)는, 한 쌍의 화상 링(2008)과 서로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2150)는, 조작부(2012), RAM(2002) 및 ROM(2003)에 접속된다.
도 1에는, 시스템 제어부(2150)에, 범용 PCI 버스(2143), 디스크 제어기(2144), 모뎀(2050) 및 PHY/PMD(2146)가 접속된 예를 나타내었다.
화상처리부(2149)에는, 프린터(2095), 스캐너(2070), 화상메모리1 및 2(2123)가 접속된다.
더욱 상세한 전체 구성도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다. 제어 유니트(2000)는, 화상 입력장치인 스캐너(2070)와 화상출력장치인 프린터(2095)와 접속하고, 한쪽으로는 LAN(2011)과 공중회선(WAN)(2051)에 접속함으로써, 화상정보와 장치정보의 입력/출력과, PDL 데이터의 이미지 전개를 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동작한다.
CPU(2001)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CPU를 사용한 예를 나타낸다. 이들 2개의 CPU는, 공통의 CPU 버스(2126)에 접속되고, 이 CPU버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 브릿지(bridge)(2007)에 접속된다.
시스템 버스 브릿지(2007)는, 버스 스위치로, CPU버스(2126), RAM 제어기(2124), ROM 제어기(2125),, IO 버스1(2127), IO 버스2(2129), 화상 링 인터페이스1(2147), 화상 링 인터페이스2(2148)가 접속된다.
RAM(2002)은, CPU(2001)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작업 메모리로,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이기도 하다. 이 RAM(2002)은, RAM 제어기(2124)에 의해 제어된다.
ROM(2003)은, 부트(boot) ROM으로, 시스템의 부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ROM 제어기(2125)에 의해 제어된다.
IO 버스1(2127)은, 내부 IO 버스의 일종으로, 표준버스인 USB버스의 제어기, USB 인터페이스(2138), 범용 시리얼 포트(2139), 인터럽트 제어기(2140), GPIO 인터페이스(2141)가 접속된다. IO 버스1(2127)에는, 버스 중재기(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2006)는, 조작부(UI)(2012)에 대한 인터페이스로, 조작부(2012)에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를 조작부(2012)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 인터페이스(2006)는, 본 시스템 사용자가 조작부(2012)로부터 입력한 정보를, CPU(2001)에 전하는 역할을 한다.
IO 버스2(2129)는, 내부 IO 버스의 일종으로, 범용 버스 인터페이스1 및 2(2142)와, LAN 제어기(2010)가 접속된다. IO 버스2(2129)에는, 버스 중재기(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된다.
범용 버스 인터페이스 1 및 2(2142)는, 2개의 동일한 버스 인터페이스로 이 루어지고, 표준 IO 버스를 지원하는 버스 브릿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PCI버스1 및 2(2143)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었다.
HDD(2004)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HDD(2004)는, 디스크 제어기(2144)를 통해 PCI 버스1(2143)에 접속된다.
LAN 제어기(2010)는, MAC 회로(2145) 및 PHY/PMD 회로(2146)를 통해 LAN(2011)에 접속하여, 정보를 입출력한다.
모뎀(2050)은, 공중회선(2051)에 접속하여 정보를 입출력한다.
화상 링 인터페이스1(2147) 및 화상 링 인터페이스2(2148) 각각은, 시스템 버스 브릿지(2007)와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화상 링(2008)을 접속하고, 타일(tile)화된 데이터를 RAM(2002)과 화상처리부(2149)사이에서 전송하는 DMA 제어기이다.
화상 링(2008)은, 한 쌍의 단방향 접속경로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화상 데이터 패킷을 고속으로 전송하고, 화상처리부(2149) 내에서, 화상 링 인터페이스3(2101) 및 화상 링 인터페이스4(2102)를 통해서, 코맨드 처리부(2104), 상태 처리부(2105), 타일 버스(2107)에 접속된다.
코맨드 처리부(2104)는, 화상 링 인터페이스3(2101) 및 4(2102)에의 접속과 아울러, 레지스터 설정 버스(2109)에 접속되어 있어, CPU(2001)로부터 발행되어, 화상 링(2008)을 통해 입력한 레지스터 설정 요구를, 레지스터 설정 버스(2109)에 접속되는 해당 블록에 기록한다. 또한, CPU(2001)로부터 발행된 레지스터 판독 요구에 의거하여 레지스터 설정 버스(2109)를 통해 해당 레지스터로부터 정보를 판독 하여, 화상 링 인터페이스4(2102)에 전송한다.
상태 처리부(2105)는, 각 화상처리부의 정보를 감시하여, CPU(2001)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발행하기 위한 인터럽트 패킷을 생성하여, 화상 링 인터페이스4에 출력한다.
타일 버스(2107)에는, 상기 블록과 아울러, 이하의 기능 블록이 접속된다: 즉,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와,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2113)와, 복수의 직사각형 화상 처리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화상 처리부로서, 다치화부(2119), 2값화부(2118), 색공간 변환부(2117), 화상 회전부(2030), 해상도 변환부(2116)를 실장한 예를 나타내었다.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는, 후술하는 스캐너(2170)에 의해 보정화상처리된 래스터(raster) 화상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레지스터 설정 버스(2109)를 통해 설정된 소정의 방법에 의해 직사각형데이터로의 구조변환과 클록을 동기화하여, 타일 버스(2107)에 대하여 출력을 한다.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2113)는, 타일 버스(2107)로부터의 직사각형 데이터를 수신하여, 래스터 화상으로의 구조변환 및, 클록속도를 변경하여, 래스터 화상을 프린터(2195)로 출력한다.
화상 회전부(2030)는 화상 데이터를 회전한다.
해상도 변환부(2116)는, 화상의 해상도를 변경한다.
색공간 변환부(2117)는, 칼라 및 그레이 스케일 화상의 색공간을 변환한다.
2값화부(2118)는, 다치(칼라 및 그레이 스케일) 화상을 2값화한다.
다치화부(2119)는, 2값 화상을 다치 데이터로 변환한다.
메모리 제어부(2122)는, 메모리 버스(2108)에 접속되고, 각 화상처리부의 요구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 분할에 의해, 화상 메모리1 및 2(2123)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의 기록, 판독, 필요에 따라서 리프레싱(refreshing) 등의 동작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메모리로서 SDRAM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다.
[시스템 전체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기(1001)는, 스캐너와 프린터로 구성되어, 스캐너로부터 판독한 화상을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1010)(이하, LAN이라 함)에 전달하거나, LAN으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프린터에 의해 프린트 아웃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팩스(FAX) 송신부에 의해, 스캐너로부터 읽은 화상을 PSTN 또는 ISDN(1030)에 송신하거나, PSTN 또는 ISDN으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프린터에 의해 프린트 아웃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002)는, 복합기기에 의해 판독한 2값 화상 및 다치 화상을 데이터베이스로서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002)의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1003)는, 데이터베이스(100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열람, 검색 등을 할 수 있다.
전자 메일(e-mail)서버(1004)는, 복합기기(1001)에 의해 판독한 화상을 전자 메일의 첨부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전자 메일의 클라이언트(1005)는, 전자 메일서버(1004)가 수신한 전자 메일을 수신하여 판독하고, 전자 메일을 송신한다.
WWW 서버(1006)는, HTML 문서를 LAN에 제공하는 서버로, 이러한 WWW 서버로 제공된 HTML 문서는, 복합기기(1001)에 의해 프린트 아웃할 수 있다.
DNS 서버(1007)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도메인 네임을 관리한다. 라우터(1011)는, LAN(1010)을 인터넷/인트라넷(1012)과 연결(link)한다. 인터넷/인트라넷(1012)에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1002, WWW 서버 1006, 전자 메일서버 1004, 복합기기 1001과 동일한 장치인, 복합기기 1020, 데이터베이스 서버 1021, WWW 서버 1022, 전자 메일서버 1023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복합기기(1001)는, PSTN 또는 ISDN(1030)을 통해, 팩스장치(1031)와 송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LAN(1010) 상에 프린터(1040)도 연결되어 있고, 복합기기(1001)에 의해 판독한 화상을 프린트 아웃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데이터(패킷) 포맷]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 유니트(2000) 내에서는, 화상 데이터, CPU(2001)에 의한 코맨드, 각 블록으로부터 발행되는 인터럽트 정보를, 패킷화된 포맷으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데이터 패킷, 도 5에 나타낸 코맨드 패킷, 도 6에 나타낸 인터럽트 패킷의 3종류의 서로 다른 종류의 패킷이 사용된다.
·데이터 패킷(도 4)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32 x 32 화소의 타일 단위의 화상 데이터(3002)로 분할하여 취급한 예를 나타내었다. 이 타일 단위로 분할된 화상 데이터에, 필요한 헤더정보(3001) 및 화상 부가정보 등(3003)을 부가하여 데이터 패킷(packet)으로 구성한다.
이하에 헤더정보(3001)에 포함되는 정보에 관해서 설명을 한다.
패킷의 타입은, 헤더정보(3001) 내의 패킷 타입(Pckt Type)(3004)으로 구별된다.
칩 ID(Chip ID)(3005)는, 패킷을 송신하는 타깃이 되는 칩의 ID를 나타낸다.
데이터 타입(3006)에서는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낸다.
페이지(Page) ID(3007)는 페이지를 나타내고, 잡(Job) ID는 소프트웨어로 관리하기 위한 잡 ID(3008)를 나타낸다.
타일의 번호는, Y 방향의 타일 좌표(3009)와 X 방향의 타일 좌표(3010)의 조합으로, YnXn로 나타낸다.
데이터 패킷은, 화상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와 비압축의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압축의 경우를 나타내었다. 압축되어 있는 경우와 비압축의 경우의 구별은, 압축 플래그(Compress Flag)(3017)로 나타낸다.
처리 명령어(Process Instruction)(3011)는, 왼쪽으로부터 처리순으로 설정하고, 각 처리 유니트는, 처리 후 처리 명령어(3011)를 왼쪽으로 8비트 시프트한다. 이 처리 명령어(3011)는, 유니트(Unit) ID(3019)와 모드(Mode)(3020)의 조가 8조 저장되어 있다. 유니트 ID(3019)는 각 처리 유니트를 지정하고, 모드(3020)는 각 처리 유니트에서의 동작 모드를 지정한다. 이에 따라, 한 개의 패킷은, 8개의 유니트로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패킷 바이트 길이(Packet Byte Length)(3012)는, 패킷의 전체 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화상 데이터 바이트 길이(Image Data Byte Length)(3015)는, 화상 데이 터의 바이트 수, Z 데이터 바이트 길이(3016)는 화상 부가정보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화상 데이터 오프셋(Image data offset)(3013) 및 Z 데이터 오프셋(3014)은, 각각의 데이터의 패킷의 선두로부터의 오프셋을 나타낸다.
· 패킷 테이블(Packet Table)(도 7)
각 패킷은, 패킷 테이블(packet table)(6001)에서 관리된다. 패킷 테이블(6001)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각각 테이블의 값에 0을 5비트 부가하면, 패킷의 시작 어드레스(Address)(6002), 패킷의 바이트 길이(6005)가 된다.
패킷 어드레스 포인터(27비트)+ 5b00000= 패킷 시작 어드레스
패킷 길이(11비트)+ 5b00000= 패킷의 바이트 길이
패킷 테이블(6001)과 체인 테이블(Chain Table)(6010)은, 서로 분할되지 않는다. 패킷 테이블(6001)은, 항상 주사방향으로 배치되고, Yn/Xn=000/000, 000/001, 000/002,····라는 순으로 배치된다. 이 패킷 테이블(6001)의 엔트리(Entry)는 하나의 타일을 유일하게 나타낸다. 또한, Yn/Xmax의 다음 엔트리는 Yn+1/X0이 된다.
현재 패킷이 선행하는 패킷과 완전히 동일한 데이터인 경우는, 그 현재 패킷은 메모리에는 기록하지 않고, 현재 패킷에 대한 패킷 테이블 엔트리에 선행하는 패킷과 같은 패킷 어드레스 포인터 및 패킷 길이를 저장한다. 이것은, 2개의 테이블 엔트리가 한 개의 패킷 데이터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현재 패킷의 테이블 엔트리에 대해 반복 플래그(6003)가 세트된다.
패킷이 체인 DMA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경우는, 분할(devide) 플래그(6004) 를 세트하고, 그 패킷의 시작부분을 포함하는 체인 블록의 체인 테이블 번호(6006)도 세트한다.
체인 테이블(6010)의 엔트리는, 체인 블록 어드레스(6011)와 체인 블록 길이(6012)로 이루어져, 테이블의 최후의 엔트리에는 어드레스 및 길이 모두에 대해 0을 저장해 둔다.
· 코맨드 패킷 포맷(command packet format)(도 5)
본 패킷 포맷은, 레지스터 설정 버스(2109)로의 액세스를 하기 위한 것이다. 본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CPU(2001)에 의해 화상메모리(2123)에의 액세스도 가능하다.
칩 ID(4004)에는, 코맨드 패킷의 송신원이 되는 화상처리부(2149)를 나타내는 ID를 포함한다. 페이지 ID(4007) 및 잡 ID(4008)는, 소프트웨어로 관리하기 위한 페이지 ID와 잡 ID를 포함한다. 패킷 ID(4009)는, 데이터 패킷의 X-좌표만을 사용하여 1차원으로 나타낸다. 패킷 바이트 길이(4010)는, 128Byte로 고정되어 있다.
패킷 데이터부(4002)에는, 어드레스(4011)와 데이터(4012)의 조합을 하나의 코맨드로 하여서, 최대 12개의 코맨드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인지 판독인지의 명령 타입은 Cmd Type(4005)으로 나타내고, 명령의 수는 Cmdnum(4006)으로 나타낸다.
· 인터럽트 패킷 포맷(interrupt packet format)(도 6)
본 인터럽트 패킷 포맷은, 화상처리부(2149)로부터 CPU(2001)로의 인터럽트 를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태 처리부(2105)는, 인터럽트 패킷을 송신한 후, 다음에 송신이 허가될 때까지는 인터럽트 패킷을 송신해서는 안 된다. 패킷 바이트 길이(5006)는 128Byte로 고정되어 있다.
패킷 데이터부(5002)에는, 화상처리부(2149)의 각 내부모듈의 상태정보(5007)가 저장되어 있다. 상태(status) 처리부(2105)는, 화상처리부(2149)내의 각 모듈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일괄적으로 시스템 제어부(2150)에 보낼 수 있다.
칩 ID(5004)에는, 인터럽트 패킷의 송신처가 되는 시스템 제어부(2150)를 나타낸 ID를 포함하고, 또한, 인터럽트 칩(Intchip) ID(5005)에는 인터럽트 패킷의 송신원이 되는 화상처리부(2149)를 나타낸 ID를 포함한다.
이하에, 전형적인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다.
(1) 복합기기의 사용자가 조작부(2012)로부터 복사 작업을 지시한 경우, CPU(2001)는 조작부 인터페이스(2006)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종이 사이즈 등의 정보로부터 화상 링 인터페이스2(2148)에, 전송 패킷 수, RAM(2002) 상에서의 화상 저장 어드레스 등의 필요 정보를 프로그래밍한다.
(2) CPU(2001)는, 레지스터 액세스 링(2137)을 통하여 화상 링 인터페이스1(2147) 내부에 있는 코맨드 패킷 생성 레지스터를 프로그래밍하여,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로 그리고, 종이 사이즈, 색공간 정보 등의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코맨드 패킷을 생성하여, 화상 링(2003)을 통해 화상처리부(2149)로 전달한다.
(3)코맨드 패킷은, 화상 링 인터페이스3(2101), 코맨드 처리부(2104) 레지스터 설정 버스(2109)를 통해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를 프로그래밍 한다.
(4) 다음으로, CPU(2001)는 코맨드 패킷을 사용하여,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내부의 스캐너 통신 인터페이스를 프로그래밍하고, 스캐너(2070)에 대하여 스캔의 시작을 지시한다.
(5) 스캐너(207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를 통해, 메모리 버스(2108)를 통하여 메모리 제어부(2122)에 의해 제어되는 화상메모리(2123)에 일단 저장된다.
(6) 상기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다시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에 의해 32×32화소마다 판독되고, 패킷 타입(PcktType)(3004), 칩 ID(3005), 데이터 타입(3006), 페이지 ID(3007), 잡 ID(3008), Y 방향의 타일 좌표(3009), X 방향의 타일 좌표(3010), 압축 플래그(3017), 처리 명령어(3011), 패킷 바이트 길이(3012) 등의 헤더정보를 부가하여, 패킷 데이터로서 타일 버스(2107)에 출력한다.
(7) 상기 패킷 데이터는 순차로 작성되어, 화상 링 인터페이스4(2102), 화상 링(2008) 및 화상 링 인터페이스2(2148)를 통하여, 화상 링 인터페이스2(2148)에 프로그래밍된 정보에 의거하여 RAM(2002)에 순차로 저장된다.
(8) 이와 동시에, 화상 링 인터페이스2(2148)는, 패킷 테이블(6001)을 RAM 상에 작성한다.
(9) 1 페이지의 스캔동작이 종료하면, 스캐너 통신기구를 사용하여,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에 종료가 전달된다.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112)는, 인터럽트 신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태 처리부(2105)에 인터럽트를 통지한다.
(10) 상태 처리부(2105)는, 인터럽트 패킷(도 6)을 작성하여, 화상 링 인터페이스2(2148)로 전달한다.
(11) 화상 링 인터페이스2(2148)는, 인터럽트 패킷을 해석하여, 인터럽트신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터럽트를 인터럽트 제어기(2140)에 전달한다.
(12) 인터럽트는, 인터럽트 제어기(2140)로부터 CPU(2001)로 전달되어, CPU(2001)는 스캔동작의 종료를 검출한다.
(13) CPU(2001)는, 레지스터 액세스 링(2137)을 통하여 코맨드 패킷을 작성하고, 화상 링 인터페이스1(2147)로부터 화상 링(2008), 화상 링 인터페이스3(2101), 코맨드 처리부(2104) 및 레지스터 설정 버스(2109)를 경유하여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2113)로 필요한 정보를 설정한다.
(14) CPU(2001)는, 마찬가지로, 코맨드 패킷을 사용하여,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2113)에 구비된 프린터 통신기구에 의해, 프린터(2095)에 인자대기 상태로 들어갈 것을 지시한다.
(15) 계속해서, CPU(2001)는, 화상 링 인터페이스1(2147) 내에 구비된 DMA 제어기에, 패킷 테이블이 존재하는 메모리 어드레스 등을 프로그래밍 한다.
(16) 화상 링 인터페이스1(2147) 내의 DMA제어기는, 프로그램된 정보에 근거하여, RAM(2002) 내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판독하고, 화상 링(2008), 화상 링 인터페이스3(2101) 및 타일 버스(2107)를 경유하여 순차로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2113)에 출력한다.
(17)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2113)는, 수신한 데이터패킷으로부터 화상부분을 추출하여, 화상메모리(2123)에 저장한다.
(18) 필요화소만큼 화상 데이터가 화상메모리(2123)에 축적된 시점에서,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2113)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메모리(2123)로부터 순차로 판독하여 프린터(2095)에 출력한다.
(19) 이 결과, 사용자는, 복사 결과인 화상 프린트를 얻는다.
(20) 화상출력이 필요 화소수만큼 종료한 시점에서, 인터럽트 패킷에 의해 종료 인터럽트가 CPU(2001)에 전달된다.
또한, 복수의 페이지 복사일 경우에는, 프린트동작과 스캔동작이 동시에 발생하지만, 화상 링(2008)은 한 쌍의 단방향 접속경로로, 스캔 데이터 패킷과 프린트 데이터 패킷이 동일한 버스를 통과하는 경우는 없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처리부로부터 시스템 제어부로의 패킷 전송과,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화상처리부로의 패킷 전송을 각각 다른 접속경로를 사용하여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와 화상처리부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래에 처리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각각을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고성능 장치를 단기간에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화상처리부를 각각 다른 반도체 기판 상에 구성함으로써, 부품 수를 감소하는 것이 가능해져, 염가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특성을 갖는 바람직한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아주 폭넓게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 이외의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화상처리부와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부는,
    화상입력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화상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데이터 패킷 생성수단과,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1 패킷전송수단과,
    화상출력기기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화상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화상처리부로 전송하는 제 2 패킷전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패킷전송수단이,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화상처리부 사이를 서로 다른 접속경로를 사용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화상처리부를 서로 다른 반도체 기판 상에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맨드 패킷을 생성하는 코맨드 패킷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고, 그 코맨드 패킷을 상기 제 2 패킷전송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화상처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가,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 인터럽트를 통지하기 위한 인터럽트 패킷을 생성하는 인터럽트 패킷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고, 그 인터럽트 패킷을 상기 제 1 패킷전송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 생성수단은,
    래스터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래스터 직사 각형 변환수단과,
    화상 데이터의 페이지를 특정하는 페이지 ID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적어도 상기 페이지 ID, 위치데이터,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단과,
    페이지 ID와 위치데이터에 따라서 복수의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직사각형 래스터 변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직사각형 화상 처리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KR1020030050084A 2002-07-31 2003-07-22 복합기기의 제어기 KR100570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3125A JP3958141B2 (ja) 2002-07-31 2002-07-31 画像処理装置
JPJP-P-2002-00223125 2002-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525A KR20040021525A (ko) 2004-03-10
KR100570786B1 true KR100570786B1 (ko) 2006-04-13

Family

ID=3118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084A KR100570786B1 (ko) 2002-07-31 2003-07-22 복합기기의 제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97872B2 (ko)
JP (1) JP3958141B2 (ko)
KR (1) KR100570786B1 (ko)
CN (2) CN10047948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0313A1 (en) * 2007-10-25 2009-04-30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based on image attribute
JP5495588B2 (ja) * 2009-03-12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読取システム
JP6833491B2 (ja) 2016-12-12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644A (en) * 1985-05-31 1990-04-17 Sanyo Electric Co., Ltd. System containing loop shaped transmission paths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using a plurality of latches connected in cascade fashion
US5586281A (en) * 1992-10-27 1996-12-17 Sharp Kabushiki Kaisha Data driven typ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H07152693A (ja) 1993-11-29 1995-06-1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US6078337A (en) 1994-09-12 2000-06-20 Canon Kabushiki Kaisha Maintaining consistency of cache memory data by arbitrating use of a connection route by plural nodes
JPH09172529A (ja) * 1995-12-20 1997-06-30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
JP3524337B2 (ja) 1997-07-25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バス管理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複合機器の制御装置
JPH11194995A (ja) * 1997-12-26 1999-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Dram内蔵マイクロプロセッサ及びdram内蔵マイクロプロセッサのデータ転送方法
JP4011276B2 (ja) * 1999-09-24 2007-11-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208398B2 (ja) * 2000-10-05 2009-01-14 株式会社東芝 動画像復号再生装置、動画像復号再生方法及びマルチメディア情報受信装置
JP3862605B2 (ja) * 2001-07-19 200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7829C (zh) 2006-08-02
US6897872B2 (en) 2005-05-24
US20040024926A1 (en) 2004-02-05
CN1874397A (zh) 2006-12-06
JP2004064631A (ja) 2004-02-26
CN1482554A (zh) 2004-03-17
CN100479482C (zh) 2009-04-15
KR20040021525A (ko) 2004-03-10
JP3958141B2 (ja)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388B2 (en) Image input/output control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JP2001027986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処理部選択方法
US7130072B2 (en) Multifunction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memory medium
US71456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vided image data
US719373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70786B1 (ko) 복합기기의 제어기
JP3907471B2 (ja) 画像入出力制御装置
JP200331671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135685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状態表示制御方法
JP4065550B2 (ja) 画像入出力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入出力制御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2006338232A (ja) 通信システム
JP3703431B2 (ja) データ通信装置、画像処理装置、データ通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データ通信方法
JP6833491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8118477A (ja)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78591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画像処理方法
JP2004253906A (ja) 伸長装置
JP2001051819A (ja) 画像制御装置および画像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3196044A (ja)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229306A (ja) 画像処理装置
JP2006166102A (ja) 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JP2005159394A (ja) 画像入出力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715842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データ転送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128554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7132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データ転送方法
JP2005006000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