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454B1 -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구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구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454B1
KR100570454B1 KR1019997007178A KR19997007178A KR100570454B1 KR 100570454 B1 KR100570454 B1 KR 100570454B1 KR 1019997007178 A KR1019997007178 A KR 1019997007178A KR 19997007178 A KR19997007178 A KR 19997007178A KR 100570454 B1 KR100570454 B1 KR 10057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plate
drive device
drive
switching
magnet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913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베르나우어
페터 브라운
롤프 바우만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514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7045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7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05Y2400/326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of the angula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윈드실드 와이퍼 및 선루프와 같은 자동차부품을 이동 또는 조정하기 위한 전기모터를 구비한 종래의 구동장치는 이동가능한 부품들이 적어도 하나의 이미 설정된 위치에 있을 때 전기모터를 정지, 즉 상기 부품들이 그 최종위치에 있을 때, 전기모터를 정지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를 구비한다. 이 스위칭 장치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예를 들어 접속 접촉부의 작동을 위해서 스위칭 기어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 감응 센서를 가지고 있다. 이동될 부품의 서로 다른 크기를 위해서 서로 다른 스위칭 기어가 저장된다.
본 발명은 스위칭 기어(12)가 자화될 수 있는 재료로 된 원형판인 것을 제안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재료는 예를 들어 영구자석 분말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결합체로 되어 있다. 상기의 원형판(12)은 해당 구동장치(2)에 직접 인접하게, 또는 이 구동장치(2)에 조립된 상태로 자화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는 센서(13, 14, 15)가 설치되고 또한 구동장치(2)가 폐쇄된 후에, 상기 디스크는 자동차에 설치될 준비가 된다.
특히 만약 원형판(12)의 자화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면, 자동차에 조립되기 전, 구동장치의 조정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의 구동장치(2)는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될 수 있다.
원형판, 구동장치, 선루프, 스위칭 장치, 자기 감응 센서

Description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구동장치 및 그 제조 방법{Drive device for a movable part that can be displaced between end positions in a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장치 또는 청구항 제 4항 또는 제 5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보 DE 10 24 373 C3호를 통해서 자동차의 이동식 선루프와 같이, 최종 위치(end positions)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부품용 구동장치가 이미 공개되었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전기모터, 전기모터 뒤에 배열된 감속 기어, 감속 기어에 연결되며, 선루프 쪽으로 이어진 케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케이블 롤러, 기어 쌍을 이용해서 케이블 드럼과 구동연결된 접속 장치 그리고 웜 샤프트, 이 웜 샤프트와 맞물리는 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는, 스위칭 핑거를 포함하며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하나의 스위칭 기어를 형성하고, 접속 핑거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접촉부(contact) 및 제 2 접촉부를 포함한다. 선루프가 구조적으로 지정된 최종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접속 핑거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칭 접촉부는 전기모터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기어, 즉 웜과 웜 기어는 구조적으로 지정된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선루프의 이동이 웜 기어의 회전의 1/3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최종 스위치 중 하나가 접속 장치에서 조립되어 고정식으로 장착되었으며, 이에 반해 또 다른 하나의 최종스위치는 선루프의 이동 경로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동장치는 그 제조 후 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조정된 상태로 자동차에 조립될 수 있다.
특허 US 4,468,063 A호에 의해서 또 다른 선루프용 구동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구동장치는 전기모터, 웜 기어, 웜 기어 상에 있는 안전커플링, 구동 샤프트,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의 구동을 위한 제 1 기어 장치 및 스위칭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기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에는 선루프의 구동 와이어가 맞물린다. 제 2 구동장치는 여기서 편심톱니기어쌍으로 구현되며 캠(cam)을 구비한 스위칭 기어를 지지한다. 제 1 그리고 제 2 기어장치는 두 개의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선루프가 이동할 시에 스위칭 기어가 1회전보다 작게 실시되도록 설계되었다. 스위칭 기어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캠을 구비하며, 이 두 개의 캠 각각에는 각각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가 할당된다. 상기 공개공보는 구동장치가 선(先)조립되고 그리고 자동차에 설치되기 전에 조정될 수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특허공개공보 EP 0 469 286 B1호에는 또 다른 구동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의 스위칭 기어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캠과 이에 할당되는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개공보에서는 선택적으로 캠 대신에 영구자석을 스위칭 기어에 고정하거나 아니면 홀-센서와 같은, 자기장 감응 센서를 영구자석에 할당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두 개의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윈드실드 와이퍼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모터, 웜 기어 및 제어장치를 구비한 기타 구동장치가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를 통해 와이퍼 암에 작용하는 접촉부 및 크랭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기어는 견고하게 웜 기어의 샤프트들과 연결되어 있다. 미국특허 US 4,866,357 A호에 따르면 윈드실드 와이퍼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접촉부 대신에 접촉없이 동작하는 광센서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선택된 세척 영역의 크기에 따라서 전기모터를 두 회전방향에서 교대로 스위칭하며 이러한 스위칭 사이에 세척 속도를 이미 설정해 놓은 시간계획(time plan)에 따라서 가변시키기 위함이다. 와이퍼 암의 각각의 선회각도에 따라서 광센서는 코드판(code plate)에 의해서 제어되는 광신호(light signal)를 수신한다. 이러한 코드판에는 여기서 그레이-코드(gray-code)가 설치되며, 따라서 다수의 코드 트랙을 필요로 하게 되고 광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평가회로 및, 조절 회로를 요구하는데, 상기 조절회로는 특히 평가 결과를 프로그램저장소로부터 읽을 수 있는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기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특허공개공보 EP 0 531 793 A1호에 의해 공지된, 두 회전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이른바 초음파모터(ultrasound motor)를 구비하고 있는 또 다른 구동장치는, 마찬가지로 와이퍼 암과 동기식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명암표시(light-darkness-mark)를 포함한 코드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명암표시는, 광센서와 직접 연결되어 와이퍼 암의 선회위치를 나타내도록 배열된다.
상기의 제어장치는 이들의 스위칭 기어들이 구동장치의 출력 샤프트와 동기식으로 회전되는지 또는 상기 출력 샤프트에 의해 지정된 변속비를 갖는 간접적으로 감속 기어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는지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자동차 타입에 따라서 이미 설정한 경로 또는 각도에 맞게 이동될 수 있는 부품의 최종 위치 사이 또는 경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자동차 형태에 맞게 상이한 제어 캠 또는 코드판을 저장하거나 고가의 조정에 의해 센서의 정렬을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 그리고 제 4 항 및 제 5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방법은 스위칭 기어가 자화될 수 있는 재료로 된 중성부품으로서 저장되고 각각의 개별적인 구동 장치 내에 조립하기 바로 전에 또는 상기 구동 장치 내로의 조립후에 자화 패턴에 의한 자화를 통해 완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은 해당 적용예에 상응한다. 스위칭 기어들이 적용예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동심의 환형 구역(concentric annular zone)에 북-남극 시퀀스를 갖게 된다. 홀 센서와 같은, 해당 자기장 감응 센서가, 프리세팅된 패턴에 따라서 그리고 매우 큰 재현 정확도로써, 인쇄 회로기판과 같은 고정 장치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제어 장치의 조정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장착되기 전에, 각각의 스위칭 기어가 북극과 남극의 정확한 자화에 대해 조사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인식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명백히 저장비를 감소할 뿐만 아니라 구동장치의 완성을 가속화한다.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동장치를 위한 조립 라인에서 자화가 실행되므로, 자화에 필요한 자화장치가 가동되기 전에 정확한 자화 코일 또는 자화 공구가 삽입되었는지만 주의하면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조립 라인에서의 자화는 혼동을 방지하며 저장을 단순화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있어서의 방법은, 즉 웜 기어가 구동장치 내에 조립되기 전에, 원형판을 웜 기어에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종속항에 제시된 특징들을 통해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와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제 2 항의 특징들은, 구동장치의 제어장치가 예를 들어 두 최종 위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중간위치에서 전기모터를 정지시키기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제 3 항의 특징을 가진 구동장치는, 즉 한편으로는 스위칭 기어가 회전 보장식으로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분해시에 원래의 방향 설정이 재생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동시에 여기에서의 특징은 구동장치 내에 스위칭 기어가 정확하게 삽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청구항 제 6 항의 특징을 가진 방법은, 자화 공구 또는 자화 코일의 단 한번의 정확한 회전방향 설정으로 구동장치가 최종 완성되기 전 원형판의 추후 방향 설정이 생략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비자화된 원형판이 임의의 방식으로 구동장치에 삽입되고 예를 들어 접착고정으로 회전고정된다.
도 1은 부분적으로 완성된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개별 부품의 단면도.
도 3은 조립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단면도.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동장치(2)는 윈드실드 와이퍼용 구동장치로서 형성되며, 와이퍼 구동을 위해서 구동장치(2)는,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와이퍼 암으로 안내되는 크랭크 메커니즘의, 부분적으로 도시된 크랭크(3)의 회전운동을 일으키고 있다.
이 구동장치(2)는 하우징(4), 도 3에 따른 하우징 커버(5), 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웜 샤프트(worm)(6) 구동을 위한 전기모터, 웜 샤프트(6)와 맞물린 웜 기어(7), 웜 기어(7)에 회전 고정식으로 연결된 웜 기어 샤프트(8), 하우징(4)에 장착된 웜 기어 샤프트용 베어링 부쉬(9, 10; bearing bush)와 제어장치(11)를 가지며, 상기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웜 기어(7)와 회전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원형판(12)의 정면측 즉 웜 기어(7) 반대편에 있는 원형판(12)과, 자기장에 민감하며 센서 브리지(16) 상에 배치된 세 개의 센서(13, 14, 15)들을 포함한다.
센서 브리지(16)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며, 이 판은 하우징 커버(5)에 고정된다. 상기 센서들(13, 14, 15)은 여기서 나타나 있지 않은 납땜 러그(soldering lug)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서 센서(13 내지 15)가 센서 브리지(16) 상에 납땜될 수 있다. 센서(13 내지 15)는 홀-센서로 되어있고 원형판(12)로부터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최소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우징(4) 외부에 탄성을 가진 축방향 안전링(17)이 웜 기어 샤프트(6) 주위로 배열된다. 축방향 안전링(17)은 웜 기어 샤프트(8)가 축방향 안전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과 또한 웜 기어(7)가 센서(13 내지 15)로 근접하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는 탄성 클로(claw: 18)를 포함하고 있다. 축방향 안전링(17)과 하우징(4) 사이에 정지 디스크(19)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정지 디스크(19)는 스프링 강판으로 되어 마모를 줄이는 역할을 하므로, 웜 기어(7) 즉 원형판(12)과 센서(13 내지 15) 사이에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간격이 충분히 신뢰성있게 유지된다. 마모감소를 위한 또 하나의 처방으로서 웜 기어(7)의 허브(21)와 하우징(4) 사이에 제 2 정지 디스크(20)를 삽입할 수도 있다. 웜 기어(7)와 그 허브(21)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 성형되며, 이로써 웜 샤프트(8)와의 회전고정식 연결은 널링(22; knurling)을 만들거나, 아니면 포지티브식(positive) 연결을 이루기 위해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투입되는 경사 널링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점에 관해 당업자를 위해 구동장치(2)의 기계적인 부품을 충분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에서 원형판(12)을 종단면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허브(21)의 부분(21')은 센터링 핀으로 사용되고 원형판(12)의 개구(23)를 통과하게 된다. 개구(23)를 포함한 원형판(12)의 평면도를 도 2에서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개구(23)의 원주는 세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홈들(24, 25, 26)에 의해서 중단된다. 도시된 방법과는 달리 상기 부분(21')은 홈들(24, 25, 26)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홈들(24, 25, 26)과 함께 멀티웨지 연결(multi-wedge connection)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연결은 원형판(12)이 상기 부분(21') 위로 슬라이딩될 때에 웜 기어(7)와 추후에 크랭크(3)에 대해서 원형판(12)을 회전각도와 측면이 정확하게 강제 정렬시키며, 여기서 다른 정렬일 경우 부분(21')위로 슬라이딩될 수 없다. 세 개의 홈들(24, 25, 26)은 오류스위칭 또는 단락 등을 피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인코딩(encoding)을 생성한다.
원형판(12)의 반경방향 절단면을 나타낸 도 1과 도 3에서 인식한 바와 같이, 원형판은 원형판의 구성에 따라서 상당히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형판은 예를 들어 영구자석분말과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결합으로 생산된다. 센서(13 내지 15)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신호 발생의 과제를 실행하기 위해서, 원형판(12)은 자화되어야 하며, 이때의 자화는 자동차 타입에 맞게 프리세팅된 조정 경로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각각의 자동차 타입 또는 자동차 차체의 타입에 맞게, 조정된 패턴에 따라서 자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턴에 대한 예가 자화 코일(30), 즉 자화 공구의 배치로써 도 2에서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양극(+) 연결에서부터 시작해서 자화 코일(30)은 연속적으로 반경방향의 와이어 섹션(31 내지 39)과 또한 이들 사이에 동심이며 아치형인 와이어 섹션(40 내지 47)을 갖는다. 만약 자화전류가 자화 코일(30)을 통해서 유도되면, 자화전류는 반경방향 와이어 섹션(31)에서 안쪽으로, 즉 원형판(12)의 중심축을 향해 흐르게 된다. 이때에 "오른나사-법칙"에 따라서 와이어 섹션(31)에는 N과 S극이 형성되며 와이어 섹션(32, 33, 34, 35, 36, 37, 38)에는 도면에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각각의 표시된 극이 형성된다. 코일(30)은 코일 고정부(50)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코일 고정부(50)는 개략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다.
도 2에서는 원형판(12)이 구동장치(2)와의 결합없이도, 설정된 패턴에 따라서 자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상기와 같은 원형판의 비자화되는 블랭크(blank)가 생산라인에 있는 저장소에서 빼내어지고 생산라인의 조립-스테이션으로 가는 중에 자화될 때,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홈(24, 25, 26)의 배치를 통해 생성된 인코딩은 원형판(12)이 이미 계획해 놓은 방향으로만 상기 부분(21')을 따라서 웜 기어(7) 위에 하강할 수 있는 위험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곳에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해서 고정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은 코일 고정부(50)로 원형판(12) 상부를 향하는 자화 코일(30)과 함께 도 1에서 도시된다. 원형판(12)과 구동장치(2)에 대해 자화 패턴 회전 방향을 프리세팅 가능하게 정렬하기 위해, 구동장치(2)의 하우징(4)이 수용장치(51)로 삽입된다. 이러한 수용장치(51)는 구동장치(2)로부터 돌출되어 나온 웜 기어 샤프트(8)의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수용 보어(52; receiving bore)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용 보어(52) 둘레에서 정확한 회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하우징(4)은 방향 설정핀(5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방향 설정핀(53)은 방향 설정홈(54)으로 삽입되고, 이에 방향 설정홈(54)은 수용장치(51)에 속해 있는 기둥(55)의 상위 그리고 단부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수용장치(51)와 이에 대해 적절하게 방향 설정된 코일 고정부(50) 그리고 코일(30)을 사용함으로써, 자화 패턴이 동시에 정확하게 방향 설정됨에 따라 자화가 이루어지므로 자화가 끝날 경우 구동장치(2)는 원형판(12)에 대해 완전히 조정된다. 도 3에서 도시된 하우징의 커버(5)가 이에 고정된 센서 브리지(16)와 함께 하우징(4)위에 놓이게 되면, 구동장치(2)의 조립이 완료된다. 센서 브리지(16)를 이미 계획된 방법에 의해 하우징 커버(5)에 부착시키는데 있어서 어떠한 기술적인 어려움은 없기 때문에, 하우징 커버(5)를 고정한 후 구동장치(2)는 완성되며 이어서 자동차에 설치할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윈드실드 와이퍼용으로서 설계되고 조립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동장치(2)에 관해 기술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선루프용 구동장치류에 속하는 구동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들은 상세한 설명의 도입부에 이미 언급되었으므로, 여기서는 도면에 따른 더 이상의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하겠다. 또한 선루프 구동장치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구동모멘트를 전달하는 연결 부재의 구조가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더 나아가서 선루프에 의해 뒤로 밀린 경로의 길이에 종속되어 원형판(12)을 회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부가 어떠한 형식인가도 마찬가지로 상관이 없다.
본 발명의 적용은 윈드실드 와이퍼 또는 선루프의 구동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파워 윈도, 환기 플랩, 슬라이딩 도어, 자동차 운전석 그리고 자동차 핸들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전기모터 구동장치(2)로부터 회전모멘트를 유도하는 샤프트(8) 및 이동가능한 부품의 하나 이상의 설정된 위치에 대해 전기모터를 제어 및 정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과 하나 이상의 자기장 감응 센서(13, 14, 15)를 구비한 스위칭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기어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샤프트(8)와 커플링됨으로써, 상기 스위칭 기어는 자동차의 부품이 두 최종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최고 360도로 회전할 수 있는, 최종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구동 장치(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기어는 원형판(12)의 형태로 형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화 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자기장 감응 센서(13, 14, 15)가 원형판(12)에 대해 축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원형판(12)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면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면의 하나 이상의 환형 구역은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서 원주방향으로 자화되고, 상기 환형 구역의 상기 영역에서 원형판(12)은 회전방향으로 연속해서 대응 자극(N 및 S 또는 S 및 N)을 가지며, 상기 원형판(12)은 영구자석 분말 및 열가소성 결합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된 원형판(12)은 자화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환형 구역과 이에 할당되며 또 다른 자속에 민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 15)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원형판(12)은 중심의 개구(23)로부터 시작해서 다수의 서로 다른 홈(24, 25, 26)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홈이 구동장치 내에 원형판(12)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코딩의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화가능한 재료로 된 원형판을 구비하고 있는 구동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원형판(12)은 구동장치(2) 내에 설치되기 바로 전에, 설정된 패턴에 따라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화가능한 재료로 된 원형판을 구비하고 있는 구동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원형판(12)은 비자화 상태에서 구동장치(2)로 설치되며 이 장치 내부에 고정되고 이어서 자화장치(30, 50)에 의해 원형판(12)이 설정된 패턴에 따라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설정된 패턴은 제공된 방법으로 회전방향으로 원형판(12) 위에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장 감응 센서(13, 14, 15)가 센서 브리지(16)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브리지(16)는 하우징 커버(5)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12)은 웜 기어(7)와 회전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어는 상기 샤프트(8)와 회전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9. 제 4 항에 따른 자화가능한 재료로 된 원형판을 구비하고 있는 구동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12)의 자화를 위해, 자화 코일이 그 기본 윤곽 위에 배치되고, 상기 자화 코일은 반경방향의 동심의 아치형 와이어 섹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5 항에 따른 자화가능한 재료로 된 원형판을 구비하고 있는 구동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12)의 자화를 위해, 자화 코일이 그 기본 윤곽 위에 배치되고, 상기 자화 코일은 반경방향의 동심의 아치형 와이어 섹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7178A 1997-12-10 1998-10-30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구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570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4843.1 1997-12-10
DE19754843A DE19754843A1 (de) 1997-12-10 1997-12-10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zwischen Endstellungen bewegbares Teil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CT/DE1998/003175 WO1999029528A1 (de) 1997-12-10 1998-10-30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zwischen endstellungen bewegbares teil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913A KR20000070913A (ko) 2000-11-25
KR100570454B1 true KR100570454B1 (ko) 2006-04-13

Family

ID=785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178A KR100570454B1 (ko) 1997-12-10 1998-10-30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구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63125A (ko)
EP (1) EP0981457B2 (ko)
JP (1) JP2001515626A (ko)
KR (1) KR100570454B1 (ko)
BR (1) BR9807205A (ko)
DE (2) DE19754843A1 (ko)
WO (1) WO1999029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8630A1 (de) * 1998-12-18 2000-06-21 Bosch Gmbh Robert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verstellbares Teil eines Fahrzeugs
DE19937222C2 (de) * 1999-08-06 2001-11-29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Steuervorrichtung für einen Elektromotor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FR2802032B1 (fr) * 1999-11-18 2002-02-22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s electriques aptes a etre utilisees dans un vehicule automobile d'une part comme generateur et d'autre part comme moteur electrique pour le demarrage du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u vehicule
FR2807231B1 (fr) * 1999-11-18 2002-06-07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s electriques aptes a etre utilisees dans un vehicule automobile d'une part comme generateur et d'autre part comme moteur electrique pour le demarrage du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u vehicule
DE10014735A1 (de) * 2000-03-24 2001-10-11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 insbesondere Wischermotor zum Wischen einer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0134937A1 (de) * 2001-07-18 2003-02-06 Bosch Gmbh Robert Getriebe-Antriebseinheit mit Drehzahlerfassung
US7009386B2 (en) * 2002-01-02 2006-03-07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Non-contact position sensor utilizing multiple sensor elements
JP2003344100A (ja) * 2002-05-28 2003-12-03 Niles Co Ltd 回転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58036A1 (de) * 2002-12-12 2004-06-24 Robert Bosch Gmbh Elektromotor, insbesondere für eine Scheibenwischvorrichtung sowie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WO2004068679A1 (ja) * 2003-01-27 2006-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トローラ付き電動モータユニット
DE10313226A1 (de) * 2003-03-25 2004-10-07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Antriebseinheit
DE102005005802B3 (de) * 2005-02-09 2006-06-14 Hübner GmbH Ausstellschiebetürsystem für ein Fahrzeug
SE528392C2 (sv) 2005-03-11 2006-10-31 Atlas Copco Rock Drills Ab Givarinstallation i en växellåda för positionering
DE102005038050B4 (de) * 2005-08-10 2009-09-24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Elektromotorisch betriebene Antriebseinheit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40647A1 (de) * 2005-08-27 2007-03-08 Valeo Systèmes d`Essuyage Elektromotorischer Hilfsantrieb für Fahrzeuge
US8256161B2 (en) * 2006-06-09 2012-09-04 Mitsuba Corporation Automatic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US7725231B2 (en) * 2006-09-11 2010-05-25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displacing a movable part and sliding roof system for carrying out such a method
DE102008043214A1 (de) * 2008-10-28 2010-04-29 Zf Lenksysteme Gmbh Lenkung
EP2325426B1 (en) * 2009-11-20 2015-06-1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riving device
EP2378646A1 (de) 2010-04-15 2011-10-19 Brusa Elektronik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Magnetisierung permanent-erregter Synchronmaschinen sowie Rotor für solche Synchronmaschinen
US9073575B2 (en) * 2010-05-12 2015-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mory features for a manually adjustable apparatus
JP5600528B2 (ja) * 2010-09-03 2014-10-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回転角度検出装置
KR101490952B1 (ko) * 2013-12-23 2015-02-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회전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작동 장치
DE102018002158A1 (de) * 2018-03-16 2019-09-19 Paragon Ag Sensor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r Drehstellung einer Gelenkwelle von Karosseriekinematikvorrichtungen, z.B. von Spoilern
US11722036B2 (en) * 2021-06-14 2023-08-08 Commercial Vehicle Group, Inc. Wiper mo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8998A (en) 1981-02-09 1985-04-02 David H. Rush Brushless disc-type DC motor or generator
JPS5830830A (ja) * 1981-08-13 1983-02-23 Aisin Seiki Co Ltd サンル−フ用駆動装置
DE3829405A1 (de) 1988-08-30 1990-03-08 Webasto Ag Fahrzeugtechnik Betaetigungseinrichtung fuer elektromotorisch bewegbare teile von kraftfahrzeugen
US4866357A (en) * 1988-12-19 1989-09-12 Ford Motor Company Windshield wiper and control system
US5200729A (en) 1989-08-29 1993-04-06 Yamamoto Electric Corporation Permanent magnet and magnetiz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permanent magnet
DE4021973C1 (ko) * 1990-07-10 1992-01-02 Webasto Ag Fahrzeugtechnik, 8035 Stockdorf, De
FR2670286B1 (fr) * 1990-12-05 1993-03-26 Moving Magnet Tech Capteur magnetique de position et de vitesse a sonde de hall.
DE4130065C2 (de) * 1991-09-11 1993-12-02 Licentia Gmbh Elektrischer Scheibenwischerantrieb
DE4424633A1 (de) * 1994-07-13 1996-01-25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r Positionsantrieb, insbesondere für Schiebedächer von Kraftfahrzeugen
JPH0861976A (ja) * 1994-08-18 1996-03-08 Asmo Co Ltd 移動体の位置及び荷重検出装置
JP3336141B2 (ja) * 1995-01-27 2002-10-21 アスモ株式会社 移動体の位置検出装置
JP3007838B2 (ja) * 1996-03-01 2000-02-07 アスモ株式会社 移動体の位置検出装置および車両ドア
DE59711601D1 (de) * 1996-05-11 2004-06-09 Valeo Schalter & Sensoren Gmbh Vorrichtung zum erfassen rotatorischer bewegungen
US6051899A (en) * 1996-06-15 2000-04-1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Drive mechanism
US5924324A (en) * 1997-10-09 1999-07-20 Ut Automotive Dearborn, Inc. Movable gear drive windshield w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913A (ko) 2000-11-25
EP0981457B1 (de) 2003-05-02
JP2001515626A (ja) 2001-09-18
BR9807205A (pt) 2000-05-23
DE59808170D1 (de) 2003-06-05
EP0981457A1 (de) 2000-03-01
EP0981457B2 (de) 2006-05-03
DE19754843A1 (de) 1999-06-24
WO1999029528A1 (de) 1999-06-17
US6163125A (en) 200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454B1 (ko) 최종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구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314031B2 (ja) 2つの板ガラス払拭器を備えたワイパ装置
CN101820201B (zh) 具有减速机构的电动机
US20110128102A1 (en) Magnetic switching device
EP1577182B1 (en) Wiper device
JP2009501988A (ja) 回転指示装置および回転指示装置を備える制御装置
GB2375386A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US6107712A (en) Motor actuator having position detector
KR20040098541A (ko) 내연기관을 위한 조정장치
US6072254A (en) Drive device with electric motor
US5612600A (en) Position encoder system for a movable panel
JPH10264660A (ja) 調節移動可能な車両部分用の駆動装置
EP0907166A2 (en) Magnetic field generator for magneto-optics memory apparatus
KR101490952B1 (ko) 회전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작동 장치
EP1074414A2 (de) Steuervorrichtung für einen Elektromotor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JPH1170420A (ja) 直列式の直線/回転駆動機構およびその回転駆動方法
CN110696585A (zh) 运动组件
KR100644737B1 (ko) 차량의 조정 가능한 부품용 구동 장치
CN101978187A (zh) 电磁离合器、环保持部件及其制造方法
DE102005041859A1 (de) Vorrichtung zum exakten positionieren optischer Bauteile in Strahlengängen
EP3162643B1 (en) Wiper apparatus
FR2821796A3 (fr) Entrainement d'actionnement pour volets de chauffage, d'aeration ou de climatisation dans un vehicule automobile
JP2013247702A (ja) モータ装置
JPH075470Y2 (ja) プログラムシヤツタの調整機構
JPH08328080A (ja) 光量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