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301B1 -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301B1
KR100570301B1 KR1020040006267A KR20040006267A KR100570301B1 KR 100570301 B1 KR100570301 B1 KR 100570301B1 KR 1020040006267 A KR1020040006267 A KR 1020040006267A KR 20040006267 A KR20040006267 A KR 20040006267A KR 100570301 B1 KR100570301 B1 KR 10057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ea
powdered
functional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130A (ko
Inventor
박장현
최형국
임근철
김영옥
최정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04000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Exudates, e.g. gum arabic, gum acacia, gum karaya or tragac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은 교반기 또는 코팅제조기에 쌀을 투입한 후, 쌀 100중량부에 대해 젤라틴, 아라비아검 및 아르긴산농축액 중 선택된 어느 한 점질물질 0.1 내지 5중량부를 균일하게 분사하면서, 가루녹차, 가루우롱차 및 가루홍차 중 선택된 어느 한 가루차 0.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여 5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은 기호성 및 식미가 증대되고 기능성이 부가되어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가루차, 젤라틴, 아라비아검, 아르긴산농충액, 점질물질, 식용접착제, 기능성 쌀, 기능성 올벼쌀

Description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rice coated with powdered te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젤라틴, 아라비아검 또는 아르긴산농축액과 같은 식용접착제를 사용하여 분말상의 가루차를 쌀에 도포한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차 코팅 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쌀에 대한 소비자기호의 다양화와 식생활의 고급화로 건강식품을 첨가하거나 취반을 간편화시킨 다양한 기능성 쌀이 잇따라 시장에 출시되어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면서 쌀 소비량의 감소와는 상반되게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기능성이 배가된 고급쌀에 대한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쌀에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코팅함으로써 맛과 영양을 증가시킨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한국특허등록 제398895호는 쌀에 부족한 칼슘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홍화씨로부터 지용성 및 수용성 성분을 용매추출하여 이를 쌀에 코팅한 홍화쌀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409041호는 쌀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햅쌀로서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부패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지방이 제거된 포도씨 추출물로 쌀을 코팅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편, 차(茶)는 세계에서 가장 대중적인 음료의 하나로 주로 어린잎을 채취 가공하여 이를 음용하는데, 이러한 차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으로는 카테킨, 카테킨산화물, 플라보놀, 감마아미노부틸릭산, 데아닌, 사포닌, 카페인, 항산화비타민류(C, E, β-카로틴)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 카테킨은 항암, 노화억제, 항돌연변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상승 억제, 혈소판응집 억제, 항균, 항바이러스, 충치예방, 항궤양, 항알레르기, 소취, 담배나 알콜에 대한 해독작용, 스트레스해소, 피부미용효과 등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차 재배면적도 매년 20%이상씩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건강지향적 사고와 효능 그리고 높은 기호성 때문에 차의 소비촉진을 위해 다양한 차 가공품의 제조기술이 상당부분 실용화되고 있는데, 특히 차를 쌀에 접목시킨 예로, 한국특허공개 제2003-1203호는 식용 녹차잎 분말을 물에 용해하여 용액을 제조하고 습식연미기를 이용하여 용액을 쌀에 도포 및 함침시키면서 정미하여 건조시키는 식용 녹차잎의 성분이 함유된 청결미 제조방법에 대해, 한국특허등록 제356606호는 녹차원액과 소주, 흑설탕이 혼합된 용액을 벼 에 살포 및 숙성시켜 도정하는 녹차성분이 함유된 쌀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각각 개시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녹차를 쌀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은 주로 녹차원액을 쌀에 분사하여 코팅하거나 녹차분말을 물 또는 기타의 용액에 혼합한 후 쌀에 분사하는 것으로, 분말상의 가루차를 그대로 쌀에 코팅하는 데는 기술상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체에 유용한 차를 분말상태로 쌀에 코팅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성 쌀을 제조한다면 쌀과 차 재배농가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고 이를 섭취하는 소비자의 건강 증진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올벼쌀은 수확기 전 이른 벼를 베어 탈곡한 후 이를 24시간 건조시켜 증숙하고 말린 다음 도정하거나 또는 탈곡한 벼를 유수에 12∼24시간 침지 후 증열, 건조하고 도정하여 생산되는 것으로 생식, 선식 및 취반용으로 사용된다. 올벼쌀은 다양한 무기질, 항산화 비타민류, 수용성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며 항당뇨병, 콜레스테롤 저하, 신장의 칼슘배출 감소에 효과가 있고 또한 수분유지력이 커서 변비를 방지하고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증과 같은 성인병 예방에도 유용하다. 이러한 올벼쌀을 이용한 기능성 쌀에 대한 사례는 현재까지 없었으며 연구되거나 보고된 바와 없다. 특히, 올벼쌀의 기호성, 영양성 및 기호성 향상을 위한 용도로 가루차를 사용한 사례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인체에 유용한 차를 접목시킨 기능성 쌀 내지는 기능성 올벼쌀을 개발한다면 최근 쌀에 대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도와 고급화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능성 쌀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공통적으로 존재하는데, 첫째, 쌀 본래의 맛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기능성 물질의 유효한 효과가 발휘되게 하는 기능성 물질의 첨가량 결정과, 둘째, 분말상의 기능성 물질을 균일하고 안전하게 쌀 표면에 도포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의 모색이 바로 그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고 가루차를 쌀에 접목시킨 신규한 기능성 쌀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첫째 쌀 본래의 식미감을 저하시키지 않는 가루차의 적정 첨가량을 결정하고, 둘째 인체에 무해한 젤라틴, 아라비아검 또는 아르긴산농축액과 같은 식용접착제를 사용하여 분말상의 가루차를 쌀에 도포함으로써,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올벼쌀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루녹차, 가루우롱차 또는 가루홍차를 식용 점질물질과 함께 쌀에 도포하는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기능성 및 기호성이 증가된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은 교반기 또는 코팅제조기에 쌀을 투입한 후, 쌀 100중량부에 대해 젤라틴, 아라비아검 및 아르긴산농축액 중 선택된 어느 한 점질물질 0.1 내지 5중량부를 균일하게 분사하면서, 가루녹차, 가루우롱차 및 가루홍차 중 선택된 어느 한 가루차 0.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여 5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루차의 입도는 1 내지 300 마이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쌀은 쌀 중에서도 특히 올벼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가루차로는 가루녹차, 가루우롱차 및 가루홍차가 바람직하며,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가루차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가루차의 입도는 1 내지 300 마이크로인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분말의 크기가 1 마이크로 미만이거나 300마이크로를 초과하면 분사시 뭉치거나 점질물질과의 결합으로 쌀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루차의 첨가시 차 특유의 맛과 향을 인지하면서 동시에 쌀 본래의 식미감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가루차의 적정 첨가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첨가량은, 쌀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만일 가루차를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가루차의 기능성을 제대로 살릴 수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차 특유의 쓴맛과 떫은 맛이 강하게 느껴져 취반 후 쌀의 식미감이 거북스럽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먼저 교반기 또는 코팅제조기에 쌀을 투입한 후, 쌀 100 중량부에 대해 젤라틴, 아라비아검 또는 아르긴산 농축액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용 접착제 1 내지 5 중량부를 균일하게 분사하여 상기 쌀 표면을 식용 접착제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식용 접착제로 코팅된 쌀을 가루녹차, 가루우롱차 또는 가루홍차 중 선택된 어느 한 가루차 0.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5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쌀 중에서도 특히 올벼쌀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음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기능성 쌀은 식용가능한 점질물질을 사용 하여 가루차를 코팅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차 분말이 쌀 표면에 균일하고 안전하게 도포됨으로써 차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들의 약리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쌀로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실이다.
<실시예 1>
가루녹차 코팅에 따른 취반 쌀밥의 색도
가루녹차의 첨가가 취반후 쌀밥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코팅되는 가루녹차의 양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쌀을 제조하고 이를 취반한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쌀밥의 색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가루녹차 코팅에 따른 쌀밥의 색도 변화
첨가량(중량부)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0.1 0.5 1 2 3 4 5 7.5 10 87.45 87.03 86.49 84.42 78.56 76.87 75.24 70.93 64.83 -1.03 -2.73 -4.39 -6.01 -6.35 -6.59 -6.93 -7.57 -8.28 4.85 8.79 13.32 22.28 23.01 23.89 25.01 26.13 27.78
표 1에서와 같이 가루녹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육안상으로도 쌀밥의 색도가 약간씩 진해짐을 알 수 있었는데, 색차계를 이용한 객관적인 결과치에서도 명도(L값)가 감소하여 색상이 진해졌으며, 첨가량 증가와 비례해 적색도(a) 및 황색도(b)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가루녹차 첨가량 증가에 따른 착색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가루녹차 코팅에 따른 올벼쌀의 색도
가루녹차의 첨가가 올벼쌀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코팅되는 가루녹차의 양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올벼쌀을 제조한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가루녹차 코팅에 따른 올벼쌀의 색도 변화
첨가량(중량부)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0.1 0.5 1 1.5 2 2.5 5 10 53.7 53.5 52.7 52.1 50.8 50.1 48.3 42.2 -0.16 -1.82 -3.39 -4.12 -5.02 -5.59 -6.74 -8.01 27.1 27.9 28.3 28.5 29.3 29.9 30.9 32.7
표 2에서와 같이 가루녹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육안상으로도 올벼쌀의 색도가 약간씩 녹색으로 진해짐을 알 수 있었는데, 색차계를 이용한 객관적인 결과치에서도 명도(L값)가 감소하여 표면색의 밝기가 어두워졌으며, 첨가량 증가와 비례 해 녹색과 황색이 증가하는 경항을 보여 가루녹차 첨가량 증가에 따른 착색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가루녹차 코팅에 따른 취반 쌀밥의 관능평가
차의 기능성과 쌀의 기호적 식미감이 저해되지 않는 적정 코팅농도 설정을 위해 가루녹차를 쌀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였다.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각 기능성 쌀을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취반한 후 다양한 계층의 사람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에는 맛 10점, 향기 5점, 조직감 5점, 전체적인 기호도 10점으로 가중치를 주었으며, 총점 30점을 만점으로 하였다.
가루녹차 첨가량에 따른 쌀밥의 관능평가 결과
첨가량(중량부) 맛(10) 향기(5) 조직감(5) 전체적 기호도(10) 총점(30)
0.1 0.5 1 2 3 4 5 7.5 10 7.5 8.2 8.2 8.4 8.3 8.0 7.9 7.8 7.6 3.1 3.4 3.6 3.7 3.6 3.5 3.4 3.3 3.2 3.0 3.4 3.5 3.6 3.5 3.3 3.2 3.2 3.1 7.5 8.2 8.3 8.5 8.4 8.0 8.0 7.9 7.7 21.1 23.2 23.6 24.2 23.8 22.8 22.5 22.2 21.6
표 3에서와 같이 가루녹차는 특유의 색, 맛, 향을 가지고 있어, 쌀에 코팅처리시 모든 기호성 관련 요소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중량부 초과 첨가시에는 가루녹차 특유의 쓴맛 내지 떫은 맛이 쌀밥의 고유한 맛을 감소시켜 밥맛의 기호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따라서 가루녹차 첨가량 0.5∼3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4>
가루녹차 및 가루홍차 코팅에 따른 올벼쌀의 관능평가
차의 기능성과 쌀의 기호적 식미감이 저해되지 않는 적정 코팅농도 설정을 위해 가루녹차 및 가루홍차를 올벼쌀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였다.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각 기능성 올벼쌀을 다양한 계층의 사람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에는 맛 10점, 향기 5점, 조직감 5점, 전체적인 기호도 10점으로 가중치를 주었으며, 총점 30점을 만점으로 하였다.
가루녹차 및 가루홍차 첨가에 따른 올벼쌀의 관능평가
첨가량(중량부) 맛(10) 향기(5) 색택(5) 전체적기호도(10) 총점(30)
가루녹차0.1 가루녹차0.5 가루녹차1 가루녹차2 가루녹차3 가루녹차5 가루녹차10 5.5 6.3 6.5 6.2 6.0 5.6 5.3 2.5 2.9 3.1 3.2 3.0 2.9 2.7 2.5 2.7 3.0 3.2 3.1 2.7 2.4 6.0 6.9 7.2 7.0 6.5 6.2 5.7 16.5 18.8 19.8 19.6 18.6 17.4 16.1
가루홍차0.5 가루홍차1 가루홍차2 가루홍차3 가루홍차5 가루홍차10 6.0 6.3 6.1 5.8 5.6 5.4 2.8 2.9 3.0 2.9 2.7 2.6 2.6 2.9 3.0 2.8 2.6 2.4 6.7 7.1 6.8 6.6 6.2 5.6 18.1 19.2 18.9 18.1 17.1 16.0
표 4에서와 같이 가루녹차와 가루홍차는 특유의 색, 맛, 향을 가지고 있어, 올벼쌀에 코팅처리시 모든 기호성 관련 요소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중량부 초과 첨가시에는 가루차 특유의 쓴맛 내지 떫은 맛이 올벼쌀 고유한 맛을 감소시키므로, 가루차 첨가량은 0.5∼2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쌀 고유의 맛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가루차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을 유효한 양으로 쌀에 코팅하고, 코팅시 인체에 무해한 식용접착제를 사용하여 균일하고 안전하게 가루차를 도포함으로써 맛과 영향이 향상된 새로운 기능성 쌀 및 올벼살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고급쌀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쌀 소비량을 증대시켜 농가의 소득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교반기 또는 코팅제조기에 쌀을 투입한 후, 쌀 100 중량부에 대해 젤라틴, 아라비아검 또는 아르긴산 농축액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용 접착제 1 내지 5 중량부를 균일하게 분사하여 상기 쌀 표면을 식용 접착제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식용 접착제로 코팅된 쌀을 가루녹차, 가루우롱차 또는 가루홍차 중 선택된 어느 한 가루차 0.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5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차의 입도가 1 내지 300 마이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이 올벼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KR1020040006267A 2004-01-30 2004-01-30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057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267A KR100570301B1 (ko) 2004-01-30 2004-01-30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267A KR100570301B1 (ko) 2004-01-30 2004-01-30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130A KR20050078130A (ko) 2005-08-04
KR100570301B1 true KR100570301B1 (ko) 2006-04-12

Family

ID=3726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267A KR100570301B1 (ko) 2004-01-30 2004-01-30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04B1 (ko) 2007-02-12 2008-05-26 한국식품연구원 항충치 물질이 코팅된 올벼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05B1 (ko) * 2007-02-12 2008-05-26 한국식품연구원 올벼쌀 스낵바 및 이의 제조방법
FR2920276B1 (fr) * 2007-09-03 2015-01-23 Viviane Lab Systeme de delivrance de principes actifs contenus dans une poudre
KR101533536B1 (ko) * 2014-09-05 2015-07-09 이재운 녹차가 코팅된 즉석밥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04B1 (ko) 2007-02-12 2008-05-26 한국식품연구원 항충치 물질이 코팅된 올벼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130A (ko)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6165B (zh) Containers mixed with tea drinks
JP2001504704A (ja) リーフ紅茶
KR101799782B1 (ko) 폴리페놀 성분이 코팅된 커피 원두의 제조방법
KR101055821B1 (ko)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의 제조방법
JP5751289B2 (ja) 飲料
AB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ea: status, global research and potentialities
JP2013176404A (ja) 飲料
KR100570301B1 (ko) 가루차가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1645A (ko) 향미가 개선된 저카페인 녹차의 제조방법
JP5102363B2 (ja) 飲料前駆体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4260927B2 (en) Tea leav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5233567B2 (ja) 飲料
CN1164963A (zh) 一种刺梨茶及其制备方法
KR100437724B1 (ko) 가루녹차를 이용한 과립차 제조방법
CN107348052A (zh) 一种百香果茶饮料制备工艺
KR20090066472A (ko) 가바뽕잎 가루차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1942431B1 (ko) 참마 및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101742527B1 (ko) 검은깨, 쥐눈이콩 및 어성초가 포함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WO2015059809A1 (ja) 茶加工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30842B1 (ko) 커피가 함유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0611816B1 (ko) 카테킨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2426674B1 (ko) 흑노호 액상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5796B1 (ko) 녹차와 국내산 곡물을 이용한 녹차 크리스피롤의 제조방법
KR100784641B1 (ko) 양파외피의 추출액이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3823A (ko) 꽃청 제조 방법 및 꽃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