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223B1 -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223B1
KR100570223B1 KR1020050042261A KR20050042261A KR100570223B1 KR 100570223 B1 KR100570223 B1 KR 100570223B1 KR 1020050042261 A KR1020050042261 A KR 1020050042261A KR 20050042261 A KR20050042261 A KR 20050042261A KR 100570223 B1 KR100570223 B1 KR 10057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ottle
inner space
injection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철
Original Assignee
박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철 filed Critical 박경철
Priority to KR102005004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85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수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수통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취급이 용이토록 한 것이고, 이러한 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생수통의 통체와 손잡이가 막힌 구조를 취함으로서 재사용시에 세척이 용이토록 하고, 또한 이러한 손잡이에 손바닥이가 손가락에 통증이 없도록 잡이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잡이부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공기를 주입토록 함으로서 손잡이의 잡이부에 내공간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의 잡이부에 내공간이 형성됨으로 이러한 내공간에 세척시 세척수가 유입되었을 경우에 자연배수토록 하기 위하여 경사면과 공기주입을 위하여 천공된 구멍이 하방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생수통, 손잡이, 막힘구조

Description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및 그 제조방법{Spring water pail with a handle and method there of}
도 1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낸 종 단면도.
도 3은 손잡이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조립도.
도 4는 손잡이의 잡이부에 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손잡이의 막힘구조를 나타낸 제조공정도.
도 6은 손잡이의 막힘구조를 나타낸 또 다른 제조공정도.
도 7은 손잡이의 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주입구의 형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요입부 2: 손잡이
3: 막힘구조 4: 경사면
5: 관통구 6: 내공간
7: 구멍 8: 주입구멍
100: 금형 110: 파팅라인
120: 삽입구 130: 주입핀
본 발명은 손잡이가 달린 생수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가 생수통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하로 막힘구조를 취하면서도 손으로 잡히는 부분에는 잡기가 용이토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이러한 막힘구조를 갖는 생수통과 잡이부의 구현을 위하여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의 손으로 잡히는 부분에는 공기를 주입토록 함으로서 내공간을 형성토록 하여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생수통은 대략 20㎏정도이기 때문에 생수통의 수압에 대한 보강차원에서 또는 보관이나 운송시 생수통의 전체가 더러워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보강테가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보강테에는 부식등의 방법으로 기스등에 의한 훼손이 외부로 보여지지 않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집어넣기 위하여는 생수통을 거꾸로 들어서 또는 들어 올린 후 뒤집어서 냉온수기 상부로 집어넣게 됨으로 악력이 약하거나 또는 손에 미끄러움이 있을 경우에는 더욱 취급이 불편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생수통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를 잡고 냉온수기에 결합이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이 본원출원인에 의하여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손잡이를 생수통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생기는 통기로로 인하여 이러한 통기로에 물이 차게 됨으로 이로 인한 물때가 끼일 경우에는 세척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한 것이다.
따라서 1회용일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재사용할 경우에는 세척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생수통과 일체로 형성함에 있어서, 손잡이와 생수통이 손잡이의 상하로 막힘구조를 취하면서 이러한 손으로 잡히는 잡이부에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토록 하고 이러한 잡이부를 공기주입에 의하여 내공간을 형성토록 할 경우에는 이러한 내공간에 공기주입이 기존의 방식으로는 불가능함으로 별도의 공기주입 방식을 채용하면서도 이러한 공기주입이 금형의 파팅라인에 형성토록 함으로서 공기주입시에 핀의 삽입이 용이토록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우선 본 발명의 통상의 생수통의 구조는 브로우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일정한 내경과 길이를 갖는 주입구(10)와 그 하방으로 물을 채울 수 있는 통체(20)로 형성되고 통체는 사용시에 표면의 손상방지를 위한 다수의 보강테(21)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생수통의 통체의 일측으로는 요입부(1)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1)의 중앙으로는 통체(20)와 일체로 손잡이(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는 상하로 통체(20)와 막힌구조(3)를 갖는 것이다.
이때 막힌구조(3)는 통체(20)에서 연장되는 슬리브(3a)의 형태를 취하는 것 이고, 상기 요입부(1)는 통체(20)의 내측으로 폭이 전체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4)을 갖도록 되는 것이고, 동시에 손잡이(2)의 막힌구조(3)의 슬리브(3a)도 경사면(4)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하면서 손잡이(2)를 잡았을 경우에 손가락이 삽입되어지도록 손잡이(2)의 하부에는 관통구(5)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관통구(5)는 막힌구조(3)의 슬리브(3a) 형태가 전체적으로 만곡되어짐으로 전체적으로는 반원형의 형태를 취하게 됨으로 손가락의 삽입시에 어떠한 걸림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의 막힌구조(3)의 중앙으로 공기주입에 의하여 내공간(6)을 갖는 잡이부(2a)를 형성토록 하거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이 전체가 막힌 구조로 형성시킨 후 관통되는 구멍(7)을 천공한 후 구멍(7)을 통하여 좌우로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는 보조잡이부(2b)를 형성하는 것이고, 이때 보조잡이부(2b)는 탄성체나 만곡체를 사용함으로서 손으로 잡았을 경우에 손가락에 통증을 발생치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2)의 잡이부(2a)에 내공간(6)을 형성토록 하기 위하여는 가능하면 통체(20)가 성형되어지기 위하여 작동되는 금형(100)의 파팅라인(110)에 의하여 막힘구조(3)를 갖는 슬리브의 전방으로 공기주입을 위한 주입핀(130)을 삽입토록 하기 위한 삽입구(120)를 형성하는 것이고, 이때 주입핀(130)의 삽입을 위하여는 파팅라인(110)에 형성되는 삽입구(120)는 가능하면 만곡면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삽입시 주입핀(130)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삽입구(120)의 각도는 경사지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통체에 형성되는 내공간(6)을 갖는 잡이부(2a)의 하방에 형성되는 공기 주입구멍(8)이 생수통 을 세척하면서 잡이부(2a)의 내공간(6)으로 주입되는 물이 자연배수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생수통의 제조는 통상 호퍼에 채워진 플라스틱 원료를 자중에 의하여 흘러내려가도록 한 후 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스크류를 통하여 배출되어지면서 실린더의 외측에 장착된 히터에 의하여 용융되어지면서 일정한 내경을 갖게 다이스를 통하여 관형의 형태로 배출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관형 형태의 용융물이 배출되어질 경우에는 금형이 열린상태이고, 원하는 만큼의 배출이 완료되면 금형이 닫히게 되면서 관형 형태의 용융물의 하단은 막히게 되면서 동시에 상부로는 다이스의 중앙에서 공기가 주입되어지면서 용융물이 팽창되어 금형의 내벽과 밀착되면서 생수통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좌우 작동되는 금형에는 요입부의 형성을 위한 돌출부(150)가 형성되는 것이고, 돌출부(150)의 전단은 단턱지게 형성되면서 관통구(5)가 형성되는 부분은 긴밀하게 밀착되고 막힘구조를 위한 슬리브(3a)가 형성되는 부분은 일정한 공간(140)이 형성되면서 용융물이 서로 밀착되면 관통구(5)가 형성되는 부분은 절개하여 제거토록 하면 관통되는 것이고, 막힘구조를 위한 슬리브는 일정한 공간(140)에 의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게 됨으로 슬리브의 형태를 취하게 되면서 통체와 일체로 연결되면서도 상하로 막힘구조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손잡이(2)에 형성되는 잡이부(2a)에 공기주입에 의하여 내공간(6)을 형성토록 할 경우에는 금형(100)의 파팅라인(110)에 공기주입을 위한 주입핀(130)의 삽입구(120)를 형성토록 하여 삽입구로 주입핀을 진입시키면 막힘구조를 취하는 슬리브가 금형에 의하여 잡혀있기 때문에 주입핀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주입핀(130)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내공간(6)을 갖는 잡이부(2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주입핀(130)은 금형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진입토록 함으로서 내공간을 갖는 잡이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잡이부의 하방에는 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생수통을 재사용을 위하여 수거하여 세척할 경우에 이러한 구멍(7)을 통하여 주입되는 물이 생수통이 직립되어진 상태에서 자연적인 배수가 되도록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손잡이가 달린 생수통을 원형의 것으로만 설명하고 있으나 운반도중에 잠시 쉬어가기 위하여 바닥면에 놓았을 경우에 이동되지 못하도록 면취부를 갖는 삼각형이다. 손잡이의 대응되는 타방으로는 면취부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를 생수통의 통체 일측으로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양측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들어올려 냉온수기에 삽입이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손으로는 손잡이를 잡고 들어올려 다른 한손으로는 생수통만 을 밀착토록 함ㅇ로서 간단하게 냉온수기에 결합이 가능한 것이고, 또한 생수통을 운반할 경우에도 손잡이를 사용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운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에서는 손잡이가 운반이나 보관시에 작은 공간확보를 위하여 통 체와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손잡이가 어느 정도 통체의 외면에서 돌출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생수통에 손잡이가 형성되어짐으로 취급이 용이한것이고, 이러한 손잡이가 통체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하로 막힘구조를 취하게 되어 세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막힘구조를 치하면서도 손잡이의 잡이부에 공기를 주입토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토록 한 것이고, 이러한 잡이부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에 생기는 구멍도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세척시에 구멍을 통하여 주입되어진 물이 자연배수가 되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일정한 내경과 길이를 갖는 주입구와 그 하방으로 물을 채울 수 있는 통체로된 생수통의 통체 일측으로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의 중앙으로는 요입부를 가로질러 통체와 일체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통체와 막힌구조를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슬리브 형태의 막힌구조와 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잡이부에는 공기주입에 의하여 내공간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정한 내경과 길이를 갖는 주입구와 그 하방으로 물을 채울수 있는 통체로 된 생수통의 통체 일측으로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를 가로 질러 통체와 일체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하로 통체와 막힌구조를 갖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슬리브 형태의 막힌구조와 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잡이부에는 보조잡이부가 맞물림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6. 삭제
  7. 개폐되어지는 금형에 의하여 부로우 성형으로 생수통의 통체와 손잡이가 막힌 구조를 취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상하로 슬리브가 형성되어지게 생수통을 성형함에 있어, 상기 손잡이(2)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리브를 통하여 주입핀을 진입시키기 위하여 금형(100)의 파팅라인(110)에 형성된 삽입구(120)로 주입핀을 진입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상기 주입핀의 진입이 손잡이의 막힘구조를 취하는 슬리브가 금형에 의하여 잡혀있기 때문에 주입핀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어 잡이부(2a)에만 내공간(6)을 형성토록 하기 위한 공기주입이 주입핀을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서 내공간을 갖는 잡이부가 형성되어지는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핀(130)의 진입은 금형의 파팅라인에서 형성된 삽입구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진입토록 함으로서 내공간을 갖는 잡이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잡이부의 하방에는 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의 제조방법.
KR1020050042261A 2005-05-20 2005-05-20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및 그 제조방법 KR10057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61A KR100570223B1 (ko) 2005-05-20 2005-05-20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61A KR100570223B1 (ko) 2005-05-20 2005-05-20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223B1 true KR100570223B1 (ko) 2006-04-11

Family

ID=3718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261A KR100570223B1 (ko) 2005-05-20 2005-05-20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22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022B1 (en) Molded one-piece weighing funnel
CA2191299C (en) Bottle having a handle formed by stretch blow molding
US7431170B2 (en) Molded, plastic container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570223B1 (ko) 손잡이가 형성된 생수통 및 그 제조방법
KR101335812B1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RU2008142750A (ru)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246845B1 (ko) 비강세척 용기
JP2005247336A (ja) 噴出器
KR100651925B1 (ko) 핑거 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금형
US20050082719A1 (en) Integral formation of water conduit connector for sports water bag
JP3478943B2 (ja)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KR100547905B1 (ko) 인서트 합성수지 삽 및 그 제조방법
JP2003040232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102499551B1 (ko) 재사용가능한 음용 빨대
KR100387563B1 (ko) 배출부 일체형 용기의 제조방법
JP3286266B2 (ja) 水差し兼用如雨露
US10994310B2 (en) Liquid-dispensing, effluent shielding and microbe eliminating methods
CN103303542A (zh) 清洁用溶液的容器
KR101104669B1 (ko) 액체의 리필이 용이한 저장용기
WO2021057912A1 (zh) 一种盖子及其制备方法
KR200417122Y1 (ko) 스파우트 바디
KR101080283B1 (ko) 물대가 결합된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4276916A (ja) 合成樹脂製容器
KR100748944B1 (ko) 물통의 제조방법
KR200202908Y1 (ko) 액체보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