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944B1 - 물통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물통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944B1
KR100748944B1 KR1020050112719A KR20050112719A KR100748944B1 KR 100748944 B1 KR100748944 B1 KR 100748944B1 KR 1020050112719 A KR1020050112719 A KR 1020050112719A KR 20050112719 A KR20050112719 A KR 20050112719A KR 100748944 B1 KR100748944 B1 KR 10074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ate
mold
bucket
extrusion process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787A (ko
Inventor
이효선
신용택
Original Assignee
동해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신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신용택 filed Critical 동해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94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04106Means for moving the extruder head up and down, e.g. to continue extruding the next parison while blow-moulding the previous parison in the blow-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4Barrels, drums, tuns, v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통을 형성함에 있어서 물과 같은 내용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함으로 인한 유통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밀폐된 바닥부와,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와 및 벽체부로 구성되는 물통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배출부를 정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벽체부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하며, 벽체부의 두께 를 절첩이 가능하게 바닥부 및 배출부보다 얇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통을 사각 통체로 형성하고 벽체를 절첩이 가능하게 얇게 형성함으로써 물이 담아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어 운반할 수 있어 그 크기가 최소화되어 유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통

Description

물통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water bottl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부분 절첩 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출물
100 : 물통
110 : 바닥부 111 : 손잡이
120 : 배출부 121 : 배출구 122 : 삽지돌기
130 : 벽체부 131 : 절첩유도홈
140 : 지지벨트
210 : 압출기 220 : 확장봉
230 : 연신삽지기 240 : 금형
250 : 절단기 260 : 공기주입기
310 : 튜브압출공정 320 : 판상벌림공정
330 : 길이연신공정 340 : 금형삽지공정
350 : 압출물절단공정 360 : 압출물팽창공정
370 : 압출물배출공정
본 발명은 물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을 형성함에 있어서 몸체를 절첩 벽체로 형성하여서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의 유통상태에 있어 접어 그 크기를 최소화하여서 유통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통은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일정두께를 가져 그 형과 강도가 유지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물통은 물을 채운 후 상단 배출구를 밀봉하여 배송하고 사용이 완료된 물통은 회수의 세척하여 재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재사용 횟수는 보편적으로 5 회 정도 세척하여 재활용한 후 이를 파쇄한 후 재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물통은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 형을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 회수과정에 있어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여 유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물통에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함으로 인한 유통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밀폐된 바닥부와,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와 및 벽체부로 구성되는 물통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배출부를 정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벽체부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하며, 벽체부의 두께 를 절첩이 가능하게 바닥부 및 배출부보다 얇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통을 사각 통체로 형성하고 벽체를 절첩이 가능하게 얇게 형성함으로써 물이 담아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어 운반할 수 있어 그 크기가 최소화되어 유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물통을 형성함에 있어 내용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접어 유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밀폐된 바닥부(110)와, 배출구(121)가 형성 된 배출부(120)와 및 벽체부(130)로 구성되는 물통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와 배출부(120)를 정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벽체부(130)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하며, 벽체부(130)의 두께를 회전 절첩이 가능하게 바닥부(110) 및 배출부(120)보다 얇게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30)를 회전 절첩시 접하는 바닥부(110)와 배출부(120)의 사각면이 마주대하여 절첩되게 벽체부(130)의 길이를 바닥부(110) 및 배출부(120)의 대각 길이와 근접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벽체부(130)에 대각선 상에 절첩유도홈(13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120)에는 물과 같은 내용물을 주입시 배출구(121)를 삽지할 수 있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삽지돌기(122)를 구비하고, 바닥부(110)의 저면에는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운반을 위하여 삽지할 수 있게 손잡이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는 양측에 요입된 홈의 형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바닥부(110)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벽체부(130)의 외측면에 감싸여지며 외면에 상호등이 표시되는 광고면이 형성되며 벽체부(130)의 팽창을 억제하는 지지벨트(14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바닥부는 그 두께를 1.2~1.7mm 로 형성하고, 벽체부는 그 두께를 0.4~1.0mm 로 형성하며, 배출부는 그 두께를 2~3mm 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바람직한 두께의 비는 1.5 : 1 : 2 의 비로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튜브상으로 압출한 후 금형에 삽지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성형하는 블로워 성형방법에 있어서, 압출기(210)에서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튜브상의 압출물(1)을 성형하는 튜브압출공정(310)과, 상기 튜브압출공정(310)을 통하여 튜브상으로 압출되는 압출물(1)의 내측에 확장봉(220)을 넣어 튜브상의 압출물(1)을 판상으로 벌려주는 판상벌림공정(320)과, 상기 판상벌림공정(320)을 통하여 판상으로 형성된 압출물(1)의 하부 측을 외측에서 유압기와 삽지바로 이루어진 연신삽지기(230)로 삽지하여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성형 후 벽체부(13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져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길이연신공정(330)과, 상기 길이연신공정(330)을 통하여 성형 후 벽체부(130)의 두께가 절첩이 가능하게 성형된 압출물(1)의 판상면 양측에서 금형(240)으로 삽지하는 금형삽지공정(340)과, 상기 금형삽지공정(340) 후 압출기(210) 측의 압출물(1)과의 연결부위를 유공압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동작되는 절단기(250)에 의하여 절단하는 압출물절단공정(350)과, 상기 압출물절단공정(350) 후 금형(240)의 하부에 형성한 주입구로 공기주입기(260)를 끼워 결합한 후 공기를 주입함과 더불어 금형(24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출물팽창공정(360)과, 상기 압출물팽창공정(360)을 통하여 압출물(1)이 물통의 형상으로 성형이 완료되면 삽지된 금형(240)을 양측으로 분리하여 압출물(1)을 배출시키는 압출물배출공정(37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튜브압출공정(310)에 있어서 배출부(120)를 형성하는 1 차 압출과정과 벽체부(130)를 형성하는 2 차 압출과정 및 바닥부(110)를 형성하는 3 차 압출과정으로 형성하되, 상기 2 차 압출과정의 유량은 1 차 압출과정의 유량에 대하여 중량대비 0.3~0.8 배의 유량으로 배출되게 하고, 3 차 압출과정의 유량은 1 차 압출과정의 유량에 대하여 중량대비 0.5 ~ 1 배의 유량으로 배출되게 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튜브상의 압출물을 성형하는 튜브압출공정(310)과, 튜브상의 압출물을 판상으로 벌려주는 판상벌림공정(320)과, 압출물(1)의 하부 측을 외측에서 삽지하여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길이연신공정(330)과, 압출물의 판상면 양측에서 금형을 삽지하는 금형삽지공정(340)과, 압출기(210)측의 압출물과 절단하는 압출물절단공정(350)과, 금형의 하부에 형성한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함과 더불어 금형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출물팽창공정(360)과, 삽지된 금형(240)을 양측으로 분리하여 압출물(1)을 배출시키는 압출물배출공정(370)으로 이루어져, 바닥부(110)와 배출부(120)를 정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벽체부(130)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하며, 벽체부(130)의 두께를 회전 절첩이 가능하게 바닥부(110) 및 배출부(120)보다 얇게 성형된 본 발명의 물통은 내용물이 채워지지 않은 운반상태에 있어서 벽체부(130)를 절첩하여 운반함으로써 그 크기가 최소화되어 물류비가 절감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물통(100)에 물과 같은 내용물을 채우는 과정에 있어서는 배출구(121)에 형성한 삽지돌기(122)로 인하여 배출구(121)의 삽지 상태가 유지되어 물과 같은 내용물을 용이하게 채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이 물고 같은 내용물이 채워진 물통을 생수기에 올리고자 할 경우에는 바닥면에 형성한 손잡이(111)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생수기에 올려 놓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통(100)에 채워진 내용물이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바닥부(110)의 손잡이(111)를 잡고 비틀면서 눌러주게 되면 얇게 형성된 벽체부(130)가 절첩유도홈(131)을 따라 절첩됨으로서 그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사용 후 점유공간이 최소화되며 사용된 물통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통을 사각 통체로 형성하고 벽체를 절첩이 가능하게 얇게 형성함으로써 물이 담아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어 운반할 수 있어 그 크기가 최소화되어 유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합성수지를 튜브상으로 압출한 후 금형에 삽지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성형하는 블로워 성형방법에 있어서,
    압출기(210)에서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튜브상의 압출물을 성형하는 튜브압출공정(310)과, 상기 튜브압출공정(310)을 통하여 튜브상으로 압출되는 압출물의 내측에 확장봉(220)을 넣어 튜브상의 압출물을 판상으로 벌려주는 판상벌림공정(320)과, 상기 판상벌림공정(320)을 통하여 판상으로 형성된 압출물(1)의 하부 측을 외측에서 연신삽지기(230)로 삽지하여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성형 후 벽체부(13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져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길이연신공정(330)과, 상기 길이연신공정(330)을 통하여 성형 후 벽체부(130)의 두께가 절첩이 가능하게 성형된 압출물(1)의 판상면 양측에서 금형(240)을 삽지시키는 금형삽지공정(340)과, 상기 금형삽지공정(340) 후 압출기(210) 측의 압출물(1)과 절단하는 압출물절단공정(350)과, 상기 압출물절단공정(350) 후 금형의 하부에 형성한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함과 더불어 금형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출물팽창공정(360)과, 상기 압출물팽창공정(360)을 통하여 압출물이 물통의 형상으로 성형이 완료되면 삽지된 금형(240)을 양측으로 분리하여 압출물(1)을 배출시키는 압출물배출공정(370)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압출공정(310)에 있어서 배출부(120)를 형성하는 1 차 압출과정과 벽체부(130)를 형성하는 2 차 압출과정 및 바닥부(110)를 형성하는 3 차 압출과정으로 형성하되, 상기 2 차 압출과정의 유량은 1 차 압출과정의 유량에 대하여 중량대비 0.3~0.8 배의 유량으로 배출되게 형성하고, 3 차 압출과정의 유량은 1 차 압출과정의 유량에 대하여 중량대비 0.5 ~ 1 배의 유량으로 배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제조방법.
KR1020050112719A 2005-11-24 2005-11-24 물통의 제조방법 KR100748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19A KR100748944B1 (ko) 2005-11-24 2005-11-24 물통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19A KR100748944B1 (ko) 2005-11-24 2005-11-24 물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787A KR20070054787A (ko) 2007-05-30
KR100748944B1 true KR100748944B1 (ko) 2007-08-13

Family

ID=3827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719A KR100748944B1 (ko) 2005-11-24 2005-11-24 물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9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621A (ja) 2001-04-27 2002-11-12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薄肉容器
KR20050091216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포스코 판상의 측정대상물에 대한 재결정률과 결정립 종횡비를분리측정하는 재결정률과 결정립 종횡비의 분리측정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621A (ja) 2001-04-27 2002-11-12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薄肉容器
KR20050091216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포스코 판상의 측정대상물에 대한 재결정률과 결정립 종횡비를분리측정하는 재결정률과 결정립 종횡비의 분리측정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787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9121B1 (en)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bottles having peelable inner layer
US20090206524A1 (en) Moulding Apparatus and Method
JP6000691B2 (ja) 容器内部の陽圧化方法及び充填容器
EP1007326B1 (en) Multichamber container with expanded interior walls
ES2441797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artículo de material sintético termoplástico
KR102350004B1 (ko) 이너백 용기용 프리폼 및 이중 구조 용기
ES2193966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recipientes moldeados por extrusion y soplado, con al menos dos camaras.
CN102555191A (zh) 托盘
JP2551457B2 (ja) 自己排液の特徴を有するプラスチツク容器
US4280630A (en) Container with handle
CN1012890B (zh) 运输诸如鱼、肉、药物等鲜货用恒温箱
KR101335812B1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KR101240914B1 (ko) 합성수지 패리슨 블로우 성형용기 및 그 제조방법과제조장치
KR100748944B1 (ko) 물통의 제조방법
JP4992299B2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吐出装置
WO2008090324A2 (en) Mould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2303256B1 (ko) 압출 블로우 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US20110101034A1 (en) Fluid dispenser containing a baffle
AU20162588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large-volume containers with a flange by plastic blow molding
KR200450384Y1 (ko) 압력저항이 상이한 벽부를 갖는 용기
KR100360038B1 (ko) 바닥부에 보강용 리브를 갖는 용기의 제조방법
KR101671019B1 (ko) 반원형 잔량 남김 방지구조를 갖는 화장용기 제조장치
KR101277136B1 (ko) 접이식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방법
EP016029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conomically producing blowmolded containers having open necks on opposing faces thereof
CN107708964A (zh) 液体吹塑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