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439B1 -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439B1
KR100569439B1 KR1020030060567A KR20030060567A KR100569439B1 KR 100569439 B1 KR100569439 B1 KR 100569439B1 KR 1020030060567 A KR1020030060567 A KR 1020030060567A KR 20030060567 A KR20030060567 A KR 20030060567A KR 100569439 B1 KR100569439 B1 KR 10056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s
rate
change
smog
shif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826A (ko
Inventor
박세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43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4Throttl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2Ped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감소 및 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변속단별 동력성능 및 스모그 발생 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을 설정하는 단계; 엔진 시동 후 변속단의 변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변속단의 변화가 있는 경우 스로틀 위치 센서(TPS)의 변화율과 가속페달의 변화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비교결과, 가속페달의 변화율이 TPS의 변화율보다 큰 경우에 현 차량의 TPS 한계치 조건을 설정된 TPS 한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현 차량의 TPS 한계치 조건이 TPS 한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 변속단의 동력성능을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적용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디젤, 자동변속, 스모그, TPS, 연료량 증대율

Description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A method for reduction smoke of diesel automobile}
도 1은 종래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흐름도.
도 2는 일반적인 자동변속 디젤차량의 시프트 패턴(shift pattern)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감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변속기(A/T)를 구비한 디젤 차량의 주행시 가속(accel)페달 변화율과 TPS(Throttle Position Sensor) 변화율에 따른 연료량 증대율 값을 설정함으로써 스모그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가속성을 최대한 향상시킨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감소 및 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모그(smoke)는 급격한 엔진 RPM의 상승에 의해 발생되며, 이는 가속페달을 급격하게 밟는 경우나 주행 중 킥 다운(kick down)에 의해 저단으로 변속시 높은 기어비에 의해 엔진 RPM이 상승하게 되어 스모그가 발생된다. 즉, 자동변속 차량의 경우 정차중에 급격하게 가속페달을 밟아 급출발을 한다던지, 주행중 4->2 또는 3->2 또는 3->1 또는 2->1 등으로 변속시 주로 스모그가 발생한다.
상기에서, 킥다운(kick down)이란, 급가속을 얻기 위해 액셀 페달을 끝까지 밟음으로 인해 기어가 자동으로 다운 시프트되는 것을 말한다. 즉, 킥 다운이란 자동변속 차량의 D렌지로 주행 중 악셀 페달을 힘껏 밟으면 그때까지 사용중이던 고속 기어에서 저속 기어(4->3, 3->2, 2->1)로 자동으로 변속 기어가 1단(또는 2단) 떨어짐으로써 가속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디젤차량의 스모그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각 변속단별 연료량 증대율 값을 설정하였다. 한 예로, 3단으로 주행 중 가속페달을 밟아 3단에서 2단으로 변속시 2단의 연료량 증대율 값에 의해 엔진토크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스모그 발생 방지를 위해 연료량 증대율 값을 낮추게 된다. 그러나, 가속페달을 밟는 변화율 및 스로틀 조건에 따른 스모그 맵(smoke map) 테이블의 해당 조건이 없어 스모그가 발생하지 않는 부분에서도 적용되어 차량의 변속감 및 응답성이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자동변속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자동변속 디젤차량의 각 변속단에 해당하는 연료량 증대율 값을 설정하고[S100], 엔진시동 후 기어단수의 변동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S120].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결과에 따라 변동된 기어단수에 해당하는 연료량 증대율 값을 적용하는 단계[S13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방법은 스모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각 변속단별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모그가 발생되지 않는 슬로우 킥 다운(slow kick down)시에도 스모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에 의해 엔진 상승이 지연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응답성 불량 및 변속감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모그는 스로틀 위치 센서(TPS)가 3.5V ~ WOT(Wide Open Throttle) 이상으로 가속페달을 밟아 킥 다운이 되는 경우에 주로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TPS의 한계값을 설정하여 한계값 이내에서의 킥 다운시에는 동력성능 위주의 연료량 증대율을 적용하여 동력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디젤차량의 가속페달 변화율 및 TPS 변화율에 따른 연료량 증대율 값을 별도로 설정하여, 스모그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차량의 가속성을 최대한 향상시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각 변속단별 동력성능 및 스모그 발생 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을 설정하는 단계;
엔진 시동 후 변속단의 변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변속단의 변화가 있는 경우 스로틀 위치 센서(TPS)의 변화율과 가속페달의 변화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스로틀 위치 센서의 변화율이 가속페달의 변화율 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변속단의 스모그 발생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적용되며, 반면 가속페달의 변화율이 스로틀 위치 센서의 변화율보다 큰 경우에는 현 차량의 TPS 한계치 조건을 초기에 설정된 TPS 한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현 차량의 TPS 한계치 조건이 TPS 한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변속단의 스모그 발생 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적용되며, 반면 현 차량의 TPS 한계치 조건이 TPS 한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당 변속단의 동력성능을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적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디젤차량의 가속페달 변화율 및 TPS의 변화율에 따른 연료량 증대율 값을 별도로 설정하여, 스모그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차량의 가속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법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모그 배출 감소 및 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자동변속 디젤차량의 각 변속단별 동력성능 및 스모그 발생 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설정된다[S200].
이후, 엔진 시동이 걸리고[S210] 변속단의 변화여부를 판단하여[S220], 상기에서 변속단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스로틀 위치 센서(TPS)의 변화율과 가속페달 의 변화율의 비교단계가 수행된다[S230].
상기 S230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스로틀 위치 센서의 변화율이 가속페달의 변화율보다 큰 경우 즉, 자동변속 차량의 경우 정차중의 급출발(급가속)인 경우에는 초기에 설정된 해당 변속단의 스모그 발생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적용된다[S260]. 따라서, 차량의 급출발(급가속)로 RPM의 상승에 의해 발생되는 스모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230단계에서의 비교결과, 가속페달의 변화율이 스로틀 위치 센서의 변화율보다 큰 경우는 급출발(급가속)은 아닌 상황이므로, 현 차량의 TPS 조건(한계치 조건)과 초기에 설정된 TPS 한계값과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40]. 즉, 자동변속 차량의 경우 주행중 킥 다운(kick down)에 의해 저단으로 변속시 높은 기어비에 의해 RPM의 상승으로 발생되는 스모그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S240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현 차량의 TPS 조건이 초기에 설정된 TPS 한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초기에 설정된 해당 변속단의 스모그 발생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적용된다[S260]. 반면, 현 차량의 TPS 조건이 TPS 한계값보다 작은 경우는 킥 다운에 의한 저단 변속시라도 현 차량의 TPS의 한계치 값이 초기에 설정된 TPS의 한계값 이내이므로, 이때에는 스모그가 발생되지 않는 범위이므로 초기에 설정된 해당 변속단의 동력성능을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적용된다[S250].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속페달 변화율 및 TPS의 한계값을 설정하여 한계값이내에서의 킥 다운에 의한 저단 변속시 즉, 스모그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동력성능 위주의 연료량 증대율 값을 적용하여 스모그 발생방 지뿐만 아니라 가속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에 따르면, 가속페달 변화율 및 TPS 변화율에 따른 해당 변속단의 동력성능 및 스모그 발생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을 별도로 설정하여 스모그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차량의 가속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감소 및 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 변속단별 동력성능 및 스모그 발생 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을 설정하는 단계;
    엔진 시동 후 변속단의 변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변속단의 변화가 있는 경우 스로틀 위치 센서(TPS)의 변화율과 가속페달의 변화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비교결과, 가속페달의 변화율이 TPS의 변화율보다 작은 경우 해당 변속단의 스모그 발생 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을 적용하지만, 가속페달의 변화율이 TPS의 변화율보다 큰 경우에 현 차량의 TPS 한계치 조건을 설정된 TPS 한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현 차량의 TPS 한계치 조건이 TPS 한계값보다 큰 경우 해당 변속단의 스모그 발생 방지를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을 적용하지만, 현 차량의 TPS 한계치 조건이 TPS 한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 변속단의 동력성능을 위한 연료량 증대율 값이 적용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2. 삭제
KR1020030060567A 2003-08-30 2003-08-30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KR10056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67A KR100569439B1 (ko) 2003-08-30 2003-08-30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67A KR100569439B1 (ko) 2003-08-30 2003-08-30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26A KR20050022826A (ko) 2005-03-08
KR100569439B1 true KR100569439B1 (ko) 2006-04-07

Family

ID=3723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567A KR100569439B1 (ko) 2003-08-30 2003-08-30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1207A (zh) * 2021-05-27 2021-10-19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整车发动机瞬态控制方法及车辆
CN114962041B (zh) * 2022-06-10 2023-05-23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发动机烟度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7855A (ja) * 1985-04-15 1986-10-2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S63176635A (ja) * 1987-01-14 1988-07-20 Toyota Motor Corp 電子燃料噴射制御装置
KR19980060453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희박 연소 엔진의 가속성 향상 방법
KR100325167B1 (ko) * 1999-04-21 2002-02-25 이계안 차량의 운전성능 제어 방법
KR20030047314A (ko) * 2001-12-10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디젤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20030050160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연료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7855A (ja) * 1985-04-15 1986-10-2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S63176635A (ja) * 1987-01-14 1988-07-20 Toyota Motor Corp 電子燃料噴射制御装置
KR19980060453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희박 연소 엔진의 가속성 향상 방법
KR100325167B1 (ko) * 1999-04-21 2002-02-25 이계안 차량의 운전성능 제어 방법
KR20030047314A (ko) * 2001-12-10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디젤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20030050160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연료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26A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8253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for realizing tha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that program is recorded
KR101427911B1 (ko) 액티브 에코 드라이빙 시스템
US5474507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ctuat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100569439B1 (ko)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JP2003329123A (ja) 車両制御装置
JP4232322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100335950B1 (ko)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변속중 변속 제어방법
KR100906885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연비 향상 방법
JP200231027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2349688A (ja) 変速制御装置
JPH0979371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319290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116351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762806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411129B1 (ko) 자동 변속 디젤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0360803B1 (ko) 무부하 주행 및 감속시의 연료량 보정방법
JP3042221B2 (ja) 自動変速機及び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10238618A (ja) 変速装置
JP2661777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JP2820213B2 (ja) エンジンと自動変速機の総合制御装置
JP2849616B2 (ja) 自動変速機及びエンジンの一体制御装置
KR101219903B1 (ko) 서지 댐퍼를 이용한 토크의 제어 방법
JPH07248057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9242572A (ja) 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装置
JP3051205B2 (ja) エンジン及び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