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533B1 - 차지 펌프 회로 - Google Patents

차지 펌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533B1
KR100567533B1 KR1020040014266A KR20040014266A KR100567533B1 KR 100567533 B1 KR100567533 B1 KR 100567533B1 KR 1020040014266 A KR1020040014266 A KR 1020040014266A KR 20040014266 A KR20040014266 A KR 20040014266A KR 100567533 B1 KR100567533 B1 KR 100567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response
logic
n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9101A (ko
Inventor
김광현
양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01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533B1/ko
Priority to US10/906,638 priority patent/US7129772B2/en
Publication of KR2005008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33B1/ko
Priority to US11/533,023 priority patent/US7304528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lytic conversion coat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03K3/0315Ring oscill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퓨즈를 포함하고, 테스트 모드에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 완료시 퓨즈의 컷팅 여부에 따라 고정된 논리 값을 가지는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퓨즈 튜닝부; 논리 신호를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링 오실레이터; 및 펄스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펌핑 속도로 펌핑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생성하는 차지 펌프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가 개시된다.
차지 펌프, 퓨즈 튜닝, 링 오실레이터

Description

차지 펌프 회로{Charge pump circui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지 펌프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의 펌프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3 은 도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 는 도 2의 퓨즈 튜닝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5 는 도 2의 링 오실레이터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지 펌프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하 부호의 설명
10: 입력부 20: 퓨즈 튜닝부
30: 디코더 40: 링 오실레이터
50: 펌프 회로
본 발명은 차지 펌프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지 펌핑 속도를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는 차지 펌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외부 전압(Vcc)보다 높은 고 전압 펄스는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손실을 보충할 수 있어 디램 회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고전압 펄스를 이용하는 회로로는 워드라인 드라이버 회로, 비트라인 분리 회로, 데이터 출력 버퍼 등이 있다.
이러한 고 전압 펄스는 VPP 회로에 의해 생성되는데 Vpp 회로의 부하는 대체로 캐패시터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종류의 전류가 흐른다. 그 하나는 PN 접합부에 항상 흐르는 미소한 역 바이어스 누설 전류이며 다른 하나는 칩이 활성화될 때마다 내부 회로들을 기동하기 위한 큰 과도 전류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하 손실을 보충해야만 VPP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레벨 변화가 생길 때 레벨 저하를 검출하여 단지 차지 펌프 회로를 동작시켜 캐패시터에 전하를 펌핑함으로써 떨어진 VPP 레벨을 원래의 값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이경우에는 좀 더 빠른 레벨 복귀가 필요한 경우에도 펌핑 속도를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즉, 펌핑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선 차지 펌프 회로 내의 링 오실레이터 주기를 빠르게 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옵션들에 FIB(Focused Ion Beam)작업 후 테스트를 해야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마스크 재 작업이 필요하므로 시간도 오래 걸리고 비용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칩이 활성화 될 때마다 내부 회로들을 기동하기 위한 큰 과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하 손실이 생겨 VPP 레벨이 감소할 때, 손실된 전하를 캐패시터에 빠르게 공급하여 VPP 레벨을 원래의 값으로 복구시키기 위해 차지 펌프 회로내의 링 오실레이터 주기를 자유롭게 웨이퍼 레벨에서 제어할 수 있는 차지 펌프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링 오실레이터 주기를 변화시켜 가면서 테스트한 다음 최적의 값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지 펌프 회로는 퓨즈를 포함하고, 테스트 모드에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 완료시 퓨즈의 컷팅 여부에 따라 고정된 논리 값을 가지는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퓨즈 튜닝부; 논리 신호를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링 오실레이터; 및 펄스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펌핑 속도로 펌핑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생성하는 차지 펌프를 포함한다. 링 오실레이터는, 인에이블 신호와 피드백된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 및 출력부의 피드백 패스(path)를 각각 형성하고,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거나 또는 디세이블되는 다수의 주기 조절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주기 조절부들 중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될 때, 나머지들은 모두 디세이블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크게 테스트 모드 제어부(100) 및 차지 펌프 블록(200)으로 구성된다.
테스트 모드 제어부(100)는 입력부(10), 퓨즈 튜닝부(20) 및 디코더(30)로 구성된다. 입력부(10)는 예를 들어 어드레스(A0 및 A1)를 입력 신호로 사용하게 되며 어떠한 논리 신호도 무방하다.
퓨즈 튜닝부(20)는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Tm_enable) 및 입력부(10)에 입력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동작된다. 테스트 모드시에는 입력부(10)에 들어오는 어드레스(A0 및 A1)에 따라 퓨즈 튜닝부(20)가 논리 신호를 생성한다. 테스트 모드 완료 후에는 퓨즈를 컷팅하여 출력 값을 고정할 수 있다. 디코더(30)는 퓨즈 튜닝부(20)의 출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예를 들어 디코드 신호(s0 내지 s2)를 생성한다.
차지 펌프 블록(200)은 링 오실레이터(40) 및 펌프 회로(50)로 구성된다. 링 오실레이터(40)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데 디코더(30)의 출력에 따라 그 주기가 가변된다. 펌프 회로(50)는 링 오실레이터(40)의 출력에 따라 VPP를 생성한다.
즉, 입력 신호(A0 및 A1)에 따라 퓨즈 튜닝부(20)에서 논리 신호가 생성되고 그 논리 신호는 디코더(30)에서 디코드된다. 디코드된 신호에 따라 링 오실레이터(40)의 주파수가 가변되고 링 오실레이터(40)의 출력에 따라 펌프 회로(50)의 펌핑 속도가 가변된다.
웨이퍼 레벨에서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VPP 레벨을 확인한 후 최적의 레벨이 출력되면 퓨즈 튜닝부에 구성된 퓨즈를 적절히 컷팅하여 링 오실레이터의 발진 주파수를 고정한다.
도 2 는 도 1의 펌프 회로의 상세 회로도로써 도 3을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 단자(P)에 펄스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드(N1)과 출력 노드(N2)는 NMOS 트랜지스터(Q1 및 Q2)에 의해 Vcc-Vtn으로 충전되어있다. 입력 단자(P)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펄스(P)가 입력되면 노드(N1)의 전위는 αVcc(α는 승압비)만큼 승압되어 Vcc-Vtn+αVcc가 된다. 이에따라 NMOS 트랜지스터(Q0)가 턴온되어 로드 캐패시터(CL)에 전하가 충전된다. 즉, 캐패시터(Cp)를 통해 노드(N1)에 주입 된 전하의 일부가 노드(N2)로 전달되어 로드 캐패시터(CL)에 전하가 주입된다.
로드 캐패시터(CL)의 용량이 펌핑 캐패시터(Cp)의 그것보다 크므로 노드(N2)의 충전 전압(δ)은 작다. 노드(N2)의 전압이 상승하여 노드(N1)과 노드(N2)의 전압차가 Vtn 이 되면 NMOS 트랜지스터(Q0)가 턴오프되어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펄스 공급이 중단되면 노드(N1)의 전위는 Vcc-Vtn 이하로 떨어지지만 NMOS트랜지스터(Q1)에 의해 곧 재충전되어 Vcc-Vtn으로 회복된다. 이후 입력 단자(P)에 펄스가 공급될 때마다 노드(N2)는 충전되어 전압이 상승한다. 그로인하여 노드(N2)의 전위는 (1+α)Vcc-Vtn 에 이르게 된다. 이 전압 레벨은 로드 캐패시터(CL)에 저장된 전하의 형태로 유지되는데 전하 손실이 발생하면 이 레벨이 떨어진다. 그러면 다시 NMOS 트랜지스터(Q0)가 턴온되어 전하가 로드 캐패시터(CL)에 주입되므로 전압 레벨이 곧 회복된다. Vpp가 안정한 전압 레벨에 도달할 때 까지의 시간은 펌핑 캐패시터(Cp)와 로드 캐패시터(CL)의 크기 비와 펄스의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러한 펄스는 주로 링 오실레이터에 의해 생성된다.
도 4 는 도 3의 퓨즈 튜닝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Tm_enable)가 하이 상태이면 NAND 게이트(G1)의 출력은 입력 신호(input)(즉, 입력부(10)에 들어오는 어드레스(A0 및 A1))에 관계없이 로우 상태가 되므로 NAND 게이트(G2)는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퓨즈(F)가 컷팅되지 않았으므로 캐패시터(C)에 Vcc가 충전되어 노드(N3)는 하이 레벨이 된다. 이 하이 레벨은 인버터(I1 및 I2)를 경유하여 NAND 게이트(G2)에 제공된다. NAND 게이트(G2)의 출력은 로우 상태가 되므로 인버터(I3)의 출력(cutb)은 하이 상태가 되고 인버터(I4)의 출력(cut)은 로우 상태가 된다. 인버터(I3 및 I4)의 출력은 디코더(30)에서 디코드된다.
한편, 퓨즈(F)가 컷팅되었으면 노드(N3)는 로우 상태가 된다. 인버터(I1)의 출력은 하이 상태가 되므로 NMOS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된다 그로인하여 인버터(I1)의 출력은 하이 상태로 래치된다. 인버터(I2)의 출력은 로우 상태가 되므로 NAND 게이트(G2)의 출력은 하이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인버터(I3)의 출력(cutb)은 로우 상태가 되는 반면 인버터(I4)의 출력(cut)은 하이 상태가 된다. 인버터(I3 및 I4)의 출력은 디코더(30)에서 디코드된다.
도 5 는 도 1의 링 오실레이터의 상세 회로도이다.
링 오실레이터는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주기 조절부(40a, 40b 및 40c) 및 출력부(40d)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주기 조절부(40a, 40b, 40c)는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갖는 링 오실레이터의 피드백 패스(Feedback path)이다. 도 1의 디코더(30)로부터의 출력(s1)이 하이 상태이면 제 1 주기 조절부(40a)의 NMOS 트랜지스터(Q10 및 Q11)가 턴온되어 제 1 주기 조절부(40a)가 선택된다(즉, 인에이블 된다). 제 1 주기 조절부(40a)에는 3개의 인버터(I5 내지 I7)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의 디코더(30)로부터의 출력(s0)이 하이 상태이면 제 2 주기 조절부(40b)의 NMOS 트랜지스터(Q12 및 Q13)가 턴온되어 제 2 주기 조절부(40b)가 선택된다(즉, 인에이블 된다). 제 2 주기 조절부(40b)에는 5개의 인버터(I8 내지 I1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의 디코더(30)로부터의 출력(s2)이 하이 상태이면 제 3 주기 조절부(40c)의 NMOS 트랜지스터(Q14 및 Q15)가 턴온되어 제 3 주기 조절부(40c)가 선택된다(즉, 인에이블 된다). 제 3 주기 조절부(40c)에는 7개의 인버터(I13 내지 I19)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3 주기 조절부의 스위칭 역할을 하는 NMOS트랜지스터(Q10 내지 Q15)대신에 트랜스미션 게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출력부(40d)의 NAND 게이트(G3)에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Osc_enable)가 하이 상태가 되면 출력부(40d)가 인에이블되어 링 오실레이터가 동작하게 된다. NAND 게이트(G3)의 출력이 링오실레이터 출력(Osc)이 되고, 인버터(I20)는 링오실레이터 출력(Osc)을 반전시켜 반전된 링 오실레이터 출력(Oscb)을 생성한다.
즉, 인버터의 수가 적으면 링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가 증가하는 반면 인버터의 수가 많아지면 링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가 감소하게 된다. Vpp 레벨이 전하의 소실로 인해서 감소하였을 때에는 그 떨어진 전하량을 재빨리 보충하기 위해서 인버터의 수가 적은 주기 조절부를 선택하여 링 오실레이터의 주파수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펌핑 속도가 증가되어 Vpp 레벨을 원래의 값으로 빠르게 복구시킬 수 있다.
반면에, 너무 빠른 주파수로 펌핑할 경우에는 펌핑 효율이 떨어질 위험도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인버터의 수가 많은 주기 조절부를 선택하여 링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를 도 7과 같이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기 조절부를 인버터 체인을 사용하여 구성하였지만 저항과 캐패시터를 이용한 RC 지연회로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링 오실레이터의 원하는 출력을 얻고 난 후에는 도 4의 퓨즈(F)를 컷팅하여 디코더(30)의 출력(S0 내지 S2)을 고정시키면 링 오실레이터에서 하나의 피드백 패스가 선택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칩이 활성화될 때마다 내부 회로들을 기동하기 위한 큰 과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하 손실이 생겨 VPP 레벨이 감소할 때, 손실된 전하를 캐패시터에 빠르게 공급하여 VPP 레벨을 원래의 값으로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차지 펌프 회로내의 링 오실레이터의 주기를 자유롭게 웨이퍼 레벨에서 콘트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즉,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받아서 링 오실레이터의 주기를 변화시켜 가면서 테스트할 수 있게 하고 최적의 값을 찾아서 퓨즈를 컷팅하여 고정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인 FIB후 회로 수정, 마스크 재작업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퓨즈를 포함하고, 테스트 모드에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 완료시 상기 퓨즈의 컷팅 여부에 따라 고정된 논리 값을 가지는 상기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퓨즈 튜닝부;
    상기 논리 신호를 디코딩하여 다수의 디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링 오실레이터; 및
    상기 펄스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펌핑 속도로 펌핑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생성하는 차지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링 오실레이터는,
    인에이블 신호와 피드백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의 피드백 패스(path)를 각각 형성하고,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거나 또는 디세이블되는 다수의 주기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주기 조절부들 중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될 때, 나머지들은 모두 디세이블되는 차지 펌프 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기 조절부 각각은,
    상기 출력부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동시에 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칭 소자들; 및
    상기 스위칭 소자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들이 턴 온될 때, 상기 출력부의 피드백 패스로서 동작하는 다수의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주기 조절부들에 각각 포함되는 상기 인버터의 수는 서로 다른 차지 펌프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기 조절부 각각은,
    상기 출력부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동시에 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칭 소자들; 및
    상기 스위칭 소자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들이 턴 온될 때, 상기 출력부의 피드백 패스로서 동작하는 RC 지연 회로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튜닝부는,
    상기 퓨즈의 컷팅 여부에 따라 제1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논리 조합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논리 조합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논리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논리 조합부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조합부는,
    외부 전원과 제 1 노드 간에 접속된 퓨즈;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간에 접속된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노드와 접지 간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노드의 전위에 따라 턴 온 또는 오프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노드의 전위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조합부는,
    상기 제 1 노드와 접지 간에 접속되어, 상기 퓨즈가 컷팅 되지 않을 때,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제 1 노드에 로직 하이의 신호를 발생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논리 조합부는 상기 테스트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논리 조합부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NAND 게이트;
    상기 제3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 1 인버터; 및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10.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트랜지스터 또는 트랜스미션 게이트인 차지 펌프 회로.
  11.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테스트 모드 또는 노말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다수의 디코딩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노말 모드에서 고정된 논리 값을 가지는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를 출력하는 테스트 모드 제어부;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링 오실레이터; 및
    상기 펄스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펌핑 속도로 펌핑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생성하는 차지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링 오실레이터는,
    인에이블 신호와 피드백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의 피드백 패스(path)를 각각 형성하고,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거나 또는 디세이블되는 다수의 주기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주기 조절부들 중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될 때, 나머지들은 모두 디세이블되는 차지 펌프 회로.
  12. 상기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 제어부는,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와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 완료시 상기 퓨즈의 컷팅 여부에 따라 고정된 논리 값을 가지는 상기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퓨즈 튜닝부; 및
    상기 논리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기 조절부 각각은,
    상기 출력부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동시에 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칭 소자들; 및
    상기 스위칭 소자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들이 턴 온될 때, 상기 출력부의 피드백 패스로서 동작하는 다수의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주기 조절부들에 각각 포함되는 상기 인버터의 수는 서로 다른
    는 차지 펌프 회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기 조절부 각각은,
    상기 출력부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디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동시에 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칭 소자들; 및
    상기 스위칭 소자들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들이 턴 온될 때, 상기 출력부의 피드백 패스로서 동작하는 RC 지연 회로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튜닝부는,
    상기 퓨즈의 컷팅 여부에 따라 제1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논리 조합부;
    상기 테스트 모드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논리 조합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논리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논리 조합부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조합부는,
    외부 전원과 제 1 노드 간에 접속된 퓨즈;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간에 접속된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노드와 접지 간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노드의 전위에 따라 턴 온 또는 오프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노드의 전위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조합부는,
    상기 제 1 노드와 접지 간에 접속되어, 상기 퓨즈가 컷팅 되지 않을 때,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제 1 노드에 로직 하이의 신호를 발생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논리 조합부는 상기 테스트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논리 조합부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NAND 게이트;
    상기 제3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 1 인버터; 및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 회로.
  21.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트랜지스터 또는 트랜스미션 게이트인 차지 펌프 회로.
KR1020040014266A 2004-03-03 2004-03-03 차지 펌프 회로 Expired - Lifetime KR100567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266A KR100567533B1 (ko) 2004-03-03 2004-03-03 차지 펌프 회로
US10/906,638 US7129772B2 (en) 2004-03-03 2005-02-28 Charge pump circuit
US11/533,023 US7304528B2 (en) 2004-03-03 2006-09-19 Charge pump with speed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266A KR100567533B1 (ko) 2004-03-03 2004-03-03 차지 펌프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101A KR20050089101A (ko) 2005-09-07
KR100567533B1 true KR100567533B1 (ko) 2006-04-03

Family

ID=3490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266A Expired - Lifetime KR100567533B1 (ko) 2004-03-03 2004-03-03 차지 펌프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129772B2 (ko)
KR (1) KR100567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102B1 (ko) 2010-12-03 2012-04-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공급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집적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329B1 (ko) * 2004-05-06 2006-10-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승압전압 생성회로
KR100680441B1 (ko) * 2005-06-07 2007-0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안정적인 승압 전압을 발생하는 승압 전압 발생기
US7917788B2 (en) * 2006-11-01 2011-03-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OC with low power and performance modes
JP2008146772A (ja) * 2006-12-12 2008-06-26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7710208B2 (en) * 2007-04-18 2010-05-04 Vns Portfolio Llc Multi-speed ring oscillator
KR100890048B1 (ko) * 2007-08-06 2009-03-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2016727B1 (ko) * 2013-04-24 2019-09-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전압 제어 방법
CN114301278B (zh) * 2021-12-09 2023-10-1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八研究所 一种用于反熔丝fpga中隔离电路的闭环控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8602B1 (en) * 1993-06-25 2001-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MOS on-chip precision voltage reference scheme
US5553030A (en) * 1993-09-10 1996-09-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provided by a charge pump circuit
JPH10255469A (ja) * 1997-03-07 199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
KR100273210B1 (ko) * 1997-04-22 2000-12-15 김영환 데이터 입출력 감지형 기판전압 발생회로
KR100268784B1 (ko) * 1997-06-26 2000-11-01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리던던트 장치
US6300839B1 (en) * 2000-08-22 2001-10-09 Xilinx, Inc. Frequency controlled system for positive voltage regulation
KR100374644B1 (ko) * 2001-01-27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승압 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전압 승압 회로
US6486727B1 (en) * 2001-10-11 2002-11-26 Pericom Semiconductor Corp. Low-power substrate bias generator disabled by comparators for supply over-voltage protection and bias target voltage
JP2003168293A (ja) * 2001-11-29 2003-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70997B1 (ko) * 2002-04-26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번인 테스트에 사용하기 적합한 전압 발생기제어방법 및 전압 발생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회로를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102B1 (ko) 2010-12-03 2012-04-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공급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집적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3435A1 (en) 2007-01-18
US7304528B2 (en) 2007-12-04
US20050195018A1 (en) 2005-09-08
KR20050089101A (ko) 2005-09-07
US7129772B2 (en)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2193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304528B2 (en) Charge pump with speed control
KR100757411B1 (ko) 옵션 퓨즈 회로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재설정 회로 및 그 방법
US6590420B1 (en) Level shifting circuit and method
KR100268784B1 (ko) 반도체 소자의 리던던트 장치
KR100656463B1 (ko) 파워-업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904468B1 (ko) 안티퓨즈 리페어 전압 제어 회로
US20070058316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use circuits
KR100615596B1 (ko) 반도체 장치
KR100554842B1 (ko) 반도체 소자의 파워업 신호 생성 회로 및 생성 방법과이의 테스트방법
KR100756784B1 (ko) 반도체 소자의 안티 퓨즈 프리챠지회로
KR100506191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서의 트림 비트 신호 생성 회로
KR10072456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90991B1 (ko) 내부전원을 사용하는 디램의 파워-업 회로
US6323720B1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using anti-fuse
KR10071803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제어 회로
KR10063263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비교 회로
KR100379554B1 (ko) 내부 전원 발생 장치
US20110169542A1 (en) Delay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for delaying
KR100723777B1 (ko) 오토리드 회로
KR100475738B1 (ko) 칩 동작불능 해제기능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
JP4859191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170033690A1 (en) Voltage generation circuit
KR20030000670A (ko) 펄스 발생 회로
JP2003151294A (ja) プログラム値判定回路、それを有する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値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90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