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340B1 -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340B1
KR100567340B1 KR1019980058034A KR19980058034A KR100567340B1 KR 100567340 B1 KR100567340 B1 KR 100567340B1 KR 1019980058034 A KR1019980058034 A KR 1019980058034A KR 19980058034 A KR19980058034 A KR 19980058034A KR 100567340 B1 KR100567340 B1 KR 10056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late
frame
ball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1994A (ko
Inventor
김재우
박명호
강평수
이광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340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65G57/22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 B65G57/24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the layers being transferred as a whole, e.g. on pal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는, 소정 열교환기의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플레이트-휜 조립체가 구비된 팔레트로부터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하여 정렬한 후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시키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가 구비된 상기 팔레트로부터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하여 소정 위치로 승강시키는 조립체 승강장치;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의 상부에서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눌러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일측을 밀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시키는 푸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불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Apparatus for unloading plate-fin assembly}
본 발명은 플레이트- 휜 조립체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레트에 적층된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의 조립체를 취출하여 정렬하고, 이들 조립체를 취출해내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드론컵 타입의 열교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부가 형성되며 열교환 매체의 방열통로부가 형성된 튜브(11)가 적층되고, 이 적층된 튜브의 사이에는 방열휜(12)이 설치되어 상호간에 브레이즈 접합된다. 이러한 드론컵 타입에 있어서, 상기 튜브(11)는 두장의 성형플레이트(11a, 11a')가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어 상기 탱크부와 열교환 매체 통로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드론컵 타입의 열교환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휜밀(fin mill)을 이용하여 방열휜을 성형하고,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플레이트를 성형한다. 이렇게 성형된 방열휜과 성형플레이트는 휜박스 및 플레이트박스에 적재한다. 이들 박스를 단품 박스로 세척기에 투입하여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이 세척되도록 한다. 세척이 완료된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을 각각 적재해 두었다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조립라인에 투입한다. 조립이 완료되면 방열휜과 성형플레이트를 소정의 카트(cart)에 적재하여 브레이징 라인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된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을 브레이징하여 소정 규격의 코어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를 조립하는 과정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수작업용 조립 팔레트로부터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 조립체를 분리하는 공정 및 이들 조립체의 정렬 등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써 성형플레이트 및 방열휜이 바르게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아 조립불량을 발생시키며, 이들을 일일이 다시 정렬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수작업에 의해 작업자를 쉽게 피로하게 하며, 제품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팔레트에 적층된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 조립체를 취출하고, 상기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 조립체를 자동적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조립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는, 소정 열교환기의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플레이트-휜 조립체가 구비된 팔레트로부터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하여 정렬한 후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시키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가 구비된 상기 팔레트로부터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하여 소정 위치로 승강시키는 조립체 승강장치;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의 상부에서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눌러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일측을 밀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시키는 푸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일측부를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정렬시키는 정렬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기종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측부를 가압하며 잡아주는 클램프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장치에는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기종에 따라 작동되도록 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방열휜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은,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홈들에 설치된 볼과; 상기 볼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이 탄성바이어스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푸싱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는, 열교환기의 성형플레이트 두장과 하나의 방열휜이 순차적으로 팔레트(미도시)에 담겨진 소정 규격의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선조립공정에 설치된 미조립 검사장치(미도시)에 의해 1차적으로 검사된 후, 본 발명의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에 이송되어져 온다. 그런 후, 상기 팔레트로부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분리되도록 취출하여 다음의 조립공정으로 예컨대, 세척공정으로 이송되게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101)의 하부쪽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구비된 팔레트로부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취출하여 소정 위치로 승강시키는 조립체 승강장치(200)와, 상기 프레임(10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립체 승강장치(200)의 상부에서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원래의 자세에서 흐트러지지 않도록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상부를 가압하여 자세를 바르게 고정시키는 고정장치(300)와, 상기 프레임(101)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측부를 밀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취출시키는 푸싱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2의 "A"에서 본 것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상부를 가압하여 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장치(5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정렬장치(5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1)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bracket)(501)과, 상기 정렬브라켓(501)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상부에서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가압하며 정렬하는 정렬부재(5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에어실린더(air cylinder)(5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4에어실린더(503)의 일측에는 정렬부재(502)의 승강운동을 안정되게 하는 볼 부쉬(ball bush)(504)가 구비된 가이드 바(guide bar)(505)가 제4에어실린더(50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도 5에는 도 3의 평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규격에 따라 즉,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폭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측부를 가압하며 잡아주는 클램프장치(600)가 설치된다.
이러한 클램프장치(600)는, 도 3에서 "B"부를 확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 6의 상세도와, 도 5에서 클램프장치(600)만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 7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1)의 측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직접 가압하는 푸셔(601)와, 상기 푸셔(601)에 설치되어 푸셔(601)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2, 5, 6, 및 7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의 구동수단은 프레임(10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02 : 도 7)와, 상기 구동모터(602)의 회전운동을 푸셔(601)가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푸셔(601)와 구동모터(602)의 회전축(603) 사이에 설치된 직선운동수단을 포함하여 된다.
상기의 직선운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602)의 양측으로 구비된 회전축(603)에 각각 설치된 제1풀리(604)와, 상기 프레임(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루 샤프트(605)와, 상기 스크루 샤프트(605)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2풀리(606)와, 상기 제1풀리(604)와 제2풀리(606)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벨트(607)와, 상기 푸셔(601)와 스크루 샤프트(605)가 소정의 체결부재(616 : 도 6), 예컨대 스크루 등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재(6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셔(601)는 스크루 샤프트(605)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바(60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제2연결부재(610)와도 소정의 체결부재(616)에 의해 연결되어 안정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608)는 스크루 샤프트(605) 위를 슬라이딩될 수 있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재(610)는 가이드 바(609) 위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엘엠 케이스 유니트{LM(Linear Motion) case unit}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602)에 의해 푸셔(601)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에 근접되게 이동되면, 상기 푸셔(601)에 설치된 제5에어실린더(611)에 의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클램핑(clamping)하게 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장치(60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5에어실린더(611)가 최종적으로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 거리를 인식하여 즉,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크기(기종)에 따라 푸셔(601)의 슬라이딩 거리를 한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612)가 센서브라켓(613)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센서(612)는 센서브라켓(613)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그러한 간격은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의 한 조당의 폭 만큼의 치수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장치(600)로부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푸싱장치(400)에 의해 취출되도록 안내되는 안내브라켓(614)과 가이드플레이트(615)가 클램프장치(600)의 일측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안내브라켓(614)과 가이드플레이트(615)는 클램프장치(600)에 설치되어 클램프장치(600)가 작동됨에 따라 동시에 작동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200)는 프레임(10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놓이는 지지플레이트(20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1)에 설치되어 이 지지플레이트(201)를 승강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제1에어실린더(20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제1에어실린더(202)에 의해 승강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에어실린더(202)의 양측에는 볼 부쉬(203)가 구비된 가이드 바(204)가 각각 설치된다.
도 9에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장치(30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 보인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300)는, 프레임(101)에 설치된 지지브라겟(301)과, 상기 지지브라켓(301)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플레이트(302)에는 안착홈(302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홈(302a)에는 방열휜을 가압하는 가압볼(303)과, 이 가압볼(303)을 탄성바이어스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304)이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제2에어실린더(30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에어실린더(305)의 양측에는 볼 부쉬(306)가 구비된 가이드 바(307)가 설치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302)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상기의 푸싱장치(400)를 나타내 보인 도 2 및 도 5와, 도 2에 지시된 "D"부의 확대된 상세도가 도시된 도 10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푸싱장치(400)는, 프레임(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401)와, 상기 가압부재(401)에 설치되어 가압부재(40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제3에어실린더(4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에어실린더(402)에는 볼 부쉬(403)가 구비된 가이드 바(404)가 설치되어 가압부재(401)의 슬라이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성형플레이트 및 방열휜이 각각 성형된 후, 소정의 열교환기가 조립될 수 있도록 팔레트에 적층되어 순차적으로 컨베이어(미도시)를 따라 이송되어 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에 도착되면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미도시)에 의해 멈추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200)에 의해서 팔레트에 들어 있는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팔레트로부터 취출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200)가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장치(300)가 하강하여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200)가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지지하면, 상기 고정장치(300)는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상부에서 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눌러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200)와 고정장치(300)는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상, 하부에서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지지하며 동시에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장치(300)는 조립체 승강장치(200)가 승강될 때,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본래의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200)와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3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303)과 스프링(304)이 설치되어 있어서 방열휜을 상측에서 가압되도록 하여 자세를 유지시킨다.
이어서, 상기 정렬장치(500)가 하강하면서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정렬하게 되고, 동시에 클램프장치(600)가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쪽으로 전진한다. 이때, 고정장치(300)는 상승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팔레트의 일측에는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크기 등을 기록한 즉, 열교환기의 규격 등의 사양을 기록한 캐리어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의 일측에는 상기의 캐리어의 기록 내용을 읽는 헤드가 구비되어 있어서 열교환기의 기종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열교환기의 기종을 인식하게 되며 현재 설정된 클램프장치(6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열교환기 즉, 플레이트-휜 조립체(102)가 동일 크기이면 현재의 위치에서 멈추어 작업을 계속하지만,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크기가 다를 때에는 클램프장치(600)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크기에 맞도록 움직인다.
상기 정렬장치(500)가 하강하여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정렬이 이루어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기종이 동일할 경우는 현재의 위치에서 클램프장치(600)가 동작을 하지 않으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기종이 상이할 경우에는 전술한 인식장치들에 의해 구동모터(602)가 작동하게 되고, 이 구동모터(602)의 회전축(603)과 스크루 샤프트(605)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풀리(604, 606)에 지지된 벨트(607)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크루 샤프트(60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루 샤프트(605)가 회전함에 따라 이 스크루 샤프트(605)에 지지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608)는 스크루 샤프트(605) 위를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608)는 푸셔(601)와 체결부재(616)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제1연결부재(608)가 스크루 샤프트(605)의 선단부로 전진하면 상기 푸셔(601)도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측면으로 전진하게 된다. 상기 푸셔(601)가 전진을 하여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측면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센서(612)의 인식에 따라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크기 즉, 열교환기의 기종을 인식하여 제5에어실린더(611)가 구동한다. 상기 제5에어실린더(61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푸셔(601)는 플레이트-휜 조립체(102)의 측면을 완전히 밀어 클램핑한다.
이어서, 푸싱장치(400)가 작동하여 클램핑된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를 가이드플레이트(615)쪽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는 취출되어 가이드 플레이트(615)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102)는 도 2에 도시된 다관절 로봇(700)에 의해 세척공정으로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팔레트에 적층된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팔레트로부터 취출하여 열교환기의 기종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 정렬할 수 있으며, 이를 취출장치로부터 자동 취출하여 후공정에 자동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취출 및 정렬이 작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인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자동적인 취출 및 정렬이 이루어지므로 조립불량이 감소하며, 다양한 기종의 열교환기가 적용될 수 있어서 생산성이 제고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열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에서 본 모양을 나타내 보인 정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서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상세도.
도 7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클램핑장치의 상세도.
도 8은 도 2의 "C"에서 본 모양을 나타내 보인 센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고정장치의 상세도.
도 10은 도 2에서 "D"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프레임 102. 플레이트-휜 조립체
200. 조립체 승강장치 201. 지지플레이트
202. 제1에어실린더 300. 고정장치
301. 지지브라켓 302. 가압플레이트
303. 가압볼 304. 스프링
305. 제2에어실린더 400. 푸싱장치
401. 가압부재 402. 제3에어실린더
500. 정렬장치 501. 정렬브라켓
502. 정렬부재 503. 제4에어실린더
600. 클램프장치 601. 푸셔
602. 구동모터 603. 회전축
604. 제1풀리 605. 스크루 샤프트
606. 제2풀리 607. 벨트
608. 제1연결부재 610. 제2연결부재
611. 제5에어실린더 612. 센서
613. 센서브라켓 614. 안내브라켓
615. 가이드플레이트 616. 체결부재
700. 다관절 로봇

Claims (7)

  1. 소정 열교환기의 성형플레이트와 방열휜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플레이트-휜 조립체가 구비된 팔레트로부터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하여 정렬한 후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시키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가 구비된 상기 팔레트로부터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하여 소정 위치로 승강시키는 조립체 승강장치;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의 상부에서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눌러 상기 조립체 승강장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일측을 밀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취출시키는 푸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일측부를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를 정렬시키는 정렬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기종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측부를 가압하며 잡아주는 클램프장치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장치에는 상기 플레이트-휜 조립체의 기종에 따라 작동되도록 하는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방열휜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홈들에 설치된 볼과;
    상기 볼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이 탄성바이어스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KR1019980058034A 1998-12-24 1998-12-24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KR10056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034A KR100567340B1 (ko) 1998-12-24 1998-12-24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034A KR100567340B1 (ko) 1998-12-24 1998-12-24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994A KR20000041994A (ko) 2000-07-15
KR100567340B1 true KR100567340B1 (ko) 2006-07-25

Family

ID=1956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034A KR100567340B1 (ko) 1998-12-24 1998-12-24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3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80678A (ko) * 1972-12-09 1974-08-03
US4260310A (en) * 1979-07-11 1981-04-07 American Can Company Strip feed elevator
US4611375A (en) * 1985-06-10 1986-09-16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Apparatus for assembling radiator cores
KR19980045017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컨베이어용 푸셔
JPH10263731A (ja) * 1997-03-24 1998-10-06 Amada Co Ltd 板材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80678A (ko) * 1972-12-09 1974-08-03
US4260310A (en) * 1979-07-11 1981-04-07 American Can Company Strip feed elevator
US4611375A (en) * 1985-06-10 1986-09-16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Apparatus for assembling radiator cores
KR19980045017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컨베이어용 푸셔
JPH10263731A (ja) * 1997-03-24 1998-10-06 Amada Co Ltd 板材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994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787B1 (ko) 열교환기 조립장치
CN109834448A (zh) 手机电池自动组装机
CN113903683A (zh) 一种陶瓷覆铜板定位放置装置
KR20210139201A (ko) 모터 코어 연속 본딩장치
CN217047862U (zh) 冷热双工位热压机
CN109702338B (zh) 一种用于手机边框和中板镭焊的自动化设备
CN114210857B (zh) 冲压自动供料输送线及其操作方法
CN112809240B (zh) 电枢片自动焊接设备
KR100567340B1 (ko)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CN110773997B (zh) 一种换热器板束自动组装装置
CN219335038U (zh) 芯片自动检测装置
CN111312858A (zh) 一种接线盒安装装置
CN108811343B (zh) 纤板和铜板组装移栽装置
CN215318187U (zh) 一种PCB板件Tray盘加紧定位装置
CN109465543B (zh) 一种手机边框和中板的镭焊方法
CN211495732U (zh) 一种双流水线机构、一种中转装置
CN114530398A (zh) 一种半导体模组芯片溅镀制程后的高精度顶胶取放设备
CN220306228U (zh) 一种igbt的侧框点胶组装设备
CN217497884U (zh) 一种吸盘装卸装置
KR100567339B1 (ko) 열교환기 정렬 및 체결장치
CN217551671U (zh) 一种汽车部件自动压装的机械手自动化设备
CN219602617U (zh) 贴合机的自动上下料装置
CN115302219B (zh) 自动组装设备
CN216582938U (zh) 一种制动臂组装搬运机构
CN217433624U (zh) 服务器主板自动组装测试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