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017U - 컨베이어용 푸셔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푸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017U
KR19980045017U KR2019960058157U KR19960058157U KR19980045017U KR 19980045017 U KR19980045017 U KR 19980045017U KR 2019960058157 U KR2019960058157 U KR 2019960058157U KR 19960058157 U KR19960058157 U KR 19960058157U KR 19980045017 U KR19980045017 U KR 199800450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orkpiece
present
pushing member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8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017U/ko
Publication of KR199800450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01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컨베이어에서는 컨베이어의 사이에 공작물이 적체되어서 후공정의 기계의 가동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일측의 컨베이어(12)에 결합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작물(2)을 타측의 컨베이어(14)에 보내주는 푸싱부재(130)와, 상기 푸싱부재(130)를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12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푸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푸셔
본 고안은 컨베이어용 푸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의 사이에서 공작물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푸셔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산업현장에서는 생산성 향상의 일환으로 공장자동화(Factory Automation : FA)가 추진되고 있다.
상기 공장자동화는 각종 작업을 사람대신 기계가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입고, 가공, 조립, 검사 등의 공정을 행하는 각각의 자동화 셀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종 셀은 그 셀의 목적에 적합한 각종 로봇, 공작기계, 전용기계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 소재가 입고되면 입고셀, 예를 들어 자동창고 등에 보관되었다가 다음 공정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히 소재를 출고하게 된다.
소재를 받은 각종 가공셀에서는 소재를 적절히 가공하고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을 조립셀에 보내게 되고 조립셀에서는 각종 가공물 및 부품들을 조립하여 최종적으로 완성품을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완성품은 검사셀에서 검사되어 최종적으로 완성물 창고에 보관되게 된다.
한편 각종 셀의 구성기계 예를 들어 머시닝 센터(maching center) 등의 가공기계가 해당 작업을 하기위해서는 공작물(work)을 상기 가공기계에 로딩(loading)하고, 해당 가공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 완료된 공작물을 상기 가공기계에서 언로딩(unloading)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각종 셀이나 구성기계 들의 사이에는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반송설비가 설치되며, 상기 반송설비에는 컨베이어, AGV(Automatic Guided Vehicle) 등이 있는 통상 컨베이어가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컨베이어의 연결부위는 구동용 롤러가 플레이트가 없어서 공작물이 전후의 컨베이어의 사이를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여 공작물이 적체되는 구간이다.
즉 공작물이 이 구간에 많이 쌓이면 공작물끼리 미는 힘으로 맨 앞단의 공작물이 밀려서 다음 컨베이어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컨베이어에서는 컨베이어의 사이에 공작물이 적체되어서 후공정의 기계의 가동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컨베이어의 사이에서 공작물의 적체를 해소하여 후공정 기계의 가동율을 향상시키는 컨베이어용 푸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푸셔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 공작물 12, 14 : 컨베이어
100 : 푸셔(pusher) 110 : 베이스
120 : 액튜에이터 130 : 푸싱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특징은 컨베이어끼리 만나는 구간에서 공작물을 강제적으로 다음 컨베이어에 이송시키는 데에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푸셔는 일측의 컨베이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작물을 타측의 컨베이어에 보내주는 푸싱부재와, 상기 푸싱부재를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은 도 1의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푸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의 컨베이어(12)에는 컨베이어(12)와 컨베이어(14)의 연결부분에서 공작물(2)이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밀어주는 장치인 푸셔(100)가 설치된다.
즉 푸셔(100)는 일측 컨베이어(12)의 끝에 도착한 공작물(2)을 다음 컨베이어(14)로 밀어주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의 컨베이어(12)에는 베이스(110)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0)에는 전후로 이동가능한 푸싱부재(1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푸싱부재(130)에는 상기 푸싱부재(130)를 전후로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120)가 결합된다.
또한 적정위치에는 공작물(2)의 재석을 감지하는 미도시된 재석센서와, 공작물(2)이 다음 컨베이어(14)로 완전히 넘어 갔는 지를 감지하는 미도시된 통과센서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작물(2)의 재석이 재석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액튜에이터(120)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푸싱부재(130)가 공작물(2)을 전 컨베이어(12)에서 다음 컨베이어(14)로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공작물(2)이 다음 컨베이어(14)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통과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푸싱부재(130)는 원상복귀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컨베이어의 사이에서 공작물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라인 성력화가 가능하여 결국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일측의 컨베이어(12)에 결합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작물(2)을 타측의 컨베이어(14)에 보내주는 푸싱부재(130)와;
    상기 푸싱부재(130)를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12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푸셔.
KR2019960058157U 1996-12-27 1996-12-27 컨베이어용 푸셔 KR199800450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157U KR19980045017U (ko) 1996-12-27 1996-12-27 컨베이어용 푸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157U KR19980045017U (ko) 1996-12-27 1996-12-27 컨베이어용 푸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017U true KR19980045017U (ko) 1998-09-25

Family

ID=5399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157U KR19980045017U (ko) 1996-12-27 1996-12-27 컨베이어용 푸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01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340B1 (ko) * 1998-12-24 2006-07-25 한라공조주식회사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KR102019635B1 (ko) * 2019-06-17 2019-09-06 심재범 차량용 에어컨 부품 운반트레이 순환장치
KR102019637B1 (ko) * 2019-06-17 2019-09-06 심재범 차량용 에어컨 부품 이송박스 순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340B1 (ko) * 1998-12-24 2006-07-25 한라공조주식회사 플레이트-휜 조립체 취출장치
KR102019635B1 (ko) * 2019-06-17 2019-09-06 심재범 차량용 에어컨 부품 운반트레이 순환장치
KR102019637B1 (ko) * 2019-06-17 2019-09-06 심재범 차량용 에어컨 부품 이송박스 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61553B (zh) 一种轴类零件自动加工生产线
CN206203224U (zh) 传送带系统
EP0780172A3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utomatic loading and discharge of pieces of sheet metal
US6439371B1 (en) Workpiece loader/unloader system
KR19980045017U (ko) 컨베이어용 푸셔
US6634265B2 (en) Apparatus for exchanging workpieces
CN209455621U (zh) 托盘输送设备
JPS6048302B2 (ja) 工作機械のパレツト自動搬出入装置
KR100224496B1 (ko) 공작물 반전장치
CN211812178U (zh) 送料设备及其顶升装置
KR100231536B1 (ko) 공작물 가공라인의 반송시스템
KR20140031619A (ko)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의 소재 로딩 및 언로딩 장치
US4316372A (en) Protective device for a drawing press
CN113458843B (zh) 具有双入口和双出口的机床以及相关使用方法
JP6474481B1 (ja) 搬送システム
KR100241389B1 (ko) 커넥팅 로드용 측정설비의 로딩 위치 제어장치
CN114888616B (zh) 料爪、物料输送机构及自动上下料机
KR101418595B1 (ko)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KR19980045016U (ko) 공작물의 스토퍼 및 이스케이퍼
CN220115629U (zh) 一种流水线产品阻挡防止回弹工装
KR19980045014U (ko) 컨베이어용 가이드
JPH0428602B2 (ko)
KR0184442B1 (ko) 기어 판별장치
KR19990062054A (ko) 개선된 동작선도를 갖는 로봇 시스템
US57407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n article on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