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127B1 -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127B1
KR100567127B1 KR1020050018247A KR20050018247A KR100567127B1 KR 100567127 B1 KR100567127 B1 KR 100567127B1 KR 1020050018247 A KR1020050018247 A KR 1020050018247A KR 20050018247 A KR20050018247 A KR 20050018247A KR 100567127 B1 KR100567127 B1 KR 10056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oor
fixing piece
latch
ba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to KR102005001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트레이(10)와, 이 트레이(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트레이(10)에 설치된 래치(11)와, 상기 래치(11)에 끼움 고정되거나 분리되며, 하단에 다수의 치형(13)이 형성된 고정편(12)과, 이 고정편(12)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20)에 힌지 결합되어 고정편(1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20)를 개폐하는 링크부재(21)와, 상기 고정편(12)의 하단에 형성된 치형(13)과 치차 결합된 상태로 트레이(10)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래치(11)로부터 분리된 고정편(12)을 가이드하는 회전기어(14)와, 상기 고정편(12)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경사면을 갖는 수용홈(33)이 파여진 하우징(31)과, 상기 수용홈(33)에 수납되어 주행 중 충격이 발생될 경우 경사면(32)을 따라 상승하는 볼부재(34)와, 이 볼부재(34)와 일단이 접촉되고, 다른 일단은 하우징(31)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 중 충격에 의해 볼부재(34)가 상승될 경우 일단이 상부로 회동되어 래치(11)로부터 분리된 고정편(12)을 단속하는 걸림핀(3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트레이(10)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20)가 급정거와 같은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것이 열림방지수단(30)에 의해 미연에 방지됨으로써, 트레이(10)의 내부에 수납 보관 중인 소품 등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당하거나 담배 및 담배재 등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 용상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Device of Locking a Door of Tray for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림방지수단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열림방지수단의 작동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열림방지수단의 작동을 통한 고정핀의 단속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트레이 11 - 래치
12 - 고정편 13 - 치형
14 - 회전기어 20 - 도어
21 - 링크부재 30 - 열림방지수단
31 - 하우징 32 - 경사면
33 - 수용홈 34 - 볼부재
35 - 걸림핀
본 발명은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중 충격에 의해 트레이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트레이로는 흡연 시 발생되는 담배 재 및 담배꽁초를 수납할 수 있는 애쉬트레이와 음료수 등이 담긴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컵 홀더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최근에는 여분의 시디를 수납하는 시디서랍장 등이 실내에 구비되어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트레이는 주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에는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미사용 시에는 도어가 트레이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고 있다가 사용 시에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 중인 소품들을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 제공 뿐 아니라 외관 미의 향상에도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의 도어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트레이의 안쪽에 도어의 움 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락킹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 락킹장치의 대표적으로 래치가 있다.
즉, 상기 트레이의 안쪽에는 래치를 설치하고, 도어에는 상기 래치에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이 고정핀과 래치의 작동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고정구조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트레이의 도어가 개방되어 내부 공간부에 수납 중인 소품들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용 트레이는 도어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수납 중인 소품들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는 있었으나,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충격 등에 의해 고정핀이 래치로부터 분리될 경우 트레이의 도어가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평상시에는 고정핀이 이탈방지수단인 래치에 체결되어 있어 트레이의 도어를 탑승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외부로 인출되지 않게 되나, 급정거 등과 같이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충격이 트레이에 전달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이 래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도어가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트레이의 도어가 개방되어 소품들이 예기치 않게 외부로 인출될 경우에는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자동차용 소품 및 담배와 담배재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거나, 탑승자의 신체가 손상을 입힐 수 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트레이의 도어가 예기치 않게 개방되어 수납 중인 소품들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중 발생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트레이의 도어가 전방으로 개방되어 소품들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 중인 소품들이 주행 중 불필요하게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트레이와;
이 트레이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트레이에 설치된 래치와;
상기 래치에 끼움 고정되거나 분리되며, 하단에 다수의 치형이 형성된 고정편과;
이 고정편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에 힌지 결합되어 고정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고정편의 하단에 형성된 치형과 치차 결합된 상태로 트레이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래치로부터 분리된 고정편을 가이드하는 회전기어와;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경사면을 갖는 수용홈이 파여진 하우징과;
상기 수용홈에 수납되어 주행 중 충격이 발생될 경우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볼부재와;
이 볼부재와 일단이 접촉되고, 다른 일단은 하우징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 중 충격에 의해 볼부재가 상승될 경우 일단이 상부로 회동되어 래치로부터 분리된 고정편을 단속하는 걸림핀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림방지수단을 통하여 트레이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가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개방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됨으로써, 트레이에 수납 보관 중인 소품 등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당하거나 담배 및 담배재 등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개략도로 나타낸 것으로, 트레이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가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충격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열림방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림방지수단의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주행충격에 의해 래치로부터 분리된 고정핀을 단속하기 위한 열림방지수단의 구성 및 그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열림방지수단의 작동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하우징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걸림핀이 주행 중 충격에 의해 볼부재가 상승될 경우 그 일단이 상부로 회동되어 래치로부터 분리되는 고정핀을 단속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열림방지수단의 작동을 통한 고정핀의 단속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열림방지수단의 동작을 통한 걸림핀의 단속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충격에 의해 트레이(10)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20)가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트레이(10)는 내부에 자동차용 소품 또는 담배와 담배재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주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센터페시아(미도시) 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트레이(10)의 전방에는 내부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2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트레이(10)의 내부 안쪽에는 푸시-오픈(PUSH-OPEN)타입의 락킹장치인 래치(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래치(11)에는 하단에 다수의 치형(13)이 형성된 고정편(12)이 도어(20)의 작동에 따라 끼움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결합되며, 이 고정편(12)에는 상기 도어(2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21)의 타단이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12)의 하부에는 하단에 형성된 치형(13)과 치차 결합되어 래치(11)로부터 분리된 고정편(12)을 가이드하는 회전기어(14)가 트레이(10)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래치(11)에 고정편(12)이 끼움 고정되어 있어 도어(20)를 통한 트레이(10)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있다가 사용 시 상기 도어(20)의 푸시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래치(11)로부터 고정편(12)이 분리되어 링크부재(21)를 통해 도어(20)가 전방으로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래치(11)로부터 분리된 고정편(12)은 트레이(10)의 측면부에 구비된 회전기어(14)에 의해 가이드되어 분리된 고정편(12)이 슬라이드 경로를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도어(20)의 푸시동작 시 래치(11)로부터 분리된 고정편(12)은 회전기어(14)를 통해 가이드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 고정편(12)의 전방 이동에 의해 링크부재(21)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로 회동되어 도어(20)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개방된 도어(20)를 닫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상부로 회동시킬 경우 링크부재(21) 및 고정편(12)은 각각 후진하여 상기 고정편(12)이 래치(11)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트레이(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트레이(10)의 내부에는 급정거 등과 같이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충격에 의해 트레이(10)의 도어(20)가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림방지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열림방지수단(30)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낸 구성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다.
즉, 내부에 경사면(32)을 갖는 수용홈(33)이 파여진 하우징(31)이 고정편(12)의 하부에 구비되고, 이 하우징(31)에 파여진 수용홈(33)에는 주행 중 충격이 발생될 경우 관성의 법칙에 의해 경사면(32)을 따라 상승하는 볼부재(34)가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의 상부에는 래치(11)로부터 분리된 고정편(12)을 단속하기 위한 걸림핀(35)이 볼부재(34)와 일단이 접촉되고, 다른 일단은 하우징(31)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핀(35)의 상단에는 고정편(12)의 하단에 형성된 치형(13)에 치차 결합되어 그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의 스토퍼부(36)가 돌출 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급정거와 같은 주행 중 충격이 발생될 경우 도 3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수용홈(33)에 수납 중인 볼부재(34)가 관성의 법칙에 의해 경사면(32)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 볼부재(34)의 상승에 의해 이와 접촉되어 있는 걸림핀(35)의 일단이 상부로 회동되어 래치(11)로부터 분리되는 고정편(12)의 하단 치형(13)과 치차 결합되어 상기 고정편(12)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핀(35)을 통하여 고정편(12)을 단속한 상태에서 충격이 해소된 후에는 경사면(32)을 따라 상승되었던 볼부재(34)가 자유 낙하하게 되고, 이 볼부재(34)가 자유 낙하함에 따라 고정편(12)을 단속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부로 회동되 었던 걸림핀(35)의 일단이 하부로 회동되어 상기 고정편(12)의 단속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즉, 걸림핀(35)을 통한 고정편(12)의 단속이 해제되어 상기 고정편(12)이 자유로운 상태로 놓여짐에 따라 평상시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20)의 개폐를 자유롭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걸림핀(35)과 하우징(31) 사이에는 상기 걸림핀(35)의 하강 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탄성체(37)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37)가 걸림핀(35)과 하우징(3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은 평상시 수용홈(33)에 수납되어 있는 볼부재(34)를 걸림핀(35)이 눌러 단속하여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아울러 볼부재(34)에 의해 걸림핀(35)의 일단이 상부로 회동된 상태에서 충격이 해소될 경우 상기 걸림핀(35)을 빠른 속도로 원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체(37)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에는 걸림핀(35)이 볼부재(34)를 단속하여 수용홈(33)과 볼부재(34) 사이에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며, 열림방지수단(30)의 작동 후에는 빠른 속도로 걸림핀(35)을 원 위치시켜 트레이(10)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를 통하여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충격에 의해 도어(20)가 전방으로 불필요하게 개방되어 트레이(10)의 내부에서 인출된 소품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당하거나 담배 및 담배재 등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 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가 주행 중 예기치 않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개방되는 것이 열림방지수단에 의해 미연에 방지됨으로써, 트레이에 수납 보관 중인 소품 등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당하거나 담배 및 담배재 등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트레이(10)와;
    이 트레이(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트레이(10)에 설치된 래치(11)와;
    상기 래치(11)에 끼움 고정되거나 분리되며, 하단에 다수의 치형(13)이 형성된 고정편(12)과;
    이 고정편(12)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20)에 힌지 결합되어 고정편(1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20)를 개폐하는 링크부재(21)와;
    상기 고정편(12)의 하단에 형성된 치형(13)과 치차 결합된 상태로 트레이(10)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래치(11)로부터 분리된 고정편(12)을 가이드하는 회전기어(14)와;
    상기 고정편(12)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경사면을 갖는 수용홈(33)이 파여진 하우징(31)과;
    상기 수용홈(33)에 수납되어 주행 중 충격이 발생될 경우 경사면(32)을 따라 상승하는 볼부재(34)와;
    이 볼부재(34)와 일단이 접촉되고, 다른 일단은 하우징(31)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 중 충격에 의해 볼부재(34)가 상승될 경우 일단이 상부로 회동되어 래치(11)로부터 분리된 고정편(12)을 단속하는 걸림핀(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35)과 하우징(31) 사이에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37)가 설치되어 걸림핀(35)의 하강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KR1020050018247A 2005-03-04 2005-03-04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KR10056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47A KR100567127B1 (ko) 2005-03-04 2005-03-04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47A KR100567127B1 (ko) 2005-03-04 2005-03-04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127B1 true KR100567127B1 (ko) 2006-03-31

Family

ID=3718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247A KR100567127B1 (ko) 2005-03-04 2005-03-04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1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020B1 (ko) * 2006-10-10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장치
KR20120010494A (ko) * 2010-07-26 2012-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의 안전장치
US8109424B2 (en) 2008-05-22 2012-02-07 Hyundai Motor Company Tray apparatus
KR101978452B1 (ko) * 2018-09-10 2019-05-14 (주) 대륭 도어의 닫힘 유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965A (ja) * 1994-03-30 1995-10-17 Kato Hatsujo Kaisha Ltd 自動車用引出装置
KR20020052905A (ko) *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자동차의 재떨이
KR20030024986A (ko) * 2001-09-19 2003-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쉬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965A (ja) * 1994-03-30 1995-10-17 Kato Hatsujo Kaisha Ltd 自動車用引出装置
KR20020052905A (ko) *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자동차의 재떨이
KR20030024986A (ko) * 2001-09-19 2003-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쉬 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020B1 (ko) * 2006-10-10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장치
US8109424B2 (en) 2008-05-22 2012-02-07 Hyundai Motor Company Tray apparatus
KR20120010494A (ko) * 2010-07-26 2012-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의 안전장치
KR101670074B1 (ko) * 2010-07-26 2016-10-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의 안전장치
KR101978452B1 (ko) * 2018-09-10 2019-05-14 (주) 대륭 도어의 닫힘 유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299B1 (ko) 트레이 열림 방지장치
KR100567127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구조
JP4615269B2 (ja) 加減速機構及びこの加減速機構を備えた車両用小物入れ
KR20080035221A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JP2005200935A (ja) 扉用ロック機構及び扉用ロックユニット
US20040118851A1 (en) Receptacle
JP2000052879A (ja) 自動車内へ組み込むための、抜き出し部分を備えた装置
ES2346416T3 (es) Dispositivo para extraer automaticamente un cajon dispensador de un aparato electrodomestico tal como una maquina lavadora, y aparato electrodomestico que presenta tal dispositivo.
KR20050003987A (ko) 컵 홀더 장치
JP4218225B2 (ja) 収納部蓋体の開閉装置
KR100794020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장치
KR100642550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9980063600A (ko) 자동차용 붙박이식 애쉬트레이
KR20070066775A (ko) 차량용 트레이 구조
KR100836436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열림 방지구조
KR100563730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고정구조
KR101481683B1 (ko) 수납장치
KR200151186Y1 (ko) 냉장고 서랍식 용기의 개폐장치
KR200396855Y1 (ko) 자동차용 트레이
JP2002145297A (ja) 収納箱
KR20110063206A (ko) 차량의 트레이
JP4830344B2 (ja) 移動可能な灰皿を備えたカップホルダー部構造
KR970005314Y1 (ko) 자동차용 재떨이
JP4665734B2 (ja) カップホルダ
KR100756968B1 (ko) 차량용 콘솔의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