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746B1 -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 - Google Patents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746B1
KR100566746B1 KR1019990018181A KR19990018181A KR100566746B1 KR 100566746 B1 KR100566746 B1 KR 100566746B1 KR 1019990018181 A KR1019990018181 A KR 1019990018181A KR 19990018181 A KR19990018181 A KR 19990018181A KR 100566746 B1 KR100566746 B1 KR 10056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xis
vehicle body
spherical
rel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330A (ko
Inventor
무라이나오유키
아오야기지로우
나카니시다카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Priority to KR101999001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7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151Backgamm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배관 조인트에서, 연결관(50)의 일단측이 제1 배관(21)에, 타단측이 제2 배관(22)에, 탄성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51, 52)를 통해 상대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연결 부재(60)는 그 제1 배관(21)에 제1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배관(22)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그 제1 배관(21)과 제2 배관(22)이 연결관(50)을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한다.

Description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JOINT FOR PIPING AND FIRE ENG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소방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자이로 턴 테이블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다른 상태의 자이로 턴 테이블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배관 조인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배관 조인트의 부분 측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배관 조인트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종래 배관 조인트의 구성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차체
4 : 지지 부재(테이블)
5 : 사다리
21 : 제1 배관
22 : 제2 배관
50 : 연결관
51, 52 : 밀봉 부재
60 : 연결 부재
본 발명은 배관 조인트와, 그 배관 조인트를 이용하는 배관에 의해 소화용 유체를 반송하는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도 9에는, 2개의 배관(101, 102)에 의해 굴곡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 배관(101, 102)의 일단부를 구면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고, 밀봉 부재(103)를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종래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양 배관(101, 102)의 단부를 구면 가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공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 각 구면에 부합하는 부분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높은 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 양 배관(101, 102)의 상대 굴곡 각도의 증대, 연결부에서 내압 성능의 향상 및 소구경화가 곤란하였다.
차체에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에 소방 활동용 사다리가 장착되어 있는 소방차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사다리에 장착되는 방수총에 소화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차체와 지지 부재에 호스가 연결된다.
그러나, 그러한 호스의 연결 작업은 시간과 수고가 필요하기 때문에, 신속성이 요구되는 소화 활동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관 조인트는, 일단측이 제1 배관에, 타단측이 제2 배관에, 탄성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통해 상대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연결관과, 그 제1 배관과 제2 배관이 연결관을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하도록, 그 제1 배관에 제1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배관과 제2 배관은 연결관을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각 배관에 구면 가공을 할 필요 없이 굴곡 가능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관을 에워싸는 환상 부재로 구성되며, 그 연결관의 중심 축은 상기 구면 운동 중심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그 연결관을 제1, 제2 배관에 밀봉 부재를 통해 삽입하고, 그 연결관을 에워싸는 연결 부재를 제1, 제2 배관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그 구면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그 연결관의 중심 축은 그 구면 운동 중심을 통과하기 때문에, 원활히 구면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방차는, 차체와, 그 차체에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 가능하게 장 착되는 지지 부재와, 그 지지 부재에 장착되는 사다리와, 그 차체측에 장착되는 소화용 유체 반송용 제1 배관과, 그 지지 부재측에 장착되는 소화용 유체 반송용 제2 배관과, 일단측이 상기 제1 배관에, 타단측이 상기 제2 배관에, 탄성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를 통해 상대적으로 끼워맞춤되는 연결관과, 그 제1 배관과 제2 배관이 연결관을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하도록, 그 제1 배관에 제1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그 차체와 지지 부재의 상대적인 구면 운동 중심과, 그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상대적인 구면 운동 중심이 동심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차체에 대해 지지 부재가 구면 운동하면, 그 제1 배관과 제2 배관은 연결관을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한다. 이에, 차체측에서 지지 부재측에 굴곡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배관, 제2 배관 및 연결관을 통해 소화용 유체를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방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대해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구면 운동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1 축과 제2 축에 직교하는 축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지지 부재에, 그 차체에 대한 지지 부재의 선회 축과 동축 중심으로 상대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차체에 대해 지지 부재를 임의의 각도 만큼 선회시킨 상태에서,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연결관을 통해 상대적인 구면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연결하는 배관의 상대 굴곡 각도의 증대, 연결부에서 내압 성능의 향상, 각 배관의 소구경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배관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차체에 지지 부재가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 및 선회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방차에 있어서, 그 차체와 지지 부재에 호스를 연결하지 않고 소화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고, 소화 활동에 공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소방차(1)는, 차체(2)와, 이 차체(2)에 설치된 자이로 턴 테이블 장치(3)와, 이 자이로 턴 테이블 장치(3)의 테이블(지지 부재)(4)상에 장착되는 축받이대(6)와, 이 축받이대(6)에 횡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사다리(5)를 구비하고, 그 사다리(5)에 방수총(도시 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자이로 턴 테이블 장치(3)는, 상기 차체(2)에 고정되는 제1 링 부재(3a)와, 이 제1 링 부재(3a)에 전동체(3b)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 부재(3c)와, 이 제2 링 부재(3c)에 전동체(3d)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 부재(3e)와, 이 제3 링 부재(3e)에 전동체(3f)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테이블(4)에 고정되는 제4 링 부재(3g)를 구비하고 있다.
그 제1 링 부재(3a)에 대한 제2 링 부재(3c)의 회전축은 그 제1 링 부재(3a) 의 축심에 일치하고, 그 제4 링 부재(3g)에 대한 제3 링 부재(3e)의 회전축은 그 제4 링 부재(3g)의 축심에 일치하고, 그 제2 링 부재(3c)에 대한 제3 링 부재(3e)의 회전축은 그 제1, 제4 링 부재(3a, 3g)의 축심에 대해 경사지고, 각 회전축은 차체(2)와 테이블(4)과의 사이 각 링 부재(3a, 3c, 3e, 3g)의 내부 공간에서 일점을 통과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제3 링 부재(3e)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3e')에 이 맞물리는 기어(11)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12)가 테이블(4)에 장착되고, 그 제3 링 부재(3e)를 제4 링 부재(3g)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 제1 링 부재(3e)에 대한 제 2 링 부재(3c)의 상대 회전을 해제 가능하게 저지하는 제1 회전 저지 장치(15)와, 그 제2 링 부재(3c)에 대한 제3 링 부재(3e)의 상대 회전을 해제 가능하게 저지하는 제2 회전 저지 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그 제1 회전 저지 장치(15)는 제1 링 부재(3a)에 설치되는 유체압 실린더(15a)의 피스톤 로드를 제2 링 부재(3c)에 가압하는 것으로 양 링(3a, 3c)의 상대 회전을 저지하고, 그 가압을 해제하는 것으로 양 링(3a, 3c)의 상대 회전 저지를 해제한다. 그 제2 회전 저지 장치(16)는 제3 링 부재(3e)에 설치되는 유체압 실린더(16a)의 피스톤 로드를 제2 링 부재(3c)에 가압하는 것으로 양 링(3c, 3e)의 상대 회전을 저지하고, 그 가압을 해제하는 것으로 양 링(3c, 3e)의 상대 회전의 저지를 해제한다.
그 테이블(4)이 차체(2)에 대해 링 부재(3a, 3c, 3e, 3g)의 원주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해제 가능하게 저지하는 멈춤 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즉, 그 멈춤 장치(17)는 테이블(4)측에 도시하지 않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멈춤 부재(17a)를 구비하고 있다. 그 멈춤 장치(17)가, 차체(2)측에 형성된 장공(17b)에 삽입되는 것으로 그 선회가 저지되고, 그 장공(17b)에서 뽑아내는 것으로 그 선회의 저지가 해제된다. 그 멈춤 부재(17a)는 그 장공(17b)에 링 부재(3a, 3c, 3e, 3g)의 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것에 의해 테이블(4)의 차체(2)에 대한 경사가 허용된다. 또, 그 멈춤 부재를 차체(2)측에 상하 구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그 장공을 테이블(4)측에 형성해도 좋다.
상기 멈춤 장치(17)에 의해 테이블(4)의 차체(2)에 대한 선회를 저지하고, 제1 회전 저지 장치(15) 또는 제2 회전 저지 장치(16)에 의해, 제1 링 부재(3a)에 대한 제2 링 부재(3c)의 선회, 또는 제2 링 부재(3c)에 대한 제3 링 부재(3e)의 선회의 어느 것이 한 쪽을 저지해, 다른 쪽의 회전 저지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3 링 부재(3e)를 제4 링 부재(3g)에 대해 상대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차체(2)에 대해 테이블(4)을 경사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링 부재(3a)에 대한 제2 링 부재(3c)의 회전, 또는 제2 링 부재(3c)에 대한 제3 링 부재(3e)의 회전의 어느 것이 다른 쪽을 저지해, 한 쪽의 회전 저지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3 링 부재(3e)를 제4 링 부재(3g)에 대해 상대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그 경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즉, 테이블(4)을 차체(2)에 대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시킬 수 있고, 그 구면 운동 중심은, 차체(2)와 테이블(4) 사이에서 각 링 부재(3a, 3c, 3e, 3g)의 상기 상대 회전 축을 통과한다.
그 구면 운동에 의해, 소방차(1)가 경사진 지상에 있는 경우에도, 테이블(4) 의 상면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멈춤 장치(17)에 의해 테이블(4)의 차체(2)에 대한 선회 저지를 해제해, 제1 링 부재(3a)에 대한 제2 링 부재(3c)의 회전 및 제2 링 부재(3c)에 대한 제3 링 부재(3e)의 회전 쌍방을 저지한 상태에서, 제3 링 부재(3e)를 제4 링 부재(3g)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에 의해, 차체(2)에 대해 테이블(4)을 그 구면 운동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회 축 중심으로 상대 선회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체(2)에, 소화용 유체 반송용의 금속제 제1 배관(21)의 하단이 플랜지(21a)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그 제1 배관(21)은 90도 엘보우관으로 되어 있다.
즉, 그 제1 배관(21)의 하부는 차체(2)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단 개구가 옆으로 향하고, 그 플랜지(21a)를 통해 차체(2)로의 볼트(도시 생략)에 의한 고정으로, 차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 유체 토출구(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그 제1 배관(21)의 상부는 차체(2)와 테이블(4)의 사이의 상기 각 링 부재(3a, 3c, 3e, 3g)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단 개구는 상향되어 있다. 이 제1 배관(21)의 상부의 축심은 차체(2)에 대한 테이블(4)의 구면 운동 중심을 통과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제1 배관(21)의 상부 외주에 한 쌍의 돌출부(21b)가 용접에 의해 일체화 되어 있다. 그 제1 배관(21)의 상부를 에워싸는 보호관(19)이 차체(2)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보호관(19)의 내주에 한 쌍의 스토퍼(19a)가 고정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스토퍼(19a)에 상기 제1 배관(21)의 돌출부(21b)의 외단이 삽입되는 홈(19')이 형성되고, 그 홈(19a')의 내면에 돌출부(21b)의 외면이 접하는 것으로 제1 배관(21)이 차체(2)에 대해 선회하는 것이 방지된다. 각 돌출부(21b)의 상단면에 제1 수납부(21c)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제1 수납부(21c)는 제1 배관(21)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180도 떨어져 배치된다.
상기 테이블(4)에 소화용 유체 반송용의 금속제 제2 배관(22)이, 차체(2)에 대한 테이블(4)의 상기 선회축과 동축 중심으로 상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그 테이블(4)에 형성된 관통 구멍(4a)에 원통 형상의 지지관(23)이 끼워져 관통하고, 그 지지관(23)의 외주에 플랜지(24)가 고정되어, 이 플랜지(24)가 테이블(4)의 상면에 금속판(25)을 통해 볼트(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 지지관(23)에 제2 배관(22)이 그 선회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그 제2 배관(22)은 본체(22a)와, 이 본체(22a)의 하부에 장착된 연결부(22b)를 구비하고 있다.
그 제2 배관(22)의 본체(22a)의 상부에는 지지관(23)의 상방으로 돌출해, 그 외주에 유로를 구성하는 원주 홈(22d)과, 지지관(23)의 상단면에 라이너 링(27)을 통해 접하는 단차(22e)가 형성되고, 상단에 홈부(22f)가 형성되어 있다. 그 원주 홈(22d)을 에워싸는 환상 커버(28)가, 본체(22a)의 상단에 밀봉 링(40, 41)을 통해 끼워맞춤되고, 지지통(23)에 금속판(29)을 통해 볼트(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 환상 커버(28)에, 그 원주 홈(22d)을 통과하는 원통형의 배관 조인트부(28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배관 조인트부(28a)에, 상기 사다리(5)에 장착되는 방수총이 배관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 본체(22a)의 상단 홈부(22f)를 덮는 환상 원판(31)이 환상 커버(28)의 상단에 볼트(32)에 의해 고정되고, 그 환상 원판(31)의 상면에 전기 배선용 로터리 플랜지(33)가 볼트(3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 제2 배관(22)의 본체(22a)의 하부에는, 복수의 밀봉 링(42, 43, 44, 45, 46)을 통해 지지통(23)에 삽입 관통되어, 중심을 따라 유로를 구성하는 홈부(22g)가 형성되고, 그 홈부(22g)와 상기 원주 홈(22d)을 연락하는 유체 통로(22h)가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4 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제2 배관(22)의 연결부(22b)에, 상기 본체(22a)의 홈부(22g)와 함께 유로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22i)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22b)의 상부는 밀봉 링(47)을 통해 본체(22a)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연결부(22b)의 하부는 볼트(48)에 의해 본체(22a)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제2 배관(22)의 하부의 연결부(22b)는, 차체(2)와 테이블(4)의 사이의 상기 각 링 부재(3a, 3c, 3e, 3g)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하단 개구는 하향으로 되어 있다.
그 제2 배관(22)의 하단의 연결부(22b)의 개구는 상기 제1 배관(21)의 상단 개구에 대향한다. 그 연결부(22b)의 하단면에 한 쌍의 제2 수납부(22k)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제2 수납부(22k)는 제2 배관(22)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180도 떨어져 배치된다.
또, 제2 배관(22)의 본체(22a)의 외주에 복수의 원주 홈(22m)이 설치되고, 각 원주 홈(22m)과 지지통(2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상의 유압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유압 유로는, 그 지지관(23)의 외주에서 개구하는 유압 배관 접속구(도시 생략)를 통해 테이블(4)상에 탑재되는 사다리 요동용 유압 액츄에이터 등의 유압 기기에 접속되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본체(22a)의 하단면에서 개구하는 유압 배관 접속구(22p)를 통해 차체(2)에 탑재된 유압 공급원이나 탱크에 접속된다. 또, 그 본체(22a)의 하단면과 상단면에서 개구하는 전기 배선용 관통 구멍(22r)이 형성되고, 그 관통 구멍(22r)에 관통되는 전기 배선에 의해 차체(2)에 탑재된 배터리가 상기 플랜지(33)에 접속되고, 그 플랜지(33)를 통해 테이블(4)상에 탑재된 사다리 신축용 전동 액츄에이터 등의 전기 기기에 접속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금속제 연결관(50)의 일단측이 제1 배관(21)에, 타단측이 제2 배관(22)에,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51, 52)를 통해 상대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각 밀봉 부재(51, 52)는 연결관(50)의 제1, 제2 배관(21, 22)에 대해 굴곡에 의해 탄성 변형해, 각 연결부에서의 소화용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연결관(50)의 외주에, 한 쌍의 돌출부(50a, 50b)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한 쪽의 돌출부(50a)와 제1 배관(21)의 단면과의 접촉 및 다른 쪽의 돌출부(50b)와 제2 배관(22)의 단면과의 접촉에 의해, 연결관(50)의 제1, 제2 배관(21, 22)에 대한 축방향 변위가 과대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연결관(50)을 에워싸는 환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연결 부재(60)에, 그 제1 배관(21)이 제1 축(A)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 게 연결되어 있다. 즉, 그 연결 부재(60)는 상기 한 쌍의 제1 수납부(21c)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제1 수납부(21c)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나사 축(61)이 그 연결 부재(60)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관통되어, 그 상대 회전 축이 제1 축(A)이 된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연결 부재(60)에 그 제2 배관(22)이 상기 제1 축(A)에 직교하는 제2 축(B)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그 연결 부재(60)는 상기 한 쌍의 제2 수납부(22k)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제2 수납부(22k)에 나사 결합하는 한 쌍의 나사 축(62)이, 그 연결 부재(60)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관통되어, 그 상대 회전 축이 제2 축(B)이 된다.
그 제1 축(A)과 제2 축(B)은, 차체(2)에 대한 테이블(4)의 상기 선회축(C)에 직교하는 동시에, 그 제1 축(A)과 제2 축(B)과 선회축(C)은 일점에서 일치하고, 그 교점은 테이블(4)의 차체(2)에 대한 상기 구면 운동 중심(R)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그 제1 배관(21)과 제2 배관(22)이 연결관(50)을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 가능하게 되어, 그 구면 운동 중심(R)과, 차체(2)와 테이블(4)의 상대적인 구면 운동 중심이 동심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관(50)의 중심축은 그 구면 운동의 중심(R)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제1, 제2 배관(21, 22)의 상대적인 구면 운동의 중심(R) 위치를, 차체(2)와 테이블(4)의 상대적인 구면 운동 중심으로 일치시키기 위해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배관(21)의 차체(2)측으로의 장착 위치나 지지관(23)의 테이블(4)으로의 장착 위치를, 예컨대 장착 볼트의 삽통 공을 무적재 구멍으로 하거나, 심(shim)을 통해 장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차체(2)에 대해 테이블(4)이 구면 운동을 하면, 제1 배관(21)과 제2 배관(22)은 연결관(50)을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하기 때문에, 각 배관(21, 22, 50)에 구면 가공을 하지 않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 가능하게 소화용 유체의 유로를 형성해, 차체(2)측에서 테이블(4)측에 소화용 유체를 반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제1, 제2 배관(21, 22)의 상대 굴곡 각도의 증대, 연결부에서 내압 성능의 향상, 각 배관(21, 22, 50)의 소구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그 연결관(50)을 제1, 제2 배관(21, 22)에 밀봉 부재(51, 52)를 통해 삽입해, 그 연결관(50)을 에워싸는 연결 부재(60)를 제1, 제2 배관(21, 22)에 연결만으로 그 구면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그 연결관(50)의 중심축은 그 구면 운동 중심(R)을 통과하기 때문에, 원활히 구면 운동시킬 수 있다. 또, 그 차체(2)에 대한 테이블(4)의 선회축(C)이 그 구면 운동 중심(R)을 통해, 제2 배관(22)은 테이블(4)을 임의 각도 만큼 선회시킨 상태에서, 그 구면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배관 조인트를 소방차 이외의 기기에서 소화용 유체 이외의 유체를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해도 좋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차체(2)와,
    상기 차체(2)에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4)와,
    상기 지지 부재(4)에 장착되는 사다리(5)와,
    상기 차체(2)측에 장착되는 소화용 유체 반송용 제1 배관(21)과,
    상기 지지 부재(4)측에 장착되는 소화용 유체 반송용 제2 배관(22)과,
    일단측이 상기 제1 배관(21)에, 타단측이 상기 제2 배관(22)에, 탄성 변형 가능한 밀봉 부재(51, 52)를 통해 상대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연결관(50)과,
    상기 제1 배관(21)과 상기 제2 배관(22)이 상기 연결관(50)을 통해 상대적으로 구면 운동하도록, 상기 제1 배관(21)에 제1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배관(22)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60)를 구비하며,
    상기 차체(2)와 지지 부재(4)의 상대적인 구면 운동 중심과, 상기 제1 배관(21)과 상기 제2 배관(22)의 상대적인 구면 운동 중심이 동심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2)에 대해 상기 지지 부재(4)가, 상기 구면 운동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에 직교하는 축 중심으로 상대 선회 가능하며, 상기 제2 배관(22)은 상기 지지 부재(4)에, 상기 차체(2)에 대한 상기 지지 부재(4)의 선회축과 동축 중심으로 상대 선회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60)는 상기 연결관(50)을 에워싸는 환상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관(50)의 중심축은 상기 구면 운동 중심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
KR1019990018181A 1999-05-20 1999-05-20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 KR10056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181A KR100566746B1 (ko) 1999-05-20 1999-05-20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181A KR100566746B1 (ko) 1999-05-20 1999-05-20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330A KR20000074330A (ko) 2000-12-15
KR100566746B1 true KR100566746B1 (ko) 2006-04-04

Family

ID=4174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181A KR100566746B1 (ko) 1999-05-20 1999-05-20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378B1 (ko) * 2007-01-05 2008-11-06 김경수 릴호스 연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795A (ja) * 1982-07-27 1984-02-01 理研工機株式会社 輸送管の自在管継手
US5106129A (en) * 1990-10-09 1992-04-21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Flexible coupling for transferring a fluid between two fluid conduits
JPH06272792A (ja) * 1993-03-16 1994-09-27 Cosmo Koki Kk 水封保持機構を有する管継ぎ手
JPH0914507A (ja) * 1995-06-23 1997-01-17 Kubota Corp 推進工法用管継手
JPH09133277A (ja) * 1995-11-08 1997-05-20 Shin Etsu Polymer Co Ltd 管部材の接続構造
JPH09329280A (ja) * 1996-06-06 1997-12-22 Cosmo Koki Co Ltd 可撓可能な管継手
JPH11151315A (ja) * 1997-11-25 1999-06-08 Morita:Kk 配管接手および消防自動車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795A (ja) * 1982-07-27 1984-02-01 理研工機株式会社 輸送管の自在管継手
US5106129A (en) * 1990-10-09 1992-04-21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Flexible coupling for transferring a fluid between two fluid conduits
JPH06272792A (ja) * 1993-03-16 1994-09-27 Cosmo Koki Kk 水封保持機構を有する管継ぎ手
JPH0914507A (ja) * 1995-06-23 1997-01-17 Kubota Corp 推進工法用管継手
JPH09133277A (ja) * 1995-11-08 1997-05-20 Shin Etsu Polymer Co Ltd 管部材の接続構造
JPH09329280A (ja) * 1996-06-06 1997-12-22 Cosmo Koki Co Ltd 可撓可能な管継手
JPH11151315A (ja) * 1997-11-25 1999-06-08 Morita:Kk 配管接手および消防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330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0325B1 (en) Split-ball type wrist and manipulator assembly for robot
US7938451B2 (en) Multifunctionally swivelling coupling assembly for fluid lines
US4793557A (en) Firefighting monitor apparatus
KR0185219B1 (ko) 트러니언형 볼밸브
KR100853305B1 (ko) 유체 이송 시스템의 두 파이프 섹션의 연결 및 분리 장치
JPH05332460A (ja) 偏心回転プラグ弁
KR100566746B1 (ko) 배관 조인트 및 소방차
US6811188B2 (en) Fluid delivery systems
US7455470B2 (en) Swivel ball bearing
JPS59107897A (ja) ブレ−キ装置
CA2103690C (en) Hose swivel
JPS58166182A (ja) 曲つたベロ−密封回転弁
JP3091438B2 (ja) 消防自動車
US4211252A (en) Hydraulic coupler
JPH0378518B2 (ko)
JP3977869B2 (ja) 流体塗布用装置
JPH08141974A (ja) 工業用ロボット
US7862088B2 (en) Swivel
JP3407786B2 (ja) 自在回転継ぎ手
CN216169526U (zh) 一种消防机器人及其回转接头装置
JPS5922330Y2 (ja) アクチユエ−タ機構
JP2573235Y2 (ja) 塗装装置
KR20240045869A (ko) 볼 조인트형 메카니컬 씰이 적용된 스핀아크 용접장치
JP3869272B2 (ja) 配管継手
JPS62162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