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460B1 - 전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460B1
KR100566460B1 KR1020037015484A KR20037015484A KR100566460B1 KR 100566460 B1 KR100566460 B1 KR 100566460B1 KR 1020037015484 A KR1020037015484 A KR 1020037015484A KR 20037015484 A KR20037015484 A KR 20037015484A KR 100566460 B1 KR100566460 B1 KR 10056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sic
sound
music data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516A (ko
Inventor
이찌로 후또하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using a common processing for different operations or calculations, and a set of microinstructions (programme) to control the sequence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in which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are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21Mobile ringtone, i.e. generation, transmission, conversion or downloading of ringing tones or other sounds for mobile telephony; Special musical data formats or protocols 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 or digital, e.g. DECT GSM, UM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CPU(10)는 멜로디음의 재생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선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 및 템포 데이터를,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하여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계속해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입되어 있는 개시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개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표 데이터를 판독하여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악음 생성부(15)는 전송된 음색 데이터와 템포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된 음표 데이터로부터 멜로디음을 생성하여 재생한다. 이에 의해, 임의의 개시 위치에서부터의 멜로디음을 들을 수 있다.
멜로디음, 통지음, 악곡, 착신음

Description

전화 단말 장치{TELEPHONE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통지음을 멜로디음으로서 통지 가능한 전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폰이나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전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이나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으로서 알려져 있는 PDC 전화 시스템(Personal Digital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등의 휴대 전화 시스템이나, PHS(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 Personal Handy-phone System)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에 착신이 있었을 때에는 착신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착신음이 방음된다. 이 착신음으로서는, 종래 비프음이 방음되고 있었지만, 비프음이 귀에 거슬리는 소리이므로, 최근 비프음 대신에 멜로디음을 착신음으로서 방음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멜로디음을 재생할 수 있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악곡을 자동 연주할 수 있는 악음 생성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악음 생성 수단은, 일반적으로 CPU(중앙 처리 장치 : 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악음 생성부를 구비하고, ROM에 기억된 자동 연주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ROM 또는 RAM에 기억된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여, 악 음 생성부에 대하여 발음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악곡을 생성한다.
그리고, 고품질의 악음을 생성하기 위해서, 최근의 악음 생성 수단은 복수의 발음 채널을 구비하고, 이 복수의 발음 채널을 통하여 복수 파트로 이루어지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 등의 종래의 전화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게 착신이나 보류를 통지하기 위한 멜로디음을 미리 지정된 악곡의 선두부터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악곡의 전부를 듣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지음을 멜로디음으로서 통지 가능한 전화 단말 장치로서, 악곡의 임의의 부분에서부터 재생할 수 있는 전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화 단말 장치는, 통지음을 멜로디음에 의해 통지 가능한 전화 단말 장치로서, 연주 개시에 적합한 위치인 스타트 포인트가 복수 설정된 악곡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기억 수단과, 상기 악곡 데이터에 복수 설정된 스타트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과, 상기 멜로디음에 의한 통지의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함으로써, 상기 악곡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에서부터 상기 멜로디음의 생성을 개시하는 악음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음에 의한 통지의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악음 생성 수단은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함과 함께, 재생되고 있던 악곡 데이터의 재생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 중, 상기 재생 정지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대응하는 스타트 포인트를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음에 의한 통지의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악음 생성 수단은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함과 함께, 재생되고 있던 악곡 데이터의 재생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 중, 상기 재생 정지 위치에 가장 가까운 후방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타트 포인트를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음 생성 수단은 상기 멜로디음에 의한 통지의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 중,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에 가장 가까운 후방의 위치의 스타트 포인트에서부터 상기 멜로디음을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를 상기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로부터 선택 가능함과 함께,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를 상기 연주 개시 위치로서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악곡 데이터에 복수 설정된 스타트 포인트에 기초하여, 악곡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을 구비하여, 통지음의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억된 연주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임의의 위치에서부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여 들을 수 있다.
또한, 통지음의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에, 재생되고 있던 악곡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해당 통지음 종료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를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함으로써, 연주 개시에 적합한 위치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지음의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의 위치에서부터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를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로부터 선택하여, 해당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를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로서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함으로써,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에서부터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단말 장치로서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악음 생성부의 제1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악음 생성부에서 재생되는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악음 생성부의 제2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악음 생성부가 제1 구성을 갖는 경우의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의 흐 름도.
도 6은 악음 생성부가 제2 구성을 갖는 경우의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의 흐름도.
도 7은 악음 생성부가 제1 구성을 갖는 경우의 인터럽트 요구 처리(IRQ 처리)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단말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단말 장치의 구성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1)는, 일반적으로 리트랙터블로 된 안테나(1a)를 구비하고, 안테나(1a)는 변조 ·복조 기능을 갖는 통신부(13)에 접속되어 있다. CPU(10)는 전화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로서 기능하고, 동작 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거나, 특정한 시간 간격으로 타이머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CPU(10)는 후술하는 악음 생성 관련 처리를 행한다. RAM(11)에는 다운로드 센터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복수 파트로 이루어지는 악곡 데이터의 저장 에리어나, 사용자 설정 데이터 저장 에리어, 및 CPU(10)의 워크 에리어 등이 설정되어 있다. ROM(12)은 CPU(10)가 실행하는 송신이나 착신의 각종 전화 기능 프로그램이나 악음 생성 관련 처리 등의 프로그램이나, 프리셋된 악곡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 장하고 있다.
또한, 통신부(13)는 안테나(1a)에서 수신된 신호의 복조를 행함과 함께, 송신하는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1a)에 공급한다. 통신부(13)에서 복조된 수화 신호는 음성 처리부(코더/디코더)(14)에서 복호되고, 마이크(21)로부터 입력된 통화 신호는 음성 처리부(14)에서 압축 부호화된다. 음성 처리부(14)는 음성을 고능률 압축 부호화/복호화하며, 예를 들면 CELP(부호 여진 선형 예측 : Code-Excited Linear Prediction) 부호화계나 ADPCM(적응형 차분 펄스 부호 변조 :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 방식의 코더/디코더로 구성된다. 악음 생성부(15)는 음성 처리부(14)로부터의 수화 신호를 출력하여 수화용 스피커(22)로부터 방음하거나, 악곡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착신 멜로디, 보류음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 착신 멜로디는 착신용 스피커(23)로부터 방음되고, 보류음은 수화 신호와 믹싱되어 수화용 스피커(22)로부터 방음된다.
또한, 악곡 데이터는 음색 데이터, 템포 데이터 및 복수 파트의 음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악음 생성부(15)는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을 재생하는 것으로, 이 재생 시에 음표 데이터를 기억하는 FIFO(First In First Out)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FIFO는 1곡분의 음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갖는 것이어도 되지만, 기억 용량이 작아 1곡분의 음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없는 경우에는 FIFO에 소정량의 빈 에리어가 발생했을 때에, 악음 생성부(15)가 인터럽트 요구 신호(IRQ)를 CPU(10)에 인가하여, CPU(10)가 RAM(11) 또는 ROM(12)에 기억되어 있는 음표 데이터의 계속되는 부분을 판독하여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하 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I/F)(16)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20)로부터 1개 이상의 시퀀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이다. 입력부(17)는 휴대 전화기(1)에 구비된 「0」부터 「9」의 다이얼 버튼이나 각종 버튼으로 구성된다. 표시부(18)는 전화 기능의 메뉴 표시나, 다이얼 버튼 등의 버튼 조작에 따른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바이브레이터(19)는 착신 시에 휴대 전화기(1)의 본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착신음 대신에 착신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각각의 기능 블록은 버스(24)를 통하여 데이터나 명령의 수수를 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악음 생성부(15)의 제1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제1 구성에서는 악음 생성부(15)가 시퀀스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 악음 생성부(15)에서 재생되는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이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이 데이터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악곡 데이터는, RAM(11) 또는 ROM(12)에 기억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악곡 데이터는, 선두에 헤더가 배치되고, 계속해서 파트별 음색 데이터, 템포 데이터, 및 음표 데이터가 배치되고, 마지막에 종료 데이터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음표 데이터는 각 파트의 음표 데이터가 혼재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파트의 음표 데이터는 대응하는 파트를 나타내는 파트 데이터, 노트 정보와 옥타브 정보로 이루어지는 음계 데이터, 다음의 음표 데이터까지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인터벌 데이터, 4분 음표나 8분 음표 등의 음의 길이 정보로 이루어지는 발음 길이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쉼표는 인터벌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음표 데이터에서의 인터벌 데이터 및 발음 길이 데이터의 분해능은 템포 데이터에 기초하고 있으며, 템포 데이터가 다르면 인터벌 데이터 또는 발음 길이 데이터의 값이 동일해도 인터벌 데이터 또는 발음 길이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실제 시간은 변화한다. 또한, 악곡 데이터 중에는 마크가 복수 삽입되어 있으며, 이들 마크는 연주를 개시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들 마크를 인트로 패턴이나 메인 패턴, 필인 패턴, 또는 엔딩 패턴 등의 선두에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악곡 데이터의 마지막에 종료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종료 데이터가 검출되면, 그 악곡 데이터가 재생 종료한 것을 검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다음에 재생해야 할 악곡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그 악곡 데이터의 재생 준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악곡 데이터는 복수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들 파트는, 예를 들면 멜로디 파트, 반주 파트 1, 반주 파트 2 및 리듬 파트의 4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악곡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2) 등을 통하여 배신 센터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악곡 데이터는 RAM(11)에 기억된다. 또, 기지국(2)에는 기지국용 안테나(2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구성의 악곡 데이터를 임의의 위치에서부터 재생 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악곡 데이 터의 재생 개시 위치는 악음 생성부(15)에서의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 나타내는 악곡 데이터의 연주 개시 위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음 생성부(15)는 인터페이스(I/F)(30), FIFO(31), 시퀀서(32), 음원(33),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34), 및 OR 회로(35)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30)는 CPU(10)와 버스(24)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CPU(10)의 제어 하에서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된 악곡 데이터가 버스(24)를 통하여 인터페이스(30)에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된다. 이 경우, CPU(10)는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 및 템포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터페이스(30)에 전송한다. 계속해서, CPU(10)는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로부터 연주 개시 위치 정보를 판독하여, 그 연주 개시 위치 정보에 상당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해야 할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한다. 그리고, CPU(10)는 판독한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음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30)에 전송한다.
인터페이스(30)에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된 악곡 데이터의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음표 데이터(Data)는 FIFO(31)에 기입되고,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된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각 파트의 음색 데이터는 음원(33)에 전송된다.
인터페이스(30)에 내장되는 레지스터에는, 시퀀서 컨트롤 레지스터, 데이터 레지스터 및 스테이터스 레지스터가 포함되어 있다.
시퀀서 컨트롤 레지스터에는, CPU(10)로부터 시퀀서(32)를 제어하는 시퀀서 제어 데이터가 기입된다. 시퀀서 컨트롤 레지스터에 기입되는 시퀀서 제어 데이터에는, 악음 재생 개시를 시퀀서(32)에 지시하는 시퀀서 스타트 지시 데이터(Start)나 악음 재생 정지를 시퀀서(32)에 지시하는 시퀀서 스톱 지시 데이터(Stop)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레지스터에는, CPU(10)로부터 악곡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입되고,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된 악곡 데이터 중,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음표 데이터는 FIFO(31)에 기입되고, 음색 데이터는 음원(33)에 기입되며, 템포 데이터(Temp)는 시퀀서(32)에 전송된다.
또한,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는 악음 생성부(15)의 악음 생성 상태가 세트된다. 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세트되는 악음 생성 상태에는 FIFO(31)로부터 출력되는 음표 데이터 빈 플래그(Empty)와, 시퀀서(32)로부터 출력되는 악곡 데이터 종료 플래그(END)가 포함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로부터, CPU(10)에 의해 악음 생성 상태가 판독된다.
FIFO(31)는, 예를 들면 32바이트(32 ×8비트)의 용량을 갖는다. FIFO(31)에는 인터페이스(30)의 데이터 레지스터를 통하여 CPU(10)로부터 선택된 악곡 데이터의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음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기입됨과 함께, FIFO(31)로부터 시퀀서(32)로부터의 판독 요구 신호(Req)에 기초하여, 기입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판독된다. 시퀀서(32)에 의해 판독된 음표 데이터는 FIFO(31) 내에서 파기된다. 이 FIFO(31)는 이러한 FIFO 기능 외에, 저장되어 있는 음표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감시하는 기능을 갖고, 음표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CPU(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예를 들면, 8바이트) 이하가 되었을 때에, 음표 데이터 빈 신호(Empty)를 발생하여, 음표 데이터 빈 플래그를 인터페이스(30)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세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이 음표 데이터 빈 신호는 OR 회로(35)를 통하여 인터럽트 요구 신호(IRQ)로서 CPU(10)에 통지된다.
시퀀서(32)는 인터페이스(30) 내의 시퀀서 컨트롤 레지스터에 CPU(10)로부터 시퀀서 스타트 지시 데이터(Start)가 기입되면, 시퀀서 스타트(악음 재생 개시)가 지시되어,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단, 시퀀서 스타트 지시에 앞서, 템포 데이터(Temp)가 시퀀서(32)에 전송되어 있으며, 각 파트의 음색 데이터가 음원(33)에 기입되어 있음과 함께, FIFO(31)에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음표 데이터가 어느 정도 기입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시퀀서(32)는, 우선 FIFO(31)에 기억되어 있는 선두의 음표 데이터(Data)를 입력받는다. 선두의 음표 데이터는 통상 최초의 발음을 행하기 위한 인터벌 데이터만으로 되어 있다. 시퀀서(32)는 이 인터벌 데이터와 템포 데이터에 기초하는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 다음의 음표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음계 데이터와 발음 길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키 온, 키 오프, 키 코드 등의 발음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음원(33)에 공급한다.
또한, 시퀀서(32)는 이 타이밍에서 계속되는 다음의 음표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음의 재생의 준비를 한다. 이 재생의 준비는 입력받은 음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의 관리이며, 시퀀서(32)는 템포 데이터와 인터벌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 간 관리를 행한다.
음원(33)은 공급된 발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발음 파라미터로 지시되는 각 파트의 악음을 생성한다. 이 경우, 그 각 파트에서 생성되는 악음의 음색은, 미리 인터페이스(30)로부터 공급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로 설정된 파트의 음색으로 된다.
그리고, 시퀀서(32)는 그 음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발음 길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 음원(33)에 의한 악음 생성을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다음에 입력받은 음표 데이터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생성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생성 처리는 사용자가 재생 종료 지시를 행할 때까지 행해진다.
재생 종료 지시가 검출된 경우, 시퀀서(32) 및 음원(33)은 동작을 정지함과 함께, CPU(10)는 FIFO(31) 내의 전체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또한, 시퀀서(32)는 악곡 데이터 종료 신호(END)를 발생하여, 인터페이스(30)를 통하여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다음번에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계속되는 위치에서부터 재생할 수 있도록, 재생 종료 시의 위치 정보를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서 기입한다.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입되는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서는, 실제로 재생을 종료한 악곡 데이터의 위치로부터 후방에서 최초로 검출된 마크의 위치를 스타트 포인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재생 종료 지시는 휴대 전화기(1)에서 입력부(17)의 착신 버튼의 조작, 보류 해제의 조작, 또는 통신 회선의 차단이 이루어졌을 때에 행해진다.
음원(33)은 키 온, 키 오프, 키 코드 등의 발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복수 파트로 이루어지는 PCM 파형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34)에 출력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34)는 이 PCM 파형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악음 신호로 변환한다. 이 악음 신호가 착신을 통지하는 멜로디음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생성된 멜로디음이 착신용 스피커(23)로부터 방음된다. 또한, 악음 신호가 보류를 통지하는 멜로디음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생성된 멜로디음(송신용 보류음)이 음성 처리부(14)로 공급되어, 고능률 압축 부호화되어 상대측으로 송신된다.
OR 회로(35)는 FIFO(31) 내의 음표 데이터가 소정의 데이터량 이하가 되었을 때에 FIFO(31)로부터 출력되는 음표 데이터 빈 신호(Empty)에 기초하여, CPU(10)에 대하여 인터럽트 요구 신호(IRQ)를 발생한다. 또한, OR 회로(35)는 시퀀서(32)로부터 출력되는 악곡 데이터 종료 신호(END)에 기초하여, CPU(10)에 대하여 인터럽트 요구 신호(IRQ)를 발생한다.
인터럽트 요구 신호(IRQ)를 받은 CPU(10)는 인터페이스(30) 내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세트되어 있는 플래그를 참조하여, 인터럽트 요구 신호(IRQ)의 원인을 판별하여 그에 대응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이 때에, CPU(10)는 음표 데이터 빈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고, 인터럽트 요구 신호(IRQ)의 원인이 FIFO(31) 내의 음표 데이터의 데이터량 부족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예를 들면 32바이트 - 8바이트 = 24바이트의 음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한다. CPU(10)는 이 음표 데이터의 전송을, 계속되는 음표 데이터를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함으로써 행한다. 이 24바이트의 음표 데이터의 전송은 반드 시 즉시 행해질 필요는 없고, 또한 반드시 24바이트의 전부에 대하여 행해질 필요도 없다. 악음 생성부(15)에서 재생음이 도중에 끊기지 않고 재생할 수 있는 타이밍과 전송량으로 전송이 행해지도록 하면 된다.
또한, CPU(10)는 인터페이스(30) 내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악곡 데이터 종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던 경우에, 그 악곡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재차 판독하여 인터페이스(30)에 전송하거나, 또는 다음에 재생해야 할 악곡이 지정되어 있을 때에, 그 악곡 데이터를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30)에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악음 생성부(15)에서는 CPU(10)가 멜로디음의 재생 스타트 지시를 행하였을 때에, 이를 시퀀서(32)가 검지하여 멜로디음의 생성을 개시한다. 또, 재생 스타트 지시는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착신 통지가 수신되어 착신음(착신 멜로디)의 재생을 스타트할 때, 또는 보류 조작 키가 조작되어 보류음의 재생을 스타트할 때에 행해진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는, 착신 통지를 통지하는 멜로디음을 사용자가 설정한 악곡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위치에서부터 재생하여 들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악곡 데이터의 연주 개시 위치 정보를 기억 가능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휴대 전화기(1)에 설치되어 있는 인크리먼트 버튼 및 디크리먼트 버튼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를 기억시켜도 된다. 이 연주 개시 위치로서는, 악곡 데이터 내에 삽입되어 있는 마크의 위치를 스타트 포인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사용자가 인크리먼트 버튼 또는 디크리먼트 버 튼을 조작할 때마다,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시키는 연주 개시 위치로 해야 할 다음의 마크의 위치를 스타트 포인트로 할 수 있도록, 연주 개시 위치가 인크리먼트/디크리먼트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악음 생성부의 제2 구성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2 구성의 악음 생성부(115)에서는 CPU(10)가 시퀀스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제2 구성의 악음 생성부(115)에 의해 재생되는 악곡 데이터는,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데이터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 구성의 악음 생성부(114)도, 악곡 데이터를 임의의 위치에서부터 재생 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음 생성부(115)는 인터페이스(I/F)(130), 음원(133),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134)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130)는 CPU(10)와 버스(24)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CPU(10)에서 생성된 발음 파라미터가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된 악곡 데이터 내의 음색 데이터와 함께, 버스(24)를 통하여 인터페이스(130)에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된다. 이 발음 파라미터는 CPU(10)가 RAM(11) 또는 ROM(12)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의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음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퀀스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된 것이다.
인터페이스(130)는 기입된 발음 파라미터를 음원(133)에 공급함과 함께, 음색 데이터를 음원(133)에 공급한다. 음원(133)은 공급된 발음 파라미터에 기초하 여, 발음 파라미터로 지시되는 각 파트의 악음을 생성한다. 이 경우, 그 각 파트에서 생성되는 악음의 음색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공급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로 설정된 파트의 음색이 된다. 음원(133)은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키 온, 키 오프, 키 코드 등의 발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복수 파트로 이루어지는 PCM 파형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4)에 출력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34)는, 이 PCM 파형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악음 신호로 변환한다. 이 악음 신호가 착신을 통지하는 멜로디음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생성된 멜로디음이 착신용 스피커(23)로부터 방음된다. 또한, 악음 신호가 보류를 통지하는 멜로디음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생성된 멜로디음(송신용 보류음)이 음성 처리부(14)에 공급되어, 고능률 압축 부호화되어 상대측으로 송신된다.
이러한 제2 구성의 악음 생성부(115)에 발음 파라미터를 공급하는 CPU(10)가 실행하는 시퀀스 처리를 포함하는 악곡 재생 처리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CPU(10)는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착신 통지의 수신을 검출한 경우, 또는 보류 조작 키가 조작되어 보류를 검출한 경우에, 멜로디음의 생성을 스타트한다.
우선, CPU(10)는 멜로디음을 생성하기 위한 악곡 데이터를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한다. 이 경우, CPU(10)는 최초로 악곡 데이터에서의 음색 데이터 및 템포 데이터를 판독한다. 계속해서, CPU(10)는 RAM(11)의 영역에 확보되어 있는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의 영역으로부터 연주 개시 위치 정보를 판독하여, 그 연주 개시 위치 정보에 상당하는 위치 이후의 악곡 데이터를 판독한다.
CPU(10)는 판독한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각 파트의 음색 데이터를 인 터페이스(130)에 기입하고, 판독한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음표 데이터를 해석한다. 그 음표 데이터에서의 선두의 음표 데이터는, 통상 최초의 발음을 행하기 위한 인터벌 데이터만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CPU(10)는 이 인터벌 데이터와,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한 템포 데이터에 기초하는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 다음의 음표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음계 데이터와 발음 길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키 온, 키 오프, 키 코드 등의 발음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130) 내의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계속해서, CPU(10)는 계속되는 다음의 음표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음의 재생의 준비를 한다. 이 재생의 준비는, 계속되는 다음의 음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의 관리로, CPU(10)는 템포 데이터와 인터벌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간 관리를 행한다.
인터페이스(130)는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 레지스터에 기입된 발음 파라미터를 음원(133)에 공급하고, 음원(133)은 공급된 발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발음 파라미터로 지시되는 각 파트의 악음을 생성한다. 이 경우, 그 각 파트에서 생성되는 악음의 음색은, 미리 인터페이스(130)로부터 공급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로 설정된 파트의 음색이 된다.
그리고, CPU(10)는 그 음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발음 길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 음원(133)에 의한 악음 생성을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다음에 판독한 음표 데이터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악곡 재생 처리를 행한다. CPU(10)는 이러한 생성 처리를 사용자가 재생 종료 지시를 행할 때까지 행한다.
재생 종료 지시가 검출된 경우, CPU(10)는 시퀀스 동작을 정지함과 함께, 악음 생성부(115)의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악곡 데이터 종료 신호(END)가 발생되면, CPU(10)는 RAM(12)에서의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에, 다음 번에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계속되는 위치로부터 재생시킬 수 있도록 재생 종료 시의 위치 정보를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서 기입한다.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에 기입되는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서는, 실제로 재생을 종료한 악곡 데이터의 위치로부터 후방에서 최초로 검출된 마크의 위치를 스타트 포인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재생 종료 지시는 휴대 전화기(1)에서 입력부(17)의 착신 버튼의 조작, 보류 해제의 조작, 또는 통신 회선의 차단이 이루어졌을 때에 행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 CPU(10)가 실행하는 제1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의 흐름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된 제1 구성의 악음 생성부(15)의 구성을 참조하면서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를 설명한다. 또, 도 4에 도시된 제2 구성의 악음 생성부(115)에서의 처리도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가 스타트되면, CPU(10)는 단계 S10에서 악곡 재생 트리거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의 악곡 재생 트리거는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착신 통지의 수신이 검출된 경우 또는 보류 조작 키의 조작에 의한 보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발생된다.
여기서, CPU(10)는 착신 통지의 수신 또는 보류 조작을 검출, 즉 악곡 재생 트리거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단계 S11에서 선택되어 있는 악곡 번호의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 및 템포 데이터를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하여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계속해서, CPU(10)는 단계 S12에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입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부터 연주 개시 위치를 판독하고, 단계 S13에서 판독된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고, FIFO(31)가 전부 채워질 때까지 악곡 데이터를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CPU(10)는 어디까지 악곡 데이터를 전송하였는지를 검출하여, 다음에 전송해야 할 악곡 데이터의 선두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S14에서 CPU(10)는 재생 스타트 커맨드(Start)를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이에 의해, 악음 생성부(15)는 전송한 음색 데이터, 템포 데이터, 및 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을 재생함으로써 멜로디음의 생성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악음 생성부(15)에 의해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로부터의 멜로디음이 재생되어 방음된다.
악음 생성부(15)에서의 악곡의 재생은, 단계 S15에서 CPU(10)가 악곡 종료 트리거를 검출할 때까지 실행된다. 악곡 종료 트리거가 검출되는 것은, 휴대 전화기(1)에서 입력부(17)의 착신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또는 보류 해제의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이다. 또한, 통신 회선의 차단이 이루어졌을 때에도 악곡 종료 트리거가 검출된다.
여기서, CPU(10)는 악곡 종료 트리거를 검출하면, 단계 S16에서 재생 스톱 커맨드 데이터(Stop)를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하여, 악음 생성부(15)의 동작을 정지함과 함께, FIFO(31)의 전체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계속해서, 단계 S17에서 CPU(10)는 악음 생성부(15)의 동작을 정지시켰을 때에 재생하고 있었던 악곡 데이터에서의 최종의 위치인 연주 종료 위치를 검출한다.
단계 S18에서, CPU(10)는 이 검출한 연주 종료 위치와, 악곡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마크가 나타내는 스타트 포인트를 대비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일치한 스타트 포인트를 검출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주 종료 위치의 후방에서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를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19에서, CPU(10)는 검출한 스타트 포인트를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서 기입하고,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을 종료한다. 또한, 단계 S10에서 악곡 재생 트리거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을 종료한다.
상술한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에 따르면, 악음 생성부(15)에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 이후의 악곡 데이터가 재생되어 방음된다. 그 때, 연주 종료 위치와 일치하는 스타트 포인트 또는 연주 종료 위치보다 후방의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가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되기 때문에, 다음 번에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을 기동했을 때에는, 정지한 연주 종료 위치 또는 정지한 연주 종료 위치보다 후방의 연주 개시에 적합한 위치에서부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 CPU(10)가 실행하는 제2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의 흐름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에 있어서, CPU(10)는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연주 종료 위치를 그대로 기억시킨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된 제1 구성의 악음 생성부(15)의 구성을 참조하면서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을 설명한다. 또, 도 4에 도시된 제2 구성의 악음 생성부(115)에 있어서의 처리도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이 스타트되면, CPU(10)는 단계 S20에서 악곡 재생 트리거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의 악곡 재생 트리거는,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착신 통지의 수신이 검출된 경우 또는 보류 조작 키의 조작에 의한 보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발생된다.
여기서, CPU(10)는 착신 통지의 수신 또는 보류 조작을 검출, 즉 악곡 재생 트리거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면, 단계 S21에서 선택되어 있는 악곡 번호의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 및 템포 데이터를,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하여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계속해서, CPU(10)는 단계 S22에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입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부터 연주 개시 위치를 판독하고, 단계 S23에서, 이 판독한 연주 개시 위치 정보와, 악곡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마크가 나타내는 스타트 포인트를 대비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일치한 스타트 포인트를 검출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주 종료 위치의 후방에서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를 검출하고, 단계 S24에서, 검출된 스타트 포인트 이후의 악곡 데이터의 음표 데이터를 판독하여, FIFO(31)가 전부 채워질 때까지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CPU(10)는 어디까지 악곡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검출하여, 다음에 전송해야 할 악곡 데이터의 선두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S25에서 CPU(10)는 재생 스타트 커맨드(Start)를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악음 생성부(15)는 전송된 음색 데이터, 템포 데이터, 및 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을 재생함으로써 멜로디음의 생성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악음 생성부(15)에 의해,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와 일치하는 스타트 포인트부터, 또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방의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에서부터의 멜로디음이 재생되어 방음된다.
악음 생성부(15)에 있어서의 악곡의 재생은, 단계 S27에서 CPU(10)가 악곡 종료 트리거를 검출할 때까지 실행된다. 악곡 종료 트리거가 검출되는 것은, 휴대 전화기(1)에서 입력부(17)의 착신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또는 보류 해제의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이다. 또한, 통신 회선의 차단이 이루어졌을 때에도 악곡 종료 트리거가 검출된다.
여기서, CPU(10)는 악곡 종료 트리거를 검출하면, 단계 S26에서 재생 스톱 커맨드 데이터(Stop)를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하여, 악음 생성부(15)의 동작을 정지함과 함께, FIFO(31)의 전체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계속해서, 단계 S28에서 CPU(10)는 악음 생성부(15)의 동작을 정지시킬 때에 재생하고 있었던 악곡 데이터에서의 최종 위치인 연주 종료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29에서, CPU(10)는 검출한 연주 종료 위치를, 단계 S29에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서 기입하고,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20에서 악곡 재생 트리거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를 종료한다.
상술한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에 따르면, 악음 생성부(15)에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입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부터 판독한 연주 개시 위치와 일치하는 스타트 포인트 또는 연주 개시 위치의 후방에서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 이후의 악곡 데이터가 재생되어 방음된다. 그리고, 연주 종료 위치가 연주 개시 위치 정보로서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되기 때문에, 다음 번에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가 기동했을 때에는, 정지한 연주 종료 위치 또는 정지한 연주 종료 위치보다 후방의 연주 개시에 적합한 위치에서부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화 단말 장치(1)에 있어서는,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 및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악음 생성부(15)는 악곡 데이터의 재생 중에, 인터럽트 요구 신호(IRQ)를 CPU(10)에 전송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 실행되는 인터럽트 요구 처리(IRQ 처리)의 흐름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된 제1 구성의 악음 생성부(15)의 구성을 참조하면서 인터럽트 요구 처리를 설명한다. 또, 도 4에 도시된 제2 구성의 악음 생성부(115)에서의 처리도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이 인터럽트 요구 처리는, 악곡 재생 메인 처리 1의 단계 S14와 단계 S15와의 사이, 또는 악곡 재생 메인 처리 2의 단계 S25와 단계 S26과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CPU(10)는 인터럽트 요구 신호를 검출하면, 인터럽트 요구 처리를 스타트하여, 단계 S30에서 악음 생성부(15)에서의 인터페이스(30) 내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 내의 음표 데이터 빈 플래그의 상태를 참조하여, 인터럽트 요구 신호의 원인이 음표 데이터 빈 신호(Empty)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음표 데이터 빈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던 경우에는, FIFO(31)의 음표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단계 S35에서 계속되는 음표 데이터를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하고, 인터럽트 요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인터페이스(30) 내의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음표 데이터 빈 플래그가 아니라 악곡 데이터 종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즉 악곡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한 경우에, CPU(10)는 단계 S30의 판별 결과를 NO라고 판단하여 단계 S31로 진행하고, 단계 S31에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악곡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악곡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32로 진행하여, CPU(10)는 다음에 재생해야 할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 및 템포 데이터를, RAM(11) 또는 ROM(12)으로부터 판독하여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계속해서, CPU(10)는 단계 S34에서 그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표 데이터를 FIFO(31)가 전부 채워질 때까지 선두부터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또한, 단계 S31에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악곡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33으로 분기하여, CPU(10)는 재생 종료한 악곡 데이터의 선두로 되돌아가, 단계 S34에서 그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 는 음표 데이터를 FIFO(31)가 전부 채워질 때까지 선두부터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한다. CPU(10)는 어디까지 전송하였는지를 검출하여, 다음에 전송해야 할 악곡 데이터의 선두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인터럽트 요구 처리를 종료한다.
또, 휴대 전화기(1)가 리세트된 경우에는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 정보가 초기화된다. 또한, 착신 멜로디의 악곡이 변경되었을 때에도 연주 개시 포인트 레지스터(36)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 정보가 초기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화 단말 장치(1)에 있어서의 악곡 재생 관련 처리나 전화 기능 처리는 CPU(10)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ROM(12)에 프리셋되어 있지만, RAM(11)에 외부 기기(20)로부터 인스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화 단말 장치(1)가 외부 기기(20)로부터 프로그램을 인스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프로그램의 교환이나 버전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20)는 CD-ROM, MO, HDD 등의 리무버블 디스크의 드라이브이어도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악음 생성부(15(115))에 있어서의 음원(33(133))은 주파수 변조 방식의 음원, 즉 FM 음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FM 음원은 주파수 변조에 의해 발생하는 고조파를 악음의 합성에 이용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회로로 비조화음을 포함하는 고조파 성분을 갖는 파형을 발생할 수 있다. FM 음원은 자연 악기의 합성음부터 전자음까지 폭넓은 악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FIFO(31)가 전부 채워질 때까지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표 데 이터를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하도록 했지만, 이 대신에 소정량의 음표 데이터를 FIFO(31)에 축적될 때까지 음표 데이터를 악음 생성부(15)에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FM 음원에서는 정현파를 등가적으로 발진하는 오퍼레이터라 불리는 발진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제1 오퍼레이터와 제2 오퍼레이터를 종속 접속함으로써 FM 음원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자신의 출력을 피드백하여 자신에게 입력하도록 해도 FM 음원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악음 생성부(15(115))에 있어서의 음원(33(133))의 음원 방식으로서는, FM 음원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파형 메모리 음원(PCM 음원, ADPCM 음원) 방식, 물리 모델 음원 방식 등으로 할 수 있으며, 음원의 구성으로서는 DSP 등을 이용한 하드웨어 음원이어도 되고, 음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 음원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전화 단말 장치는 상술한 휴대 전화기(1)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악음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기나, 악음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악곡 데이터에 복수 설정된 스타트 포인트에 기초하여 악곡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을 구비하여, 통지음의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억된 연주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임의의 위치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여 들을 수 있다.
또한, 통지음의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에, 재생되고 있던 악곡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해당 통지음 종료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를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함으로써, 연주 개시에 적합한 위치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지음의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스타트 포인트의 위치에서부터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를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로부터 선택하여, 해당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를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로서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함으로써,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에서부터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6)

  1. 통지음을 멜로디음에 의해 통지 가능한 전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연주 개시에 적합한 위치인 스타트 포인트가 복수 설정된 악곡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기억 수단;
    상기 악곡 데이터에 복수 설정된 스타트 포인트에 기초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 및
    상기 멜로디음에 의한 통지의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함으로써, 상기 악곡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연주 개시 위치에서부터 상기 멜로디음의 생성을 개시하는 악음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전화 단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음에 의한 통지의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악음 생성 수단은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함과 함께, 재생되고 있던 악곡 데이터의 재생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 중, 상기 재생 정지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대응하는 스타트 포인트를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하도록 하는 전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음에 의한 통지의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악음 생성 수단은,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함과 함께, 재생되고 있던 악곡 데이터의 재생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 중, 상기 재생 정지 위치에 가장 가까운 후방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타트 포인트를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하도록 하는 전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 생성 수단은, 상기 멜로디음에 의한 통지의 스타트가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 중,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 개시 위치에 가장 가까운 후방의 위치의 스타트 포인트에서부터 상기 멜로디음을 생성하도록 하는 전화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를 상기 복수의 스타트 포인트로부터 선택 가능함과 함께, 선택된 하나의 스타트 포인트를 상기 연주 개시 위치로서 상기 포인트 레지스터 수단에 기입하도록 하는 전화 단말 장치.
KR1020037015484A 2001-05-28 2002-05-22 전화 단말 장치 KR100566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8993A JP3775241B2 (ja) 2001-05-28 2001-05-28 電話端末装置
JPJP-P-2001-00158993 2001-05-28
PCT/JP2002/004952 WO2002097788A1 (fr) 2001-05-28 2002-05-22 Dispositif de terminal telepho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516A KR20040011516A (ko) 2004-02-05
KR100566460B1 true KR100566460B1 (ko) 2006-03-31

Family

ID=1900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484A KR100566460B1 (ko) 2001-05-28 2002-05-22 전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50971B2 (ko)
EP (1) EP1391872A4 (ko)
JP (1) JP3775241B2 (ko)
KR (1) KR100566460B1 (ko)
CN (1) CN1535457B (ko)
TW (1) TW580818B (ko)
WO (1) WO2002097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235B2 (ja) * 2000-05-29 2007-01-31 ヤマハ株式会社 楽曲再生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8588582B2 (en) * 2003-11-17 2013-11-19 Diana Lynn Fitzgerald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storage of randomly selected data
US8615157B1 (en) * 2003-11-17 2013-12-24 David C. Isaacson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storage of randomly selected data
KR20060013229A (ko) * 2004-08-06 2006-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벨 소리 재생 방법
US7164906B2 (en) * 2004-10-08 2007-01-16 Magix Ag System and method of music generation
US7738651B2 (en) 2005-10-17 2010-06-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n audio file in a mobile device
WO2007143948A1 (fr) * 2006-06-05 2007-12-21 Beijing Hi-Tech Wealth Investment & Development Co., Ltd procédé de contrôle de lecture de tonalité d'appel pour téléphone portab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2450C (fi) * 1992-12-21 1994-11-10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puhelimen soittoäänen muodostamiseksi ja menetelmän mukainen puhelin
JPH098874A (ja) * 1995-06-20 1997-01-10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着信音鳴動・停止方式
JPH0918550A (ja) * 1995-06-28 1997-01-17 Daini Denden Kk 呼出音可変移動通信用端末機器
JPH0973461A (ja) * 1995-09-06 1997-03-18 Shinano Kenshi Co Ltd 音声による文章情報再生装置
US6058171A (en) * 1996-08-14 2000-05-02 Oakley Telecom, Lc Unique ring caller ID
US6418330B1 (en) * 1998-09-14 2002-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various ring tones in radio terminal
JP3546801B2 (ja) * 1999-03-24 2004-07-28 ヤマハ株式会社 波形データ生成方法、波形データ記憶方法、波形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1060991A (ja) * 1999-06-15 2001-03-06 Nec Saitama Ltd 移動通信装置の着信音制御方法および着信音制御装置
GB2353442B (en) * 1999-06-15 2003-08-27 Nec Corp Ringing tone control method and device
JP3596401B2 (ja) * 2000-01-25 2004-12-02 ヤマハ株式会社 携帯電話機
WO2001099391A1 (fr) * 2000-06-22 2001-12-27 Helios Co., Ltd. Terminal de transmission, procede de transmission d'une melodie d'attente, procede de lecture d'une melodie entrante et support de stockage de donnees
US6947728B2 (en) * 2000-10-13 2005-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music data reproduction method by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and the program thereof
JP2002185570A (ja) * 2000-12-14 2002-06-2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5457A (zh) 2004-10-06
US20040176149A1 (en) 2004-09-09
JP2002351467A (ja) 2002-12-06
TW580818B (en) 2004-03-21
CN1535457B (zh) 2011-05-25
US7450971B2 (en) 2008-11-11
KR20040011516A (ko) 2004-02-05
WO2002097788A1 (fr) 2002-12-05
EP1391872A4 (en) 2008-12-03
JP3775241B2 (ja) 2006-05-17
EP1391872A1 (en)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536B1 (ko) 작곡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악곡 작곡 방법, 및 악곡 작곡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00452808C (zh) 电话终端装置和通信方法
KR100450871B1 (ko) 휴대전화 및 음악 재생방법
KR100469215B1 (ko) 전화단말장치
KR100496620B1 (ko) 악곡 재생 장치, 휴대 단말 장치, 악곡 재생 방법, 및기억 매체
JP3862061B2 (ja) 楽音再生装置および楽音再生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装置
KR100578588B1 (ko) 악곡 재생장치
KR100566460B1 (ko) 전화 단말 장치
JP3821352B2 (ja) 電話端末装置
JP3279293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JP3641999B2 (ja) 楽曲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3279298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JP3642039B2 (ja) 楽音再生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3982532B2 (ja) 楽音再生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1345886A (ja) 電話端末装置
JP2004240333A (ja) 音声生成方法及び音声生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