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183B1 -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183B1
KR100565183B1 KR1019980052832A KR19980052832A KR100565183B1 KR 100565183 B1 KR100565183 B1 KR 100565183B1 KR 1019980052832 A KR1019980052832 A KR 1019980052832A KR 19980052832 A KR19980052832 A KR 19980052832A KR 100565183 B1 KR100565183 B1 KR 10056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gear
deck
optical disc
disc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994A (ko
Inventor
진홍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1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6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9/275Gear wheel drive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를 절환시키기 위해 고가인 스태핑모터가 사용되므로 제조 가격이 비싸지게 되고, 또한, 스태핑모터 및 기어류의 부품이 장착되어 메인베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전체에 높이방향으로 크기가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데크와 면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부품 용적률에도 불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스핀들모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를 절환시키도록 구성하여 고가인 스태핑모터의 사용을 배제하고 구성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세트의 원가를 절감시키고, 또한 데크를 낮게 구성하여 세트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을 소형화하고 아울러 데크에 면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에 회로 부품의 용적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
본 발명은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구성 부품의 구조를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품이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플레이어는 자기 헤드에 의해서 디스크에 녹음을 하게 되며 광 픽업(Pick-up)에 의해 재생을 하게 된다. 상기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는 기본적으로 레코드할 때 디스크에 헤드를 부착시키고 플레이할 때 헤드를 해제시키기 위해 모터와 감속기어들과 여러 가지 링크를 사용하여 이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광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를 절환시키는 종래의 구조는, 도 1a,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메인베이스(1)에 결합되는 모터브라켓(2)에 스태핑모터(3)가 장착되고 그 스태핑모터(3)의 측부에 스태핑모터(3)와 연결되는 구동모터기어(4) 및 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5)와 일체로 형성되는 워엄기어(6)가 결합되며 그 측부에 워엄기어(6)와 맞물리는 기어휠(7)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메인베이스(1)에 결합된 가이드핀(8)이 삽입되는 장공(11)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 상기 기어휠(7)과 맞물리는 기어부(12)가 형성되며 그 기어부(12)의 측부에 단자부(13)가 형성된 모드플레이트(10)가 상기 메인베이스(1)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베이스(1)의 일측에 모드플레이트(10)의 움직임시 링크에 의해 헤드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연동시키는 절곡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13)의 측부에 모드스위치(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드스위치(9)의 측부에 스핀들모터(20) 및 기록을 재생시키는 픽업(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 절환장치는, 레코드 모드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핑모터(3)가 작동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구동모터기어(4)가 회전하여 워엄기어(6)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워엄기어(6)의 회전에 의해 기어휠(7)이 회전하면서 이와 맞물린 모드플레이트(10)의 기어부(12)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모드플레이트(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모드플레이트(10)는 가이드핀(8)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모드플레이트(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모드플레이트(10)의 절곡부(14)가 헤드와 연동되는 링크를 움직여 헤드가 디스크에 압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모드플레이트(10)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모드플레이트(10)의 단자부(13)와 모드스위치(9)가 떨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젝트 모드 또는 플레이 모드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핑모터(3)가 역회전하게 되면 그 구동력이 구동모터기어(4), 종동기어(5), 워엄기어(6) 그리고 기어휠(7)에 전달되며 이어 기어휠(7)에 맞물린 모드플레이트(10)의 기어부(12)에 전달되어 기어부(12)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모드플레이트(10)가 가이드핀(8)에 안내되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모드플레이트(1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헤드가 디스크에서 해제된다. 이때, 모드플레이트(10)의 단자부(13)가 모드스위치(9)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과정에서 데크의 기본적인 동작 흐름을 보면, 일단 세트(Set)에 파워(Power)가 들어오면 모터는 무조건 모드플레이트(10)를 아래로 이동시켜 모드스위치(9)가 온 상태가 될 때까지 움직인다. 이후 레코드 명령이 들어오게 되면 모터를 정해진 일정한 양 만큼 움직여 모드플레이트(10)를 레코드 상태까지 움직인다. 이때 정확한 위치를 움직이기 위해서 모터는 스태핑모터(3)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를 절환시키는 장치는 모드플레이트(10)를 움직이기 위해 스태핑모터(3)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조 가격이 비싸지게 되고, 일반 모터를 사용하게 될 경우 모드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모드스위치(9)를 두 개 사용해야 되므로 가격이 비싸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모터나 기어류의 부품이 설치되어 메인베이스(1)의 높이 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전체에 높이방향으로 크기가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을 데크 바닥쪽에 평행하게 설치하게 되므로 회로 부품의 용적율에도 불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구성 부품의 구조를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품이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베이스에 장착되는 정역 회전 가능한 스핀들모터와; 스핀들모터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드부재와; 메인베이스에 설치되어 모드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온오프되는 모드스위치와; 모드부재의 이동을 탄성 지지하여 모드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모드스프링과; 모드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모드부재가 원위치로 복원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부재와; 메인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픽업과 연동하여 고정부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스핀들모터의 일방향 회전은 모드부재에 전달하여 모드부재가 모드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스핀들모터의 타방향 회전은 모드부재에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회전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 회전력 전달수단은, 스핀들모터의 회전자에 형성된 회전자 기어부와; 회전자 기어부에 맞물리는 입력기어와 동축으로 설치되며 입력기어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입력기어와 일체로 회전하고, 입력기어의 타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입력기어에 대하여 헛도는 출력기어를 가지는 일방향 클러치 기어와; 모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출력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부재는, 메인베이스에 결합된 가이드핀에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기어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기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헤드와 연결되는 절곡부와; 모드위치와 접촉되도록 몸체부에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모드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연장부와; 연장부의 단부에 후크형태로 형성되어 해제수단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제수단은, 일측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메인베이스의 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플레이트와; 오픈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오픈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는, 도 3a,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베이스(1)와, 메인베이스(1)에 장착되는 정역 회전 가능한 스핀들모터(20)와, 메인베이스(1)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드부재(50)와, 모드부재(5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모드부재(50)에 탄성 결합된 모드스프링(60)과, 모드부재(50)에 일체로 결합하여 모드부재(50)에 탄성 결합된 모드스프링(60)과, 모드부재(50)에 일체로 결합하여 모드부재(50)가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부재(70)와, 메인베이스(1)의 측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픽업(30)과 연동하여 고정부재(70)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수단(80)과, 스핀들모터(20)의 일방향 회전은 모드부재(50)에 전달하여 모드부재(50)가 모드스위치(9)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스핀들모터(20)의 타방향 회전은 모드부재(50)에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회전력 전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회전자(21)에 기어치형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전자 기어부(21a)가 구비되어 메인베이스(1)에 장착되는 스핀들모터(20)와, 상기 스핀들모터(20)의 회전자 기어부(21a)에 맞물려 스핀들모터(20)와 함께 연동되는 일방향 클러치 기어(40)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51)에 메인베이스(1)에 결합된 가이드핀(8)에 삽입되는 장공(5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51)의 일측에 상기 일방향 클러치 기어(40)와 맞물리는 기어부(53)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53)의 타측에 헤드와 연결되는 절곡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51)에 모드스위치(9)와 접촉되는 단자부(55)가 구비되어 이루어져 상기 일방향 클러치 기어(4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핀(8)에 안내되어 움직이는 모드부재(50)와, 상기 모드부재(5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모드스프링(60)과, 상기 모드부재(50)에 일체로 결합되어 모드부재(50)가 설정위치로 이동시 그 위치를 걸어 모드부재(50)가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70)와, 상기 메인베이스(1)의 측부에 설치되어 기록을 재생시키는 픽업(30)과 연동되어 고정부재(70)의 고정을 푸는 해제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방향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스핀들모터(20)의 회전자(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21a)와; 상기 회전자 기어부(21a)에 맞물리는 입력기어(41)와 이 입력기어(41)와 동축으로 설치되며 입력기어(41)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입력기어(41)와 일체로 회전하고 입력기어(41)의 타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입력기어(41)에 대하여 헛도는 출력기어(42)를 가지는 일방향 클러치 기어(40)와; 상기 모드부재(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출력기어(42)와 맞물리는 기어부(53)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기어(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입력기어(41)와 출력기어(42)가 일체로 회전하여 스핀들모터(20)의 회전력이 회전자 기어부(21a), 입력기어(41), 출력기어(42), 기어부(53)를 통해 모드부재(50)에 전달되며, 입력기어(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입력기어(41)와 출력기어(42)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여 출력기어(42)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스핀들모터(20)의 회전력이 모드부재(50)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모드부재(5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드스프링(60)은 일측이 메인베이스(1)에 고정되고 타측이 모드부재(50)의 일측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70)는 상기 모드부재(50)에 결합되는 결합부(71)와 상기 결합부(71)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절곡 연장된 연장부(72)와 상기 연장부(72)의 단부에 후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해제수단(80)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부(73)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7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이 절곡 형성된다.
상기 해제수단(8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일측 단부에 걸림턱(81a)이 형성되어 메인베이스(1)의 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플레이트(81)와 상기 오픈플레이트(8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오픈스프링(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드부재(50)의 단자부(53) 측부에 위치하도록 메인베이스(1)에는 모드스위치(9)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코드 모드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모터(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일방향 클러치 기어(40)의 입력기어(41)와 출력기어(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출력기어(42)에는 모드부재(50)의 기어부(53)가 맞물려 있으므로 출력기어(42)와 기어부(53)의 작용에 의하여 모드부재(50)가 가이드핀(8)에 안내되어 상측(도면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핀들모터(20)는 모드부재(50)의 단자부(55)가 모드스위치(9)에 접촉되어 모드스위치(9)가 온(ON) 상태를 인식할 때 까지 회전한 후 정지하게 된다. 이상태는 모드부재(50)와 함께 고정부재(70)가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해제수단(80)의 오픈플레이트(81) 일측 단부에 만나 탄성을 받으면서 시계방향으로 젖혀졌다가 복귀되면서 고정부재(70)의 걸림부(73)가 오픈플레이트(81)의 단부에 걸려 모드부재(50)가 고정되며 이때 모드부재(50)는 인장된 모드스프링(60)에 의해 복원력을 받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모드부재(5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모드부재(50)의 절곡부(54)가 헤드를 움직이는 링크를 연동시켜 헤드가 디스크에 압착된다.
상기 픽업(30)은 좌우(도면상)로 움직이게 되는데, 우측 실선 상태에서 좌측 점선부까지가 디스크의 신호를 재생 또는 기록하는 최대영역이다. 따라서 픽업(30)은 디스크에 기록 재생하는 정상동작 상태에서는 이 영역에서만 움직이게 된다. 이때 픽업(30)의 상측 단부가 가장 좌측으로 움직여도 오픈플레이트의 걸림턱(81a)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젝트 또는 플레이 모드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30)이 디스크 엔드 포지션(Disc end position)을 지나 조금 더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픽업(30)의 단부가 오픈플레이트의 걸림턱(81a)을 밀게 되어 오픈플레이트(8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오픈플레이트(81)의 타측 단부에 걸려 있던 고정부재(70)의 걸림부(73)를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70)의 고정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인장된 모드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모드부재(50)가 가이드핀(8)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측(도면상)으로 이동하게 되며 모드부재(50)는 가이드핀(8)에 의해 정해진 위치까지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핀들모터(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방향 클러치 기어(40)가 모드부재(5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데크의 동작 순서는 파우어가 온 되면 스핀들모터(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레코드 모드시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그 후 스핀들모터(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픽업(30)을 움직여 신호를 기록 재생하게 된다.
다시 플레이 또는 이젝트를 시킬수 있는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픽업(30)을 좌측 끝으로 이동시키고 모드부재(50)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 스핀들모터(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레이를 행하거나 스톱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스핀들모터(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자 기어부(21a)에 맞물려 있는 입력기어(4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모드부재(50)의 기어부(53)에 맞물려 있는 출력기어(42)는 헛돌게 되므로 모드부재(5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를 절환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스태핑모터(3)를 사용하지 않고 스핀들모터(20)를 이용하여 헤드 구동 및 데크 모드를 절환시키게 되므로 고가인 스태핑모터(3)의 사용을 배제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이 줄어들고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종래 워엄기어(6) 및 스태핑모터(3)가 메인베이스(1)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메인베이스(1)의 높이 방향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일방향 클러치 기어(40) 및 기타 부품이 메인베이스(1)와 수평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메인베이스(1)의 높이 방향으로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됨으로써 데크를 낮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는 고가인 스태핑모터의 사용을 배제하고 구성 부품수를 줄이게 됨으로써 세트의 원가를 절감시키게 되고, 또한 데크를 낮게 구성하게 됨으로써 세트의 두께를 감소시켜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데크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데크에 면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에 회로 부품의 용적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b는 상기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광디스크 플레이어 데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 데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 데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 데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베이스 8 ; 가이드핀
20 ; 스핀들모터 21 ; 스핀들모터 회전자
21a ; 회전자 기어부 30 ; 픽업
40 ; 클러치 기어 50 ; 모드부재
51 ; 모드부재 몸체부 52 ; 모드부재 장공
53 ; 모드부재 기어부 54 ; 모드부재 절곡부
55 ; 모드부재 단자부 60 ; 모드스프링
70 ; 고정부재 71 ; 고정부재 결합부
72 ; 고정부재 연장부 73 ; 고정부재 걸림부
80 ; 해제수단 81 ; 오픈플레이트
81a ; 오픈플레이트 걸림턱 82 ; 오픈스프링

Claims (5)

  1. 메인베이스에 장착되는 정역 회전 가능한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드부재와;
    상기 메인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모드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온오프되는 모드스위치와;
    상기 모드부재의 이동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모드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모드스프링과;
    상기 모드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모드부재를 고정하여 상기 모드부재가 원위치로 복원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픽업과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상기 스핀들모터의 일방향 회전은 상기 모드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모드부재가 상기 모드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핀들모터의 타방향 회전은 상기 모드부재에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회전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자에 형성된 회전자 기어부와;
    상기 회전자 기어부에 맞물리는 입력기어와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입력기어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기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입력기어의 타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기어에 대하여 헛도는 출력기어를 가지는 일방향 클러치 기어와;
    상기 모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출력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부재는,
    상기 메인베이스에 결합된 가이드핀에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기어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기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헤드와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모드스위치와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모드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후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해제수단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일측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베이스의 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플레이트와;
    상기 오픈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오픈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장치.
KR1019980052832A 1998-12-03 1998-12-03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장치 KR10056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832A KR100565183B1 (ko) 1998-12-03 1998-12-03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832A KR100565183B1 (ko) 1998-12-03 1998-12-03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994A KR20000037994A (ko) 2000-07-05
KR100565183B1 true KR100565183B1 (ko) 2006-06-22

Family

ID=1956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832A KR100565183B1 (ko) 1998-12-03 1998-12-03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1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994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7386B1 (en) Disk player
US7503054B2 (en) Optical disk device
JP2006155854A (ja) 車両用ディスク再生装置
KR950008090B1 (ko)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구동장치
KR100565183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장치
JPH0821221B2 (ja) デイスク再生装置
US6330216B1 (en) Recording medium transfer apparatus
KR890004236B1 (ko)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JP2962994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ディスク取出し装置
JPH0198160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S6144293Y2 (ko)
JP4207780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1134749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96300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ディスク取り出し装置
JP3587310B2 (ja) 記録媒体ローディング装置および記録媒体搬送制御方法
KR100267910B1 (ko) 광기록 매체 트레이 취출 장치
KR200158386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리드인 위치 제어장치
JP2000149368A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その方法
JPH059558Y2 (ko)
JP314778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44198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0143908B1 (ko) 선택 구동장치
KR100476177B1 (ko) 디스크 재생장치
KR970003489Y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ini disc player)의 바이어스 자계코일헤드 구동장치
KR200161677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버의 백레쉬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