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236B1 -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 Google Patents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236B1
KR890004236B1 KR1019850005724A KR850005724A KR890004236B1 KR 890004236 B1 KR890004236 B1 KR 890004236B1 KR 1019850005724 A KR1019850005724 A KR 1019850005724A KR 850005724 A KR850005724 A KR 850005724A KR 890004236 B1 KR890004236 B1 KR 890004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m
needle
center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775A (ko
Inventor
에이시 고이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젠
와다나베 가즈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젠, 와다나베 가즈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젠
Publication of KR86000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01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with vibrating mechanical coupling means between pick-up element and sound producing el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8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 G11B3/095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for repeating a part of the record; for beginning or stopping at a desired point of the record
    • G11B3/0952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for repeating a part of the record; for beginning or stopping at a desired point of the record using automatic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Toy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제 1 도는, 제 1 실시예의 하우징을 제거한상태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실시예의 중앙길이방향의 세로단면도.
제 3 도는, 바늘누름해제기구의 일부를 확대하고, 또한 일부를 절취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상태로부터 바늘누름해제기구가 작동한 상태로 이행한 모양을 표시하는 중앙길이방향의 세로 단면도.
제 5 도는, 스위치구성이 다른 제 2 실시예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제 6 도는, 제 3 실시예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제 7 도는, 제 3 실시예의 중앙길이방향의 세로 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상태로부터 바늘누름해제기구가 작동을 한 상태로 이행한 모양을 표시한 중앙길이방향 세로단면도.
제 9 도는, 제 3 실시예의 바늘누름해제기구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단면도.
제10도는, 제 4 실시예의 중앙길이방향 세로단면도.
제11도는, 제10동의 상태로부터 바늘 누름해제기구가 작동한 상태로 이행한 모양을 표시한 중앙길이방향세로 단면도.
제12도는, 레코오드판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성기어 1a : 제 1 기어
1b : 제 2 기어 1c : 제 3 기어
2 : 간헐부 3 : 레코오드판
4 : 센터기어 6 : 음전달부재
7 : 캠부재 7a : 한쪽의 캠편
7b : 다른쪽의 캠편 8 : 요동아암
9 : 바늘누름스프링 10 : 스피이커다이아프램
P : 픽업
본 발명은,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픽업의 바늘누름을 해제하여, 그 픽업이 재생시점으로 복귀하는 타이밍을, 복수의 녹음홈을 가진 레코오드판의 회전시에 그 녹음홈의 도입부와 잘 맞도록 하는 타이밍에 관하여 불규칙하게 하여, 불규칙적인 녹음내용의 재생을 즐길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램덤선택재생을 의도한 간이음향재생기로선, 일본국 특원소 55-35787호 공보나, 이것을 기초로한 미국특허제 4027887호 명세서에 개시된 것이 있었다.
이것은, 바늘누름 해제용의 요동아암에, 상향식 캠을 일체가 되게 형성한 유성기어를 분담지지시키고, 또한 레코오드한 중심에 센터기어를 레코오드판과 일체로 회전할수 있게 고정하고, 한쪽지지식으로 가설한 음전달부재를, 상기 상향식 캠에 의하여 윗쪽으로 들어올릴수 있게 배치하여, 픽업이 재생종점에 이르게 되면, 요동아암을 눌러서 상기 유성기어가 상기 센터기어를 맞물리게하고, 상기 센터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유성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캠을 작동시켜서 바늘누름을 해제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바늘누름해제의 타이밍을, 유성기어를 통하여 부품점수를 증가하여, 이런종류의 장치에 흔히 있는 장치의 덜거덕거림을 이용해서 불규칙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종래기술의 불규칙성은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여러차례의 재생을 하는 중에는, 아무래도 동일한 녹음홈을 선택주사하는 경향을 가져온도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 경향은, 장치를 정밀하게 만들수록 현저하게 나타나서, 부품점수를 증가했다고 하는 장점이, 불규칙재생 선택이라는 관점으로볼때는 충분치가 못한것이 되어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예를들면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간이음향재생기의 구조를, 유성기어(1)에, 부분적으로는 기어끝이 회전방향으로 긴 간헐부(2)를 형성하게 하여, 이 간헐부(2)가, 상기 유성기어(1)와 레코오드판(3)의 중심부에 설치한 센터기어(4)를 포함한 기어연락계통속에서 맞물리는 상대방기어의 기어끝에 닿을수 있도록 구성하고, 바늘누름해제용 요동아암(8)이 픽업(9)에 눌려 재생 종점에 가까워졌을때 상기 유성기어(1)는 상기 센터기어(4)에 서로 맞물리게할수 있게하고, 또한 상기 레코오드판(3)과, 캠부재(7)를, 2개의 캠편(7a), (7b)으로하여 축방향으로 겹쳐서비틀려서 길게되는 구조로 하여, 상기 레코오드판(3)과 상기 음전달부재(6)사이에 배치함과 동시에, 한쪽의 캠편(7a)은 상기 유성기어(1)에 대하여 직접으로 또는 간접으로 연락을 할수있게하여, 그로 인하여 상기 유성기어(1)가 상기 센터기어(4)를 포함하는 기어연락계통속에서 서로 맞물리는 상대방기어의 기어끝에 닿아서, 상기 센터기어(4)로부터 받는 구동력에 대항하여 정지하였을때에, 상기 유성기어(1)에 대하여 직접으로, 또는 간접으로 연락하고 있는 캠부재(7)의 상기 한쪽의 캠면(7a)도 정지를시켜, 상기 캠부재(7)에 비틀어짐과 캠작용에 의하여 길게 될수있게 하여, 바늘누름을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간헐부(2)의 불확적한 위치로 되는 것을 이용하여, 바늘누름해제를 위한 캠부재의 비틀어짐을 가져오는 타이밍을 불확정되게 하였다.
[실시예]
제1실시예
제 1 도, 제 2 도, 제 3 도, 그리고 제 4 도에 설명한 것은, 제 1 실시예에 해당되며, 제 5 도에 표시한것은 스위치회로가 약간 차이가 있게 된것이나, 주요부분은 제 1 실시예라고 생각하여도 좋은 것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즉, 특히, 제 1 도, 제 2 도에서와 같이, 케이싱(20)은, 샤시(20a)와, 덮어씌우듯이하여 조합한 하우징(20b)으로 이루어진다.
샤시(20a)의 윗면은, 중간판(20c)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하우징(20b)에는 스피이커박스(24)가 형성되고 있으며 여기에 스피이커다이아프램(10)이 수납되어 있다.
이 스피이커다이아프램(10)은, 그 저면부에 음전달부재(6)를 일체로 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음전달부재(6)는, 특히 제 1 도로서도 명백한바와 같이 평면 Y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두갈래로 갈라진 양쪽 선단부에 있어, 중간판(20c)위에 세워설치한 포스트(49)의 상단에 지지되고, 나머지는 다른 단부가 상하로 요동될수 있게, 말하자면 한쪽지지식으로 지지되고 있다. 또한 아래위로 요동하는 다른 단부에는, 상기 스피이커다이아프램(10)이 고정착설되어 분담되어지고 있다.
샤시(210c)내에는, 센터핀(50)에 의해서 레코오드판(3)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으며, 이 레코오드판(3)에는, 제12도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6개의 녹음홈(23)이 그레코오드판(3)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재생시점으로하여 도입부를 배치하여 형성되고 있다.
또한, 도면중(M)는 전동기를 말하며, 중간판(20c)의 케이싱의 한쪽 단부에 올려놓여 고정되고 있으며, 그 출력축(41)은, 샤시(20a)의 안에 뻗어 설치되고 있다.
중간판(20c)위에는, 픽업(P)과 바늘누름해제용의 요동아암(8)이, 각각의 후단부에서, 복귀스프링(44), (45)에 의해서 상기 레코오드판(3)의 재생시점의 방향과 윗쪽으로 탄력적으로 항상 힘이 가해져 있는 상태로 피버트착설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8a)는, 요동아암(8)선단부에 돌출되어 있는 탄력성있는 조작레버를 말하며, 이것은 상기 픽업(P)선 단부의 선회궤도상에 향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N)은 재생용바늘이며, 픽업(P)의 선단부 아랬쪽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43)은 배테리박스, (B)는 배테리를 말한다. 또한 (SW2)는 제 2 스위치이고, 재생시점의 픽업복귀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그 픽업(P)이 재생시점에 복귀를 하면 전동기(M)에 대한 통전을 차단한다.
(SW1)은 제 1 스위치이고, 이것은, 전체의 전원조작을 행한다. 이 제 1 스위치(SW1)에는, 케이싱(20)의 바깥쪽에서 조작을 하기위한 조작버턴(47)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42)는 가변저항기를 사용한 속도콘트롤러이다.
음전달부재(6)가 두갈래로 된 부분의 위에서, 리이프(Leaf)형상으로된 바늘누름스프링(9)이 걸려서, 음전달부재(6)를 아랫쪽을 향해 탄력적으로 힘을 가해주고 있다.
샤시(20c)의 윗면이고 레코오드판(3)의 중심부 윗쪽에는, 일시멈춤용 브래킷드(48)가 가설되고 있다.
레코오드판(3)의 중심부에는, 그 센터핀을 이용해서 캠부재(7)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것은, 윗쪽에 센터기어(4)를 같은 축으로 하여 일체가되게 구성하고 있는 한쪽의 캠편(7a)과, 그 축방향아래에서 레코오드판(3)과 일체가 되게 배치한 다른쪽의 캠편(7b)으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레코오드판(3)이나 캠부재(7)도, 센터핀(5)애 대해서는 회전방향이 자유롭도록 착설되고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는, 이 캠부재(7)는, 그들의 캠편(7a), (7b)의 캠면이, 전면이 접합되여 안정된 상태에 있지만, 레코오드판(3)이 회전한채 위에 있는 한쪽의 캠면(7a)이 정지를 하면, 아래에 있는 다른쪽의 캠편(7b)만이 회전을 하여, 제 4 도와 같이 비틀어짐이 생겨서 캠면이 떨어지고, 캠부재(7)로서는 신장하게 된다.
제 3 도에 상세하게 표시된바와 같이, 센터기어(4)에는, 그 윗면에 오목한 부분을 만들어, 그 중심에는 상기 센터핀(50)과는 축이 동일하면서 또한 별개로 되어있는 누름봉(21)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고, 이것을 에워싸듯이하여 캠안정용스프링(25)이 상기 오목한 부분과 상기 브래킷트(45)의 아랫면사이에 눌려설치되고 있다.
이 누름봉(21)은, 상기 브래킷트(48)에 뚫은 구멍을 통하여 윗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음전달부재(6)의 두갈래로 되어 있는 부분의 아랫면보다 약간 아랬쪽으로, 그 선단을 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기어(4)의 사익 오목한 부분 둘레가장자리의 윗면과, 그 면에 대면하는 브래킷트(48)의 아랫면에는, 마찰클럿치(27b), (27a)가 형성되고 있으며, 제 4 도에서와 같이 캠부재(7)가 최대로 신장하였을때 서로 맞물려서, 그 캠부재(7)가 최대로 신장한 상태에 있을때에만 센터기어(4)의 회전을 지지할수 있게하고 있다.
제 1 도에 있어서, 요동아암(8)선단부에 피버트착설되어 있는 것은, 유성기어(1)이며, 이것은, 거의 모든 기어의 피치가 상기 센터기어(4)의 피치에 합치가되고 있으며, 이것은 센터기어(4)와 맞물리고 있을때에는, 그 센터기어(4)의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을 하지만 부분적으로 기어끝을 길게한 간헐부(2)를 2개소 마련하고 있어, 그중 어느것이든 한개의 간헐부(2)가 센터기어(4)와의 맞물림할수 있는 치합부에 이르게 되면, 거기서 기어로서의 맞물림이 저해당하여, 센터기어(4)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제2도, 제4도에서, (40)은 벨트이며, 이것에 의하여 전동기(M)의 출력축(41)과, 레코오드판(3)이 구동 연락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제 1 스위치(SW1)가 조작버턴(47)에 의해서 온상태로 되면, 전동기(M)에 통전이되어, 레코오드판(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 바늘누름스프링(9)에 의해서 이미픽업(P)의 재새용바늘(N)에 바늘누름이 걸려 있음으로, 픽업(P)은, 제12도에 표시한 녹음홈(23)의 한개에 잘맞게끔 되어, 재생을 하면서 재생종점의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을 한다. 그렇게 되면, 지금까지 픽업(P)에 지지되어 오프의 상태로 있었던 제 2 스위치(SW2)는 온이 되어, 조작버턴(47)의 누름압력을 해제하여 제 1 스위치(SW1)를 오프로하여도, 전동기(M)로의 통전은 유지되면선 레코오드판(3)의 회전은 계속되어간다.
이와같이하여, 녹음의 재생이 진행되어 픽업(P)이 레코오드판(3)의 중삼부에 있는 재생종점에 이르면, 요동아암(8)으 조작레버(8a)에 닿아서, 이것을 밀어 요동아암(8)의 선단부와 함께 유성기어(1)를 센터기어(4)쪽으로 이동을시켜, 유성기어(1)를 센터기어(4)에 맞물리게 한다.
센터기어(4)는, 이때에, 레코오드판(3)과 함께 회전하고 있음으로, 유성기어(1)까지도 회전을 시키지만, 이 유성기어(1)의 간헐부(2)가 센터기어(4)의 맞물리는부에 이르게되면, 그 부분이 센터기어(4)의 기어끝에 닿아서, 유성기어(1)와 센터기어(4)와는, 기어로서의 작용은 하지않게 되고 함께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센터기어(4)가 정지하게 됨으로서, 이것과 일체가 되어있는 상기 캠부재(7)의 한쪽 캠편(7a)도 회전을 중지한다, 그러나, 레코오드판(3)과 캠부재(7)의 다른쪽 캠편(7b)는 여전하게 회전을 계속하고 있음으로, 캠부재(7)의 캠면에는 비틀어짐을 가져오게 되어, 제 4 도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캠작용에 의해서 캠부재(7)는 신장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누름본(21)이 상승하게되고, 음전달부재(6)를 밀어올린다. 그리하여 음전달부재(6)는, 바늘누름스프링(9)의 탄력에 저항해서 상승하고, 픽업(P)은 바늘누름이 해제되여 복귀스프링(44)의 탄력에 의해서 레코오드판(3)의 녹음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윗쪽으로 힘이 가해져 이행을 하여 재생시점으로 복귀이동을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요동아암(8)도, 픽업(P)의 누름압력 지지가 없어지는 것에 의하여 재생시점의 방향으로 이동복귀 한다.
이경우에, 센터기어(4)는, 유성기어(1)에 의한 회전을 저지시키는 수단을 잃어버리게 되지만, 마찰클럿치(27a), (27b)가 서로 물고 있음으로, 센터기어(4)는, 레코오드판(3)과 캠부재(7)의 다른쪽 캠편(76)이 회전을 하여 캠부재(7)의 길이가 축소하여 상기 마찰클럿치(27a), (27b)가 완전히 떨어질때까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수가 있게된다.
따라서, 캠부재(7)의 한쪽 캠편(7a)은, 센터기어(4)와 함께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며, 다른쪽의 캠편(7b)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피할수가 있게되며, 캠부재(7)가 신장한 상태를 언제가지나 유지하면서 바늘누름이 걸리지않은 상태대로 있게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된다.
그리하여, 캠부재(7)의 캠면이 전체면으로 접합하여 원래이 길이로 회복을 하면, 재생시점으로 복귀하고 있는 픽업(P)에 바늘누름이 걸려 아래로 내려와서, 재생용바늘(N)은 레코오드판(3)의 녹음면에 잘 맞아지게 된다.
이 재생용바늘(N)이 레코오드판(3)의 녹음면으로 내려오는 타이밍은, 픽업(P)에 걸려있는 바늘누름을 해제하는 타이밍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그것은, 레코오드판(3)이 회전하는 동안에 복수의 녹음홈(23)중에서 어는 녹음홈에 잘맞도록 내려올 것인가 까지도 결정을 한다. 그것은, 캠부제(7)이 신장동작에 의해서 음전달부재(6)가 들어올려지는 타이밍과 일치하며, 그 타이밍은 유성기어(1)에 형성한 간헐부(2)가, 유성기어(1)가 센터기어(4)에 맞물릴때에 회전위상의 어느 위치에 있었는가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런데 유성기어(1)는, 요동아암(8)에 자유로이 피버트 착설되어 있음으로, 재생음의 진동이나 장치조작의 충격등에 의해서 자연히 회전되는 것이고, 케이싱(20)의 바깥쪽으로 부터는 간헐부(2)의 위치를 확인할 수가 없는 것이며, 또 그 회전위상에 있어서의 위치는 불규칙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복수의 녹음홈(23)은, 케이싱(20)의 바깥쪽으로부터는 확인을 할수 없다. 뿐만아니라 픽업(P)의 불규칙한 타이밍밑에서 재생시점으로 복귀하는 것과, 레코오드판(3)의 녹음면에서 하강에 의해서 선택이 된다.
픽업(P)이 재생시점으로 복귀를 하면, 픽업(P)은, 제 2 스위치(SW2)를 지지하여 오프로 만들고, 전동기(M)에 의 통전을 차단하여, 레코오드판(3)의 회전을 정지한다.
제2실시예
제 5 도에는,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와는 같은 구성이나, 이것을 연속적 재생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 2 스위치(SW2)를 없이한 예가 표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픽업(P)이 재생시점에 복귀하였을때에 전동기(M)에의 통전은 차단되지 않음으로, 제 1 스위치(SW1)가 온으로 되어 있으며, 불규칙하게 녹음홈(23)을 선택해서 연속재생을 할수있게 된다.
제3실시예
제 6 도, 제 7 도, 제 8 도, 제 9 도에는 제 3 실시예가 표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바늘누름해제기구(11)중에서 캠부재(7)와 누름봉(29)이,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요동아암(8)에 있어 누름봉(29)이 동작을 하여 음전달부재(6)를 들어올릴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성기어(1)는,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된 캠부재(7)의 한쪽의 캠편(7a)에 고정된 제 1 기어(1a)와 상기 캠부재(7)의 다른쪽 캠편(7b)에 고정되어 상기 센터기어(4)를 맞물리는 제 2 기어(1b)와, 상기 제 2 기어(1b)가 상기 센터기어(4)를 맞물리게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기어(1a)와도 맞물릴수가 있게 중간판(20c)의 적당한 위치에 피버트지지된 제 3 기어(1c)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제 2 기어(1b)에는, 간헐부(2)가 형성되고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으나, 이 간헐부는 제 3 기어(1c)에 형성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유성기어(1)에 있어서, 제 1 기어(1a)가 센터기어(4)를 맞물려서 제 1 기어(1a)가 센터기어(4)를 맞물려 회전하고 있을때에 제 2 기어(1b)가 제 3 기어(1c)와 맞물려서 소정의 회전을 하고난 후에, 상기 간헐부(2)의 작용으로, 캠부재(7)의 한쪽의 캠편(7b)만의 회전을 멈출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바늘누름해 제기구(11)의 동작은, 캠부재(7), 누름봉(29)의 설치구성, 제 3 기어(1c)를 유성기어(1)의 구성에 포함하고 있는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완전히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을 한다.
도면중, (30)은 지지대이며, 이것은 요동아암(8)의 선단부가 자유자재로 미끄러질수 있도록, 아래로부터 지지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누름봉(29)은 캠부재(7)와 함께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되고 있음으로, 캠부재(7)가 길게뻗어 누름봉(8)이 음전달부재를 지지하고 있을때에는, 그 음전달부재(6)의 아랫면과의 마찰에 의해서, 픽업(8)이 재생시점으로 복귀를 하여, 그 지지를 하지아니하여도, 즉 유성기아(4)로 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제4실시예
10도, 제11도에는 제 4 실시예가 표시되어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피이커다이아프램(10)이 케이싱(20)의 스피이커박스(24)의 안쪽면에 고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음전달부재(6)도 그스피이커박스(10)와 함께 케이싱(20)안에 고정적으로 가설되고 있다.
또한, 바늘누름스프링(9)은 코일스프링이며, 레코오드판(3)아래에서 센터핀(50)둘레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바늘주름해제기구(11)는. 제 1 실시예의 때와 같다. 따라서, 바늘누름해제기구(11)가 작동을 하면 레코오드판(3)이 아랫쪽으로 후퇴하도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된 유성기어(1)는, 그것이 자유로운 상태에 놓여있을때는, 요동아암(8)을 거쳐서 전달받는 재생음 그 밖의 불규칙한 진동으로, 불규칙한 회전을 한다. 따라서 유성기어(1)에 설치한 간헐부(2)의 위치가 재생동작을 할때마다 달라지며, 기어연락계통중에서 서로 맞물리고 있는 상대방기어의 기어끝에 닿아서 캠부재(7)의 비틀어지는것으로인한 신장이 생기는 타이밍을 그때 그때 달리할수가 있게된다. 따라서 픽업(P)이 바늘누름이 해제되어 재생시점으로 복귀하기 위해 음전달부재(6)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레코오드판(3)의 후퇴의 타이밍이, 재생을 하게 될때마다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성기어에 간헐부를 설치하여, 그 회전위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녹음의 재생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미묘하게 벗어나는 것이여서, 픽업의 바늘누름을 해제하고, 그 픽업이 재생시점으로 복귀하는 타이밍을 복수의 녹음홈을 가진 레코오드판의 회전에 있어서 그 녹음홈의 도입부에 잘 맞는 타이밍에 관련하여 불규칙하게 하여, 불규칙한 녹음내용의 선택 재생을 즐길수 있게 한것이다.

Claims (10)

  1. 케이싱과, 스피이커다이아프램과, 이 스프리커다이아프램저면부에 접합하여서되는 음전달부재와, 복수의 녹음홈을 가지고 있는 레코오드판과, 이 레코오드판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와, 항상 재생시점의 방향과 상기 레코오드판의 녹음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쪽으로 탄력적으로 힘이 가해지며 또한 상기 음전달부재와 상기 레코오드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있는 픽업과, 상기 픽업에 탄력적으로 바늘압력을 걸어주기위한 바늘누름스프링과, 상기 레코오드판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레코오드판과 동시에 회전할수 있는 센터기어와, 재생종점의 근방에서 상기 픽업의 선회궤도에 향하여 항상 재생시점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도록 피버트착설되고 있는 바늘누름해제용의 요동아암과, 이 요동아암이 상기 픽업에 눌려서 상기 센터기어의 방향으로 이동을 하였을때에, 상기 레코오드판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력을 상기 센터기어를 거쳐서 받아 회전할수 있는 유성기어, 상기 음전달부재와 상기 레코오드판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성기어가 상기 센터기어의 구동력을 받은 상태에서 캠작용을 하여 상기 음전달부재와 상기 레코오드판과의 간격을 넓혀, 상기 픽업에 걸려진 상기 바늘누름스프링의 바늘 누름을 해제할수 있게 구성한 바늘누름해제용의 캠부재로 이루어지는 바늘누름해제기구를 포함하는 간이음향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1)에, 부분적으로 기어끝이 회전방향으로 길다란 간헐부(2)를 형성하며, 그 간헐부(2)가 상기 유성기어(11), 상기 센터기어(4)를 포함하는 기어연락계통중에서 서로 맞물리는 상대방기어의 기어끝에 닿을수 있게 구성을 하고, 또한 상기 캠부재(11)는, 2개의 캠편을 축방향으로 이중으로 결합한 구조로 하여, 그 한쪽의 캠편(7A)은 상기 유성기어(1)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락을 시키게 하고, 이로서, 상기 유성기어(1)가 상기 센터기어(4)를 포함하는 기어연락계통속에서 서로 맞물리는 상대방기어의 기어끝에 닿아서 상기 센터기어(4)로부터 받는 구동력에 저항하여 정지하였을때에, 상기 유성기어(1)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락하고 있는 캠의 상기 한쪽의 부재도 정지를시켜, 상기 캠부재(7)에 비틀어짐과 캠작용에 의하는 신장을 야기될수 있게한. 랜덤선택재생방식간이음향재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1)는, 상기 바늘누름 해제용의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캠주재(7)의 상기 다른쪽 캠편(7b)은, 상기 레코오드판(3)의 중심에서 이것과 일체가 되어 회전될수 있게 설치하였으며, 또한 상기 센터기어(4)는, 그 캠부재(7)의 상기 한쪽의 캠편(7a)과 일체로 분담지지되고 있으며, 이 캠부재(7)의 한쪽의 부재는 상기 센터기어(4)를 통하여 상기 유성기어(1)에 연락하고 있는, 랜덤선택재생방식간이음향재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는, 상기 픽업(P)이 상기 레코오드판(3)의 재생시점에 있을때에는 통전이 차단되도록 배선이 되어 있는, 랜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는, 상기 픽업(P)이 상기 레코오드판(3)의 재생시점에 있을때에는 통전이 차단되지 않도록 배선되어 있는, 랜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이커다이아프램(10)은, 상기 음전달부재(6)와 함께 한쪽지지식으로 가설되어 아래위로 요동을 할수가 있으며, 상기 바늘누름스프링(9)은, 사익 음전달부재(6)를 통하여 상기 픽업(P)에 바늘누름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상기 캠부재(7)는, 상기 음전달부 재(6)를 상기 바늘누름스프링(9)의 아래에서 상기 레코오드판(3)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있으며, 상기 유성기어(1)는 상기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되고 있는, 랜덤선택 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이커다이아프램(10)은, 상기 음전달부재(6)와 함께 한쪽지지식으로 가설되어 아래위로 요동이 될수있게하고, 상기 유성기어(1)는, 상기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되고, 상기 캠부재(7)는, 상기 음전달부재(6)를 상기 바는누름스프링(9)의 탈력에 저항해서 들어올리수 있게 상기 음전달부재(6)아래에서 상기 센터기어(4)와 함께 상기 레코오드판(3)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있으면서, 상기 유성기어(1)의 간헐부(2)가 상기 센터기어(4)의 기어끝에 닿아서 저지되고 있는 회전을, 상기 캠부재(7)의 비틀어짐에 의하여 최대한으로 신장된 상테에서는, 다시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저지할수 있게한,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이커다이아프램(10)은, 상기 음전달부재(6)와 함께 한쪽지지식으로 가설되어 아래위로 요동이 될수 있으며, 상기 바늘 누름스프링(9)은, 상기 음전달부재(6)를 통하여 상기 픽업(P)에 바늘누름 압력을 주고 있으며, 상기 캠부재(7)는, 상기 음전달부재(6)를 상기 바늘누름스프링(9)의 탈력에 저항해서 들어올리수 있게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되며, 상기 유성기어(1)는, 상기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된 캠부재(7)의 한쪽캠편, (7a)에 고정된 제 1 기어와, 상기 캠부재(7)의 다른쪽 캠편(7b)에 고정되어 상기 센터기어(4)를 맞물려주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가 상기 센터기어(4)에 맞물리는 동시에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게 케이싱안의 적당한 위치에 피버트착설한 제 3 기어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간헐부(2)는, 제 2 기어 또는 제 3 기어에 설정한, 램던선택 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부(2)가 상기 제 1 기어에 혈성되고 있는 램덤선택 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부(2)가 상기 제 3 기어에 형성되고 있는 램덤선택 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이커다이아프램(10)은, 상기 케이싱내에 고정되고, 상기 음전달부재(6)는, 그 스프이커다이아프램(10)의 저면부에 고정되고 있으며, 상기 유성기어(1)는 상기 요동아암(8)에 분담지지되고, 상기 바늘누름스프링(9)은, 상기 레코오드판(3)을 통하여 상기 픽업(P)에 바늘누름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상기 캠부재(7)는 상기 레코오드판(3)을 상기 바늘누름스프링(9)의 탄력에 저항해서 후퇴시킬수 있게 상기 레코오드판(3)이 위에 배치하고 있는,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 재생기.
KR1019850005724A 1985-02-28 1985-08-08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KR890004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39040 1985-02-28
JP60039040A JPS61198403A (ja) 1985-02-28 1985-02-28 ランダム選択再生方式簡易音響再生機
JP39040 198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775A KR860006775A (ko) 1986-09-15
KR890004236B1 true KR890004236B1 (ko) 1989-10-27

Family

ID=1254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724A KR890004236B1 (ko) 1985-02-28 1985-08-08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94446A (ko)
JP (1) JPS61198403A (ko)
KR (1) KR890004236B1 (ko)
CN (1) CN85106847B (ko)
AU (1) AU563183B2 (ko)
GB (1) GB2171840B (ko)
HK (1) HK314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5286B1 (en) * 1986-10-24 1992-06-1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Random reproducing system for disk player
JPS63168801A (ja) * 1986-12-29 1988-07-12 Ozen Corp 再生針・レコ−ド盤衝突防止装置を備えた簡易音響再生機
JPH0713041Y2 (ja) * 1988-07-30 1995-03-29 株式会社オーゼン 簡易音響再生機
JPH0756682B2 (ja) * 1990-04-20 1995-06-14 株式会社オーゼン 薄型レコード再生装置
JPH073681B2 (ja) * 1990-04-27 1995-01-18 株式会社オーゼン ショック始動式レコード再生装置
US6453045B1 (en) 2000-02-04 2002-09-17 Motorola, Inc.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piezo-electric transducer for handsfree and private operating mod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351A (en) * 1976-12-06 1977-10-25 Hughes Jr Alexander W Resettable toy phonograph
JPS544103A (en) * 1977-06-13 1979-01-12 Watanabe Kenkyusho Device for returning and starting tone arm for toy record player
GB2067817A (en) * 1980-01-22 1981-07-30 Ngai Mun Hay Record player
JPS6047201A (ja) * 1983-08-26 1985-03-14 Ozen Corp 簡易連続音響再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71840B (en) 1989-11-29
GB2171840A (en) 1986-09-03
CN85106847B (zh) 1988-05-11
AU5106285A (en) 1986-09-04
HK31490A (en) 1990-05-04
KR860006775A (ko) 1986-09-15
AU563183B2 (en) 1987-07-02
US4694446A (en) 1987-09-15
GB8605060D0 (en) 1986-04-09
CN85106847A (zh) 1986-08-27
JPS61198403A (ja) 1986-09-02
JPH0430641B2 (ko) 199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236B1 (ko) 램덤선택재생방식 간이음향재생기
JPH07307050A (ja) ミニディスク兼用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ー
US4524437A (en) Simplified sound-reproducing device having an external output shaft
KR890004235B1 (ko) 녹음내용에 따른 복수의 외부출력축을 가진 간이음향 재생기
US4361882A (en) Sound reproducing device incorporating a device for selecting a desired record groove
CA1135414A (en) Video disc player having unitary record handling platform construction
JPH0713041Y2 (ja) 簡易音響再生機
JPH06203462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S61198401A (ja) 録音内容に応じた複数の外部出力軸を有する簡易音響再生機
KR100565183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장치
KR100218907B1 (ko)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어셈블리
KR0125218Y1 (ko)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콤팩트디스크 로딩장치
JPH073681B2 (ja) ショック始動式レコード再生装置
JPS6232079Y2 (ko)
KR100240124B1 (ko) 탑로딩방식 씨디피
JPH0222848Y2 (ko)
KR950001389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인출장치
KR100501722B1 (ko) 레이져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어셈블리
JP2503106Y2 (ja) 両面演奏光ディスクプレ―ヤ
JPH0135281Y2 (ko)
KR950005032B1 (ko) 양면 연주용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이동장치
CN101149943A (zh) 磁带驱动设备
JPS6182365A (ja) デイスク再生装置
JPS6367241B2 (ko)
JPS5930201A (ja) 複数の録音溝を選択して再生する簡易蓄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